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920~30년대 한국 주택정원 인식과 정원가꾸기 양상

        길지혜,박희성,Gil, Jihye,Park, Hee-Soung 한국조경학회 2022 韓國造景學會誌 Vol.50 No.2

        The 1920s and 1930s were when new trends became prominent in Korean housing architecture. This study began with a curiosity about the appearance of residential garden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hen housing types were changing. Since gardens are constantly evolving and living spaces, it is not easy to give a clear picture of their evolution. However, through popular magazines an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the 1920-30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eople perceived the gardens socially and how they engaged in gardening. First, the study of Gyeongseong's urbanization process revealed that people perceived gardens as a way to give natural beauty to the urban environment. Therefore, the creation of a residential garden was strongly encouraged. Second, the housing improvement movement, which the architects actively discussed during this period, emphasized that a garden is a factor that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erms of hygiene and landscape aesthetics. Third, since the media provided information on garden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eople engaged in gardening as a hobby increased. As designers and gardeners who had received a modern education became more active, the concept of "designed gardens" was formed. Lastly, although the houses were divided into various types, the shapes of the garden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rchitecture type. They tended to embrace the time's ideal garden design and style. Therefore, even in a traditional hanok, Western-style gardens were naturally harmonized into the overall architecture, and exotic plant species could be found. Although the gardens found in media images were limited to those belonging to the homes of the intelligentsia, it can be seen that representativeness was secured, considering the popularity and ripple effect of the media.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as it confirmed the ideal gardens and gardening methods in the 1920s and 30s.

      • KCI우수등재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 분석

        길지혜,박희성,박재민,Gil, Ji-Hye,Park, Hee-Soung,Park, Jae-M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2005년 도시공원법 개정 이후 국내에는 역사유산의 보전은 물론 도시민의 휴식과 교육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역사공원이 등장하였다. 이제는 역사공원의 운영 실태를 통해 국내 역사공원의 특성을 알고 그에 따른 제도적 보완을 모색할 때이다. 본 연구는 주요 국가의 역사공원 제도의 특성과 국내 역사공원의 지정 및 조성 경향을 분석하여 역사공원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하되, 역사공원 현황과 조성 과정을 관계 공무원과 전문가에게 전화 및 이메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역사자원은 주로 조선시대 유적에 집중되어 있지만 인물, 사건, 장소 등의 유산도 포함되며 근대기 유산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역사공원은 기존도시와 신도시, 대도시와 지방도시 사이에 차이가 있으며 지방도시는 최근 경제 활성화와 정체성 강화를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역사공원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원의 종류를 역사공원으로 변경한 경우, 기존 기능과 일부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국내 역사공원은 역사유산공원, 역사기념공원, 역사주제공원과 역사적공원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부적 유형분류는 향후 역사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전략적 토대가 되며 역사공원의 구체적인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After the revision of the Urban Park Act in 2005, historical parks emerged in Korea to promote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heritage while also offering recreation and education to ordinary citizens. It is now tim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historical parks by examining their current operational conditions, and seek appropriate institutional improvement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parks in various countries, as well as the trends in the designation and development of domestic historical park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role of historical parks, and seeks a direction for future action. Through it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historical parks through cooperation with relevant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despite historical resources being concentrated in sites dating to the Joseon Dynasty, they also include heritage pertaining to persons, events, and places. There is also a trend toward increasing the focus on modern heritage. Historical parks show differences across existing cities and new towns, as well as between major cities and provincial cities. Provincial cities showed a recent trend of using historical parks as important resources for strengthening their economics and solidifying their identities. Al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designated category for a park is changed to a historical park. In such cases, there may be a problem where certain functions of the park run into conflict. Domestic historical park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heritage parks, memorial parks, historical theme parks, and historic parks. Such detailed classification schemes may serve as the strategic foundation for later conservation and usage of historical heritage, as well as a standard for suggesting concrete direction in the operation of historical parks.

