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발성 말초성 안면신경마비(Bell's Palsy)에 대한 한방치료와 양방병용치료의 비교 고찰

        김남옥,채상진,손성세,Kim, Nam-Ok,Chae, Sang-Jin,Son, Sung-Se 대한침구의학회 2001 대한침구의학회지 Vol.18 No.5

        Objective : Lately variable oriental-western medicine treatment have been used for Bell's pals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son of clinical treatment outcome between oriental medicine group and oriental-western medicine group. Materials and Methods : From 08-01-2000 to 07-30-2001, 30 Bell's palsy out-patients who visited within 5days after onset and treated more than 3weeks at the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Bundang CHA Oriental Medicine Hospital were selected for two groups. One group(A group) was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therapy(Acupunture, Herb, Physical therapy), the other group(B group) was treated by oriental-western medicine therapy(Acupunture, Herb, Physical therapy, Administration of prednison). Two group was composed of 15 patients respectively and measured by HBGS(House-Brackmann Grading System) and DEFS(Detailed Evaluation of Facial Symmetry of Pillsbury and Fisch) at first visit and 3weeks after. Result and Conclusion : A group was marked more higher than B group in treatment outcome. But we discovered that it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 KCI등재

        4번째 동측으로 발생한 벨마비의 치험 1례

        김남옥,채상진,손성세,Kim Nam-Ok,Chae Sang-Jin,Son Sung-Se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01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14 No.2

        Recurrent Bell's palsy is a very rare case and have been reported that shows the incidence to be approximately 10 per cent in the Bell's palsy patent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facial paralysis caused by compression of the facial nerve by tumor develops slowly and has an unremitting course, however, reported cases have described the rare association of recurrent facial paralysis and intracranial tumor, and the same recovery rate. Usual symptoms of Bell's palsy include subacute facial palsy, hyperacusis on the affected side, postauricular pain on the affected side, altered sensation of taste, and partial trigeminal distribution hypesthesias. Complete resolution of symptoms is usually seen in 2-3months in $75-85\%$ of cases, with $25-35\%$ showing varying degrees of residual effects. We report a case of 4th ipsilateral recurrent Bell's palsy in a 14-year-old women, which was occurred in every winters. We treated her with acupuncture, moxibustion, herbal medication, carbon and silver spike point, and used House-Brackmnn grading system(HBGS) and the Fisch Detailed Evaluation of Facial Symmetry(DEFS) to assess the degree of paralysis in each part of face.

      • KCI등재

        '386'세대 경험의 문학적 형상화

        김남옥(Kim, Nam-O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0 사회와 이론 Vol.16 No.-

        본 논문은 세대론적 관점에서 ‘386’세대군으로 분류되는 공지영과 김인숙의 작품을 분석한다. 이는 문학현상과 사회현상의 접점에 대한 모색이기도 하다. 386세대는 넓은 의미의 코호트 개념을 함의하고 있으면서 실제로는 단순한 코호트로서의 세대의 의미를 넘어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86세대 의미를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1980년대의 역사적 경험과 집합적 기억이다. 1980년대의 직·간접 공동 개입과 참여, 이에 대한 386세대의 집합 기억이 세대 특유의 공감적 감성으로 발전하였고, 이후에도 그와 유사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세대 경험이 행위의 기준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공지영과 김인숙 역시 386세대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작가들이다. 그들에게도 1980년대의 집합적 역사 경험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386세대 경험이 그들 작품에 투영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적 형상화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세대적 감수성의 토대는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386세대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분석은 단순히 문학작품에 대한 평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강력한 역사적 사건을 공유했던 세대적 가치의 긍정과 그들의 좌절, 실수, 그리고 한계에 대한 성찰로 나아갈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불의의 시대에 온몸으로 맞서서 저항하면서 그들이 성취해낸 새로운 가치들을 새로운 ‘시대정신’으로 승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works of two female novelists, Kong Ji-yong and Kim In-suk who are classified as the writers of “386 Generation.” It attempts to examine the worldview of 386 cohort(thirties born in 1960s’ who entered college in 1980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interplay between literary phenomena and social phenomena. The typical constituent of the worldview of 386 cohort members is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shared historical experience during their growth period of 1980s. It was the most shaking period i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when the old leading power of industrialization forces were substituted by the new challenging power of democratization forces.

