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趙秀三의 紀行詩 硏究

        권효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秋齋 趙秀三(1762-1849)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위항시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비록 중인의 신분으로 태어났지만, 양반 못지 않은 교육을 받고 자랐으며 재능 또한 뛰어났다. 그러나 신분이 가진 한계 때문에 지배층인 양반 사대부를 도와 행정 사무를 담당하는 미관 말직에 평생 머물러야 했다. 그렇지만 생활의 수단이 되는 문학적 교양이나 행정적 실무 능력은 양반에 의해 평가되는 것이므로 그의 의식은 양반층에 소속되어 있었다. 또한 그가 받은 교육이나, 평생의 교유 관계를 통해 볼 때에도 그의 의식에는 사대부적인 것이 지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대부들과의 교유를 통해 그는 자신의 능력이 그들에 비해 뒤지지 않음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현실에서는 양반에 종속되어 그들의 일을 돕는 정도에 그쳐야 했다. 따라서 그는 끊임없이 신분 상승의 욕구를 느끼는 한편 현실에서는 좌절해야 했다. 조수삼은 각 임지에 부임하는 사대부들을 따라 평생동안 전국을 여행하면서 보낸다. 사신을 따라 청나라도 여섯 번이나 오갔다. 그의 이러한 여행 경력은 詩作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가 한 대부분의 여행이 공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는 점과,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北行百絶>이 개인적인 여행에서 나온 작품이란 점에 주목하여 그의 시를 公的인 紀行詩와 私的인 紀行詩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공적인 기행시에서 그는 신분의 제약으로 인해 현실에서 좌절하고, 결국은 체념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준다. 한편으로는 시를 통해 당시의 웬만한 사대부들도 접하기 어려웠던 외국의 다양한 문물을 소개하기도 하고, 각 지방의 역사나 유적에 대한 나름대로의 가치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이러한 시들은 조수삼이 가진 지식이 당시의 지배층인 사대부에 조금도 뒤지지 않음을 보여주며, 지적인 측면에서만이라도 사대부와 동등한 입장에 놓이고 싶어하는 조수삼의 의식을 엿보게 한다. 홍경래의 난을 겪고 난 이후 조수삼은 현실로 눈을 돌려 당시 사회의 부조리한 모습들을 시로 읊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는 공적인 여행을 통해 지은 현실 비판을 담은 시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자세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것은 사대부들에게 얽매여 자신의 직업을 계속 이어가야만 하는 그의 처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여진다. 조수삼은 대개 직업 때문에 여행을 하였지만 개인적인 관심에서 떠난 여행도 몇 번 있었다. 사적인 여행에서 지은 시에서도 조수삼은 자신의 처지에 대한 비탄과 함께 자연으로 은둔하고 싶어하는 심정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초기에 유람의 성격을 지닌 여행에서 지어진 것이며, 그 뒤에 떠난 관북지방으로의 여행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사라진다. 조수삼의 시 가운데 최고로 꼽히는 <北行百絶>은 당시 관북지방의 사회상을 다양하게 잘 표현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그가 관북지방을 여행한 동기가 순전히 그곳의 모습을 직접 체험하고 싶다는 순수한 개인적인 것이었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이미 여러 곳을 여행하여 견문이 상당히 넓혀진 데다 아무 것에도 구속받지 않은 여행이었기에 그는 관북민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그려낼 수 있었다. 그는 관북지방으로의 여행을 통해 자연을 은둔의 대상으로서가 아닌 도전의 대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며, 보다 진솔하게 민족애와 조국애를 드러내었다. 그리고 관북민들의 비참한 생활상을 통해 관리들의 부정을 고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광업이나, 국경 무역 등 당시 사회의 다양한 모습들을 소개하였다. 모순된 현실에 대한 대처가 적극적이지 못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수삼은 당대 위항시인 가운데 당시 농민들의 피폐한 현실을 시로 가장 잘 형상화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조수삼이 이러한 평가를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뛰어난 시적 재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여행을 통해 당대의 사회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체험함으로써 사회 현실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Cho Su-sam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grassroots poets during the late Joseon (or Lee) Dynasty period. Though born with the status of middle class, Cho Su-sam had not less education than the noble-class people and was outstandingly talented. However, the social status system of the Joseon period blocked him from advancing to a prominent office in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Throughout his office, he had to serve the lower rank administrative office that helped the reigning noble class officials and scholars. Cho Su-sam, throughout his life, accompanied noble class people assigned for high-ranking offices in many parts of the country, and journeyed across the country. Accompanying the Dynastys envoys, he traveled to the Qing Dynasty six times. Through these travels, he wrote and handed down many poems. Those poems that he composed during official trips depict his frustration over the reality of his social standing restrained and how he finally came to settle for that reality. Nevertheless, through his poems he could tell of diverse foreign cultures and customs that even noble-class officials and scholars could rarely afford to experience, and offer his own comments on history and heritages of many parts of certain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se poems reveal that Cho Su-sam had not less knowledge than the reigning noble class and that he is perceived to have tried to be on equal footing with the noble high-ranking class people, not to mention the intelligence aspect. After he underwent the uprising of Hong Gyeong-rae, Cho Su-sam turned his eyes to the reality, and started to compose the social absurdities into poems. However, his poems drawing on his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during his official trips, which criticized