      • KCI우수등재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길지혜,박희성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preservation of urban public parks with a focus on the international movement to acknowledge and preserve the heritage value of urban parks. First, the background in which the concept of "historic urban park" first appeared internationally,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were investigated. Then, the cases of the United Kingdom (UK), the United States (US), and Japan, all of which are already preserving and managing urban public parks, were analyzed. In the ICOMOS-IFLA Document on Historic Urban Public Parks,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ICOMOS), which is a group of specialists dedicated to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men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ocial, intangible, aesthetic, ecological, and civic values of historic urban public parks. In addition, according to ICOMOS, it is necessary to preserve elements of parks, such as space composition, topography, light, and environment. The UK, the USA, and Japan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for the background of preserving urban parks, the preservation system, the selection of parks to be preserved, and the elements to be preserved within the park. The UK has categorized parks into certain types from each period and has tried to preserve the common elements in each type. The US has selected the parks to preserve by determining the meaning of the parks itself considering multiple aspects, embracing not only the physical form of the parks, but also the culture, monumentality, and social values. Recently, Japan began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as a matter of policy and started to implement a preservation policy by investigating modern parks that are believed to be worth preserving. Specialists in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have argued that the method of preserv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must differ from that of other parks or gardens. Nonetheless, observing cases in these three countrie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ir administrative and legal systems regarding cultural heritage and urban public parks, their policies were still limited to preserving only the physical elements of parks. The direction and methodology for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must be developed further and elaborated upon in terms of the evolving concept and definition of heritage. Urban parks are where various historic values are accumulated, connoting historical meanings dealing with the memories of the parks and the urban dwellers. This study found that, worldwide, park management has been carried out in a way that the historic values of parks are respected and preserved. This global trend in preserving the historic values of urban public park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urban public parks in Korea that are being formed and renewed repeatedly.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도시공원의 유산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하려는 움직임에 주목하여 국제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도시공원의 보존 동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국제적으로 ‘역사적 도시공원’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추진상황을 확인하고, 도시공원의 보존과 관리를 이미 수행하는 영국, 미국,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문화유산의 보전․관리를 중시하는 국제 전문가집단인 ICOMOS에서는 최근 ICOMOS-IFLA 문서를 통해, 역사적 도시공원의 사회적․무형적 가치, 심미적 가치, 생태적 가치, 시민 사회적 가치를 지속하고, 공간 구성, 지형, 빛, 환경과 같은 공원 요소를 보존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국과 미국, 일본은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동향이 나타나게 된 배경, 실제 보존 체계, 보존 대상으로 고려하는 도시공원, 공원 내 보존 요소에 저마다의 특성이 있다. 영국은 시기별로 나타나는 공원의 디자인을 존중하고, 각 시기를 대표하는 공원의 형태 요소를 보존하고자 한다. 미국은 공원의 의미를 물리적 형태뿐 아니라, 문화, 기념성, 사회적 가치 등 다양한 각도에서 파악하여 보존할 공원을 선정하고 관리한다. 일본은 보존 가치가 있는 근대공원을 조사해 선별하고, 공원의 보존 관리를 정책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역사적 도시공원의 보존은 기존 정원이나 공원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각국 사례를 보면 아직은 문화유산과 도시공원을 다루는 행정과 법제에 따라 물리적 요소를 보존하는데 다소 한정되어 있었다. 변화하는 유산의 개념과 정의의 맥락에서 도시공원의 보존 기준과 방법 또한 발전하고 정교해질 것이다. 도시공원은 역사적으로 여러 가치가 축적된 공간이며, 공원과 도시민의 기억에 많은 역사적 의미를 내재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이러한 공원의 역사적 가치를 존중하고 보존하는 방향으로 관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시공원의 가치를 보존하고자 하는 국제 동향은 운영과 관리 문제에 직면한 우리의 도시공원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후보

        단일과제와 이중과제 보행조건에서 피로유발이 젊은 성인들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길지혜,심재훈 한국신경근육물리치료학회(구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 2019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Vol.9 No.1

        Muscle fatigue and dual-task walking were associated with risk of falls in young adul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cle fatigue on gait parameters under single and dual-task walking conditions in young adults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dual-task on walking. Forty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20 dual-task walking group and 20 single-task walking group. Gait parameters and cognitive function were measured in the single- and dual-task walking conditions. Participants are performed the fatigue task in lower limbs. The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fatigue task in each group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and the changes between single- and dual-task walking groups were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t-test. After fatigue task, subjects of the single-task walking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all gait parameters (p<.05), except cadence and single limb support, whereas subjects of the dual-task walking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tep length and double limb support (p<.05). Furthermore,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ask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ide length, step length, and double limb support between the groups (p<.05). The findings suggest that muscular fatigue deteriorated gait parameters under the single- and dual-task walking conditio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1920~30년대 한국 주택정원 인식과 정원가꾸기 양상