      • KCI등재

        80년대 청춘의 초상(肖像):

        김남옥(Kim Nam O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2

        본 논문은 ‘386’ 세대 작가군 중 ‘실제 세대’로 상정되는 작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세대정체성과 기억의 특수 양태인 노스탤지어의 관계를 탐구한다. 비슷한 시기에 출생하여 공통의 역사 체험을 한 동년배 집단으로 정의되는 ‘세대’는 경험과 기억의 공동체를 구성한다. 특히 시간과 관계하면서 발현되는 세대 특유의 노스탤지어는 집합 기억에 대한 감정공유를 고무함으로써 감정의 공동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80년대, 20대 청춘 시기에, 운동의 중심 또는 그 언저리에서 시대적 상황을 공유하고, 변혁 운동에 직·간접적으로 공조했던 ‘실제 세대’ 작가들의 작품에 투영된 80년대 노스탤지어를 추적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세대론적 관점에서 ‘386’ 세대경험이 시간의 양식 속에서 변주되는 감정양상과 노스탤지어 개념과의 관계 설정을 위한 이론틀을 제시한다. 그런 다음, 1990년대 이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80년대 운동 세대로서의 경험과 기억을 공유한 ‘386’ 실제세대 작가군에 의한 세대적 노스탤지어 양상이 어떤 변이 과정을 거치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이어 세대경험에 투사되는 노스탤지어의 구조분석과 더불어 그것이 지니는 한계, 나아가 세대적 노스탤지어가 단순한 ‘자기양식화’ 또는 특정 세대만의 감상적· 패쇄적 향수를 넘어 미래세대로 향하는 통로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nostalgia, a specific aspect of memories, and generation identity through examining the works of writers considered to be the ‘generation as actuality’ among ‘386’ generation writers. ‘Generation’, defined as the cohort with shared historical experiences, constructs communities of experiences and memories. Especially, generation specific nostalgia emerging in relation to time, encourages emotional responses to collective memories and thereby constructs the community of emotions. In this light, this research traces the nostalgia in 1980s reflected in the works of the ‘generation as actuality’. They shared the happenings in 1980s while they were in their 20s and assist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o the various social movements. First, the theoretical frame for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aspects where ‘386’ generational experiences are played out in the scope of time and the concept of nostalgia is formulated. Then, the changes generational nostalgia of ‘generation as actuality’ among 386 generation go through is examined. It is argued that the limits of structural analysis of nostalgia reflecting generational experiences, and restricted conceptual scopes. Concept of generational nostalgia is to go beyond the scopes of self-stylization or sentimental and exclusive romanticization of past of specific generations. The ways for generational nostalgia to be extended to the channel toward future generations are explored.

      • KCI등재

        마이너리티 차별과 인정 갈등 : 서울시 자치구 비교를 중심으로

        김남옥(Kim, Nam-Og),유승호(Ryu, Seoung-Ho),김문조(Kim, Mun-Cho),장안식(Chang, An-Sik),석승혜(Seok, Seung-Hye)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2

