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식방법, 재식밀도, 질소시비량 및 재배년수가 천문동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대향,박춘봉,김종엽 한국약용작물학회 2010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8 No.2

        Cultural practice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in highland area were performed for a potential medicinal crop. These studies were examined to propagation methods, planting densities, nitrogen treatments, and cropping yea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dequate number of buds per tuberous root was 4 for vegetative propagation because the number of tuberous root harvested was 16.8 and the yield was also the highest, exhibiting 1,060 kg/10a. The suitable planting time for vegetative propagation was later than early April. If the earlier tuberous roots were planted, the less they emerged. The highest emergence rate was obtained from the planting density of 30×20cm as 97.2% while the yield was highest in the 30×15cm density, exhibiting 1,883 kg/10a with emergence rate at 94.9. It seemed that the higher planting density promoted plant height growth and yield in Asparagus cochinchinensis. The highest fresh weight was recorded at 6 kg/10a of nitrogen fertilizer into the sandy loam soil compared to the level of 0, 3, 9 kg/10a. The yield was increased with cropping years. However, the proper harvesting time was the second year of cultivation because the rate of weight increase was maximized in the 2-year-old tuberous root. The yield in the third year was decreased as compared to that of the second year.

      • 동계사료작물 재배후 석회물질 시용이 땅콩의 주요 형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대향,심재성,Kim, Dae-Hyang,Chim, Jae-Seong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5 自然科學論文集 Vol.7 No.-

        전북 익산군 왕궁면 땅콩 4년 연속 연작한 토양 연작장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흡비력이 강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호밀을 동계에 재배하고, 토양개량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석회물질을 시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땅콩 연작지 토양에 동계 사료작물을 재배하고 석회물질을 시용한 결과 토양중 유기물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만 재배한 구 1.25%,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재배한 후 석회고토를 시용한 구 1.37%, 석고를 시용한 대조구 1.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호밀만 재배한 구는 1.70%, 호밀재배후 석회고토 시용구 1.73%, 석고 시용구 1.77%로써 사료작물 재배구의 유기물함량이 높았다. 2. 인산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만 재배하고 석회물질을 시용하지 않은 구 332ppm, 호밀을 재배하고 석회물질을 시용하지 않은 구 386ppm,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후 석회고토 시용구 340ppm, 석고시용구 312ppm, 호밀시용후 석회고토 시용구 386ppm, 석고 시용구 418ppm으로써 석회물질만 시용한 대조구 549ppm 보다 월등히 낮았다. 3. 연작장해 요인중의 하나로 알려진 phytotoxin함량을 분석한 결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후 석회고토 시용구 19.7%, 석고 시용구 25.3%, 호밀 재배후 석회고토 시용구 12.0%, 석고 시용구 12.8%의 phytotoxin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사료작물에서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phytotoxin 감소에 효과적이었고 석회물질은 석회고토보다 석회가 효과적이었다. 4. 연작장해의 가장 큰 요인으로 알려진 땅콩의 주요 병해인 풋마름병과 검은무늬병의 발병률을 조사하여 본 결과 풋마름병 이병주율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만 재배한 구 3.4%, 호밀 재배구 2.9%,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후 석회고토 시용구 2.5%, 석고 시용구 2.3%, 호밀 재배후 석회고토 시용구 2.6%, 석고시용구 2.3%로써 석회물질을 시용한 것 보다 사료작물을 재배한 것이 이병주율이 낮았고, 사료작물만 재배한 것 보다는 석회물질을 함께 사용한 것이 효과가 컸다. 5. 검은무늬병 발병률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만 재배한 구에서 5.6%, 호밀만 재배한 구에서 7.9%,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후 석회고토 시용구에서 4.6%, 석고시용구에서 3.4%, 호밀 재배후 석회고토 시용구에서 5.3%, 석고 시용구에서 5.2%였다. 그러나 사료작물만 재배구의 5.6%와 7.9%의 발병률은 석회물질만 시용한 대조구 5.8%와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나 석회물질을 시용하지 않고 사료작물만 재배하면 오히려 병이 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만 재배한 구와 호밀만 재배한 구 공히 석회물질만 시용한 대조구에 비해 생육상황이 나빴고, 수량도 각각 202kg/10a 및 186kg/10a로써 대조구 210kg/10a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후 석회고토 시용 구 및 고토 시용구는 생육상황도 양호하였고, 수량도 각각 217-225kg/10a 와 225-237kg/10a를 기록하였다.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decrease of 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in the peanut fields of Chonbuk Wangkungarea. The continuous cropping field for four years was used in this experiment. Italian ryegrass and rye were cultivated andlime materials were distributed for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age crops were cultivatedand lime materials were distributed on the continuous cropping field of peanut.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the expermentalplot cultivating Italian ryegrass was only 1.25%.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soil cultivated Italian ryegrass after distributedmagnesium lime was 1.37% and that of soil cultivated Italian ryegrass after distributed gypsum was 1.30%. It was highcontent comparing to that of soil distributed lime materials only.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soil cultivated rye after distributed gypsum was 1.77%. 2. The phosphate content of soil cutivated Italian ryegrass was 332ppm. The phosphate content ofsoil cultivated Italian ryegrass after distributed magnesium lime was 34Oppm and that of soil cultivated Italian ryegrass afterdistributed gypsum was 31 2ppm. The phosphate content of soil cultivated rye only was 386ppm. The phosphate content ofsoil cultivated rye after distributed gypsum was 41 8ppm. This phosphate content was lower than that of soil distributed limematerials only. 3. The phytotoxin content of soil cultivated Italian ryegrass after distributed magnesium lime was decreased to17.7% and that of soil cultivated Italian ryegrass after distributed gypsum was decreased to 25.3%. The phytotoxin content ofsoil cultivated rye after distributed magnesium lime was decreased to 12.0% and that of soil cultivated rye after distributedgypsum was decreased to 12.8% comparing to the phytotoxin content of soil distributed lime materials only. Italian ryegrasswas effective to decrease phytotoxin among the forage crops and gypsum was effective among the lime materials. 4. Abacterial wilt and a late spot of peanut which were known as, main reason of continuous cropping failure were surveyed.lnccidence of a bacterial wilt was 3.4% in the plot cultivated Italian ryegrass only and that was 2.9% in the plot cultivated ryeonly. lnccidence of a bacterial wilt was 2.5% in the plot cultivated Italian ryegrass after distributed magnesium lime and thatwas 2.3% in the plot cultivated rye after distributed gypsum. Inccidence plot cultivated forage crops was lower than that of plotdistributed lime materials. 5. Inccidence of a late spot was high in the plot cultivated forage crops ony, but it was low in the plotcultivated forage crops after distributed lime materials comparing to that of the control plot. 6. The growth and yield of peanutwere bad in the plot cultivated forage crops only comparing to the control plot distributed lime materials only. These resultswere same in the plot cultivated rye after distributed lime materials, but the growth and yield were grown up in the plotcultured Italian ryegrass after distributed lime materials.

