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인불명의 임신 중기 모체 혈청 α-fetoprotein 상승과 조기 분만과의 관련성

        강석범(Sok Bom Kang),문정빈(Jeong Bin Moon),이기주(Ki Joo Lee),김데리샤(Teresa Kim),박중신(Joong Shin Park),전종관(Jong Kwan Jun),윤보현(Bo Hyun Yoon),신희철(Hee Chul Sy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태아의 구조적 이상이 동반되지 않은 원인불명의 모체 혈청 알파 태아단백(alpha-fetoprotein;AFP) 상승이 조기진통으로 인한 조산 및 그외의 적응증으로 인한 조산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으며 임신 중기 모체 혈청 AFP 상승이 있을 경우 모체 혈청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의 측정 결과가 조기진통에 대한 위험을 예측하는데 부가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 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 9월부터 1998년 4월 사이 임신 중기 모체 혈청 알파 태아단백 검사를 받은 945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체 혈청 AFP이 2.0MoM 이상인 산모들을 대상군으로, 2.0MoM 미만인 산모들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병록 조회를 통하여 대상군 및 대조군의 임신 결과를 확인하였고,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신 중기 모체 혈청 AFP이 상승되었을 경우 조산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태아 발육 지연(p<0.05)과 임신성 고혈압(p<0.05)의 빈도 역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조기양막 파수, 자궁내 태아사망의 빈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임신 중기 모체 혈청 AFP이 상승한 군에서 조기 진통으로 인한 조산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다른 적응증으로 인한 조산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체 혈청 HCG의 상승은 조산 빈도 및 조기진통으로 인한 조산 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임신 중기 원인불명 모체 혈청 AFP의 상승과 조기진통으로 인한 조산의 빈도 증가는 유의한 연관이 있으나, 조기진통 이외의 다른 적응증으로 인한 조산의 빈도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모체 혈청 HCG의 상승은 조산 및 조기진통으로 인한 조산의 빈도와 관계가 없었다. Objectives: Our purpose was 1) to determine whether elevated maternal serum alpha- fetoprotein(MSAFP) predict increased risk of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and indicated preterm delivery; 2) to determine whether elevated maternal serum human chorionic gonadotropin(MSHCG) predict increased risk of preterm delivery. Methods: Between September 1995 and April 1998, 945 of 2105 pregnant women who received midtrimester MSAFP screening were identified and evaluated. 81 women with MSAFP levels of 2.0 MoM or more were included in the study group while 864 women with levels less than 2.0 MoM served as controls. Pregnancy outcome were obtained from hospital record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Women with elevated MSAFP levels showed an increased risk for preterm delivery(p<0.05), fetal growth restriction(p<0.05) and hypertensive disorders(p<0.05), but not fo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fetal death in utero. There wa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unexplained elevated MSAFP levels and spontaneous preterm delivery(p<0.05) but our study does not support an association between unexplained elevated MSAFP levels and indicated preterm delivery.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elevated MSHCG levels and preterm delivery regardless of MSAFP level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unexplained elevated levels of midtrimester MSAFP were associated with an elevated risk of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but not with a risk of indicated preterm delivery. Elevated MSHCG levels were not associated with a risk of preterm delivery and spontaneous preterm birth.

      • KCI등재

        조기 양막파수된 임산부에서 자궁내 감염의 산전 진단과 주산기 예후 예측에 있어 양수내 IL-6 측정과 양수배양 검사의 비교 연구

        박교훈(Kyo Hoon Park),윤보현(Bo Hyun Yoon),김미하(Mi Ha Kim),김길자(Gil Ja Kim),김데리샤(Teresa Kim),이홍균(Hong Kyoon Lee),신희철(Hee Chul Sy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6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양막파수된 임산부에서 첫째, 자궁내 감염의 조직학적 증거인 태반의 급성 염증성 병변(조직학적 융모양막염)과 주산기 예후를 산전에 예측하는데 양수내 interleukin-6 (IL-6) 농도 측정이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양수내 감염의 진단 기준으로 생각되고 있는 양수배양 검사와 그 유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양수천자 후 72시간 내에 분만된 조기양막파수 임산부 65명에서 경복부 양수천자에 의한 양수배양, 양수내 IL-6 농도를 측정하고, 분만후 태반의 조직학적 검사와 신생아 예후를 추적 관찰하여 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IL-6 농도 측정은 효소면역측정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사용하였고, 통계분석은 Receiver-operator characteristic (ROC) 도표, Mann-Whitney U test,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1)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이 존재한 임산부는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이 존재하지 않은 임산부보다 양수내 IL-6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median 12.6 ng/ml, range 0.03 to 142.2 ng/ml vs median 0.5 ng/ml, range 0.03 to 16 ng/ml; p < 0.0001). 2) ROC 도표에 의하여 양수내 IL-6 농도 3.2 ng/ml 이상은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을 산전에 예측하는데 민감도 78% (35/45) 특이도 95% (19/20)를 나타냈으며, 유의한 신생아 이환(신생아 패혈증, 호흡곤란증후군, 폐렴, 기관지 폐 이형성증, 뇌실내 출혈, 괴사성 장염 중 어느 한가지가 존재할 때로 정의)과 사망을 산전에 예측하는데 민감도 74% (25/34) 특이도 65% (20/31)를 나타내었다. 3)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유의한 신생아 이환과 사망을 산전에 예측하기 위한 양수내 IL-6 농도 측정의 민감도는 양수배양 검사의 민감도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이도는 두 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78% vs 51%, p < 0.01; 유의한 신생아 이환과 사망: 74% vs 47%, p < 0.01). 결론 : 조기양막파수된 임산부에서 양수내 IL-6 농도 측정은 태반의 급성 염증성 병변과 주산기 예후를 산전에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양수내 감염의 진단 기준인 양수배양 검사보다 민감도가 더 높은 검사이다. Objectives : Our purpose was (1) to determine whether amniotic fluid concentrations of interleukin-6 are of value in the diagnosis of histologic chorioamnionitis of preterm placenta and in the prediction of significant 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nd (2)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amniotic fluid interleukin-6 with that of amniotic fluid microbial culture for these outcome variables.Method : The relation among placental histologic finding, perinatal outcome, amniotic fluid culture, and amniotic fluid interleukin-6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in 65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ho delivered preterm neonates within 72 hours after transabdominal amniocentesis. Interleukin-6 level was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ceiver-operator characteristic curve, Mann-Whitney U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 1) Patients with acute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ad significantly higher median amniotic fluid interleukin-6 concentrations than those without histologic chorioamnionitis (median 12.6 ng/ml, range 0.03 to 142.2 ng/ml vs median 0.5 ng/ml, range 0.03 to 16 ng/ml; p < 0.0001). 2) Amniotic fluid having interleukin-6 concentrations higher than 3.2 ng/ml had a sensitivity of 78% (35/45) and specificity of 95% (19/20) in the diagnosis of acute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sensitivity of 74% (25/34) and specificity of 65% (20/31) in the prediction of significant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3) These sensi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mniotic fluid cultur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cificities between amniotic fluid interleukin-6 and culture (histologic chorioamnionitis: 78% vs 51%, p<0.01; significant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74% vs 47%, p<0.01, respectively).Conclusion : Test of amniotic fluid interleukin-6 is of value and more sensitive than amniotic fluid culture for the antenatal diagnosis of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for the prediction of perinatal outcome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 KCI등재

