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시간 음성 부호화기 구현을 위한 이득테이블 조정에 관한 연구

        김남시,이성권,강준길,김순협 한국음향학회 1998 韓國音響學會誌 Vol.17 No.7

        본 논문은 음성 부호화기인 MPMLQ(Multi Pulse Maximum Likehood Quantization)를 고정 소숫점 범용 DSP에 실시간으로 구현할 때 발생되는 계산량을 줄이기 위한 변형된 형태의 MPMLQdp 관한 것이다. MPMLQ는 음성 신호에서 선형 예측 계수와 피치 정보를 추출하고 남은 잔여 신호와 가장 유사한 여기 신호를 표현할 때 상관법을 이용 한다. 상관법은 DSP상에 구현할 때 계수 승산 오버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연산후 항상 점검하여야 한다. 이것은 MPMLQ 구현시 전체 계산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본 논 문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계수 승산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입력 음성신호의 크기를 2비트 만큼 줄이고, 이로 인하여 같은 크기로 줄어든 잔여 신호를 고려하여 MPMLQ에서 여기신호의 크기를 표현하는 고정 코드북 이득표를 적절히 조절하였다. 실험 결과 변형된 MPMLQ의 SSNR은 0.040325dB(실험data기준) 향상되었으며, 계산량에 있어서 도 17.7%의 처리속도 향상되었다. 따라서 고정 소숫점 범용 DSP에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

        혁신적 문화의 확산을 위한 미술관 교육 연구: 기술 발전과 미디어 산업 지형 변화에 따른 디지털 플랫폼 현황을 중심으로

        김남시,정소라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2

        This study is aimed at reconsidering the educational role of art museums and exploring its possibilities so that the potential value and applicability of various platforms based on the rapidly developed digital technologies can be spread throughout society. Changes in the forms of media the public encounters and their sharp increase in users raise the need for a new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digital platforms. Digital media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not only as a means for spread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but also as a platform for innovating culture and arts. In particular, art museums that are places for producing and experiencing contemporary art, have an obligation to provide new art experiences and creative and innovative educational services in line with the changed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igital platforms are identified in the context of topographic change in the media industry and cultural industry. Second, the current state of online-based programs that are recently being introduced in the field of visual arts is examined, focusing separately on exhibitions and education. Lastly, the direction that art museum education should pursue in the changed environment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and expanded online platforms is discussed from four perspectives.

      • KCI등재

        잔존하는 이미지의 힘. 아비 바르부르크의 역동적 이미지론

        김남시 현대미술학회 2019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3 No.2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Warburg's image theory, focusing on two concepts: bewegtes Beiwerk(‘accessories in motion’) and Pathosformel(‘Pathosformular’). His image theory focuses on the function of visual image as energy carrier. There are dynamic elements in the visual image that move the viewer's passion without being reduced to semantic meanings. Warburg elucidates this characteristic of the image through psychological and mental relations of human to the world in the process of cultural development. Images are located between the mythological attitudes to the external world and the scientific/technological worldview which captured the being according to the causality. With the concept 'bewegtes Beiwerk' this study explores the polarity of images that work in image production and appreciation. Pathos formula is an image of a intense physical movement stimulated by furious passion. This image of suspended movement works by stimulating inner body of the viewer. This effect is enhanced by the 'energy reversal', where the ancient Pathos formula reappears in the Renaissance religious paintings. 본 논문은 ‘동적 부속물 bewegtes Beiwerk’과 ‘파토스 포멜 Pathosformel’이라는 두 개념을 중심으로 바르부르크 이미지론의 의의를 밝히려고 한다. 그의 이미지론은 에너지 담지체로서 시각 이미지의 기능에 주목한다. 시각 이미지에는 의미론적 상징이나 기호로 환원되지 않으면서 보는 사람의 정념을 움직이게 하는 역동적 요소들이 있다. 바르부르크는 이미지의 이러한 특성을 문화발전과정에서 세계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정신적 관계맺음을 통해 해명한다. 이미지는 외부세계를 생물형태적으로 상징화해 생겨난 신화적, 주술적 태도와 인과법칙에 따라 정신적으로 포착하는 기호적 세계관 사이에 위치한다. 본 연구는 ‘동적부속물’을 통해 이미지 제작과 감상에서 작동하는 이미지의 양극성을 해명한다. 파토스 공식은 격앙된 정념에 의해 자극된 격렬한 신체 움직임의 한 순간을 이미지화한 것이다. 중단된 움직임의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내적 신체를 운동시킴으로써 작동하며 이 효과는 고대의 파토스 공식이 르네상스의 종교회화속에 재출현하는 ‘에너지적 역전’을 통해 강화된다.

