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출토 백자를 통해 본 조선시대 독산성의 변천 과정

        김귀한(Kim Kwihan)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19

        독산성은 15∼16세기의 상황을 알려주는 문헌이나 물질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독산성에관한 기존의 연구는 사료가 풍부한 임진왜란 이후의 시기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연구 경향으로인해 조선시대 독산성의 성격 변화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 글은 독산성에서출토된 백자를 통해 조선시대 독산성의 변천 과정을 당시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유기적으로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산성에서 수습된 백자는 대부분 18∼19세기에 제작되었다. 17세기로 추정해 볼 수 있는유물도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15∼16세기에 생산된 자기(磁器)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이와같은 백자의 출토현황은 17세기 이후 독산성의 성격이 변화된 사실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15∼16세기 독산성은 수원부의 입보용(入保用) 산성(山城)이었다. 조선 초 산성은 전쟁 등비상시에만 활용하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세종대 산성에서 읍성(邑城) 중심의 방어체제로전환되면서 ‘수원(水源)’을 확보하기 힘든 독산성이 정비될 가능성은 희박하였다. 독산성은임진왜란 당시에도 ‘고성(古城)’이라는 이미지(image)가 강하였다. 임진왜란 중 독산성은 수축(修築)되었으나 전쟁이 끝나자 다시 관리가 되지 않았다. 이는 비상시적인 입보성의 일반적인 한계였다. 17세기 이후 독산성은 비상시적인 입보성에서 상시적인 군사적 공간이자, 민들의 생활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조선 조정은 임진왜란이 종결된 이후 양호(兩湖)의 도적이 증가하자 독산성에 도성을 보호하기 위한 치안(治安) 기능을 부여하였다. 성내에 우물을 만들고, 밭을 일구어식량을 확보하였다. 군사훈련도 실시하였다. 독산성은 백성과 군인 등이 항시 거주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독산성 내에 사람이 생활하게 되면서 백자의 수요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독산성에서 이 시기 백자가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것은 독산성의 성격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것으로 추정된다. 요컨대 독산성에서 출토된 백자는 독산성이 15∼16세기 비상시적인 입보성에서 17세기이후 상시적인 공간으로 변모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물질자료(物質資料)이다. 아울러 문헌을 통해 17세기 이후 독산성의 성격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조선시대독산성의 변천 과정을 유물과 문헌을 바탕으로 역사고고학적인 시각에서 검토하였다는 데에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re is a lack of literature on Doksanseong, a fortress near Suwon, that describes the situation of the fortres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s a result, study of this fortress has concentrated on the period of the post-Japanese Invasions of Korea, which offers a relative wealth of material for study. However, for these reasons,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of Doksans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ructurally explain the process of Doksanseong’s transformation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white porcelain fragments excavated from the fortress site. Most of the white porcelain fragments recovered from the site were creat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addition, relics estimated to have been made in the 17th century have also been recovered. Only a few porcelains were mad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periodical distribution of such relics is proof that the character of Doksanseong changed around the 17th century.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Doksanseong was a mountain fortress that was built to protect people in the Suwon are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ountain fortresses were treated as places for emergency use only, such as war. With the transition from a mountain fortress to an “Eupseong” town wall-centered defense system during King Sejong s time, it was unlikely that Doksanseong would be rebuilt, as it no longer played the role of defending Suwon. Doksanseong had a strong image of an “ancient fortress” ev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592–1598.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it was renovated. However, when the war ended, it was no longer maintained. This was a common limitation of fortresses that were made to protect people for emergency use. During the early 17th century, Doksanseong was transformed into a permanent military space and a living space for citizens from a protective area for emergency use. The court of the Joseon Dynasty added security functionality for Doksanseong to protect the capital city as the number of bandits increas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ended. They also built wells within the fortress and cultivated farms to secure food. Military training was also conducted. Doksanseong was now used as a place of residence where common citizens and soldiers stayed. It is likely that the demand for white porcelain increased as people started to actually settle down in the fortress. The vast quantity of white porcelain at the time found in Doksanseong is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in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조선 15~16세기 內需司의 왕실 관련 銘文磁器 생산과 한계