the reality, did not sufficiently address social problems. He was then in a position to carry on with his occupation being bound by the noble class. Cho Su-sam traveled chiefly due to his occupation, but could make a few unofficial trips. In poems composed during these private trips, he reveals his frank feeling to return to nature agonizing over his status. However, this mood is revealed in his early poems of travel, while it disappears in his later poems of journeys to amgyeongbuk-do (North Hamgyeong Province). Cho Su-sams best poem Northern Region Trip well depicts various social aspects of the North Hamgyeong Province region. He traveled to the region out of his pure personal motivation to have first-hand experience of the customs and living there. As he already widened his experience and knowledge through trips to a number of places and remained free from obligations to perform his duties when he traveled to the region, he could depict the life of North Hamgyeong Province realistically. Though he had limitations in positively coping with the absurd reality, Cho Su-sam is regarded as the best grassroots poet that composed into poetry the reality of then impoverished farmers. This was possible not only thanks to his poetic talent, but to his abundant experience garnered through his long-life journeys. Journey enriched his poetic world, as well as enabled him to watch and judge the social aspects first-hand. His experience was formed into his poetry.

      • 치과 기공사의 피로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권효정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작업시 발생하는 치과기공사의 피로자각증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치과기공사의 작업환경 만족도에 따라 피로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치과기공사의 급여 만족도에 따라 피로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치과기공사의 신체증상경험에 따라 피로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 9월부터 한달간 대구 소재의 치과기공소를 방문하여 약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변량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증상경험이 피로자각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적요인이었으며 작업환경만족도가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부적 요인으로 나타났고, 일일근무시간이 다음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정적 요인이었다. 그 다음으로 피로인지시기가 영향력이 큰 정적 요인이었고, 마지막 업무경력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즉 치과기공사들의 피로자각증상은 업무경력이 길수록, 작업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적게 나타나는 반면, 일일근무시간이 길수록, 피로인지시기가 근무 중일 때, 신체증상경험이 두드러질수록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대체로 소장 및 고 년차의 숙련공 보다 저 년차의 치과기공사들이 많은 피로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나타냈으며 작업환경과 처우 부분에 대해서도 개선점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모든 치과기공사들을 일반화 할 수는 없지만 치과기공사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작업환경의 문제점 등을 개선하는데 좀 더 구체화되어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tigue awareness symptom of dental technicians that occur during working. For the purpose, firs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al technician's work satisfaction on fatigue awareness symptom. Seco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al technician's salary satisfaction on fatigue awareness symptom. Thir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ntal technician's physical symptom experience on fatigue awareness symptom.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bout 300 people by visiting dental laboratories in Daegu for one month from September, 2017. As for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grasp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varianc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symptom experience was the positive factor that has the biggest effect on the fatigue awareness symptom,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the negative factor that has the next-to-biggest effect, and then daily work time was the positive factor that has the next-to-biggest effect. Next, fatigue perception period was the positive factor that has a big effect, and last work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The longer the work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lesser the fatigue awareness symptom of dental technicians, while the longer the daily work time, the more remarkable the physical symptom experience, and while on duty, the more remarkably the fatigue perception period was revealed. This indicates that the early careered dental technicians felt more fatigue than the chief or the multi-year skilled workers, and an improvements should be presented concern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better treatment. This study might be a good guide in more specifically raising the efficiency of dental technicians' work and improving the problem of working environment, though it can not generalize all the dental technicians.

