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음 보호구 종류별 소음저감 효과에 대한 주관적 반응

        김대군(Kim, Dae-Goon),재수(Kim, Jae-Soo)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20 No.10

        Since the working machine generates an excessive loud noise as much as its use-purpose and dimension, those damages are occurring to the exposed workers such as unpleasant sense, stress and occupational hearing-impaired. Accordingly, as one of the measures for prevention such loud noise, various soundproof protection tools were developed. However, such soundproof protection tools were presented the physical measured value only, it is real state that the psychological study result with regard to the soundproof effect which the workers are actually feeling, is not existing. On such point of view, with the object on the typical earplugs and earcaps among the soundproof protection tools, this study has ever tried a subjective evaluation about the degree of soundproof effect through Psycho-acoustics experiment. It is considering that such study result could be utilized as the useful material when establishing the soundproof measure for the work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인성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김대군 ( Kim¸ Dae-gu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7

        본 논문에서는 살아간다는 것은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인성교육의 방안을 제안했다. 자신의 이야기 속에서 주인공은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누구나 자신의 캐릭터를 선한 인물(도덕적 캐릭터 : 덕을 갖춘 존재 )로 만들어가려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캐릭터를 형성하고 자신의 근사한 이야기를 만들어가도록 돕는 방안은 곧 인성교육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현재의 자아정체성을 확인해서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야기의 플롯을 구성하게 된다. 다시 이야기하기의 과정을 통해서 캐릭터가 이야기의 플롯에 영향을 주고 플롯은 캐릭터의 형성을 돕게 된다. 캐릭터와 플롯은 서로 영향을 주면서 새로운 이야기를 이루어나가게 된다. 기존의 이야기를 활용한 감동감화식 수업이나 토론식 수업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캐릭터와 플롯에 초점을 둔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방안은 자신의 삶에서 지향하는 캐릭터로 자신의 이야기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자신의 지침을 스스로 만들어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인성교육에서 자기 이야기(narrative)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클랜디닌(Jean Clandinin)과 코넬리(Michael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플롯, 리쾨르(Paul Ricoeur)의 자아 정체성,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의 타자 등의 개념을 원용했다. 이들의 개념을 바탕으로 해서 이야기 활용의 단계를 ① 이야기 속에 들어가기 ② 이야기 공간에 존재하기 ③ 이야기 해석하기 등 3단계로 제시했다. 이 단계들은 도덕 윤리 수업이나 윤리상담 프로그램 등에서 기존의 자신에게 부족한 덕목을 찾고, 새로운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계기를 갖도록 하는 인성교육 방안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proposed a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that living is the process of making ones own story. Since the main character in ones story is oneself, everyone has a desire to make his character a good person (moral character: being with virtue). Therefore, I present the thesis that forming a character of oneself and helping to create a nice story of oneself can be one way of character education. To confirm ones current self-identity and create a desired character, one constructs a plot of a new story. Characters found through the process of retelling influence the plot of the story. The plot helps shape the character. Characters and plots interact with each other, creating new stories. Unlike inspirational or debate classes using existing stories, in this paper, the method of using the narrative focuses on the proposed characters and plots to construct personal story by finding the characters that are aimed for in an individuals life. In this respect, there is an advantage of making your own guidelines. I suggested three stages of narrative use: entering a narrative, being in a narrative space, interpreting a narrative. These steps can be used as a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o identify the virtues that are lacking in existing ethics class or ethics counseling programs, and from this new storytelling can be created identify.