        김귀한(Kim, Kwi-Han) 중앙문화재연구원 2021 중앙고고연구 Vol.- No.35

        이 글은 문헌과 물질자료를 통해 15~16세기 내수사(內需司)의 왕실 관련 명문자기(銘文磁器) 생산과 한계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1467년경 왕실 소용의 그릇은 사옹원(司饔院)의 분원(分院) 인 관요(官窯)와 내수사에 의해 이원적(二元的)으로 공급되었다. 왕실에서 소비하는 자기 가운데‘국용(國用)’은 관요에서, ‘내용(內用)’은 내수사에서 생산하였다. 하지만 언제 어떠한 이유로 내수사에서 왕실 관련 명문자기를 제작하였는지, 왜 내수사의 제자(製磁) 활동이 중지되었는지에 대한관심은 부족하였다. 백자는 세종대 어기(御器)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세조대는 그 수요가 한층 증대되었다. 백자의소비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1464년 횡간(橫看)이 제정되었고, 1465년 공안(貢案)이 개정되었다. 왕실은 이전에 비해 사적으로 사용하는 그릇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을 것이다. 이에 따라 1464년경 내수사에 사기장을 두고 ‘大’·‘中’·‘世’·‘處’명 자기를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내수사는 사기장 6명만 소속되었다. 백토(白土)나 시지(柴地) 등도 공급받지 못하여 백자 소비 확대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는 한계가 있었다. 16세기 왕실의 재정 수요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왕실 관련 명문자기는 15세기 후반에 집중적으로제작된 이후 생산 수량이 감소하였다. 이는 1501년 신유공안(辛酉貢案) 가행조례(可行條例)에 보이는 전용(轉用)과 가정(加定)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왕실은 늦어도 1490년경부터 사옹원의 백자를내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흐름은 1501년 신유공안 제정을 기점으로 일반화되었다. 왕실은 1501년 이후 감결(甘結)을 통해 사옹원의 물품을 공급받았다. 15세기 말~16세기초 관요는 체제가 안정되면서 왕실의 백자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내수사 사기장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내수사는 1460년대 왕실 내 백자의 사적 수요를 담당하기 위해 요업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러나신유공안의 가행조례가 적용된 1501년을 중심으로 한 15세기 말~16세기 초 내수사에 의한 자기 번조는 정지된 것으로 보인다. 내수사와 사옹원에 의한 이원적 백자 공급 체제는 사옹원으로 일원화된것으로 판단된다. By around 1467, the white porcelain used by the royalty was supplied both by Gwanyo(官窯) which were branches(分院) of the Saongwon(司饔院) and Naesusa(內需司). The items for national use(國用) were produced by Gwanyo, and those for internal use(內用) by Naesusa. White porcelain was selected for King Sejong’s bowl(御器), which is why its demand soared. However, after Hweng’gan(橫看) was enacted in 1464, and as the Gong’an (貢案) was revised in 1465, it became more difficult to reliably obtain white porcelain for the royalty’s personal use. Following this, it is estimated that in 1464, Porcelain with Inscription (銘文磁器) were produced potters who belonged to Naesusa Only six Potters belonged to Naesusa, and because they were not provided with white clay (白土) and Siji (柴地), there were limitations in being able to respond flexibly to the rising demand for white porcelain. The production volume for prestigious porcelains for royals declined after peaking in the late 15th century. This is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Junyong (轉用) and Gajung (加定), found in the government’s fiscal reform measures called Sinyugong’an (辛酉貢案) Gahaengjoriae (可行條例) of 1501. The royalty was supplied with white porcelain for internal use by the Saongwon, before and after 1501. At the time, Gwanyo had been stabilized in its structure, available to meet the royals’ demand for white porcelain. This is believed to have gradually diminished the role of Naesusa’s Potter. As a result, it is supposed that between the end of the 15th century and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the dual white porcelain production by both Naesusa and Saongwon was consolidated by the Saongwon

