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PEG-4 비디오 스트림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암호화 기법 연구

        김건희,신동규,신동일,Kim Gunhee,Shin Dongkyoo,Shin Dongi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2 No.2

        본 논문에서는 MPEG-4 스트림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를 위한 암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MPEG-4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표준이며 MPEG-4 파일 포맷에 따라 저장된다. 인가된 사용자들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MPEG-4 파일 포맷으로부터 추출된 I-VOP, P-VOP의 매크로 블록(MB)들과 모션 벡터(MV)들을 암호화하는 3가지 방법을 설계하였고, MPEG-4 데이터의 암호화에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를 사용하였다. 이러할 암호화 방법을 기반으로 MPEG-4 데이터 스트리밍을 위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용 DRM 솔루션을 구현하고, 최적의 암호화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복호화 속도 및 영상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encryption techniques for digital right management solutions of MPEG-4 streams. MPEG-4 is a format for multimedia streaming and stored in the MPEG-4 file format. We designed three kinds of encryption methods, which encrypt macro blocks (MBs) or motion vectors (MVs) of I-, P-VOPs (Video Object Planes), extracted from the MPEG-4 file format. We used DES to encrypt MPEG-4 data Based on theses three method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DRM solution for an Internet broadcasting service, which enabled a MPEG-4 data streaming, and then compared the results of decryption speed and quality of rendered video sequences to get an optimal encryption method.

      • KCI등재
      • 효율적인 MPEG-4 비디오 파일의 암호화에 관한 연구

        김건희(Gunhee Kim),신동규(Dongkyoo Shin),신동일(Dongil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Ⅱ

        본 논문에서는 MPEG-4 비디오 포맷으로 인코딩(encoding)된 미디어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암호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고 실험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MPEG-4 파일로부터 추출한 I(Intra-coded)-VOP(Video Object Plane)의 매크로 블록(Macro block)들 중의 최소부분 암호화, P(Predictive-coded)-VOP의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들과 매크로블록들의 최소부분 암호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VOP들의 최소 부분 암호화와 같은 3가지 암호화 방법을 구현하고 실험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모바일 또는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의 상용 서비스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를 구축하는 데에 매우 용이하고 적합하게 적용되며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ideo On Demand)와 같은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DRM 시스템에 최소한의 부하만을 지우도록 설계되었다. 미디어 데이터의 각 VOP들의 암호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이러한 방법은 상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부인암 생존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성역할태도, 가사분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건희 ( Kim Gunhee ),김문정 ( Kim Moonjeong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8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4 No.3

        Purpose: To determine impacts of psychological distress, gender role attitude, and housekeeping sharing on quality of life of gynecologic cancer survivors. Methods: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four measurements: FACT-G (ver. 4) for quality of life, anxiety and depression from SCL-90-R for psychological distress, gender role attitude, and housekeeping sharing. A total of 158 completed data se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Results: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distress (r=-0.64, p<.001), but not with gender role attitude (r=-0.14, p=.820) or housekeeping sharing (r=0.08, p=.350). Psychological distres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nder role attitude (r=0.25, p<.010). Factors that significantly impacted quality of life were type of cancer (t=2.27, p=.025), number of treatment methods (t=2.58, p=.011), education level (t=3.33, p<.001), and psychological distress (t=-9.96, p<.001).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s that can relieve psychological distress need to be developed for gynecologic cancer survivors. Nurses need to put priority on ovarian cancer survivors who have low education level with multiple treatment methods when performing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gynecologic cancer survivors.

      • 테이블탑 환경에서 패턴 기반의 제스처 인터렉션 방법 연구

        김건희(Gunhee Kim),조현철(Hyunchul Cho),배문화(Wen-hua Pei),하성도(Sungdo Ha),박지형(Ji-Hyung Park)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테이블탑 인터페이스 환경에서는 기존의 데스크탑 환경에서 보다 손쉽고 자연스러운 인터렉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테이블탑 인터페이스 환경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공간과 디스플레이 공간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스처 인터렉션과 같이 사용자가 보다 자연스럽게 인터렉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지만, 인터페이스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에 활용되는 인터렉션 방법은 데스크탑 환경과 마찬가지로 시스템이 정의한 입력형태(제스처)와 그에 따른 시스템의 출력(기능) 간의 관계(규칙)를 숙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 데스크탑 환경의 인터렉션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본 연구는 테이블탑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실제 환경에서 물체를 조작하는 것과 같이 미리 정해지지 않은 실생활의 제스처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인터렉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와 이를 위한 지식모델를 제시한다. 사용자 제스처를 이해하기 위한 지식모델은 제스처의 특징들과 제스처에 대해 시스템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에 관한 지식들을 패턴을 활용하여 표현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인터렉션 규칙을 숙지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제스처 인터렉션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framework which enables users to interact naturally with hand gestures on a digital table. In general tabletop applications, one gesture is mapped to one function or command. Therefore, users should know these relations, and make predefined gestures as input. In contrast, users can make input gesture without cognitive load in our system. Instead of burdening users, the system possesses knowledge about gesture interaction, and infers proactively users' gestures and intentions. When users make a gesture on the digital surface, the system begins to analyze the gestures and designs the response according to users' intention.