      • KCI등재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6

        환경문제는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들 중에서 가장 시공간적 연관성으로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가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보니 원인파악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인식도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는 인간의 본질과 연관된 환경문제의 특징을 찾아 윤리적 관점의 의미를 제시하고, 환경윤리교육 방안으로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의 가치 찾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윤리교육이 대중 매체들과 차별화되는 비판적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찾아야만 그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인식하에 인간존재의 본질, 예방윤리로서 환경윤리의 필요성, 이야기를 활용한 환경윤리교육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윤리교육에서 추상성을 극복하기 위한 적절한 자료중의 하나는 이야기이다.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를 활용하는 것은 자연공동체형성, 타자에 대한 교감형성, 실천력 향상 등 윤리교육의 근본 목적에 부합되는 장점이 있다. 환경윤리교육은 인간과 환경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해서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하겠다. 환경문제영역에 따른 이야기의 활용은 맥락에서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주체적으로 비판적 사고력을 사용하여 판단하고 교감 능력과 실천력까지 기를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다. 이야기의 활용은 인간중심 환경윤리와 생태중심 환경윤리를 기본 축으로 해서 교수자가 인지해야할 것들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았다. 환경문제의 예방은 원인을 찾고, 대책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이야기를 찾고 스토리텔링을 하는 데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활용할 때는 환경문제에 초점을 둔 네거티브 접근을 하고, 생태중심적 관점에서 이야기를 활용할 때는 생명현상에 초점을 둔 포지티브 접근을 하여 이야기를 찾고, 스토리텔링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야기를 통한 환경윤리교육은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고, 생명현상에 대해서는 신비로움을 깨닫고 감수성을 갖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Environmental issues are the most extensive and complex social problems. Those concerns arise in view of threats to nature posed by human. In this paper I am trying to explore the environmental issues associated with humans. I will present how to use the stories to prevent environmental problems. Story helps to create own experience. Story provide us with practical insight into approaches to our persistent environmental problems. Stories can be found in many different places and take many different forms. We can find the stories in books, Picture, drama, songs and so on. Not only do such stories offer a source of inspiration, they also contain a potential for understanding the many ways Stories evoke powerful emotional responses. These emotions help us to clarify the way we feel and can fuel the desire for change. Practical use of stories divided into anthropocentrism and ecocentrism i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We must find cause to prevent environmental problem. According to the cause, We must lay countermeasure. It is helped in troubleshooting to detect suitable talk. When we take advantage of story from anthropocentrism viewpoint, we focus to environmental problem. When we take advantage of story from Ecocentrism viewpoint, we can focus in vital phenomenon We can do practice to overcome environmental crisis through story in moral principle educatio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differs with education doing in journal. Mediums do not give us an opportunity that can do critical casualty. With sensitivity about being, we must realize a feeling of awe for nature, occultness for nature. We need that utilize story plot that is suitable to environmental problem.

      • KCI등재

        분노 윤리학에 대한 연구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6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ethics of anger. We think anger is a normal emotion and everyone experiences anger. There are two perspective to ethical questions about anger. One is in a position to affirm anger, and the other one is in a position to deny anger. Someone tend to think that anger is a bad emotion. They consider anger as moral virtues like courage, justice, virtue. Aristoteles thinks that the moderation in state of anger is the gentleness. Dealing anger moderately is practical wisdom. He thinks that someone who does not rage has moral defective. The others thinks anger is a kind of negative emotion. Christians believe that they should not be angry. Buddha thinks that anger is the root of evil. Confucianism thinks anger is one of the many emotions. But we should endure angry. When anger is out of control, it can lead to poor decision making. Anger create problems with relationships. Ethics of anger should not be practical criterion for bad person. In order to understand anger, I had to explore different perspectives. I studied on the cause of anger. And I compared the righteous anger with the unjust anger. I want to establish the ethics of anger. If we manage anger moderately, it prompts us to make positive growth in our lives. I think that ethics of anger should be the criterion of controling the anger emotion.