        조기분만진통 임신부에서 자궁내 감염의 산전 진단과 주산기 예후의 예측에 있어 양수내 백혈구 수 측정과 양수 배양검사의 비교 연구

        문정빈(Jeong Bin Moon),이기주(Ki Joo Lee),강석범(Sok Bom Kang),김길자(Gil Ja Kim),김데리샤(Teresa Kim),박중신(Joong Shin Park),전종관(Jong Kwan Jun),윤보현(Bo Hyun Yoon),신희철(Hee Chul Sy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조기분만진통 임신부에서 자궁내 감염의 산전진단과 신생아 이환을 예측하기 위한 검사로서 양수내 백혈구수 측정과 양수배양의 진단적 수행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양막파열이 동반되지 않은 조기분만진통 산모 중에서 양수 검사를 시행하고 72시간내에 분만한 75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양수 검사에서는 마이코플라스마를 비롯하여, 혐기성, 호기성 균에 대한 양수배양을 하였고, 양수내 백혈구수를 측정하였다.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중요한 신생아 이환(신생아 패혈증, 폐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기관지 폐 이형성증, 뇌실내 출혈, 괴사성 장질환), 양수내 백혈구수, 그리고 양수배양 결과 상호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적절한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성 변수, 비율, 그리고 두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이 있었던 환자에서 양수배양 양성율이 높았고(28.9% vs 5.4%, p<0.05), 양수내 백혈구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중앙값 99, 범위 0-3024 cells/mm3 vs 중앙값 1, 범위 0-180 cells/mm3, p<0.01). 양수내 백혈구수 측정(≥ 50cell/mm3)은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진단에 민감도 55.3%(21/38) 와 특이도 94.6%(35/37)를 보였고, 중요한 신생아 이환의 예측에 민감도 47.5%(19/40)와 특이도 90.9%(30/33)를 보였다. 이러한 양수내 백혈구수 측정의 민감도는 양수배양검사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진단, 55.3% vs 28.9% ; 중요한 신생아 이환의 예측, 47.5% vs 25.0%, 각각 p<0.01). 결론: 조기분만진통 산모에서 양수내 백혈구수 측정은 자궁내 감염의 산전진단과 중요한 신생아 이환을 예측하는데 양수배양보다 더 민감한 검사이다. Objectives: To compare the diagnostic and prognostic performance of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AF WBC) count and amniotic fluid culture for the prenatal diagnosis of intrauterine infection and the prediction of neonatal outcomes in patients with preterm labor and intact membranes. Methods: Amniocentesis was performed in 75 patients with preterm labor and intact membranes, who delivered preterm neonates within 72 hours after amniocentesis. AF WBC was determined and amniotic fluid was cultured for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 as well as mycoplasma. The relations among placental histologic findings, perinatal outcome, AF WBC count, and AF culture were examined. Student t test, Mann Whitney U test, χ2 test, Fisher's exact test, modified t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Microbial invasion of the amniotic fluid was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histologic chorioamnionitis than patients without histologic chorioamnionitis (28.9% vs 5.4%, p<0.05), and patients with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ad significantly higher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s than those patients without such lesion (median 99, range 0-3024 cells/mm3 vs median 1, range 0-180 cells/mm3, p<0.01).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 50cell/mm3) had a sensitivity of 55.3%(21/38) and a specificity of 94.6%(35/37) for the diagnosis of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a sensitivity of 47.5%(19/40) and specificity of 90.9%(30/33) for the prediction of significant neonatal morbidity (defined as neonatal sepsi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neumonia, intraventricular hemorrhage, bronchopulmonary dysplasia, or necrotizing enterocolitis). These sensi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mniotic fluid culture (for histologic chorioamnionitis, 55.3% vs 28.9% ; for significant neonatal morbidity, 47.5% vs 25.0%, p<0.01 for each). Conclusion: Amniotic fluid WBC count is a more sensitive test for the prenatal diagnosis of intrauterine infection and for the prediction of significant neonatal morbidity than amniotic fluid culture in the patients with preterm labor and intact membra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