      • KCI등재

        강증산 사상에 나타난 선도관(仙道觀) 연구

        김귀만 ( Kim Gui-ma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1 No.-

        기존 연구에서 증산의 천지공사를 도교적 방술과 같은 것으로 여겨왔다. 물론 그러한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쉬운 점은 그의사상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간과되었다는 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증산의 종교관을 삼도정수론으로 체계화해 철학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또 증산이 천지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선(仙)의 의미를 어떻게 파악했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증산의 선도관을 이해하기에 앞서 먼저 탐구되어야 할 부분은 천지와 유ㆍ불ㆍ선과의 관계이다. 왜냐하면 증산은 삼도(三道)가 하나의 근원적인 천지(天地)로부터 유래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증산은 천지의 속성을 삼도와 연계시켰고, 천지의 속성이 삼도로 발현되는 과정은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해가는 양상과 일치한다고 보았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증산은 삼교를 단순히 혼합하여 자신의 교리로 삼은 것이 아니다. 그는 형이상학적 원리에 기초하여 먼저 그 근거로 천지를 내세웠으며 일관된 기준으로 삼도의 정체성을 다시 자리매김하였다. 증산은 선의 정수를 조화(造化)로 명명한다. 그리고 그 조화의 개념을 세 가지로 들 수 있다. 조화란 첫째 무위이화이며, 둘째 이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의 창조와 관련된 것이며, 셋째 인간의 이성을넘어서는 신이(神異)한 일임을 의미한다. 증산의 선도 이해에서 핵심이 되는 인물은 바로 수운 최제우이다. 한국 고유의 사상에서 인즉선(人卽仙)의 경지는 성통공완(性統功完)을 실현한 후 조천(朝天)하는 것인데, 여기서 성통이란 인격적인 하느님뿐만이 아니라 비인격적인 우주의 기운과도 일체가 되는 것이다. 수운의 시천주 사상은 이러한 인즉선의 경지를 실현한 것으로 보았다. 시(侍)는 그가 경신년에 천상문답을 했던 대상인 상제를 모신다는 것(내유신령, 內有神靈)이며 동시에 우주의 지기(至氣)를 외유기화(外有氣化)하여 끊임없이 실천한다는 것이다. 수운은 인격적인 실재와 비인격적 실재를 자유롭게 오고가는 선도적 정신의 전형(典型)이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증산은 유ㆍ불ㆍ선이 인류 문화의 바탕이 되었음을 말한다. 천지가 세 개의 씨앗을 인류에게 주었다. 이 씨앗이 각 민족의 기후와 풍토 속에서 자라나 그들만의 문화를 만들었다. 인류의 문화는 여러 가지 장식들로 치장되었으나 그것들을 모두 거두어내고 보면 그 본래의 정수만이 남게 된다. 증산은 그것을 불지형체ㆍ선지조화ㆍ유지범절(佛之形體仙之造化儒之凡節)이라 했다. 선(仙)적인 문화는 모두 ‘조화’(造化)로 일관할 수 있으며, ‘조화’로 묶을 수 있는 여러 종교형태는 모두 선도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증산의 정수사상으로 밝힌 이러한 선도의 의미는 중국도교에서 찾아볼 수 없는 한국적특성일 것이다. In previous studies on Kang Jeungsan, His work of Reordering of the Universe(天地公事) has been considered to be some type of Taoistic magic. Although it does have that aspect, it is overlooking a philosophical refl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Kang Jeungsan understood the meaning of Sun(仙, Taoist or Immortality) when He carried out the work of Reordering of the Universe. Before figuring out Jeungsan’s view of Sundo(仙道), it is necessary to study first the relation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the Three Teaching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Sundo. Kang Jeungsan saw the Three Teachings originated from Heaven and Earth. He connected the nature of Heaven and Earth to the Three Teachings, and considered the process of Heaven and Earth being manifested through the Three Teachings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humans’ growth from birth to maturity. What is noticeable here is that Kang Jeungsan did not just mixed those Three Teachings and made His religious principle. But He put forward the concept of Heaven and Earth based on the metaphysical principles, and re-established the real identities of Three Teachings with His consistent criteria. Kang Jeungsan defined Sun as “creation”. Since Sun was born with the energy of “futility” from Heaven and Earth, it can be inferred that Sun is a thought related to all life and creation of the universe. The key to understand Sundo of Kang Jeungsan is the person named Suwun Choi Jewu. The state of “Human equal to Sun” is when a human being is perfectly aligned with the Dao and complete one’s heavenly mission, and then enter into Heaven. “Being aligned with the Dao” is to become one not only with the personal God but also with non-personal energy of the universe. The thought of Sicheonju(侍天主,Serving the Lord of Heaven) of Choi Suwun can be considered to have realized this state of Human equal to Sun. The world 侍 indicates that he is in service of Sangje, with Whom he communicated through divine revelation, and that he continuously works on to contain the utmost energy of the universe in his inner self and manifest that energy outward. Choi Suwun was the embodiment of a Sun sprit that could freely come and go between the realities of personal and impersonal. Lastly, Kang Jeungsan says that the Three Teachings became the foundation of human culture. Heaven and Earth gave three seeds to humanity. Each seed was sprouted from different climates of each ethnic group and created their own cultures. Human culture has been decorated with various accessories with time. However, at the end, all those will be ripped off to leave only the essences of each religion. Jeungsan called them “Creation of Seon, Form of Buddhism and Propriety of Confuciamism”. All the cultures that can be seen as Sun can be explained through one concept of “creation”, and all types of religion that can be classified into “creation” can be called Sun. Sundo of Kang Jeungsan goes beyond the limitation of being the traditional Korean thought and leads it to be the universal prospect of human culture. When all humanity agree upon the fact that all human cultures have the common factor of “Creation of Sun, Form of Buddhism and Propriety of Confuciamism”,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can begin. The thought of Kang Jeungsan is not biased to only one aspect of human cultures but suggests the principle that enables all beings coexist without breaking anyone’s identity.