      • KCI등재

        스포츠중계방송에서 발견되는 공공성 보호에 관한 연구

        김건희 ( Gunhee Kim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8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2 No.1

        2011년, SBS(방송사)가 스포츠중계방송권을 획득함에 있어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과의 충돌을 내용으로 하는 분쟁이 있었다. 이 판결은 재산권인 스포츠중계방송권을 제한하고 있는 방송법상의 규정인 보편적 시청권 관련 내용의 국내 최초 판결이자 유일한 판결이다. SBS가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중계방송권을 매수함에 있어 KBS와 MBC에 중계방송권을 공정하고 합리적인 시장가격으로 차별 없이 제공할 의무를 위반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그 판매를 거부하거나 지연시켰으므로, 방송법 및 시행령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과 과징금부과 처분을 받은 것에 대해 취소를 구한 사건이다. 법원은 SBS의 행위가 방송법 시행령 제60조의3 제1항 제3호를 위반하였다고 판단했다. 나아가 방송법 시행령 제60조의3 위헌 여부와 관련하여, 방송사가 가지는 헌법상 영업의 자유, 계약의 자유, 재산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으며, 방송의 공공재적 성격 인정 및 보편적 시청권 보장이라는 공익에 비해 방송사가 가지는 재산권이 앞설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이 판결이 스포츠중계방송의 공공성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보편적 시청권 보장은 방송의 공공성을 근거로 한 시청자의 알 권리 및 정보접근권의 실질적인 충족을 통하여 실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스포츠중계방송이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의 제한을 받고 있는 근거는 스포츠와 방송이 가지고 있는 공공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스포츠와 방송의 공공성의 발현으로 방송법상의 보편적 시청권 규정이 만들어지게 되었고,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은 보편적 서비스에 근거한 보편적 접근권 개념에서 발전하였다. 스포츠는 개인적인 성취, 행복추구의 측면에서 나아가, 국민적 동질성의 고취, 민족적 우월성의 확인 등 공동체적 통합 역할을 수행하면서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 특히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이 규정하고 있는 스포츠이벤트의 목록은 국가를 대표하여 출전하는 선수들의 경기인데, 이는 국민들을 하나의 집단정체성으로 묶는 기능을 한다. 그런 점에서 스포츠이벤트는 그 공적 기능과 함께 공공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방송은 전파의 공공소유권, 희소성으로 인해 공공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방송이 지향하고 있는 궁극적인 가치는 공공성과 공익성의 추구라고 볼 때, 시청자들의 이익과 권리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방송을 통한 스포츠는 시청자에게 도달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의 접근권 관점에서 스포츠중계방송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재산권인 스포츠중계방송권의 거래와 , 스포츠중계방송을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으로 규제하고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 헌법 제37조 제2항의 기본권제한가능성 규정 아래,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의 보호를 받는 시청자의 접근과 저작권법의 목적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이용자의 접근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것에서 그 타당성을 찾을 수 있다. 즉, 공공재 성격을 가지고 있는 스포츠중계방송으로의 접근은 방송법상 보편적 시청권이 보장하고자 하는 시청자의 권리와 저작권법의 목적이 보호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이용 도모 관점에서 그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In 2011, a legal conflict occurred where Seoul Broadcasting System(SBS) acquiring a right to broadcast World Cup games was slashed for violating “universal audiovisual right” under Broadcasting Act. The court decision in this case was the first and only one of its kind regarding the provision of universal right of the Act that serves to limit broadcasting rights which are part of right to property under the Constitution. The court found the SBS in violation of its obligation to distribute broadcasting rights of the 2010 South Africa World Cup Games at a fair and reasonable market price by refusing or delaying without a legitimate reason sales of those rights to Korean Broadcasting System(KBS) and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MBC). SBS was imposed corrective orders and penalty surcharge by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o which it objected seeking for cancellation of the disposition. The Court decided that the SBS violated Article 60-3 Paragraph 1 Subparagraph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Broadcasting Act. In addition, to the argument for unconstitutionality of the same provision, the Court said that the right to business, contract, and property enjoyed by broadcasting companies under the Constitution could be limited under the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and that the right to property could not take precedence over the public nature of broadcasting and public value of universal audiovisual right of the public. The ground for limiting universal audiovisual right can be found in the public nature of sports and broadcasting. Sport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type of culture that not only highlights personal accomplishment and pursuit of happiness, but also inspires national unity and pride. Sports events listed in the provision of Broadcasting Act regarding universal audiovisual right represent international events participated by Korean athletes. Watching Team Korea play games itself unifies the country under a shared identity, which adds a public nature to the function of sports. Meanwhile, broadcasting is also seen as public goods because air waves are rare and remain in the public domain. If we consider the two ultimate values of broadcasting are promoting publicness and public interests, the benefits and rights of viewers must be given a serious consideration. Sports that are aired can only be made worthwhile when they successfully reach the receiving end. Therefore, sports relay broadcasting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cess right of viewers and audience. The public nature of sports and broadcasting led to the provision of universal audiovisual right under Broadcasting Act, which developed from universal right to access based on universal service. In conclusion, the regulation on transaction of sports broadcasting rights and broadcasting of sports events by means of universal audiovisual right under Broadcasting Act can be justified, under a big framework of Article 37 Paragraph 2(Admissibility to limit basic rights) of the Constitution, by both access rights of viewers protected by the universal rights under the Act, and the value of user access deemed important by an objective of Copyright Act. In other words, access to a sports broadcasting right whose nature is of public go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he rights of viewers ensured by universal audiovisual right under Broadcasting Act, and facilitation of the use of the users intended by Copyright Act.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저작권법상 저작재산권 제한 내용 검토

