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구 온난화의 영향에 관한 지리과 교수-학습 내용 구성방안

        기근도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8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8 No.2

        기후변화는 전 세계 각 지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범인류적 당면 문제이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지구 변화에 대한 범국가적․국가적․지역적․개인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에서도 적절한 대응이 절실하다. 이른바 대중들을 위한 과학적 소양 교육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지구환경 시스템 내에서 지구환경 구성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이나 지역 간 상호작용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과 교수-학습 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지구 온난화에 민감한 극지와 적도 지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의 증거가 되는 사실들을 제시하여 지구환경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맥락적 이해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범교과적으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기후변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리 교과적 측면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교수-학습 내용에 있어서 다른 교과와 차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앞으로도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 결과물들은 더욱 많이 제공될 것이기 때문에 기후변화와 관련된 학교교육 내용에 관한 교과별 교수-학습 자료는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리교육적 주제로서의 자연재해

        기근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natural hazards as a geographic educational topic, and to extract and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natural hazards educational contents of geography textbooks in the context of disaster risk reduction. To this end, we analyzed the natural hazards-related contents covered in the geography textbook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natural hazard education content in geography education for the past 70 years has focused on vulnerability-centered response and recovery. In order to move beyond this and move toward disaster risk reduction, a conceptual shift towards resilience is required.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accurately convey the concept of natural hazards, pedagogical interest in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al hazard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al hazards and human activities is required. Fin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azard hot spot, examples are presented from a global to metropolitan area perspective. 이연구의목적은자연재해가지리교육적주제로서타당한가를검토하고, 재난위험경감의맥락에서지리교과서의자연재해교육내용이지니는한계점을추출하여개선하는데에있다. 이를위하여제1차교육과정에서부터2015개정교육과정에이르기까지지리교과서에서다루고있는자연재해관련내용을분석하였다. 그결과지난70여년동안지리교육에있어서자연재해교육내용은취약성중심의대응및복구에초점이맞춰져있었다. 이를벗어나재난위험경감으로나아가기위해서는회복탄력성중심으로의개념전환이요구된다. 또한, 자연재해개념을더욱정확하게전달하기위해서는자연재해간의상호작용및자연재해와인간활동간의상호작용에대한교수학적관심이필요하다. 마지막으로재해집중발생지역의개념이해를위해세계적시야로부터 국가 규모 및 대도시 규모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리산인문학의 인문지리학 연구 성과와 전망

        기근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6 南道文化硏究 Vol.0 No.31

        본고는 지리학에 있어서 지리산지에 대한 연구동향과 인문지리학 연구 성과와 전망을 검토한 것이다. 우선 이러한 검토를 위하여 지리산지에 대한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 연구동향을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특히 인문지리학 연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 하다. 인문지리학 연구는 크게 역사지리, 문화지리, 전통지리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 다. 역사지리 연구는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이르는 시기에 지리산지의 농업과 촌락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고찰이 있었으며, 문화지리 연구는 신문화지리학적 관점에서 지리산 을 유토피아에서 국립공원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통해 지리산을 텍스트로 한 경관 읽기를 시도한 것이었다. 지리산인문학 연구에 있어서 인문지리학 연구의 대표적인 성과는 전통지리 측면에서 의 연구이다. 그 연구 내용은 ‘지리산 문화경관의 정체성과 세계유산적 가치’, ‘한국인의 이상향 청학동’ ‘지리산 풍수의 문화생태학적 접근’, ‘산지(山誌)의 개념 정립과 두류전 지의 현대적 해석’,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생활사’, ‘지리산과 한라산 명산문화 비교’ 등에 대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문지리학 연구는 ‘산의 인문학’이 정립되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초석이 되었으며, ‘산학(山學)’을 담론의 장으로 등장시키게 되었다는 데에 기여한 바가 크다. 지리산은 한국을 대표하는 ‘사람의 산’이요, ‘산학’의 산실이다. ‘사람의 산’, ‘산의 인문학’을 구체화하는 데 있어서 학제 간은 물론이며, 지리학 내에서도 보다 많은 자연지리학과의 융합적 연구 및 토론이 요구된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look at the significance and contribution of human geography by summarizing and analyzing the accomplishments and achievements of the work of the Institute of Mt. Jiri cultural studies for the past 10 years. For this reason, we have collected research data on geography studies. In this paper, I present the meaning of the academic achievement by extracting the topic of major achievement through various activities, books, and 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agenda. Finally, I have searched for limitation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study of human geography. This summarizes the main themes of human geography studies of Mt. Jiri: ‘the identity of the Mt. Jiri cultural landscape and the world heritage value of Mt. Jiri’, ‘the Korean Cheonghak-dong utopia’, the ‘approach to cultural ecology of Mt. Jiri feng shui’, the ‘mountain topography’, and ‘modern interpretation of Dureyjeonji’, ‘the residents life history through the premodern travel records of Mt. Jiri’, and the ‘comparison of Mt. Jirisan and Mt. Halla’, etc. Mt. Jiri is different from the mountains of the high and rugged barracks of the Himalayas. The Alps are only a spectacle to be seen from afar because they are in the realm of God or the domain of the exploration of Alpinism. On the other hand, Mt. Jiri is a “people’s mountain”. At this point, it becomes clear that Mt. Jiri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human geography research. I think the reason is because Mt. Jiri is a mountain of soil. Mt. Jiri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warm Korean peninsula. It is a mountain made up of numerous peaks and valleys. Because it is a mountain, it has a diverse and abundant ecological environment compared to a mountain like Seoraksan. The abundant ecological environment of Jirisan is the source of the concept of the “abundant ‘people’s mountain’ ”, which can bear wind, clouds, rain, snow, grass, trees, worms, livestock, and humans. Although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Jirisan are pointed out in the study of human geography in the Mt. Jiri humanitie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link between nature and culture: human geographical discussion cannot be done deeply. In the last 10 years, the human geography research of Mt. Jiri became the foundation and cornerstone of the ‘humanities of the mountains’. The ‘mountain studies’ contributed greatly to bringing the “humanities of the mountains” to the field of discourse. In order to further activate this research climate, convergence research and discussion among the those studying multiple disciplines should make geography more concrete.