      • KCI등재

        고려 말∼조선 초 자기 수취와 사옹방의 역할 재검토

        김귀한(Kim, Kwihan)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8

        고려 말∼조선 초 자기 수취 구조는 한국도자사 연구 분야에서 흥미로운 논쟁거리 가운데 하나이다. 연구자들의 관심은 고려 말 조준의 상소문에 보이는 ‘거안직납(據案直納)’의 실현 여부와 조선 초 자기를 공납하는 데 사옹방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였는가에 집중되었다. 이 글에서는 조준이 제안한 ‘거안직납’이 곧 시행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조준은 상소문에서 사옹을 비롯한 애마(愛馬)가 각도(各道)에 사람을 파견, 내용(內用)을 빙자하여 물품을 사취(私取)하는 폐단을 지적하였다. 고려 말 사옹은 정식 관청인 사선서(司膳署)를 대신하여 어선(御膳)을 담당하였다. 이에 따라 사옹은 내용자기(內用磁器)를 징수할 수 있었다. 이성계 등 고려 말의 개혁 세력은 정권을 장악한 후 사족 중심의 지배체제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여기에는 왕의 측근세력인 애마를 개혁하는 것도 포함되었다. 조준은 애마가 자금과 물품을 확보하는 루트를 차단하고자 하였다. 이는 물품의 수취 과정에서 애마를 배제하는 방향으로 구체화되었다. 이성계 등이 정권을 잡은 후 조선을 건국하였음을 고려할 때 조준이 주장한 자기 공납제는 그대로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조선 초 자기 공납 과정에서 사옹방의 역할을 파악하는 데는 1417년 호조에서 기명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올린 사의(事宜)에 있는 “外貢砂木器 以司饔房納施行”의 해석이 중요하다. 이 문장이 고려말 사옹에 의한 자기 수취 구조가 1417년까지 유지되었다는 견해의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納’을 ‘받아들이다’로 보고 사옹방이 지방에서 도성으로 운송한 공납자기의 봉퇴(捧退)를 담당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는 당시 사옹방에서 어선(御膳)에 관한 물선(物膳)을 받아들이는 일을 담당한 일반적인 상황과도 부합된다. One of the interesting controversial issues among the porcelain histo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s regarding when the porcelain tribute system was implemented. Opinions of the scholars regarding this issue are divided into two. Some see that the porcelain tribute system was begun immediately by the suggestion in the letter of Jo Joon to the king around December 1389. Others insist that porcelains were collected in person by Saongbang for tributes through dispatching people to each province until 1417. The faction of Yi Seong-gye took the power since Wihwado Retreat. The direction of the reform that they pursued was described in detail in the letter of Jo Joon. Jo Joon pointed out the corruption of Saong and Aema that defrauded items from people by dispatching officials to each province. To solve such problems, Jo Joon insisted to make Aema supply things for the king through tributes. He aimed to recover the dominance system centering around noblemen, including reforming Aema that seized were the power closely associated with the king. In order to reform Aema, Jo Joon tried to block their routes that had secured funds and things from the people. Such attempt was specified by expanding the tribute system at the end of the Goryo Dynasty. It is suspected that the porcelain tribute system was implemented after Jo Joon"s submission of his letter to the kind around December 1389. In figuring out the roles of Saongbang(司饔房) under the tribute system at the early Joseon Dynasty, interpretation of “外貢砂木器 以司饔房納施行”which were recorded by Hojo (Ministry of Finance in Joseon Dynasty) in 1417 in order to solve the evil effects of registered tributes.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it might think that Saong"s way to receive porcelains in person at the end of the Goryo Dynasty sustained in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interpreted ‘納’ as "to accept" and Saongbang was in charge of acceptance and refusal of porcelain tributes delivered to the capital city from each province. It coincides with the general circumstances at that time under which Saongbang was in charge of acceptance and refusal of royal presents.

