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성교육(人性敎育)과 유학(儒學)의 인성함양(人性涵養) 방법

        김기주 ( Kim Keejoo ) 한국윤리학회 2014 윤리학 Vol.3 No.2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는 날이 갈수록 더욱 간절해지고 있다. 인격형성의 주요한 토대로 작용하였던 전통적인 공동체는 해체되어 버렸고, 자극적인 자본주의 체제는 인간을 더욱 극단적인 모습으로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공동체 속에서 자연스럽게 배양되던 인성은 사실상 전적으로 공적 교육의 영역 속으로 편입되었지만, 인격형성을 위한 교육은 여전히 충분하게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어디로 발걸음을 옮겨야 하는 것일까? 이러한 물음에 대해 인성교육을 통한 인성함양 혹은 인격형성의 방법과 방향을 유학의 인성함양 전통에서 확인해 봄으로써, 현재 우리의 좌표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방법적인 원리에 따라 구분할 때, 인성교육은 크게 ‘직접적인 접근’과 ‘간접적인 접근’으로 나누어진다. ‘직접적인 접근’은 인성을 직접 가르칠 수 있다고 전제하고 길러져야 할 인성의 덕목을 반복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을 택한다. 반면에 ‘간접적인 접근’은 공동체 내에서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인간다움의 원리와 원칙들을 스스로 깨달아 가며, 그 일원으로 자연스럽게 성장하는 것을 강조한다. 유가적 전통 속에서 보자면, 전자는 도문학 공부, 후자는 존덕성 공부와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다. 유학에서는 그 양자 가운데 존덕성을 우선시하면서도, 도문학과 존덕성의 균형을 강조한다. 결국 유학에서는 간접적인 접근 방식과 함께 직접적인 접근 방식, 혹은 내면적인 도덕의 수양과 외면적인 덕목 교육이라는 두 가지 경로의 지향이나, 양자의 합일을 통해서 이상적인 인격, 곧 인성함양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틀에서 보자면, 인성함양은 존덕성과 도문학 방법의 병행, 그리고 사회적 변화에 맞춰 존덕성을 위한 활동방식에 있어서의 변화를 통해 성취된다고 이해된다. A demand on personality education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these days. It is because the traditional com m unity that functioned as a major ground to build personality has become dismantled, and the simulative system of capitalism is leading people to extremes. And in fact, personality that was naturally cultivated in a community in the past has entirely become included in the area of public education; however, education to build personality has not been established fully yet. In this situation, to what direction should we take our steps? About this question, we may be able to figure out where we are and what we should pursue afterwards by examining the ways or directions of building and cultivating personality through personality education with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to cultivate personality. When it comes to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direct approaches’ and ‘indirect approaches’. ‘Direct approaches’ suppose that personality can be taught directly and adopt the ways to teach the virtues of personality to be cultivated repeatedly. On the other hand, ‘indirect approaches’ emphasize the process that humans realize the principles of being humane on their own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in a com m unity and grow as a member of it naturally. In consideration of Confucian tradition, the former can be connected to domunhak (cultivating virtues through studies), and the latter jondeokseong (preserving the virtues we are born with). In Confucianism, jondeokseong is preferred among the two, but it also emphasizes the balance between domunhak and jondeokseong. In other words, in Confucianism, not only indirect approaches but direct approaches, say, the two paths of cultivating morality internally and teaching virtues externally, are pursued at the same time, but it suggests the w ay to reach ideal personality through harmony between the two. In this sense, we can understand that personality cultiv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ombination of jondeokseong and domunhak, and the changes of our behavioral modes for jondeokseong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ociety.