      • Acupuncture for Sequelae of Bell’s Palsy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권효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목적: 본 임상시험은 벨 마비 후유증 환자에 대한 침 치료 효과를 검증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임상시험은 전향적 무작위배정, 평가자-맹검, 대기군-대조군 임상시험으로 진행되었다. 39명의 벨 마비 후유증 피험자들을 침 치료군(n=26) 또는 대기군(n=13)으로 무작위배정하였으며, 모든 피험자들에게는 벨 마비 대한 어떠한 다른 시술을 받지 말도록 하였고, 복용약의 변화가 있을 경우 연구자에 알리도록 하였다. 침 치료는 주 3회 총 8주 동안 시행하였다. 일차평가지표로는 Facial Disability Index (FDI), 이차평가지표로는 House-Brackmann (H-B) 척도, Sunnybrook facial nerve grading systems (SFNG), 장 길이 (LL) 척도와 단 길이 (S) 척도를 포함한 입술 운동력, 안면 경직감 등을 사용하였다. 결과: 침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FDI (social 및 physical-score)와 SFNG 및 안면 경직감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입술 운동력에 있어서 장 길이 척도는 침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임상시험 시작 5주후에 유의한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나, 8주 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입술 운동력 있어서 단 길이 척도는 침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임상시험 시작 5주후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8주후에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침 치료군과 대조군은 H-B 척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침 치료는 벨 마비 후유증 증상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치료방법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Objective. This trial aim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on patients with sequelae of Bell’s palsy. Participations and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assessor-blinded, waiting list–controlled pilot trial was conducted. Thirty-nine eligible participants with sequelae of Bell’s palsy were randomized into either the acupuncture treatment group (N=26) or a waitlisted group (N=13). All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stay away from any other therapeutic care for facial palsy and inform the investigator of any medical changes. Needling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per week for 8 weeks. The primary outcome was facial disability index (FDI). The secondary outcomes included House-Brackmann (H-B) Grade, Sunnybrook facial nerve grading system (SFNG), lip mobility including lip-length (LL) index and snout (S) index, and facial stiffnes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tween-group values of FDI, SFNG and facial stiffness were found. For lip mobility, the LL index of the acupunctur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control group at 5 weeks but no significant change at 8 weeks, while the S index show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at 5 weeks but significant improvement at 8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H-B Grad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Acupuncture is one of the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in alleviating sequelae symptoms of Bell’s palsy patients.

      • 성폭력 가해자에 대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메타분석 연구

        권효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programs on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sex offenders through meta-analysis. Academic and degree papers published by September 2021 were searched and a total of 34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Meta-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pre-post) and the pre-post test control group were performed respectively. The overall effect size of intervention was calculated, and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 program, measurement variable, and intervention target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ta-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pre-po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was medium(g=0.671). The effect siz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and Good Lives model(GLM) commonly used in the treatment of sex offenders were 0.547 and 0.331, respectively.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 for adults(0.672) and juvenile(0.676) was similar. Second, as a result of meta-analysis of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was large(0.919). The effect sizes of Guided Group Interaction(1.965), Art therapy(1.076), and Good Life Model(0.791) were found to be large. 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on self-esteem(1.3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0.907), and sexual response (0.847) were large. The effect size was 0.879 for adults and 1.312 for juvenile, and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found to be greater in juveni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therapy programs for sex offenders are effective in reducing distorted perceptions of sex and in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성폭력 가해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심리치료 프로그램들이 성폭력 가해자의 심리적 변화에 효과적인지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21년 9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검색하였으며, 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총 34편을 분석 논문에 포함되었다.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효과 비교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효과를 구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입의 전반적인 효과 크기 및 개입 프로그램 유형, 측정 변인, 개입 대상 유형에 따라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내 사전-사후 효과를 비교한 결과, 개입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0.671로 중간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범죄자 심리치료 프로그램에 흔히 활용되는 인지행동치료와 좋은 삶 모델은 각각 0.547과 0.331로 나타났다. 