        사회 양극화의 심화에 따라 주요한 갈등의 형태는 분배의 차원에서 인정의 차원으로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한국사회의 갈등 지형의 변화 속에서 무시와 배제의 대상이 되는 마이너리티의 생산동학을 알아보고, 특히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이들에 대한 차별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사회에서 마이너리티는 결핍, 열등, 취향, 중독의 영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마이너리티의 생산이 경제적 영역을 넘어서 문화적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울시 25개 자치구에서 마이너리티 차별 수준은 알콜중 독자, 트랜스젠더, 게이머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한국사회의 주요 갈등이 중독이나 취향을 중심으로 형성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울시 자치구의 마이너리티 차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로 외국인 노동자의 밀집도가 높은 하층 지역은 상층 지역에 비해 빈곤노인, 새터민, 기초생활 수급자와 같은 결핍집단에 대한 차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 빈부간 갈등의 표출로써 결핍집단에 대한 차별은 최근 들어 하층 계급 내부에서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문화자본이 높은 지역(강남 3구)은 낮은 지역(강북 3구)에 비해 비혼자, 비만인, 키 작은 남자 등과 같은 열등집단과 트랜스 젠더, 오타쿠, 게이머와 같은 취향집단에 대한 차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층계급 내에서는 인접집단과 경계가 외모나 신체, 취향을 기준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는 갑을관계, 루저 등으로 대표되는 한국사회의 갈등이 계급 내부에서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며 마이너리티가 생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상황적 계층화가 일반 대중들 다수에게 타당한 것으로 수용될 때 이들에 대한 차별과 배제는 구조적으로 고착화되고 만다. 양극화 사회에서 마이너리티는 일상생활의 모든 국면에서 생산될 수있다는 점에서 갈등관리의 차원을 넘어 근본적인 인정 정의의 차원에서그 해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As the polarization of society becomes more intense, the types of conflicts are expanded from the dimension of distribution to the dimension of recognition. The minority is the most obvious example of this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s of minority production in the area of conflicts in Korean society and to compare the discrimination levels of 25 regions(Gu) in Seoul. First of all, minority is produced in the domain of lack, inferiority, taste, and addiction in Korean society. It i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of minority is spreading beyond the economic dimension to the cultural dimension. In addition, among the 25 regions(Gu) in Seoul, the level of minority discrimination was the highest against alcoholics, transgenders and gamers. And, it is revealed that major conflicts in Korean society will be centered on addiction or taste. In more details,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such as poor elderly, defectors, and welfare recipients appears to be higher in the poorer regions where foreign workers are concentrated. It is interpreted that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deficient group which was considered as the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more prevalent in the lower class recently. On the other hand, regions with high cultural capital (Gangnam 3 gus) show higher levels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groups of inferior such as unmarried, obese, short guy. And also, the discrimination is higher against the groups based on tastes such as transgender, Otaku and gamer. This means that in the upper class, the boundaries between the adjacent groups are formed based on their appearance, body, and taste. The above results show that conflicts in Korean society represented by ‘Gab-eul’ relationship or the politics of loser are spreading in various directions within the class. It also shows that discrimination against ethnic minorities is created in this process. When such situational stratification is properly accommodated by the general public,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gainst them are structured. In a polarized society, in terms of minority peoples can be produced in all aspects of everyday life,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ies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 more fundamental level of recognitional justice beyond the management of conflicts.

      • KCI등재
      • KCI등재

        왜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참여는 감소하는가?

        김남옥(Kim, Nam-Og),석승혜(Seok, Seung-Hye),장안식(Chang, Ansi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6 사회와 이론 Vol.28 No.-

        세계적으로 정치사회 문제에 대한 시민사회의 역할이 강조되는 가운데, 한국사회에서 사회참여는 점점 더 위축되어가는 듯하다. 본고는 한국사회가 저항적 참여를 통한 민주화를 이룩한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점차 정치적 사회 ‘참여’는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한다. 이는 지구화, 유연화, 신자유주의의 구조적 변동으로 인한 불평등의 심화라는 외적 요인과 상시적 사회불안이라는 내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사회적 신뢰를 감소시킨 결과라고본다. 따라서 현재의 불평등 양상과 관련된 인정 변수인 차별태도, 갈등경험, 사회적 거리감과 사회불안이 사회적 신뢰와 정치적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참여가 감소하는 요인과 그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활불안과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정치적 사회참여는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인정과 관련된 변수와 정치적 사회참여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갈등경험은 사회참여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으며, 차별태도와 사회적 거리감이 사회참여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개인이 가지는 차별태도가 높을수록, 즉 차별이 강할수록 사회참여는 낮아지는 반면, 집단 간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정치적 사회참여는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참여는 대인신뢰의 확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제도신뢰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불안은 정치적 사회참여를 감소시키는 핵심요인으로 지목할 수 있으며, 현재 한국사회의 대인신뢰와 제도신뢰의 불균형은 정치적 사회참여를 통한 거시적인 변화의 효과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role of civil society is emphasized in the course of social and political issues around the globe. However, it seems that social/public participation has been shrunk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decline in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even though Korean society was built upon the protests and resistance that helped bring about democracy. The decline in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in Korea is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wo factors. The external factors can be defined as the deepening divide of inequality which was caused by globalization, the increase of flexibility, and neo-liberal social change and the internal factors can be named as a constant social insecurity which reduces social trust.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ies to tries to examine the cause of the decline in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in Korea and find ou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cline of social participation by analyzing how recognition variables such as discrimination attitudes,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ocial distance, all of which related to current unequal phenomenon, and social insecurity measures influence on the level of social trust and the social/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ife and social insecurities te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variabl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 level of conflict experience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articipation, but discriminatory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social distan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higher discriminatory attitudes tend to have a lower level of the participation, but a higher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increases the participation. Finally,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is influenced by the expansion of trust in people, bu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does not hold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olitical participation. It is suggested that current imbalance between the trust in people and the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in Korea has its limit to undergo substantial changes throughout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고도 기술시대의 몸(2): 포스트휴먼 신체론