      • 고려 말~조선 초 백자의 위상(位相)변화와 배경

        김귀한 ( Kim¸ Kwihan ) 단국사학회 2020 史學志 Vol.60 No.-

        이 글은 조선 세종대 이후 백자의 소비가 확대되는 배경을 백자의 위상 강화라는 측면에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려 말∼조선 초 자기의 중심은 청자였다. 백자는 청자에 비해 품질이 낮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1410∼1420년대 청자는 그릇의 전면에 문양을 빽빽하게 시문하는 등 장식성이 한층 강화되었다. 그러나 백자는 백토(白土)가 매장된 일부 지역에서만 제작되었다. 고려 말과 비교하여 품질 또한 개선되지 못하였다. 조선 초 조정은 명에 진공(進貢)하는 금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명으로부터 금은을 면공(免貢)받고자 조선에서 금은이 생산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행히 1429년 조선의 의도대로 금은은 면공되었다. 이후 세종은 명 사신에게 금은기를 소비하지 않음을 선전(宣傳)해야 했다. 물론 조선 왕실은 계속 금은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금은기의 대체재(代替財)를 마련할 필요성 또한 절감하였다. 금은기는 당시 소비되던 기명 가운데 가장 위계(位階)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금은기의 대체재는 금은과 동등하거나 금은 다음으로 위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된 그릇이 선택될 가능성이 농후하였다. 세종대는 명 선덕제가 청화백자를 사여하는 등 중국 백자의 유입이 크게 증가하였다. 명과 조선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선덕제의 반사품(頒賜品)은 왕의 권위를 상징할 수 있는 개연성이 높았다. 세종에게 있어 선덕제의 하사품은 왕의 권위를 상징하면서도 명과의 외교 관계에서 실리를 취할 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으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세종은 이러한 의도로 백자를 어기(御器)로 선택하였다. 세종이 백자를 어기로 채택한 후 백자에 대한 지배층의 인식은 변화되었다. 백자의 위상 또한 한층 강화되었다. 최고 권력자와 동일한 재질의 그릇을 소비하려는 욕구로 인해 백자의 수요는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1430년대부터 경질백자(硬質白磁)가 제작되었고, 1440년대는 비교적 뛰어난 품질의 백자가 생산될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increase in consumption of white porcelain based on the elevation of its status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period. Celadon was the most important type of porcelain from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era. In comparison, white porcelain, which registered lower qualities than celadon, failed to draw consumers' attention. In the 1410s and 1420s, celadon became increasingly more decorated, sometimes with patterns that covered the ware’s entire surface. White porcelain was usually produced in small volumes in areas storing white clay (白土). Moreover, its quality had not improve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In the early Joseon era, the kingdom continuously strived to secure gold and silver to give as tributes (進貢) to the Ming Empire. To exempt itself from having to give away gold and silver (免貢), the Joseon kingdom stressed that these metals were not produced in Joseon. Fortunately, gold and silver were delisted, after which King Sejong had to reassure (宣傳) the Ming diplomats that his country was no longer consuming the material, even though the Joseon court continued their usage. At the same time, there was keen awareness of the need to find substitutes (代替財) for gold and silver ware as they were the topmost in the contemporary hierarchy (位階) of precious metals. Hence, a substitute had to be made of material of equal status as gold and silver or immediately below them. The King Sejong era saw an increase in imports of Chinese white porcelain, including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given by the Xuande Emperor (宣德帝) of Ming. Giv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and Ming dynasties, the gifts (頒賜品) from the Xuande Emperor were likely to symbolize the king's authority. To King Sejong, the gifts from the Xuande Emperor not only symbolized his authority but also served as a practical means to profit from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Ming. Thus King Sejong chose white porcelain as royal ware (御器). King Sejong’s choice of white porcelain as royal ware changed the ruling class's perception of it, boosting its status. Demand for white porcelain increased as people wanted w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used by the monarch. In line with these developments, hard white porcelain (硬質白磁) began to be produced in the 1430s, and eventually white porcelain of excellent quality was produced in the 1440s.