측정변인에 따른 효과크기에서 성의식(1.115),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0.843), 성에 대한 인지적 왜곡(0.802) 순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0.672)과 청소년(0.676)에 대한 개입의 효과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효과를 비교한 결과, 개입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0.919로 큰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상호지도이론(1.965), 예술치료(1.076), 좋은 삶 모델(0.791)에 기반한 개입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측정변인에서는 자아존중감(1.301),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0.907) 성적대응(0.847) 순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은 0.879, 청소년은 1.312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청소년에서 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범죄자들에 대한 심리치료 프로그램들이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부정적인 심리적 특성들을 완화해주는데 있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집단미술치료 참여에 따른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권효정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의 한 부분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심리적 적응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째. 집단미술치료 참여에 따른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는가? 둘 째, 집단미술치료 참여에 따른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셋 째, 집단미술치료 참여에 따른 치매노인의 정서적 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넷 째,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매체가 치매노인의 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서울시 서대문구에 소재한 00노인복지센터에 입소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MMSE-K 결과 6-19점 사이의 확정적 치매노인을 선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15.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 심리적 적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과 질적 분석을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 째 집단미술치료 참여에 따라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의 하위영역인 지남력, 주의집중 및 계산 기억회상, 언어기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둘 째, 집단미술치료 참여에 따라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 전 동일하지 않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가진 두 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대한 집단미술치료 효과는 불확실하다. 셋 째, 집단미술치료 참여에 따른 치매노인의 심리적 적응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살펴보면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면서 치매노인들은 걱정, 불안, 폭언, 우울증 및 시기심이 감소한 것을 보면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심리적 적응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 째,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매체가 치매노인의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매체는 주로 치매노인에게 익숙한 재료와 자연물, 그 외의 여러 가지 재료 들을 사용하였다. 특히, 자연물은 치매노인의 회상과 오감에 자극을 주었으며 치매노인들의 자발적인 참여율이 높였다. 그리고 정서적인 부분에서는 폭언, 이탈행동, 강박적인 행동과 이식증과 같은 행동도 감소하고, 집중력과 과거에 대한 회상이 많아지며, 집단원들 과의 의사소통이 증가하였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표정이 밝아지고 프로그램의 자발적 참여와 완성도가 높아졌으며, 자존감 향상이 높아졌다. 치매노인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는 정적인 활동보다는 동적인 활동이 적합하며, 치매노인들에게 익숙한 재료와 자연물을 사용할 때 치매노인의 자발적 참여를 증가시키고, 정서적인 문제를 감소시킨다. 집단미술치료에서 사용되는 미술매체는 치매노인의 적응력에 도움을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effects the group art therapy as a part of the Welfare for the Aged may have on cognitive function, routine life performance capacity as well as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o as to identify the effective group art therapy programs available. For this purpose, following questions were designed in this study. First, is there any variation in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eing influenced by their participation in the group art therapy? Secondly, is there any variation in routine life performance capac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eing influenced by their participation in the group art therapy? Third, is there any variation in emotional adapt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eing influenced by their participation in the group art therapy? Four, is there any variation in the adapt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depending on the art media in the group art therapy? For this study, the sample group was selected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are accommodated in 00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located in Seodaemun-gu, Seoul. The primary sample group were tested by MMSE-K and from its result and the final sample group was selected as those who scored the within the range of 3-6. Then the final sample group was divided into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whom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s were implemented.