        김남옥 ( Kim Nam-og ),김문조 ( Kim Mun Cho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29 No.-

        정보기술, 나노기술, 생명공학기술, 인지기술 등과 같은 오늘날 첨단 기술들은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대신, 섞이고, 변하고, 거듭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적 기술시스템을 지향한다. 이런 상황 하에 기술적 요소가 날로 강화되는 우리 몸도 디코딩-리코딩 과정을 거쳐 재편될 수 있는 정보체계로 수렴되어 끊임없이 수정, 개조, 변형, 증강, 창조될 수 있는 가변적 정보체로 변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몸의 작은 세포까지 추출되고 수집되어 특허권이 부여됨으로써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전환되는 조짐까지 엿보이는 바, 이는 곧 우리 몸이 자본주의 발전과 연동된 정보기술시스템의 동학에 귀속되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술적 동인을 간략히 개관하고, (2) 기술 발달과 함께 지속적으로 재편되어가는 포스트 바디의 구성적 성격을 타진하며, (3) 잡종성과 압축성으로 대변되는 포스트 바디의 질적 속성을 사이보그(cyborg)와 웜홀(wormhole) 개념에 입각해 탐지한 후, (4) 푸코의 생체권력론을 한 단계 진전시킨 생체기술권력 패러다임 하에 기존 논의를 재조명하면서, (5) 고도 기술시대의 몸의 정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Various advanced technologies of today such as IT, BT, NT and CT are gearing toward an open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mixed, altered and reformed rather than existing individually or independently. In such a current, our body is being reduced to the system of information subject to a series of (re)constructing processes of decoding-recoding. In short, human body is now considered as the changeable entity where constant revision, renovation, transformation, augmentation and creation actively take place. Cells extracted from our body are being collected and patented only to be turned into the product that can be bought and sold. This implies that our body is being vested in the dynamics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close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Thus, this article seeks to 1) provide a brief overview of technological drivers that lead us to the Post-Human Age, 2) assess the construal aspect of post-body being subject to the constant modification, 3) detect the characteristics of post-body based on the concepts of cyborg and wormhole, 4) reconsider the key issues in light of techno-biopower paradigm and 5) explore the route of the politics of body in a high-tech society.