        길지혜,박희성 한국조경학회 2022 韓國造景學會誌 Vol.50 No.2

        1920~30년대는 한국 주택환경에 새로운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시기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주거 형태와 유형이 변화하던 전환기 시기에 주택의 정원은 어떤 모습이었을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정원은 계속 변화하는 대상이기에 과거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지만, 1920~30년대에 발행된 대중잡지와 신문기사를 통해 당시 사회적으로 주택에서 정원이 어떻게 인식되었고, 거주자는 어떤 배경과 목적으로 정원 가꾸기를 실천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를 통해, 첫째, 경성에 인구가 밀집하기 시작한 도시화 과정에서 정원은 도시에 자연미를 부여하는 방안 중 하나로 주목하게 되었고, 주택마다 정원을 만드는 것을 장려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 분야에서 활발히 추진된 주택개량운동에서도 정원이 위생과 경관 측면에서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셋째, 매체를 통해 원예 관련 정보가 활발히 제공된 데서 미루어 취미로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근대 교육을 받은 정원설계가, 원예가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디자인된 정원’이라는 개념이 형성되게 되었다. 끝으로, 주택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었으나 정원 형태는 건축 유형별로 차이가 있기보다는 그 시기 가장 좋게 여겨졌던 형태를 빠르게 도입하는 편이었다. 전통한옥에서도 서양식 정원 형태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배치되며, 이국적 식물종을 식재에 적극 활용하기도 했다. 대중잡지나 기사에 수록된 정원이 지식인층에 한정되어 있지만, 매체의 대중성과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일면의 대표성을 확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1920~30년대 이상적으로 생각하였던 정원의 모습, 주거생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옛글을 통한 한양도성 연지(蓮池) 일대의 문화경관 고찰

        길지혜 ( Ji Hye Gil ),손용훈 ( Yong Hoon Son ),황기원 ( Kee Won Hwa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한양도성의 연지인 동지, 서지, 남지 관련 옛글을 통해 연지에서의 개인의 행태와 감흥을 준 경관적 특성을 고찰해당대의 문화경관으로서 연지의 가치를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각 연지의 경관을 묘사하고 있는 시문, 일기문, 기문 등의 옛글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 연지 모두 연꽃, 버드나무, 연못의 물을 아름다운 경관요소로 꼽고 있다. 둘째, 지역적으로 동지가 자연적 경관으로 인식되었다면, 서지는 자연적 경관과 도시적 경관으로, 남지는 도시적 경관으로의 성격이 강했다. 셋째, 이용행태 측면에서 동지가 이동 중 잠시 들리거나 멀리 조망하는 방식이었다면, 서지는 천연정 누정에서 긴 시간을 체류하며 다양한 행태가 이루어졌다. 남지는 임시로 장막을 편 곳이나 인접한 지인의 저택에서 모임을 가졌고, 번화한 주변 환경으로 인해 밤 시간이 연지를 즐기기 가장좋은 시간이었다. 넷째, 세 연지가 한양도성과 인접하기에 주변 경관에서 성곽을 인상적으로 묘사하는 글이 많았다. 다섯째, 연지는 주변 환경과 통합적으로 체험되어 넓은 수공간과 자연을 함께 누릴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 역할을 했다. 한양도성의 연지는 도성의 연접부에 위치해 도시의 문화적 기능을 보완하고, 오픈스페이스로서의 가치가 높으며 한양 고유의 경관을 체험할 수 있는 장소였다. 현재 이들 연지는 사라졌지만 고도의 수경관으로서 많은 의미와 잠재적 가치를 담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Dongji(東池), Seoji(西池) and Namji(南池), the lotus ponds of Fortress Wall of Seoul as part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period through a consideration of personal behavior and impressive landscape characteristics via various old writings on each pond. The objects of this study include poems, diaries, travelogues and essays describing these po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ferred landscape elements of these three ponds were lotuses, willows and water itself. Second, while Dongji was recognized as a natural landscape, the composition of Seoji was a mixture of with natural and urban landscapes, and Namji was more urban altogether. Third, in aspects of personal behavior, while Dongji was a place where people broke their journeys to gaze at the scenery or looked down distantly, in Seoji, people stayed for a long time in a pavilion called Cheonyeon-jeong(天然亭) and engaged in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in Namji, there were many gatherings under a temporary shelter or at a friend``s house near the pond. Night was the best time to enjoy Namji because during the day, the area was crowded with people, horses, carts and so on. Fourth, the landscapes of fortress walls were impressively described often. Fifth, because these ponds were integrated into the surrounding area, they were like public openspaces mixed with water spaces, natural environment and adjacent facilities. The lotus ponds of the Fortress Wall of Seoul were located in a place connecting inside and outside of fortress, supplemented the cultural features in city, were valued as public openspace, and made it possible to experience the unique landscape of Hanyang. Although these ponds were buried and have now disappeared, they still hold great cultural meaning and potential value as water landscapes of the old city.