      • KCI등재

        천문동 자생지 환경 및 생육 특성

        김대향,박춘봉,강찬호,김종엽,임주락,최정식,최영근 한국약용작물학회 2003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1 No.3

        한약재 및 식품으로의 개발가능성이 높지만 현재 멸종위험에까지 처해있는 천문동의 체계적 보호 및 보존을 위하여 자생지 분포특성조사와 유전자원을 수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해안(충남 이남)과 남해안, 동해안(경북 이남)의 45개 지역을 중심으로 유전자원의 분포특성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생이 확인된 26지역으로부터 천문동 자생종을 수집하였다. 2. 자생지분포 조사 결과 섬을 제외한 육지부 천문동 자생지는 북위 36˚15' (충남 보령군 남포면 월전리 죽도) 이남의 서해안으로부터 동경 128˚02' (경남 사천시 실안동 강포) 이서의 남해안이었다. 3. 천문동은 해안선에 주로 분포하고, 자생지 주요 식생은 소나무가 우점 하였다. 4.자생지 천문동의 생육상황은 햇볕의 투과정도가 좋을수록 지하부 생장량이 많았다. There were so many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in the past in Korea. Now a day, it is under diminishing circumstance because of over exploitation for pharmacy materials. The amount of domestic market demand of it was imported. The autochthonous planting areas were mainly surveyed along coastal region and island. Autochthonous A. cochinchinensis was mainly distributed in sea shore below 1km from sea and founded 26 regions among 45 surveyed regions. Northern and eastern limited distribution of A. cochinchinensis was N36˚15' in the west coast and E128˚02' in the south coast of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But it was not founded in the east coastal region. Dominant vegetation of surveyed area was pine with shrub. The number of tuberous roots of A. cochinchinensis growing in good light penetration was more than growing in bad light penetration.

