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새성기형

        정동원(Dong Won Jeoung),김동의(Dong Yi Kim),윤정한(Jung Han Yoon),제갈영종(Jegal Young Jo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6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2 No.1

        A very important and interesting problem occasionally seen in the neck of children and adults is a branchial cleft anomaly. It is a rare congenital neck disease and presents a painless palpable mass of neck in most cases. We hav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8 patients operated upon for branchial cleft anomaly at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1995. Three of these lesions were consider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first branchial cleft, and 25 from the second branchial cleft. Females are about twice more common than male patients. 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e cysts were lined squamous epithelium and subepithelial lymphoid follicles in most cases. Five out of 28 patients with branchial cleft anomalies had previous incision procedures. All patients after complete removal of branchial anomalies have no recurrences.

      • 위식도접합부선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한수,정오,박영규,김동의,류성엽,영진,Kim, Han-Su,Jeong, Oh,Park, Young-Kyu,Kim, Dong-Yi,Ryu, Seong-Yeop,Kim, Young-Ji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위식도접합부선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은 서구와 아시아 간의 많은 차이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위식도접합부선암의 유병율이 매우 낮고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우식도접합부선암의 Siewert 분류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서구와 다른 국내 위식도접합부선암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소견 및 병리 사진을 토대로 Siewert 분류법에 따라 위식도접합부선암을 분류하고,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환자들의 임상병리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위식도접합부선암은 전체 1,778예 중 70예(3.9%)였다. Siewert 1형은 3예(4.3%)로 매우 드물었으며, 2형과 3형이 각각 30예(42.8%) 37예(52.8%)였다. 2형이 3형에 비하여 평균연령이 높았으나(64세 vs 59세, P=0.049), 남녀비에는 차이가 없었다. 2형과 3형간에 Barrett 식도의 발현 정도나 Lauren 분류의 차이는 없었으나, 저분화암의 빈도는 3형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45). 68예(97.1%)에서 근치적 절제가 시행되었으며, 각 아형간에 TNM 병기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국내의 위식도접합부선암은 매우 드물며 특히 1형의 유병율이 매우 낮다. 본 연구에서 서구의 보고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병리학적 특성을 보였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위식도접합부선암의 특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Purpose: Siewert's classification of adenocarcinoma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AEG) has been widely adopted, but there is a wide discrepancy of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AEG of the Asian patients as compared to that of the Western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EG according to the Siewert classif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gastric carcinoma in our institution between May 2004 and February 2008, the AEG pati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operation records and the photographs according to Siewert's classification. Results: There were 70 AEG patients (3.9%) among the total of 1,778 patients. There were 3 patients (4.3%) with type I, 30 patients (42.8%) with type II and 37 patients (52.8%) with type III. Curative resection (R0) was achieved in 68 cases (97.1%).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stage, Barrett's esophagus and the proximal margin were found between the patients with type II and type III AEG. The patients with type III were younger than the patients with type II (59 vs 64 years, respectively, P=0.049). Well differentiated histology (P=0.045) and the intestinal type (P=0.055)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type II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patients with type III. Conclusion: There was a striking difference of the Asian patients from the Western patients for the incidence of AEG (and especially type I). Som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ype II and type III pati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Western studies. A large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features are typical in the Korean population.

      • 평균 수명 이상의 고령 위암 환자에서의 D2 림프절 절제술의 안정성

        강우성,정오,정미란,호군,류성엽,박영규,김동의,영진,Kang, Woo Sung,Cheong, Oh,Jeong, Mi Ran,Kim, Ho Goon,Ryu, Sung Yeop,Park, Yeong Kyu,Kim, Dong Yi,Kim, Young Ji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2

