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쟁점의 해석과 환경도덕민감성 연구

        권혜선 ( Hye Seon Kwon ),윤순진 ( Sun Jin Yu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이 연구는 환경쟁점에 대한 학생들의 해석과 환경을 고려하여 도덕적 측면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석하는 환경도덕민감성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연구이다. 환경쟁점에서의 문제 해석과 환경도덕민감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초 2, 초 5, 중 1-2, 고 2 학생의 총 7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두 가지 환경쟁점 딜레마에 대한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환경쟁점에 대한 학생들의 문제 해석은 내재된 문제를 해석하지 못하는 문제없음의 해석, 이기적 해석, 환경 무관 도덕적 해석, 환경 고려 도덕적 해석의 네 가지로 크게 구분되었으며, 고려 대상과 환경과의 관련 여부에 따라 문제없음, 이기적 해석, 환경과 무관한 도덕민감성, 인간중심적 환경도덕민감성, 생태중심적 환경도덕민감성의 다섯 가지로 구분되었다. 많은 학생들은 환경쟁점을 환경과 관련된 도덕적 문제 상황으로 인식하고 해석하였으며, 환경쟁점에 내재된 도덕적 문제를 해석하는 환경도덕민감성은 도덕적 고려 대상(인간, 생물, 자연)과 개인의 도덕적 준거틀(의무, 결과, 배려)에 따라 각각 독특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환경도덕민감성은 성별에 따라서는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령에 따라 도덕적으로 고려하는 대상과 문제 해석 패턴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과 관계없이 인간중심적 고려는 결과에 기초한 해석이 많았고, 생태중심적 고려는 의무에 기초한 해석이 많았다. 연령에 따른 환경도덕민감성의 차이는 인지도덕발달의 영향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결과에 기초한 인간중심적 환경도덕민감성은 통합적 관점이 부족하여 환경문제 해결에 한계를 지닌다. 이 연구는 환경쟁점이 실제로 도덕적 문제로 인식되고 해석됨을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고 환경도덕민감성에 대하여 처음으로 탐색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인지적 도덕성과 정의적 도덕성이 통합된 환경윤리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학생 연령에 따라 적합한 환경윤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is an empirical study aimed at exploring how students interpret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and understanding their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on the moral aspects of environmental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79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problem interpret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These students included those from 2nd and 5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1st and 2nd grades in middle schools, and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divided the students` problem interpretation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those with no issues, those with an egocentric interpretation, those with a non-environment related moral interpretation, and those with an environment related interpre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subjec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the students`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wa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no issues, egoistic, non-, anthropocentric, and eco-centric. Most students recognized and interpreted environmental issues as morally problematic situations and their environmental mortal sensitivity took unique shapes according to morally considered objects (human, living things, and nature), as well as individual moral references (duty, consequence, and care). The results showed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while there was difference by age concerning object of consideration and the pattern of problem interpret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dentifie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the fact that environmental issues were recognized and interpreted as moral problems, and because it is the first exploratory study on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in Korea. This study implies that environmental moral education must integrate cognitive morality and affective morality, consider the ages of targeted education groups, and expand objects of moral consideration from humans and living animals to nature along with an age increase.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 환경교육 선택할 때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권혜선(Hye-Seon Kwon),윤순진(Sun-Jin Yu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0 環境 敎育 Vol.23 No.1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aiming at understanding and finding out influential factors and barriers when school teachers choose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ir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To do thi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two teachers' choices of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in two other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Two teachers' choices are affected by several influential factors, divided into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External influential factors include culture of school and education, media, chief education officers, parents and school. Internal influential factors are teachers' value and philosophy of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teachers' capacity. These influential factors' forces aren't the same with each other. These influential factors, are influenced by educational, social,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indicated by Taylor et al's (1974) classification criterion. Especially, however, Korea's particular educational environment focusing o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trongly affects teachers' choice. School factors also has a big strong effect on teachers' choice. Among others internal factors are the most serious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on teachers' choi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공감 및 도덕판단력과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 간의 관계