      • 오미자 줄기를 가해하는 주요 문제 해충

        유동현,김종엽,김창수,김대향,홍기정,황창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5

        최근 DDA, FTA 협상 등으로 인해 국가간 경제교류와 통합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등의 농산물의 식품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농산물을 안전하게 생산하는 것은 건강 유지뿐만 아니라 환경에 미치는 위해요소를 제거하여 생태계 보존 및 청결한 과원 관리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오미자는 주로 해발 300m이상 되는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덩굴성 식물로 수명은 8-12년 정도 되는 우리나라 약용작물 중의 하나다. 특히 최근에 오미자의 맛과 효능이 소비자로부터 인정을 받으면서 재배면적이 전북 동부산악권 (무주, 진안, 장수, 남원, 순창)을 중심으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오미자 재배면적이 집단화 규모화 되면서 병해충의 발생양상도 다르게 나타나- 오미자에 대한 주요 병해충을 파악하여 방제의 기초자료 제공 및 병해충의 위험도를 평가하고자 이에 대한 실태를 조사 한 결과 오미자에 주로 발생하는 해충은 오미자 식나무깍지벌레가 피해가 많았으나 오미자 식재년수가 늘어나고 노후화 과원이 증가하면서 포도유리나방 및 신종 해충으로서 검은점애바구미 (Dendrobaris maculata(Roelofs, 1879))가 발생하였으며, 그밖에도 거위벌레, 노린재류, 자나방, 주머니나방, 열매를 가해하는 깍지벌레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충이 아니었던 검거세미나방도 돌발해충으로 발생되어 많은 잎을 가해하기도 했다. 따라서 오미자 신종해충인 검은점애바구미의 사진자료와 피해증상을 보고하고, 오미자 줄기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병해충별 정확한 생리생태와 방제방법, 친환경 방제자재 선발 등을 연구함으로서 농가의 안정생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 점착트랩이 담배가루이 밀도억제에 미치는 영향

        김주,임주락,정성수,최동칠,김대향,황창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점착트랩을 이용한 가지 담배가루이 방제 시 최적의 설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가지 정식 후 점착트랩을 1~40개까지 6처리를 설치하고 담배가루이 성충의 유인 채집효과, 가지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점착트랩 설치 수가 증가 할수록 초 장, 경경 등 생육이 양호하였고, 잎에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성충과 약충은 점착트 랩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트랩에 포집된 단위면적당 담배가루이 성충수는 트랩수가 적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총 포집수는 트랩수가 많은 처리가 증 가하였다. 생육 초기의 수량 및 과특성은 점착트랩 수가 증가할수록 과수, 상품률 등이 증가한 경향이었으나 생육후기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점착트 랩에 의한 담배가루이 밀도 억제효과는 생육초기에는 있지만 생육후기에는 없었 다. 생육초기 담배가루이 밀도억제에 적합한 설치수는 가지 10주당 3~5개였다

      • LED 파장에 따른 파밤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인효과

        김주,이규환,정성수,이주희,김대향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본시험은 LED광원에 따른, 파밤나방 성충유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트를 정식하고 차광망을 설치하여 빛의 상호 투과를 막은 후 LED광원을 365nm, 410nm, 460nm, 510nm, 560nm, 610nm, 630nm, 730nm 등 8파장을 각 처리별로 나누고, 50개의 번데기를 접종, 우화수와 유인수를 조사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365nm 파장대에서 70%, 403nm에서 62.5%의 높은 유인률을 보였고, 2차 조사에서는 367nm에서 5.1%, 410nm에서는 35.9%의 유인률을 보인 반면, 다른 파장대에서는 유인되지 않아 파밤나방 성충은 자외선 영역의 LED파장에 유인효과가 높았다. 파밤나방과 거세미나방의 유충의 LED광원에 의한 유인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LED광원을 365nm, 460nm, 510nm, 560nm, 610nm, 630nm, 730nm 등 7파장을 이용하여 유충의 유인시험을 수행한 결과 파밤나방 유충은 365nm에서 41.4%, 560nm 17.3%, 610nm 11.0%로 365nm가 유인률이 가장 높았고, 담배거세미나방에서도 365nm 45.3%, 560nm 16.6%, 460nm 14.0%로 365nm가 유인률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은 성충뿐만이 아니라 유충도 자외선파장에 유인됨을 알 수 있었다.