      • KCI등재

        조선시대 한양도성 연지(蓮池)의 입지 및 공간적 특성 고찰

        길지혜 ( Ji Hye Gil ),손용훈 ( Yong Hoon Son ),황기원 ( Kee Won Hwa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4

        고지도를 보면 한양에 동지, 서지, 남지 등 큰 연못이 표기되었는데, 이는 궁궐이나 공해시설, 일반 민간 저택 내 원지들과는 달리 국가 소유의 필지였으나 공공에게 개방된 연못이었다. 동지, 서지, 남지는 한양도성과 연결된 연지로, 본 연구는 여러지도 및 도면 자료와 회화 자료, 고문헌, 문학작품을 수집해 종합 분석하여 물리적 차원에서의 연지의 조영 경위와 이후의 운영상황, 연지의 입지 및 공간 특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첫째, 서지와 남지는 비보, 명당수 확보, 화기 진압, 방화수, 수경시설로의 목적 하에 조영되었고 동지는 비보, 명당수 확보 외에도 수구막이로서의 기능이 중시되었다. 둘째, 주변 지형과 연지의 수원을 보았을 때 서지는 계류와, 동지, 남지는 구거와 연결되어 연못의 수량 확보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서지와 남지는 도시지역에, 동지는 전원지역에 위치하였는데 이 같은 입지적 특성은 연지를 이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연지의 형태는 모서리가 둥근 방형이나 자유로운 형상으로 궁궐이나 공해시설의 원지와 구분된다. 다섯째, 연지는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통해서만 유지될 수 있었고, 조선시대 매몰과 수축의 과정이 반복되었다. 길게는 오백 년 이상 동안 유지되었던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연지들은 개국 초기에는 비보풍수적 의미가 강조되면서 조성되었지만, 점차 도시에서 넓은 수공간이라는 공공 오픈스페이스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거주민과 행락객들이 애착을 갖는 문화공간으로 운영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maps of the period, there were three large ponds called Dongji(東池), Seoji(西池) and Namji(南池) in Hanyang, the capital of Joseon Dynasty. They were different than the ponds found in the palace, civic buildings, and private dwellings. Dongji, Seoji and Namji were ponds relating to Fortress wall of Seoul, and all had lotuses cultivated in th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ocati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se ponds and to detail th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process and management conditions through maps, drawings, illustrations, historical records and literary works from the urban environmental perspect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oji and Namji were intended for Bibo(裨補) which redeemed the geographical weaknesses of Hanyang, securement of bright court water(明堂水), supplement for fire energy(火氣), fire preventive water and waterscape facilities, while Dongji was emphasized on protecting water mouth(水口) besides Bibo and securement of bright court water. Second, Seoji was connected to mountain streams and Dongji and Namji were to ditches. The ponds connected to ditches had been difficult to fill and maintain. Third, Seoji and Namji were in urban areas, whereas Dongji was in farmlands, and these locational differences had an influence on the use of ponds. Fourth, the shapes of ponds, in contrast to the ponds in palace and civic buildings, which were perfectly square, were either freeform or square with rounded edges. Fifth, lotus ponds could be maintained by continuous management polices, earth filling and reconstructing process were rep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lotus ponds of Fortress Wall of Seoul which had managed over 500 years, were built in, in accordance with the tenets of Bibo pungsu geomancy; however as time passed, they were maintained not only as public open spaces, but also a cultural attraction for residents and visitors.

      • KCI등재

        미국과 한국 수수종의 농업적 형질 특성

        성은수,현영,이기혜,유지혜,김철중,최재후,김남준,김희영,김창흠,유창연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7 No.3

        1. 국내에서 수집한 수수의 성숙기 간장이 250 cm 이상되는자원은 5 종으로 전체 62 수집종의 8.1 %를 차지하였다. 2. 수형 특성 조사에서는 3개 분얼수를 가지는 자원은 전체수집종의 56.6%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평균 분얼수는 3개 인것으로 나타났다. 3. 잎의 특성조사에서 엽장이 90 cm 이상되는 자원은 14.5%로 분류되었다. 4. 분얼형에 있어서는 반밀수타원형이 전체 수수 수집종의32.3%를 차지하였다. 5. 전체 수집종 수장의 평균값은 29.2 cm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superior line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morphological 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orghum bicolor collected from the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The selection of superior baselines was made by comparing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tiller number, ear type, ear length, ear wid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vein color. On average, five accession lines (09-SB-010, 09-SB-020, 09-SB-025, 09-SB-027, 09-SB-056) among of collections for South Korea were showed more than 250 cm in plant height. Two accession lines (09-SB-006, 09-SB 048) exhibited above 4 cm stem diameter. In terms of tiller number, 56.6 % of collected accessions revealed possessed three tillers. In this result, about 14.5 % of collected accessions showed leaf length of above 90 cm and leaf width more than 10 cm. The colors of all leaves were white. The semi-compact elliptical ear type constituted to 32.3% among the 62 accessions collected in South Korea. The mean ear length value of the collected accessions appeared to be 29.2 cm. The sample collected from United States (09-SB 104) was selected as an excellent line by checking the plant height (419 ± 10.1 cm). This report displayed that crop characteristics of S. bicolor have a significant morphological and agronomic differences which could be useful for plant breeding program and genetic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