        김건희(Gunhee Kim) 한국저작권위원회 2022 계간 저작권 Vol.35 No.4

        저작권법은 매체 기술 발전 과정에 따라 그 내용의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또한 매체 기술의 발달은 저작권법에서 보호하고 있는 저작물의 이용 형태도 변화시켰다. 디지털 시대, 콘텐츠는 대부분 디지털 형태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인쇄 혁명으로 복제 시대에 진입하였듯이, 디지털 혁명으로 전송 시대로 변하였다. 전송의 방식으로 소유를 위한 다운로딩에서 이용을 위한 스트리밍으로 이용 형태가 바뀌고 있기도 하다. 디지털 형태의 저작물은 당연히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현재 저작권법은 오프라인에서의 저작물 이용에 기반한 내용들이 많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저작권 침해 행위는 디지털 기술 발달로 예상보다 더 복잡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온라인 공간에서 활용되는 새로운 기술에도 불구하고, 우리 저작권법은 저작물의 이용이 저작권 침해가 되는 것인지 나아가 저작권자와 저작물 이용자의 이익 균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온라인상 저작물 이용이 많은 현실과 법 사이 괴리가 있는 것인데,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흔해진 디지털 콘텐츠 이용 시 고려되는 저작권 제한 조항에 대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 저작권법은 기본적으로 권리자인 저작권자가 가지는 권리에 대해 정하는 한편, 저작물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권리를 위하여 저작권자의 권리를 제한하는 내용을 정하고 있다. 저작권법의 역사는 권리자와 이용자 사이의 끊임없는 줄다리기의 역사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로 두 주체 사이는 긴장감이 흐르고 있는데, 이러한 저작재산권 제한 규정이 권리자와 이용자 사이의 균형을 잡기 위한 내용으로 디지털 시대 적절한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검토해본다. 크게 공익을 위한 저작재산권 제한, 그리고 이용자의 편의(사익)를 위한 저작재산권 제한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지만,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목적도 결국 이용자의 접근과 이용을 원활하게 도모하여 결국 더 많은 문화유산을 생산하여 문화 산업의 향상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함일 것이다. 한편, 저작재산권 제한의 일반조항으로서 Fair Use(저작권법 제35조의5)에 대해서도 검토한 결과, 저작권법은 궁극적으로 문화 발전을 위한 법이고, 문화 콘텐츠는 예전과 달리 기술 발전에 따른 대응으로 콘텐츠 형식과 이를 이용하는 형태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저작권법상 저작재산권의 제한 내용도 시대에 맞게 달라져야 할 것이다. 단순히 종래의 ‘저작권자 대 이용자’의 대립 구조를 전제로 이익을 조정할 것이 아니라 나아가 디지털 저작물의 효율적 이용을 둘러싼 다양한 주체 상호간 복합적 이해 조절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디지털 저작물 이용 시 저작권 침해 가능성도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저작재산권을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이용자와 저작자 사이의 균형을 잡을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디지털 콘텐츠 이용자들이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콘텐츠별 이용허락의 범위와 내용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Copyright law continues to change its content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ies, which have also been changing the form of use of works protected by copyright law. This is results from the digital transformation; most of the content including copyrighted works are changed into digital forms. Just as the Printing Revolution in the past brought the era of reproduction, it leads to the era of transition to the ‘Digital’ Revolution. As one of phenomena of transformation, the form of using copyrighted works is changing from downloading for the long-term use to streaming for temporary use. Of course, while digitized works are mainly used online rather than offline, the current copyright law has a large number of provisions based on the traditional/classical use of works. Copyright infringement in online space can bring more complex problems than expec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Despite the new technologies used in the online space, our copyright law does not provide an appropriate answer to whether the use of copyrighted works constitutes an infringement or whether the interests of copyright holders and users are reasonably balanced. There is a gap between reality and law, where various uses of digitized works matter, and this paper will look at copyright limitations in consideration of using digital content, which has become common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Korean Copyright Act basically stipulates the rights conferred on copyright holders, while exercising those rights of copyright holders is restricted for securing rights of users who use works. The history of copyright law is nothing but a history of constant tug-of-war between rights holders and users, and we should examine whether the current copyright limiations are undertaking appropriate functions in the digital era for the purpose of balancing between rights holders and users. Although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limitations for the public interest and limitations for user convenience (private interest), the purpose of the user convenience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promote access and use of works and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reviewing fair use (Article 35-5 of the Copyright Act), copyright law is ultimately characterized as a law for cultural development, and it is on its way to adapt itself to the rapidly changed environment of content consumption in respons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Rather than simply adjusting profits on the premise of the conventional confrontation structure of ‘rightsholder versus user’,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ubjects surrounding the efficient use of digital works is well understood and controlled. In the reality in which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is increasing when using digital works, copyright limitations do not seem to balance users and rightsholders. Ultimately, when digital content users use works, it will be necessary for copyright limitations to make clear the scope and contents of practically permissible use in more details.