      • KCI등재

        남해도의 지역지리

        기근도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3

        Namhae Island is the 4th largest island in Korea. Since the island is originally isolated by sea, the uniqu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is relatively well preserved. Because Namhae Island is a large island, it has higher self-sufficiency than other small islands, but it is unfavorable place to settle down because it is mostly mountainous. Namhae Island, which has such regional characteristics, has undergone a lot of changes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s such as Namhae Bridge and Changseon Bridg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mhae Island, focusing on the place, the resident’s life and the change with unique landscap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een only in Namhae Island. Representative sites include the Ji-jok Strait, the Mulgun coastal village foreast, the Angang Bay and Kangjin Bay, the Sangju sand beach, and the Gachon Darangyi village. In order to preserve these unique places and resident’s lives in Namhae Isla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are making efforts in various angles, but their original features are being faded one by one. 남해도는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큰 섬이다. 섬이란 원래 육지와 바다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독특한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남아 있는 곳이다. 남해도가 규모가 큰 섬이기 때문에 다른 작은 섬에 비해서는 자족력이 높겠지만, 산지가 대부분이어서 정주하기에는 불리한 공간이다. 이러한 지역성을 지닌 남해도는 남해대교나 창선대교와 같은 교량이 건설되어 연육화된 이후로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남해도에서만 볼 수 있는 고유한 경관적 특색을 지닌 장소와 주민생활 및 그 변화에 초점을 두어 남해도의 지역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 대표적 장소로는 지족해협, 물건 어부림, 앵강만과 강진만, 상주 해수욕장, 가천 다랭이논 등이다. 이러한 남해도 고유의 장소와 주민생활 모습들을 지키기 위해 지자체와 현지 주민들은 다양한 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 본래의 모습들은 하나둘씩 퇴색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 KCI등재

        지리교육을 위한 아이슬란드 자연지리

        기근도 한국지리학회 2023 한국지리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는 자연지리를 바탕으로 한 지리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지형형성작용의 기본 원리가 어떻게 제시되고 기술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내적 작용과 외적 작용 및 상호 작용을 효율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대상 지역을 지구적 시야에서 검토하였다. 대상 지역은 아이슬란드를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아이슬란드는 판구조론적 관점에서 지구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기후적·지질적·지형적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현장이기 때문이다. 지구시스템은 암석권-기권·수권-생물권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위치-기후-지질-지형-식생 간의 상호 관련성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지리 내용 학습이 지리교육에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수학습자료는 특히 수리적·지리적 위치와 기후 특성과의 관련성, 판구조 상의 위치와 내적 작용과의 관련성, 지형형성작용에 있어서 내적 작용과 외적 작용 간의 상호 작용 등을 이해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