      • KCI등재

        松溪 田珪鎭의 삶과 성리학적 특징

        김기주(Kim Keejo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49 No.-

        규진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첫째, 그에 대한 연구는 한말과 일제강점기 성리학의 전개 과정에 대한 이해와 닿아 있다는 점이다. 현실의 급격한 변화와 그것에 대한 다양한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전규진에게 성리학은 어떤 모습이었는지, 그 내용은 어떠했는지를 이해할 때, 그것은 일제강점기 성리학의 전개 과정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의 중요한 토대가 되어줄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는 당시 의령을 포함해 진주와 산청, 거창 등 강우지역의 학문적 흐름에 대한 이해와 관련되어 있다. 한말의 강우지역은 허전, 기정진, 이진상, 송병선 등의 문인들을 중심으로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다양한 계열 학자들이 활동하였던 곳이다. 전규진에 대한 연구는 당시 강우지역의 학문적 흐름을 재구성하고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세 가지 측면, 곧 전규진의 삶과 활동, 그가 편지를 보낸 사람들, 그리고 성리학적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삶의 지향, 학문적 성격, 성리학적 특징을 각각 확인하고 있다. 그의 삶과 활동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는 그가 시대의 변화에 저항하기 보다는, 기존의 학문이나 시각을 충실하게 계승하는데 무게 중심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그가 편지를 보낸 인물들에서 확인되는 특징은 기호학파의 여러 계열, 곧 기호노론, 화서학맥, 노사학맥과의 교류가 중요한 요소였음이 확인된다. 성리학적 특징에서 보더라도 그는 기호학파 노론계의 정통적인 시각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요약된다. 리기론에서 그는 ‘리기불상잡’보다는 ‘리기불상리’의 측면에 무게 중심을 두고 리와 기의 관계를 이해한다. 심성론에서는 이황의 ‘심합리기설’이나 이항로나 이진상 등의 ‘심즉리설’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이이로부터 계승된 ‘심은 곧 기’라는 입장을 견지한다. 정이와 주희, 그리고 이이와 송시열로부터 자신에게로 이어지는 학통에 대한 긍정과 함께, 철저하게 기호학파 노론계의 시각을 따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규진의 학문적 성격과 특징에서 보자면, 한말과 일제강점기 강우지역의 학술적 지형도에서 기호학파 노론계 역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아울러 그는 비록 학문적으로 기호학파 노론계의 성리학적 특징을 충실하게 보여주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리학과 관련된 어떤 저술이나 글을 남기지는 않았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두 스승, 곧 송병선과 최익현이 연이어 순국한 후, 곧이어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는 암담한 현실 속에서 그는 비록 성리학을 버릴 수는 없었지만, 학술활동은 그만큼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고 이해된다. Researches about Jeongyujin has its significance in following two sides. First, Studies about him has connected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in Japanese colonial era. Understanding how was Jeon-gyujin s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response to rapid change of society will be crucial foundation of precise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second one is related to understanding of academic mainstreams around Gangwoo region which includes Uiryeong, Jinju, Sancheong and Geochang. In late period of Chosun, Gangwoo region was center of Taegae and Yulgok scholars led by Heojun, Gijeongjin, Leejinsang and Songbyeongseon. Researches about Jeongyujin will provide us the foundational informations to reconstruct the scholar mainstreams in Gangwoo region and understand it. This treatise analyzes the three aspects of him; life and academic activity of Jeongyujin, people who he did send letters to and his Confucianismical features, to check out his orientation of life,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Confucianismical features. By understanding his life and academic activity, we can find that he had focused on inheriting existing learntings and perspectives than resisting change of time. And according to who he did send letters to, communications with various factions of Giho scholarse were important to him; Gihonoron, Hwaseohakmek and Nosahakmek. Also in terms of his Confucianismical features, it seems that he had faithfully inherited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Noron faction of Giho scholar. In Ligiron, he treats the relationship of Li and Gi more focused on Ligibulsangli than Ligibulsangjab . In Simsungron he assumes a critical attitude to Leehwang s Simhabligisul and Leehanglo and Leejinsang s Simjeungniseol , at the same time adhering to the sance of Sim equals to Gi , which is inherited from Yi-I. It shows that he thoroughly followed the perspective of Noron faction of Giho scholar, with affirmination on the scholastic mantle inherited from Jungyi, Zuhi, Yi-I and Songsiyeol. In terms of thes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Jeongyujin, Noron faction of Giho scholar also had important status in Gangwoo region in late period of Chosun and Japanese colonial era. Additionally, Even though he shows the Confucianismical features of Noron faction of Giho scholar, he didn t bequeathed any writings related to Confucianism. From the researches as above, we can figure out that he couldn t give up Confucianism but had no choice to give up some of his academic activity, in gloomy reality of Japanese colonial era followed by death of his two mentor; Songbyongsun and Choiikhyun.