      • KCI등재

        논문 : 사물문자로서의 중국문자 아타나시우스 키르허의 중국문자 이해

        김남시 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語文學誌 Vol.33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Western views of Chinese characters, focusing on the theory of Athanasius Kircher (1602-1680), who represented one of the two main discourses on the origin and nature of chinese character. Since 1255 Wilhelm von Rubruk (1215-1270) first introduced Chinese characters to Europe, the Chinese written language has generally been viewed as a naturalistic representation of things, close to visual images (pictographs) or as a means of conveying ideas (ideographs), unrelated to spoken language. Under this assumption it was discussed as the possible universal language, enabling people understand each other with written language regardless of thier different speakings. As the written language with the picture of the things, it was cosidered to be in relation with the egyptian hieroglyphs, which had been thought as the symbolic and allegorical thing-characters since 15th century in Europe. Athanasius Kircher, the great egyptomania of the baroque time, regarded the chinese Character as the imitate follower of egyptian Hieroglyph, which should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the chinese emperor from Ham, the second son of Noah. While the picture of things in Hieroglyph refers to the invisible Archetypus, says Kircher, the picture of things in chinese character relates direct with the things drawn in character. He argues, the chinese character is the secularized version of Hieroglyph, which has lost its mystic and spiritual dimension and degraded to the mere communicative means.

      • KCI등재

        신실재론 미학의 쟁점. 그레이엄 하먼의 형식주의 미술론 고찰

        김남시 한국미학회 2022 美學 Vol.88 No.2

        본 논문은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OOO)에 입각한 형식주의 미술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은 과거의 철학을 지배해왔던 상관주의에서 벗어나는 탈인간중심주의적 존재론을 지향한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무수한 객체들 중 한 객체에 다름 아니고 인간의 지각이나 인식 역시 객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접촉의 한 양상일 뿐이다. 여기에서 미적경험은 실재객체와 감각성질 사이의 긴장으로 설명된다. 그 출발점은 한 객체에 대한 지각자의 진솔한 몰입으로 생겨난 실재객체와 감각객체 사이의 직접적 접촉이며, 거기에서 지각자는 감각적 성질에서 탈각된 물러난 실재객체 주변에 감각성질을 공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2000년 출간한 『예술과 객체』를 통해 하먼은 이러한 OOO에 기반한 형식주의 미술론을 제시한다. 그린버그와 마이클 프리드의 형식주의가 인간과 세계의 이항대립이라는 상관주의에 기반해, 예술로부터 감상자 인간을 배제함으로써 예술의 자율성을 확보하려 했다면, 하먼은 작품-감상자 혼성체를 미학의 기본단위로 받아들이는 새로운 형식주의를 제안한다. 하지만 그의 형식주의 미술론은 모든 관계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객체 개념으로 인해 첫째, 예술작품에서 유의미한 감상대상 – 객체 –을 규정하기 어렵게 만들고, 둘째, 반-직서주의로 인해 예술작품이 연루되어 있는 실재적 의미층들을 함께 고려하는 걸 금지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

        신실재론 미학의 쟁점 2: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 예술론

        김남시 한국미학예술학회 2024 美學·藝術學硏究 Vol.71 No.-

        본 논문의 목표는 마르쿠스 가브리엘 신실재론의 핵심 테제와 그를 체계화한 의미장존재론(SFO)의 문제의식을 살펴보고, 거기서 도출되는 예술이론을 고찰하는 것이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은 인식주체와 ‘외부세계’를 구분하던 근거로써 ‘모든 것을 포괄하는 무제약적 총체성’으로서의 ‘세계’개념을 폐기(형이상학적 니힐리즘)하고 지각이 실재의 장 속에서 우리와 대상이 접촉함으로써 생겨나는 관계(지각의 유출모델)로 이해한다. 이 두 전환에 기반해 세워진 의미장존재론은 존재를 ‘의미장에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이는 모든 것이 그로부터 자신을 전경화하는 배경과 맥락을 갖는다는 걸 의미한다. 이러한 존재론적 관계주의는 모든 것은 특정 의미장에 나타나는 방식에 의해 개별화된다는 존재론적 기술주의와 연결된다. 이로써 의미장에 나타남의 구조를 통해 물리적 대상 뿐 아니라 규범, 법, 허구적 사건 등의 비물질적 대상들도 그에 대해 진리능력 있는 진술로 묘사할 수 있는 실재가 된다. 감각은 의미장에 나타나는 실재를 직접 포착하는데 이는 지각의 사실 구조에서 확인된다. 의미장존재론은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형식주의 이론의 한계를 극복한다.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OOO)이 예술의 자율성을 위해 예술작품을 그 다양한 의미장들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했다면, 의미장 존재론(SFO)은 예술작품이 결합하고 있는 의미장들이야말로 창작자는 물론 감상자로부터도 자율적인, 예술의 절대적 힘의 원천임을 주장한다. 예술의 자율성은 작품의 제작이나 감상에서 특정 의미장을 배제해야한다는 외적 제약을 통해 확보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무수한 의미들에 입각한 예술자체가 이미 자율적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