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취정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기희경 ( Kee Hee-kyung ),전중원 ( Jeon Joong-won ),김정섭 ( Kim Jung-sub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지각하는 성취정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조절초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및 경남 지역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의 재학생 630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활용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모형의 구조적 분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SPSS 23.0과 Amos 20.0을 통해 구조 방정식의 2단계 접근법에 기초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 변인들이 잠재 변인으로 적절히 구인하는지 알아보고, 이후 연구모형 전체의 적합도 및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정서, 조절초점과 학교생활적응의 변인은 구조적 관계를 보이는데 타당한 변인들임을 확인했다. 둘째, 긍정정서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향상초점을 통해 매개효과를 보인 반면 부정정서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예방초점을 통해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 초등 고학년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긍정정서를 많이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고 향상초점도 높여 주는 것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gulatory focus between the achievement emo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among the upp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argeting from 6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 By means of the two-step approach of the structural equation through SPSS 23.0 and Amos 20.0,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ment variables adequately identified the potential variables and to verify the suitability and significance of the path throughout the subsequent study model.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analyz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emotion, regulatory focus and school life adaptation showed significant variables. Second, the positive emotion had a direc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n promotion focus as a mediator influenced, on the other hand, prevention focus did not.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vital for the senio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 for better school life adaptation. Then, it is also crucial to foster a motivational strategy of the promotion focus. Based on thi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조절초점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 효과: 경찰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기희경(Kee, Hee-Kyung),윤채영(Yun, Chae-Young),김정섭(Kim, Jung-Sub)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1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경찰학과 대학생이 지각하는 조절초점과 자기조절학습, 진로탐색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Klehe와 Van Hooft(2018)의 모형을 기반으로 검증하고, 조절초점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 울산지역 7개 경찰학과 재학생 420명이었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81명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4.0 과 AMOS 22.0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절초점의 하위요인인 향상초점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조절학습을 매개로 간접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조절학습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조절초점의 하위요인인 예방초점은 진로탐색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및 논의: 이 연구결과에서 경찰학과 대학생들이 안전 지향적 예방초점보다는 성장 지향적 향상초점을 가지는 것이 진로탐색행동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찰학과 대학생들이 가지는 향상초점은 자기조절학습을 향상시켜 진로탐색행동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structural relationship based on the model of Klehe and Van Hooft(2018) among regulatory focus, self-regulated learn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the regulatory focu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college/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olice administration. Method: Subjects were initially 420 students majoring in police administration from seven colleges/universities in the Busan, Gyeongnam and Ulsan area and a total of 381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24.0 and AMOS 22.0 were analy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regulatory focus, self-regulated learn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romotion focus directly affecte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indirectly affected when self-regulated learning acted as a mediator. It was shown that self-regulated learning had an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n, prevention focus did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exploratio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college/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olice administration need to foster promotion focus with a growth-oriented perspective rather than prevention focus with a safe-oriented perspective when executi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romotion focu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ntributed to furthe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s of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based on this result.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 사안 처리 경험에 따른 책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조절초점

        기희경 ( Kee Hee-kyung ) 미래융합통섭학회 2023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6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학교폭력 사안 처리 경험이 책임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동기적 신념인 조절초점의 각 요소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SPSS(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사 219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교급에 따라 초등학교 책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향상초점은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교폭력 책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데 동기적 조절 기제인 향상초점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므로 이를 활용한 예방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school violence handling experiences affect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in-charge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teachers’ burnout. Method A total of 219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ver.23.0) program. Result First,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the largest. Second, the promotion focu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Conclusion The promotion focus, a motivational control mechanism, is vital in lowering in-charge teachers’ burnout. Preventive intervention measures are suggested.

      • KCI등재

        한국판 초등학생용 조절초점 척도 타당화 연구

        전중원 ( Jeon¸ Joong-won ),기희경 ( Kee¸ Hee-kyung ),김정섭 ( Kim¸ Jung-sub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Higgins, Friedman, Harlow, Idson, Ayduk과 Taylor(2001)가 개발한 조절초점 검사도구(Regulatory Focus Scale; RFS)를 한국판 초등학생용 조절초점 검사도구로 타당화 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부산 및 경남 지역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재학생 7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하여 665명의 유의미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참여를 통해 감수 및 문항을 번역하였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초등학생용 조절초점 검사는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절초점 척도의 모형 적합도 지수는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본 척도의 구성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넷째, 조절초점과 성취동기, 행동활성화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조절초점은 성취동기, 행동활성화와 유의미한 정적·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척도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검사 및 재검사를 통해 타당화된 조절초점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양호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판 초등학생용 조절초점 검사 도구가 학업 및 진로에 관한 조절전략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동기 조절 전략을 다르게 사용하는 초등학생의 특성을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and verify the Regulatory Focus Scale (RFS) developed by Higgins, Friedman, Harlow, Idson, Ayduk, and Taylor(2001)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inal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argeting 66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question items were examined and translated by professionals. Then, the content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a pilot test among elementary students. Second, by the mean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FS consisted of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Thir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fit index of the RFS was shown to be at an appropriate level,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reaffirm the construct validity of scale. Fourth, the RF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two concepts in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RF, AM and BAS. Based on this,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related to the criteria of these scales were confirmed. Finally, after executing test-re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RFS was goo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RF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e regulatory strategies in academic and career path.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utilize motivation regulation strategies differently.

      • KCI우수등재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잠재계층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윤채영(Yun, Chae young),기희경(Kee, Hee kyung),강승희(Kang, Seung hee)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잠재계층의 전이양상과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005 7~9차년도 대학생 1,422명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계층분석, 잠재전이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학업성취도의 잠재계층은 최종적으로 상, 중, 하 3개 집단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학업성취 잠재계층의 종단적 전이양상을 알아보고자 잠재전이분석을 한 결과, 학업성취도 상 집단과 중 집단의 경우 약 90% 이상 안정성을 유지했으며, 하 집단의 약 60% 이상이 중 집단 이상으로 전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도 집단에 따른 학업성취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9차년도 대학교 4학년 시점에서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 상 수준집단과 중 수준집단을 구분하는 영향요인은 대학소속감, 대학적응, 대학풍토였으며, 학업성취 중 수준집단과 하 수준집단에는 대학적응이 예측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지만, 잠재계층에 따라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차별화된 교육지원 마련이 필요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sing the 7th to 9th year panel dataset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2005 an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latent classes analysi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of 1,42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ere three groups: upper, middle, and lower. Second, the results of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hange and stability of academic achievement remained more than 90% in the group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iddle group, and more than 60% of the lower group were transferred to more than the middle group.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group at the 9th year, senior in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college belonging, college adaptation, and college climate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igh level group and middle level group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adaptation had predictive effects in the middle level group and the low level group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college students is improved steadily as the grade increases,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other educa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potential group to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