      • KCI등재후보

        도덕 판단의 근거로서 "도덕적 취향"과 "도덕감"에 관한 연구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3

        이 논문에서는 도덕판단의 근거로서 알려지고 있는 도덕감과 도덕적 취향에 대해 도덕교육적 성찰을 하고자 한다. 도덕교육의 목적과 방법은 도덕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라 설정되고 모색될 수 있다. 도덕판단의 근거를 고려하지 않고 목적과 방법을 제시한다면 사상누각처럼 도덕적 실천을 향상시키는 성과를 가져올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판단의 근거로서 도덕감 이론들과 취향이론을 고찰하고, 도덕감과 취향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도덕감 이론들은 이성우위의 도덕이론처럼 주류를 이루진 못했지만, 도덕적 실천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왔다. 그리고 취향이론들은 도덕적 판단에는 이성과 감성이 통합되어 형성되는 취향이 토대를 이룬다는 점을 논증하고자 했다. 도덕감이론이 취향이론을 뒷받침하는 관련성이 있음으로 취향이론에 앞서 도덕감이론을 살펴보는 것이 우선시된다. 도덕교육에서 감성의 역할은 이성 못지않으며, 도덕적 취향을 형성하기 위한 바탕이기 때문에 도덕교육에서 감성의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적절한 교수방법과 목적을 모색할 수 있다. 도덕감의 민감성은 도덕적 취향을 갖게 하고, 도덕적 취향을 따를 때 판단과 실천은 도덕적이게 된다. 도덕교육의 방법과 목적에 있어서 감성과 취향은 수단과 목적으로 관련되며 기여한다. 그러므로 도덕적 지식을 알고 있다하더라도 도덕적 판단과 실천으로 연결되지 않는 요인을 감성과 취향이론으로 보완할 수 있다. 역진적으로 논증하면 도덕적 취향을 획득하고 있으면 도덕감이 풍부한 것이고 도덕감이 풍부하면 도덕적 판단을 하게 된다. 취향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도덕적 취향을 형성하는 것은 도덕교육의 목적이자 방법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도덕교육에서 감성과 취향에 대한 본 연구는 도덕교육의 목표설정, 내용조직, 교수방법을 채택하는데 활용가능하다. 실천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지와 판단, 판단과 실천 사이의 간격을 채우는데 도덕감과 도덕적 취향이론이 적절하게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ral sense and the moral taste. This study would review how important it is to explore the foundation of moral judgement. The main point of this paper is that of the moral judgement is based on personal taste. Taste comes form integration of the emotion and of the reason. Therefore all action springs out of personal taste. I think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moral sense and taste. These are connected with feelings. There are two kinds of feeling. One is strong feeling(Emotion) which accompanies behavioral responses. The other is weak feeling(Sensibility) which has no observable behavioral changes. Moral sense and moral taste are concern with subjective feelings. However, the person who passes a taste of judgement expects that others to agree with him. Thus, the universality of a taste judgement is related to subjective and indeterminate. We can pass the taste judgements on the presupposition that all has a common ground. Moral education could be development by subjectivity and universality. In short, moral education can be significantly facilitated and enhanced through moral sense and moral taste. The moral sense and moral taste are faculty in which one judges what is right and wrong or good and evil. In order to successfully motivate the student towards morality, it is necessary to employ the students` aesthetic sensibility and interest.