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by performing the Independent t-test in order to investigate on cognitive function, routine life performance capacity as well as psychological adaptation in both of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sing a statistics program SPSS 15.0 as well. From those analyses,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irst, being influenced by participation in the group art therapy,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sub-area of cognitive function such as the sense of orientation, paying attention and computation, retrospective memory and linguistic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is suggest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is affective on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econdly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tions in routine life performance capac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eing influenced by their participation in the group art therapy, but since this therapy was performed to 2 target groups who have different routine life performance capacities before the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on routine life performance capacity is inconclusive. Thirdly, being influenced by participation in the group art therapy,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in psychological adaptabi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specific, the elderly with dementia showed decrease of worry, anxiety, violent language, depression and jealousy. This suggest that the group art therapy has effects on psychological adaptabi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orth, the art media used in the group art therapy deem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media used in this study were mostly materials and natural objects and other various material to which the elderly with dementia were familiar with. In particular, the natural objects stimulated the retrospection and their five senses, increasing voluntary participation au retrospective memory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emotional part, behaviors such as violent language, withdrawal actions, compulsory behaviors and pica were reduced while the ability of paying attention and recollection on the past were grown more with increased communication level with other members in the group. Most prominent changes were their facial looks being happier,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completion level also being grown as well as their self-esteems being improved even higher. In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kinetic activities were more appropriate than the static activities, and the use of familiar materials and natural objects increase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as well as reduced emotional problems. It was identifiable that the art media being used in the group art therapy support the adaptabi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인형극을 활용한 스토리 맵 훈련이 지적장애아동의 이야기 이해 및 산출에 미치는 효과

        권효정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적장애 아동의 이야기 능력은 일반아동에 비하여 언어구조의 지식이 부족해 언어규칙을 사용하기보다는 낱말을 배열하는 수준으로 이야기를 하고, 어휘습득에도 어려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대화 시 주제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말을 하기도 하며 다양한 의사표현보다는 말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고 자발적인 대화를 할 수 있음에도 소극적인 대화자세를 보인다. 지적장애 아동은 인지능력이 지체되어 문자해독에 제한적이거나 스스로 읽은 후에도 문자와 의미의 연결에 어려움을 보이며, 주의 집중력과 기억력에도 문제를 보인다. 이러한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인형극이라는 방법으로 스토리 맵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형극을 활용한 스토리 맵 훈련이 지적장애아동의 이야기 이해와 산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언어연령이 6∼7세이며, 동작성 지능지수(60∼70)의 지적장애 2급 아동이며, 생활연령이 8∼10세 아동 3명으로 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의 구성은 치료사가 인형극 들려주기, 문법이해 질문하기, 스토리 맵 과제 완성하기, 핵심어 기억하기, 이야기 꾸미기로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은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2012년 7월부터 10월까지 14주간 총 20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형극을 활용한 스토리 맵 훈련을 통해 대상자 모두 이해 과제 전체에 대한 수행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대상자 모두 사실적 이해 능력, 추론적 이해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인형극을 활용한 스토리 맵 훈련을 통해 대상자 모두 총 어절수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인형극을 활용한 스토리 맵 훈련을 통해 대상자 모두 이야기 문법 요소 산출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인형극을 활용한 스토리 맵 훈련은 지적장애 아동의 이야기 이해능력과 산출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생활동화로 4가지 일화로 구성된 이야기를 선정하여 인형극화 하였는데, 일화의 구성 및 이야기 구조나 갈등 구조가 다양한 경우에도 효과가 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tory map training based on puppet shows on understanding and producing storie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9∼11 year old children in chronological age with the 2nd grade intellectual disability(60∼70 performance IQ) and 6∼7 year old in linguistic age. The intervention program is composed of therapists' puppet show story telling, asking about understanding grammar, completing a task of story map, remembering keywords and creating stories. Based on the design of pre-post test as a study method, total 20 sessions of intervention were performed for 14 weeks from July to October 2012. The study results are like below. First, the level of every subject's understanding the whole task through story map training based on puppet shows was improved as their realistic understanding and inferential understanding abilities were all improved. Second, all the subjects showed improvement of total number of words through story map training based on puppet shows. Third, every subject showed improved ability of producing the story grammatical elements through story map training based on puppet shows. Based on such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story map training based on puppet shows improves story understanding and producing ability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study created puppet shows by selecting four children's stories, which means that it is needed to be verified if it would be also effective in case when the composition of stories and story/conflict structure are various.