      • 님제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

        김주,임주락,정성수,최동칠,김대향,황창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가지 담배가루이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고자, 난황유 등 7종의 천연물질을 가지 정식 후 7일 간격으로 살포하면서 생육을 조사한 결과 관행(디노테퓨란입상 수화제 1,000배), 님제 등이 양호하였고, 님제, 은행잎제, 난황유에서는 약해가 발 생되었다. 담배가루이 발생은 관행과 님제 처리에서 적었다. 수량은 관행에서 가 장 많았고, 친환경 자재에서는 님제, 고추씨유 등이 많았으며, 고삼제 은행과육 등 에서 적었다. 님제 처리의 경우 관행대비 51.5%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담배가루이 방제에 효과가 우수한 님제의 적정 처리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00~2,000배까지 5처리를 두어 가지 생육과 수량, 담배가루이 발생을 조사한 결 과, 정식 48일후 생육조사에서 500배가 초장 등 생육이 양호하였고, 배수가 낮을 수록 약해가 발생과 생육이 저조하였고 배수가 증가 할수록 담배가루이 발생이 많 아져 생육이 저조하였다. 담배가루이 발생은 처리 배액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전체적으로 님제 500배액 처리가 과중, 과수 등이 양호하고 수량이 많아, 가지 담 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적정 님제 처리농도는 500배였다. 또한 님제 처리간격을 구명하고자, 500배 농도로 처리간격(일)을 3~15까지 5처 리를 두어 담배가루이 발생과 가지 생육과 수량 등을 조사한 결과, 처리간격이 넓 은 처리가 담배가루이 발생이 많았고, 생육 또한 처리간격이 넓은 10일과 15일 나 빠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님추출물 7일 간격 처리가 과중, 과수, 상품률 등이 높아 수량이 많았다. 이는 처리간격이 짧을수록 님제의 영향을 받았고, 길어질수록 담 배가루이의 피해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 천연물질을 이용한 가지 담배가루이 방제효과

        김주,임주락,박성희,정성수,최동칠,김대향,황창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2009년 5월에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수경재배 비닐하우스에 가지를 정식하고 담 배가루이를 접종하였다. 난황유 200배액, 님제 500배액, 은행과육 발효액 10배, 돈 분침출액 50배액, 제충국제 100배액, 은행잎추출액 200배액, 고추씨기름 200배 액, 고삼추출액 10배액 그리고 대비구로 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1000배액과 증류 수를 7일 간격으로 분무처리 하면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가지 생육과 수량을 조사 하였다. 초기 생육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73일후 생육은 초장, 엽장, 절수 등에 서 디노테퓨란, 님제, 돈분침출액, 난황유, 은행과육 순으로 양호하였고, 고삼추출 액과 증류수 처리가 저조하였다. 성충발생은 디노테퓨란이 3.5마리/4cm2로 가장 적었고, 님제 4.4, 난황유 6.2, 은행잎추출액 7.9마리/4cm2 순 이었으며, 고삼추출 물과 증류수가 각각 10.6, 11.9마리/4cm2로 많았다. 약충발생에 있어서도 디노테 퓨란 0.2, 님제 1.0, 고추씨유 5.0, 난황유 6.0마리/4cm2순으로 적었고, 고삼추출물 과 은행과육이 11.5마리/4cm2, 증류수처리가 12.1/4cm2로 많은 발생을 보였다. 수량은 디노테퓨란이 597.9g/주로 가장 많았고, 님제 308.2g/주, 고추씨유 240.7g/주, 난황유 224.8g/주 순이었으며, 증류수 182.3g/주, 은행과육 161.7g/주, 고삼추출물 130.0g/주로 적었다. 담배가루이 약충의 경우, 증류수 대비 화학농약인 디노테퓨란은 98%의 방제효 율을 나타내었고, 천연물질로는 님제 92%, 고추씨유 59%, 난황유 50%의 방제효 율을 나타내었다.

      • 꾸지뽕나무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및 피해증상

        유동현,박춘봉,김종엽,최소라,노승관,김대향,황창연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생약명이 자목(柘木)으로 분류학적으로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 낙엽활엽수, 소교목 또는 관목이며, 한국(황해이남, 800m 이하)ㆍ일본ㆍ중국에 분포하고 있다. 꾸지뽕나무는 플라보노이드계인 모린, 루틴, 모르찐을 함유하여 항암 효과가 탁월하고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리보플라빈 등과 비타민 B1, B2,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자생 꾸지뽕나무 군락지를 발견하기 매우 어렵고 무차별 남획되고 있는 실정이며, 재배에 관한 기술자료가 미흡하기 때문에 자생지 복원과 함께 소득작물로서의 재배기술 체계를 확립하여 안정생산기반을 마련하고자 재배기술체계 확립 및 주요 문제 병해충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병해충 조사결과 주로 병에 의한 피해로 갈색무늬병이 발생하였으나 피해정도는 경미하였으며, 해충 피해로서 잎에는 5월 초~9월 말에 은줄자나방 유충, 산누에나방 유충, 목화진딧물, 명나방 유충, 꽃에는 6월 초~6월 말에 잎벌레류, 과실은 6월 초~7월 중, 9월 초~11월 초 수확기에는 노린재류, 잎벌레류, 초파리, 노린재등과 다람쥐, 까치 등 조수 피해도 나타났다. 줄기는 5월 초~10월 초에 공깍지벌레, 장수풍뎅이, 말매미, 넓적사슴벌레 등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