      • KCI등재

        ≪書經≫의 혈연적 질서와 그 의의

        김기주(Kim Keejoo)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5 No.-

        춘추전국시대를 혈연적 질서의 전환기로 이해하는 시각은 제자백가에 대한 이해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것이 제자백가의 문제의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토대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춘추전국시대가 혈연적 질서 너머로 한 걸음을 내딛는 전환기였는지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면, 기존의 시각과는 완전히 다른 토대 위에서 제자백가의 문제의식과 그 지향을 그려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춘추전국시대가 혈연적 질서로부터 비혈연적 질서로의 전환기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간접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경≫을 중심으로 춘추전국시대 이전, 국가나 사회는 혈연적 질서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는 점을 확인하는데 목표가 한다. 특히 ≪서경≫의 특정 사람에 대해 칭찬하고 비난하는 말 속에 드러난, 권장하거나 비난하는 덕목이나 행위에 주목해서 서주西周시대까지 혈연적 질서가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점을 확인한다. 이렇게 서주시대까지의 흐름을 이해할 때, 춘추전국시대의 변화는 자연스럽게 두드러지며, 그와 같은 변화 속에서 제자백가의 등장과 활약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자백가의 등장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가진 의미 역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측면에서 재구성될 수도 있다.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spring and autumn war country era as a turning point of blood-related order is also closely link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iples. This is because it provides a new foundation to reconstruct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disciples. If it is possible to clearly confirm whether the spring and autumn war country era was a transitional period that took a step beyond the blood-related order, it would be possible to draw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disciple and its intention on a completely different foundation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In this respect, this thesis sets an indirect goal to "confirm whether the spring and autumn wartime era was a transition period from blood-related order to non-blood-related order. More specifically, the aim is to confirm that before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era, the nation and society were operated based on a blood-related order, centering on Shujing. In particular, by paying attention to the virtues or behaviors that are encouraged or criticized in the words of praise and criticism of a specific person in Shujing, we confirm that the blood-related order still exerted a strong influence until the Western Zhou era. When we understand the flow up to the western period, the changes of the spring and autumn war country era will naturally emerge, and in such a change, we can understand the emergence and activities of the disciple confessions.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event of the appearance of the disciple can be reconstructed in a new aspec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 KCI등재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의 인성교육적 함의와 의의

        김기주(Kim Keejoo)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39 No.-

        이 글은 먼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대부분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라는 두 이론적 틀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 두 이론 틀을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전개된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에 적용하여, 이 논쟁의 인성교육적 의미와 의의를 확인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 이 글은 인간이 구성해낸 ‘공동체’는 그것이 어느 시대 어느 지역에서든, 그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개인, 그리고 그 개인이구성해 낸 공동체 사이의 긴장관계를 함축한다는 사실을 전제한다. 따라서 인간은 인간 자신이 구성한 공동체에 무게 중심을 두고 인간 스스로를 이해할 것인지, 아니면 그 공동체를 구성하는 인간 개체에 무게 중심을 두고 인간을 이해할 것인지 확정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논쟁이 그러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전개된 사칠논쟁 역시 일정부분 그와 같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 이것이 바로 이 논문이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이기도 하다. 이렇게 ‘사칠논쟁’을 이해할 때, 이 논쟁은 더 이상 성리학적 한계 속에 갇혀 있지 않고, 보다 보편적 측면에서 인성 혹은 인성교육과 깊은 관련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 동시에 인성 혹은 인성교육과 관련해서 개인과 공동체라는 두 가지 요소 가운데 하나를 전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때와 장소에 맞춰 개인과 공동체가 만나는 적절한 선에서 인성에 대한 이해와 인성교육을 요청하게 된다. This article takes note of the fact that most ongoing researches into character education are carried out through the two frameworks of liberalism and communalism and confirms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character education reflected in the ‘four-seven debate’conducted between Yi Hwang and Ki Tae-sung based on these two frameworks. In addition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mmunity" built by humans implies a tension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who constitute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created by individuals regardless of time and region. Thus, we are stuck in difficult circumstance where we have to choose either to understand humans while centering on the community built by humans themselves or to understand humans while centering on the humans that constitute the community. If the debate of liberalism and communalism is to demonstrate such circumstances, the four-seven debate conducted between Yi Hwang and Ki Tae-sung also incorporates such circumstances in it and that is exactly what this paper intends to point out. As described, the four-seven debate is understood to have had a close relation with character or character education from a more universal perspective instead of being confined within the neo-Confucian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acknowledging that completely excluding either one of two key elements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is out of the question, we are urged to draw a compromising line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y in line with concrete time and place.

      • KCI등재

        ‘블록체인 기술’의 인문학적 함의

        김기주(Kim, KeeJoo),이명숙(Lee, MyungSuk)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9 No.-