      • KCI등재

        몸의 사회학적 연구 현황과 새로운 과제

        김남옥(Kim, Nam-O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1 No.1

        본고는 몸이 사회학의 핵심 주제로 부상하게 된 배경과 사회학 내에 ‘몸의 사회학’이라는 독립적인 영역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 및 한계를 검토하고, 이후에 수행되어야 할 새로운 과제를 모색해본다. 몸은 오랫동안 사회학적 탐구 영역에서 배제되어오다가 1980년대에 이르러 사회학의 핵심 주제로 부상(浮上)하였다. 그것은 탈(脫)이원론적 존재론의 등장과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결과에 기인한 것이다.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몸에 대한 연구들은 ‘근대 권력과 몸’, ‘후기 자본주의와 몸’, ‘페미니즘과 몸’ 등 세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다. 이들은 데카르트적 신화에 대한 도전과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을 공통의 전략으로 내세워 유폐되었던 몸을 사회학적 상상력의 구심점으로 호명해냄으로써 몸에 대한 광범위하고 활발한 논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다. 이제 기술과학과 몸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본격화되어야 한다. 오늘날 우리 몸은 추출해내고, 분리하고, 해독하고, 재조직하고, 다운로드 하고, 기계와 접속하고, 강화할 수 있으며, 자본 또는 화폐, 상품, 원료로 치환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우리 몸을 정보로 환원시킨 결과이며, 정보 자체를 원료로 삼는 자본주의의 새로운 얼굴, ‘정보 자본주의’의 본질과 맥을 같이한다. 그러므로 고도기술 시대의 몸은 정보화 패러다임의 프리즘을 통해 보아야 하며 이를 논증하기위한 이론 틀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body became one of the major topic of interest in the discipline of sociology. Also, the achievements and limits of the researches allowed “Sociology of Body” to establish an independent field within a realm of sociology are discussed while exploring the current challenges Sociology of Body is facing and possible tasks at hand. Body has long been excluded in the endeavors of sociological analyses. It was not until 1980s that body rose as the major theme for sociological research. Such rise to in interest in body among sociologists could be explained by the appearance of anti-dualistic ontology and the effects of post-capitalist culture. Previous literatures dealing with body can b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modern power and body’, ‘post-capitalism and body’, and ‘feminism and body.’ Regardless of which category, all these studies should deem important for it is their challenge to Cartesian myth using social constructionism that brought body back into the center of sociological imagination and made active debates on body possible. Now, it is about time that more in-depth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technological science took place. Since our body has been reduced to information, it not only can be extracted, separated, decoded, reorganized and downloaded but also can access machineries, be strengthened and replaced with capital, currency, commodity and raw materials. This is in line with the very essence of ‘Information Capitalism’, the new face of capitalism feeding off of information itself. Therefore, body in the high-tech age should be viewed through the prism of information paradigm, and a new frame to which such argument can be argued is in order.

      • KCI등재

        정보혁명의 사회제도적 파장

        김문조(Kim, Mun-Cho),김남옥(Kim, Nam-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0 사회와 이론 Vol.17 No.-

        사회제도의 현대적 변화상은 “유연화” 논제로 대변할 수 있다. 사회제도적 유연화는 1970년대 중반 생산 영역에서 일어난 축적 체제의 전환으로 소급 된다. 경직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디즘적 축적 체제가 위기에 직면하자 “유연적 축적 체제”를 기반으로 한 자본주의의 재구조화가 착수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보혁명기의 기술 발전이 그에 가세함으로써 소품종 대량생산을 다품종소량생산으로 대체하는 생산 활동의 유연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생산 활동의 유연화로 종전의 경직적?수직적?폐쇄적 직무 구조가 존속하기 어렵게 됨으로써 평생직장의 개념이 퇴색하여, 안정적 고용 상태하에 예측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기보다 끊임없는 도전과 모험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이처럼 유연화는 노동 세계에서 발원한 것이지만, 추후 가정, 교육제도 및 여가 생활로 파급됨으로써 정주적 형태를 벗어난 유목적 삶을 지향하는 사회제도 전반의 유연화를 초래해왔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산업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한계에서 포스트포디즘이 라는 유연적 축적 체제가 태동하는 과정을 기술 변화와 관련지어 개괄적으로 논의한 후, 유연화가 사회제도 전반으로 외연되는 양상을 노동, 교육 및 일상생활의 3대 영역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유연 사회의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검토하면서 합리적 대응 방안을 탐지하였다. The institutional transformations of contemporary societies can be subsumed under the theme of flexibility,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flexibility may be traced back to 1970s when capitalist restructuring was initiated by the regime of flexible accumulation. The tendency toward flexibility has been accelerated by the application of advanced IT to the world of work since the outset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Nowadays flexibility turns out to be an alternative organizing principle that enables us to explain current change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examine factors and conditions that gave rise to the formation of flexible social order with respect to three main institutional arenas of the family, education and non-working sector. Then, expected benefits and problems of institutional flexibility are discussed and plausible coping strategies are expl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