      • 제7장 학교평가 공통지표에 대한 인권적 고찰

        김대군 ( Dae Gun Kim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22 No.-

        일부 시도에서 체벌을 금지한 후 사회적 논란이 더하고 있다. 체벌을 한 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고소나 학생들의 저항이 있기도 하고, 심지어 학생의 교사폭행 사건들이 심심치 않게 생기기도 한다. 그래서 학교인권상황을 학생인권과 교권의 대립으로 보는 시각들이 힘을 얻고 학생인권과 교권 중에서 무엇이 먼저냐는 식으로 학생인권과 교권을 대립시켜놓고 토론을 하는 경향이 있다. 학교인권에 있어서 교권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서 교권과 학생의 인권이 충돌되는 것처럼 보일 수는 있다. 그러나 학교인권의 신장에 있어서 교직원의 인권과 학생의 인권에 있어서 배타적일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사건으로 터지고 있는 학교인권관련 낱낱의 사례들로부터 관계를 일반화하기 보다는 학교인권이 신장될 수 있는 방안을 포괄적으로 고찰하고 방안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초중고학교에서 생기는 인권관련 사건들은 길게 보면 인권친화적 학교문화가 조성되지 않은데서 비롯된다고 봤다. 그 원인 중의 하나는 ``좋은 학교``상을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해서 만들어 왔다는 데서 찾아보았다. 현재 좋은 학교는 학교평가를 바탕으로 판정되고 있는데, 평가지표가 학업성취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교가 좋은 학교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좋은 학교는 학생과 교직원의 인권이 보호되는 것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학교평가지표에 인권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현행 학교평가공통지표가 ``좋은 학교``상을 지향하는데, 그것이 학업성취도 중심으로 왜곡되어 있기 때문에 인권요소를 더하여 좋은 학교상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After banning on corporal punishment and allowing liberal hair styles and dress codes, the dispute grew hot between conservatives and liberals. Student rights are those rights which protect students. I think teachers and students` human rights are both interdependent and indivisible in school. But some people think that protecting students human rights violate teachers` rights. They think establishing teacher`s authority and privileges is more important than extending students human rights. The issue is still controversial. Nevertheless, I basically insist that human rights in school is a foundation of creating good school. Traditionally Korean thinks criterion for good school is academic achievement. They are not interested in human rights. They justified control the students as good will f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r longtime. It is time to shift in the perception of students from the objects of control and regulation to human beings with independent characteristics. Education should be about cultivating humans and their creative, diverse ideas. Therefore school value index should include the human rights index. Value index should be representative of the status of good school. If the school value index is in a straight line, the school could be changed to ideal school for human rights of students.

      • KCI등재

        경계윤리(Boundary Ethics) 정립을 위한 소고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1 No.1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oncept of boundary ethics. I want to show how the personal boundary is useful in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 Social ethics problems which include sexual harassment, child abuse, sexual violence, professional issues as well as privacy problems are related to boundary issues. Both emotional and physical spaces have been violated when we were abused emotionally, physically and sexually. Boundary is defined by the amount of physical and emotional spaces. Boundaries can refer to an actual space but can also be a psychological space. Actual space is the distance or the physical proximity between people or what we call personal areas. Psychological space includes emotional areas. If the physical and emotional areas are violated, then they will be causes of conflict. I am interested in Edward T. Hall`s proxemics theory. Hall referred to personal space and territory in his theory. Personal space describes the immediate space surrounding a person, while territory refers to the area which a person may lay claim to and defend against others. We need our own space and territory. It is a human person`s basic rights. Boundaries in human relationships give us more respect towards others. We should respect other`s human rights and character rights. In traditional culture, boundary rights are neglected. But in individual culture, protecting personal boundary rights is a symbol of autonomy. Setting a healthy boundary is like setting order in human relations. Setting a boundary is connected to ethics. It is about how we ought to live. Boundary ethics help us determine what we will and will not do.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부실패의 도덕적 원인에 관한 공공선택론적 분석

        김대군(Kim Dae Gun) 21세기정치학회 2001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1 No.1

        본 논문은 흔히 알려져 있는 정부의 실패가 도덕성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분석하고 있다. 정부는 공익을 추구하는 이타적인 하나의 유기체가 아니라 그 구성단위들의 사익 추구욕구로 인해 실패를 보게 되는 또 다른 실체라는 점을 공공선택론의 기본 모델 중의 하나인 죄수의 딜레마 모형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일상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정부실패의 행위 주체인 정부, 관료, 행정의 사익추구 현상을 미시적으로 분석해서 현상에서 드러나는 도덕적 원인을 밝히면서 정치가, 관료들의 직업적 소명의식이나 도덕성이 더욱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