        기존의 모든 인터넷 기반 서비스는 중앙의 서버와 이것으로 연결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는 동시에 서로 구분되었다. 이런 서비스 형태를 ‘중앙집중형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이 ‘중앙집중형 네트워크’가 보여주는 형식은 인터넷 네트워크에만 적용되거나 작용한 것이 아니라, 지난 수 천 년 동안 인간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적용되며, 사람을 협력하게 만들고 조직화한 하나의 방식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이러한 ‘중앙집중형 네트워크’의 해체, 곧 ‘탈중앙’을 지향한다. 바로 이 지향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단순히 과학이나 산업 영역의 혁신적인 기술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정치・사회적인 기술이라는 사실이 확인된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관심 역시 바로 이것을 토대로 한다. 이 논문의 관심은 일차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등장과 그 지향이 인문학적 문제의식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 서로 깊이 연결된다는 점을 확인하는 것, 둘째로 이 기술이 함축하고 있는 인문학적 의미를 분석하는 두 가지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의 논의는 먼저 ‘중앙’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해 ‘블록체인 기술’이 보여주고 있는 ‘탈중앙’의 지향이 단순한 기술적 산물이 아니라, 깊은 인문학적 문제의식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그것을 이어 ‘탈중앙’의 지향을 보여주는 ‘블록체인 기술’이 등장하는 배경과 그 기술자체에 대한 이해를 거쳐, ‘탈중앙과 그 기술적 가능성의 제시’, ‘조직화 방식의 변화’와 ‘개인의 위상 변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이 기술의 인문학적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All the current Internet-based services consist of a central server and clients that are connected to the server and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This type of service is called a ‘centralized network’. The form of is not only applied to the Internet, but is applicable to all areas related to humans that have existed for thousands of years, and has been used as a way of collaborating and organizing people. Blockchain technology aims to demolish this centralized network through decentralization. In this sense, blockchain technology is not just an innovative scientific or industrial technology, but it identifies itself as a political and social technology. The humanistic interest in blockchain technology is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two aspects of blockchain technology. First,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emergence and orientation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is not separate from the humanistic critical mind, but they are deeply interconnected. Second, this paper analyzes the humanistic implications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Therefore, our discussion first explains the process of creating ‘centrality’ and confirms that the decentralization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is not just a simple technical outcome, but is connected to a deep humanistic problem. Then,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blockchain technology oriented to decentralization and the technology itself, the humanistic implications of this technology are analyzed in three aspects: ‘presentation of decentralization and its technical possibilities’, ‘change of organization method,’ and ‘change of the status of individuals.’

      • KCI등재

        朝鮮佛敎에 대한 性理學의 영향

        金基柱(Kim Keejoo) 동아인문학회 2012 동아인문학 Vol.23 No.-

        인도로부터 불교가 전래된 이래, 불교와 중국문화, 특히 유불의 동이와 유불의 교섭을 주제로 하는 토론과 논쟁은 이미 수 백년의 역사를 가지고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그 토론은 늘 유교(성리학)에 대한 불교의 영향을 중심 내용으로 삼은 반면, 불교에 대한 유교의 영향에 대해서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어떤 장기적인 문화교류의 과정에서 일방적인 문화의 이전이나 영향만이 있을 수는 없으며 이것은 유불의 교섭사에서도 예외가 되지 않는다. 특히 조선불교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우리는 불교에 대한 유교의 깊은 영향을 분명하게 확인하게 된다. 1392년 건국된 조선은 성리학을 그 건국의 철학적 이념으로 삼았을 뿐만 아니라, 그 건국의 주체는 바로 성리학자들이었다. 그러한 까닭에 조선에서는 건국이후 곧바로 강력한 억불정책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의 불교는 한편으로 호불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 불교는 스스로의 모습을 바꿔 충효 등의 성리학적 윤리관과 의례를 강조하고, 시문집을 발간하는 등 몇 가지 방면에서 유교 혹은 성리학자와 유사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과 미래방향

        이명숙 ( Myungsuk Lee ),김기주 ( Keejoo K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술이 현재 각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와 함께 그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방법과 한계를 살펴보고, 이어 블록체인 기술이 제시하는 미래의 모습을 가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같은 블록체인 기술이 함축하고 있는 지향은 일정 부분 기술적 난제를 얼마나 빨리 극복하느냐에서 그 성공적 적용이나 실현 여부가 결정된다. 이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의 진보를 기반으로 투명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때, 산업의 영역뿐만 아닌, 경제나 정치적 영역에서 세상을 바꾸는 주요한 힘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설사 블록체인 기술이 보여주는 문제의식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효율적인 최선의 길이 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제시하는 틀은 우리가 대면한 현실의 문제를 이해하는 주요한 창이 되어 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blockchain technology is currently being applied in various fields, as well as the methods and limitations involved in constructing blockchain, and to gauge the potential future of blockchain technology. The success or realization of the technology’s applications will depend on how quickly certain technical challenges can be overcome. This paper emphasizes that with the advancement of blockchain technology, when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are improved, it will become a significant force in changing not only the industrial sector but also the economic and political domains. Even if the problem awareness demonstrated by blockchain technology cannot be the most effective solution for solving real-world problems, the framework it presents will provide a significant window for us to understand the problems we face in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