      • KCI등재

        朝鮮時代 官窯의 運營體系 再檢討

        김귀한(Kim Kwi-Han)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2

        The royal kiln, as an affiliate of Saongwon(司饔院), exclusively produced white porcelain which was used by the royal family. Around the year 1467, with the building of the royal kiln in Gwangju, Gyeonggi-do, the production of the white porcelain for the royal family was incorporated into a state ran handcraft industrial system. Since the royal kiln was run by the state, the white porcelains were produced with a certain type of production system. One of Jikjang(直長), Bongsa(奉事) and Chambong(參奉), the administrations of Saonwong, were sent to the kiln as Beonjogwan(燔造官). Seori(書吏), Jewon(諸員) and Sagijang(沙器匠) were divided into two teams, Jwabyeon(左邊) and Woobyeon(右邊), to produce the white porcelain. There was a total of 380 Sagijang and half of them provided their labor to make the white porcelain from February to October at the royal kiln once every other year. Beonjogwan presented them to the capital city, when the last baking of the of white porcelain were completed. The government of Joseon started to change its labour duty system because of many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the royal kiln which arose in 1560s. About 127 people served once in one and half year and the period of serving was shorten to six months to prevent Sagijang from leaving. As a result, the white porcelain was dedicated twice a year in the spring and fall. But the distinction of its production team, Jwabyeon and Woobyeon, was maintained until 1690s regardless of any changes to the labour duty system. But Jwabyeon and Woobyeon inscriptions couldn’t be marked any more on the white porcelain which were produced in the royal kiln during the 18th century and this meant that the production team was not distinguished by Jwabyeon and Woobyeon. This change is highly related to the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s such as the appearing of Sagijang who were exclusively belonged to the royal kiln and the decrease of government supervision in the management of the royal kiln.

      • 15-16세기 관요 백자 제작 양상의 변화와 그 배경 -광주 대쌍령리 2호 요지를 중심으로-

        김귀한 ( Kwi Han Kim ) 단국사학회 2013 史學志 Vol.47 No.-

        일반적으로 15-16세기 관요 백자는 양질백자인 갑번백자(匣燔白磁)와 조질백자인 상번백자(常燔白磁)로 구분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가마의 성격도 갑번요(匣燔窯)와 상번요(常燔窯)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최근 발굴조사가 진행된 광주 대쌍령리 2호 가마를 예번백자(例燔白磁)를 전문적으로 번조한 예번요(例燔窯)로 추정하고, 예번백자의 제작이 증대되고 예번요가 운영되는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광주 대쌍령리 2호 요지에서 출토된 유물의 현황을 검토한 결과, 대쌍령리 2호 가마가 예번요임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가마의 운영 시기가 16세기 후반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예번백자를 전문적으로 번조하는 예번요가 운영되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적어도 광주 번천리 5호 요지가 운영된 1554년을 전후로 하여 양질백자인 갑번백자와 조질백자인 상번백자의 이원적(二元的) 백자 공급 체계에서 벗어나 양질백자가 갑번백자와 예번백자로 공급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는 예번백자가 갑번백자의 대체품으로서 제작 수량이 증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양질백자를 제작하는 번조방법으로서의 예번은 갑번에 비해 번조 효율성이 낮지만, 갑번에 필요한 인력·경비·시간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할 경우 차선책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예번백자의 제작 수량이 증가하고, 예번요가 축조되는 것을 당시 관요의 운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production patterns of royal kiln porcelain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are divided into saggar-firing kilns producing saggar-firing porcelain and stack-firing kilns producing stack-firing porcelai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white porcelain kiln site No.2 in Daessangnyeong-ri, Gwangju-si,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was a one by one-firing kiln which professionally produced one by one-firing porcelai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time of one by one-firing porcelain and the background behind the emergence of one by one-firing kilns. As a result, the study confirmed a couple of facts as follows: First, the study reviewed the artifacts excavated in white porcelain kiln site No.2 in Daessangnyeong-ri, Gwangju-si and confirmed that the kiln site used to be a one by one-firing kiln that could not defined as a saggar-firing or stack-firing one. Based on the estimation that the kiln was in oper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the study also judged that it was during the period when users ran one by one-firing kilns that professionally produced one by one-firing porcelain. Secondly, the excavation results of royal kilns so far indicate that they grew out of the old dual porcelain supply system, which included saggar-firing porcelain of high quality and stack-firing porcelain of low quality, by the mid-16th century at the latest and produced saggar- and one by one-firing porcelain as high quality porcelain. Those findings suggest that one by one-firing porcelain increased in production as an alternative to saggar-firing porcelain. Finally, there are two methods to make high quality porcelain, namely the saggar- and one by one-firing method. It was understood that the one by one-firing method was lower in efficiency than the saggar-firing method and practiced as the second best policy when there was not enough supply of manpower, expenses, and time required to make saggar-firing porcelain.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estimated that the increasing production of one by one-firing porcelain in the mid-16th century and the emergence of one by one-firing kilns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operational state of royal kilns those day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