        목적: 고령 위암환자의 근치적 절제 후 생존율은 약년층에 비해 낮지 않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고령 환자에 대한 적절한 수술 범위에 대해서는 저자들마다 이견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D2 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된 고령 위암환자들의 수술 후 경과 및 합병증에 관하여 분석하여 고령 환자에서 D2 림프절 절제술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위절제를 시행 받은 1,251명 중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946명을 대상으로 국내 평균수명인 남자 73세, 여자 80세 이상을 고령환자로 구분 하여 비 고령 환자와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고령 환자 120명 가운데 86명(72.2%)에게 D2 이상의 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고령 D2 림프절제술 환자의 남녀비는 11.3:1이었고, 평균 연령은 $76.2{\pm}3.1$세였다. 62명에서 위원위부절제술, 24명에서 위전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이 중 16명(17.6%)은 주변장기를 합병 절제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22명(25.6%)에서 발생하였고 1명(1.2%)이 사망하였다. 전체 D2 림프절 절제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변량 분석에서 고령환자에서 유의하게 합병증 발생율이 높았으나(P=0.003) 다변량 분석에서 ASA score와 동반절제 여부만이 독립적인 합병증 발생 위험인자였으며 고령은 포함되지 않았다. 결론: D2 림프절 절제에 있어서 고령 자체는 독립적인 합병증 발생 위험인자가 아니었다. ASA score가 높지 않고 기저질환이 없는 평균 수명 이상의 고령환자에게서 D2 림프절 절제술은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D2 lymphadenectomy in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by comparing the surgical outcomes and postoperative courses between an elderly group and a control group undergoing the same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information was reviewed for 1251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gastrectomy between May 2004 and May 2007.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wo groups: an elderly group (older than the average life span in Korea) and a control group (younger than the elderly group).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postoperative courses after D2 lymphadenectomy were review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a total of 120 (9%) elderly group patients among all those reviewed, and 86 (72.2%) of them underwent D2 lymphadenectomy. There was 27.5% postoperative morbidity in the elderly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control group (12.8%, p=0.003). However, on multivariate analysis, ASA score and combined resection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hile age was not predictive. Conclusion: Older age is not a predictive factor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itself, and D2 lymphadenectomy can be safely performed in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provided they have good ASA scores and do not undergo accompanying combined rese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조기위암 및 림프절 전이에 대한 수술 중 외과적 병기판정의 정확도 및 유용성

        박은규,정오,류성엽,주재균,김동의,정미란,호군,회원,박영규,Park, Eun-Kyu,Jeong, Oh,Ryu, Seong-Yeop,Ju, Jae-Kyun,Kim, Dong-Yi,Jeong, Mi-Ran,Kim, Ho-Goon,Kim, Hoe-Won,Park, Young-Kyu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3

        목적: 조기위암 및 림프절 전이에 대한 수술 중 외과적 병기판정의 정확도에 대하여 분석하고, 외과적 병기에 근거한 수술 범위 판단의 유용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에서 2007년까지 위암으로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369명을 대상으로 조기위암 및 림프절 전이에 대한 수술 전 검사 및 외과적 병기판정의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위암에 대한 외과적 병기판정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74.5%, 95.7%, 83.7%였으며 양성 예측도는 95.7%였다. 이는 수술 전 검사에 의한 조기위암의 진단에 비하여 높은 특이도와 양성 예측도를 보였다. 림프절 전이에 대한 외과적 병기판정의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는 73.2%, 78.1%. 76.4%였다. 127명의 림프절 전이 환자 중 수술 전 진단에서 59명(46.5%)이, 외과적 병기판정에 의해서는 34명(26.8%)만이 림프절 전이 없음으로 저 평가되었다. 조기위암의 진단에서 술 전 진단과 외과적 병기 사이에 불일치를 보인 70예 가운데, 63예(90%)는 외과적 병기판정이, 7예(10%)는 수술 전 진단이 정확하였다. 결론: 수술 중 외과의사에 의한 외과적 병기판정은 조기 위암 및 림프절 전이에 대하여 수술 전 검사에 비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진행위암의 조기위암으로의 저 평가를 현저히 줄인다. 따라서 위암의 수술 시 외과적 병기는 수술 범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고려되어야 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surgically diagnosing early gastric cancer (EGC) and lymph node metastasis, and to determine its role for performing limited surgery for EGC.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369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for primary gastric carcinoma. The surgical diagnosis was evaluated by determining its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and this was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examinations. Result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the intraoperative diagnosis for EGC were 74.5%, 95.7% and 83.7%, respectively. The predictive value for EGC according to the intraoperative diagnosis was 95.7%. The surgical diagnosis of EGC showed higher specificity and a higher predictive value than preoperative examinations, which significantly reduced the risk of underestimating advanced gastric cancer (AGC) to EGC.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for lymph node metastasis according to the surgical diagnosis were 73.2%, 78.1% and 76.4%, respectively. For 70 patients with a discrepancy in the diagnosis of EGC between the pre- and intra-operative diagnosis, the surgical diagnosis was correct in 63 (90%) patients, but the preoperative examinations were correct in only 7 (10%) patients. Conclusion: The surgical diagnosis showed better accuracy than the preoperative examinations for detecting EGC and lymph node metastasi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ecision for conducting limited surgery based on the surgical diagnosis might reduce the risk of under-treatment of AGC to EGC better than the preoperative exam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