      • 노인라이프스킬 구성개념 정립 및 척도 개발

        권효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라이프스킬은 삶 속에서 일어나는 요구 사항이나 도전들을 개인이 효과적으로 다루는데 기여하는 긍정적인 행위 능력으로(WHO, 1997), 라이프스킬과 관련한 연구는 유소년의 부정적인 행동은 줄이고 긍정적 유소년 발달을 촉진시키시 위해 다양한 맥락에서 유소년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다(Nasheeda et al., 2019). 손실-감소접근에서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것에 초점을 둔 학교현장교육 기반의 관점과 스포츠 참여를 통해 라이프스킬과 같은 자질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둔 스포츠 분야에서의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져 왔다(Hodge et al., 2013). 이처럼 유소년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킬의 중요성에 대한 합의와 이와 관련한 연구가 상당히 축적되고 있는 연구동향을 고려해봤을 때, 노년기 삶의 질적 향상과 관련한 측면을 예측하기 위해 노인으로 영역 확장의 필요성 또한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라이프스킬 관련 선행연구에서도 대상의 특수성을 고려한 대상 범위 확장의 필요성에 대해 지적하고 있지만(Cronin & Allen, 2017), 아직 노인에게 요구되는 전반적인 라이프스킬이 무엇인가에 대한 구성개념은 확립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라이프스킬은 사회문화적 배경과 집단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구성개념이 다르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O’Hearn & Gatz, 2002), 노인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반영한 구성개념을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에게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라이프스킬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탐색한 후 노인라이프스킬의 구성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신체·심리·사회적 측면의 복합적인 차원을 통해 노년기 삶에서 필요한 라이프스킬을 통합적 모델로 제시하였다. 구성개념 정립 이후, 후속 연구와 노인라이프스킬 프로그램 개발 시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노인라이프스킬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Ⅰ>에서는 노인의 라이프스킬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65세~84세의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노인 9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고자 하였다. 심층 면담과 개방형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Creswell(2007)이 제시한 질적연구 방법론을 근거로 개방형 코딩 과정을 거쳐 세부적인 개념들을 도출하고, 이 개념에서 공통적인 의미를 묶어 주제별 분류화, 의미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귀납적 분석을 통해 신체활동 기술, 생활자신감 기술, 삶의 수용 기술, 사회활동참여 기술, 디지털사회참여 기술 등 5개 요인으로 노인라이프스킬의 구성개념을 정립하였다. <연구Ⅱ>에서는 <연구 Ⅰ>에서 정립된 노인라이프스킬의 구성개념과 세부 내용을 근거로 각 내용을 측정할 수 있는 예비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5요인 35문항이 정선되었다. 65세~84세의 노인 34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노인 192명의 자료는 교차타당도 검증을 위해 활용되었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해 문항 적합성 및 요인분석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총 5요인 23문항에 대한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확보하였다. 최종 23문항들이 측정하고자 하는 변인의 구성개념을 명확하게 측정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개념타당도 검증(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을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공인타당도, 교차타당도, 성별에 따른 구인 동등성 검증을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노인라이프스킬 척도는 노인의 신체·심리·사회적 차원의 라이프스킬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노년기 삶의 질적 향상과 관련한 측면을 예측하는데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관련한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히는 후속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Life skills refer to the positive behavioral ability that contributes to effectively dealing with demands or challenges in daily life(WHO, 1997). Studies on life skills are mainly applied in various contexts for the youth to reduce negative behavior and promote positive youth development(Nasheeda et al., 2019). The studies focused mainly on field education at school focused on preventing problematic behavior in the deficit-reduction approach and on development of qualities such as life skills through sports participation(Hodge et al., 2013). As such, considering the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life skills for the youth and the research trends that are accumulating in such regard, it can be seen that it is vital for expand the scope to the elderly to predict aspects related to increasing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receding research on life skills also pointed out the necessity to expand the scope regarding the subject(Cronin & Allen, 2017), but the construct as to what life skills are for the elderly is not yet established. Because the composition of life skills can vary according to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oup(O’Hearn & Gatz, 2002), it is essential to check the construct reflecting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elderly. In the present study, the construct of life skills for the elderly was established after the overall perception of life skills required in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were explored, and then life skills necessary in late life was presented as an integrated model through a complex dimension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After establishing the construct, a tool for measuring life skills for the elderly was developed to be used as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during the development of life skills for the elderly programs in future stud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Study 1> with 17 elderly people aged between 65~84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life skills for the elderly. Also,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on 91 elderly participants to gather various opinions. Data collec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survey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and semanticizing specific concepts derived through an open coding process,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presented by Creswell(2007). Through inductive analysis, the construct of life skills for the elderly was established with five factors: physical activity performance skills, daily self-efficacy skills, adaptation and acceptance skills, participation skills in social activities, and engagement skills in digital society. In <Study 2>,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tails and construct of life skills for the elderly established in <Study 1>, of which 35 questions of 5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evaluating content validity. 341 elderly participants between 65~84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e collection of data which was used for verification of construct validity, while the data of 192 elderly participants was used for cross validity. Data collected in the survey confirmed the goodness-of-it of the items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factor analysis. The goodness-of-it of the factor structure of a total of 23 questions of 5 factors was evalu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hecked to verify that the final 23 questions accurately measured the variable’s construct. Concurrent validity, cross validity, the equivalence between groups based on gender were additionally checked to confirm validity. The life skills scale for elderly peopl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 useful tool which evaluates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the elderly. It not onl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in predicting increase in quality of life in late life, but also can be used in future studies which focus on researching 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garding psychosocial factors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