      • KCI등재

        교사의 행위적 절단을 통해 바라본 어린이의 배움 탐구: 차이 생성의 배움으로 나아가기

        김건희(Gunhee Kim),박선영(Seonyoung Park),정혜영(Hyeyoung Jung)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4

        본고는 교사의 행위적 절단을 통하여 어린이의 배움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시간, 공간, 물질 등이 복잡하게 뒤얽혀 있는 어린이의 배움에 다가서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행위적 절단’을 통한 임의적 분리를 시도하였다. 연구자들이 연구문제에 응답하기 위하여 불러일으켰던 과거의 기억, 서로에게 귀 기울이는 태도, 주고받은 텍스트 등 모든 요소와의 배치 속에서 그 감응의 강도가 정해졌으며, 연구자들의 절단들(cuts)은 ‘어린이의 욕망으로부터 시작되는 배움 생성’, ‘창발하는 어린이 문화와 배움 생성’, 그리고 ‘세계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배움 생성’으로 배치되었다. 이러한 행위적 절단들의 배치를 중심으로 논의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는 이전에 없는 방식으로 새롭게 세계의 물질들과 만나고 반응하며, 스스로 차이를 생성해 나가며 배운다. 둘째, 매 순간 차이를 생성하며 새롭게 배워나가는 어린이의 불확정적인 배움에 다가서기 위하여, 교사는 행위적 절단을 통하여 어린이 세계에 참여하고 교육행위를 실천한다. 이러한 교사의 실천행위는 얽힌 현상들에 대한 윤리적 요청에 응답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끝없이 차이를 생성하는 배움의 실재에 다가서기 위하여, 행위적 절단을 통하여 그 현상 내부에 한발 다가섰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차이를 생성하는 배움과 가르침의 경계를 횡단하며 그 관계로부터 창발하는 새로운 재배치는 현장 교사교육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explored children's learning through the agential cuts of teachers. In order to approach the learning of children who are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time, space, and materials, researchers attempted arbitrary separation through ‘agential cuts.’ The intensity of the affect was determined in the assemblage of all elements, including past memories, attitudes of listening to each other, and texts exchanged by researchers to respond to research questions. And the researchers' cuts were placed as “learning that starts from children's desires”, “emerging children’s culture and learning”, and “learning as a response to the world”. The discussion focusing on the assemblage of these agential cuts is as follows. First, children learn by encountering and reacting with the world's materials in a way that has never been done before, and by producing differentiation on their own. Second, teachers participate in the children's world and practice pedagogical actions through agential cuts to reach the uncertain learning of children who learn anew by creating differentiation every moment. These teachers' praxis can be seen as responding to ethical requests for entangled phenomen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taken a step inside the phenomenon through agential cuts to approach the reality of learning that endlessly creates differentiation. It also show the new relocation that emerges from the relationship by crossing the boundaries of learning and teaching that creates difference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early child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