        권혜선(Kwon Hye S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9

        이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공감과 도덕판단력,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의 특성을 알아보고, 공감 및 도덕판단력과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 간의 관계에 대하 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공감능력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정서 공감과 사회기술 요소를 중심으로 여학생의 공감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도덕판단력과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은 학생들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감의 하위 요소 가운데 정서공감, 인지공감과 도덕판단력 4단계, P(%)점수 는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도덕판단력 1단계는 유의미 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공감능력과 도덕판단수준이 높을수록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이 강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서공감과 인지공감, 도덕판단력 1단계와 4단계 중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요인은 인지공감, 도덕판단력 1단계와 4단계인 것으로 나타 났다. 초등학생의 환경세계관은 이후 청소년과 성인의 환경세계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아 직 확고하지 않은 상태로, 초등학생은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의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 이다. 따라서 공감과 도덕판단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을 통해 초등학생의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 을 촉진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pathy, moral reasoning, and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fifth and sixth gra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nsidered a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moral reasoning, and new environmental paradigm. As a result, the empathy of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age; however, the empathy of girl students was discove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focusing on emotional empathy and a social skills elements.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of students. From among the sub-factors of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cognitive empathy, four stages of moral reasoning and P(%) sco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ew environmental paradigm whereas the first stage of moral judgments exhibit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ew environmental paradigm.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empathy and moral reasoning level were, the stronger new environmental paradigm were. Also, among emotional empathy, cognitive empathy, and the first stage and fourth stage of moral reasoning, cognitive empathy and the first stage and fourth stage of moral reasoning were discovered to be factors that explain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students significantly.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not been firmly determined yet; thereby, it is very crucial in that this fact affects the creation of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teenagers and adults afterwar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and reinforce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education which may enhance empathy and moral reasoning.

      • KCI등재

        초등 교사의 교과서 중심 도덕 수업에 대한 이해

        권혜선 ( Hye Seon Kwo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4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교과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덕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교과 교육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양질의 도덕 수업을 위해서는 도덕 수업의 주체인 교사를 중심으로 도덕 교과서의 활용과 수업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도덕교육에 특별한 관심을 지니고 있지 않은 일반적인 초등교사 명을 대상으로 도덕 교과서 활용 경험과 수업 방식에 대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도덕 교과서의 내용이 너무 많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수업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학생과 학부모 교사 자신 교과서 내용 선택 과정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교사의 수업 방식은 교사의 부담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한 번 읽어라도 보기 상시적으로 인식시키고 자연스럽게 넘어가기 일단 재미있는 활동 선택하기 급하게 진도 나가기 의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가 지닌 부담의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도덕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주어진 시간 안에 다루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덕 교과서의 내용을 축소하고 보다 정제된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추후 학교 현장에 기 반한 실제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In the Korean school education system, textbooks take a significant position in that most of the curriculum subjects, including moral education, rely on the textbook as a major pedagogical tool. For the quality of moral educat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pecifically how teachers, who are one of the main agent of the class, utilize the textbook in their class and which kind of teaching methods they employ. Hence,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experience of the usage of moral textbooks and their instruction style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with participation of 6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articipants do not have any special interest in moral educatio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eachers made optional use of moral textbooks in their class because there are too much contents in the textbook. In this process, the teachers felt lots of burdens to select adequate substances and lead a successful class, consideri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hemselves. With regard to the way of teaching, there were various strategies to reduce instructors` pressure, such as ``read it at least once``, ``pass it naturally as daily promotion of students` consciousness``, ``choose interesting activities`` and ``move quickly to next content``; Which method teachers tak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burden they feel. To improve the quality of moral education class, it is required to diminish the contents of moral textbooks and reconstruct the textbooks with more refined substances. To do so, it is anticipated that more academic commitments will be made, based on the field of school.

      • KCI등재

        환경에 대한 도덕적 의사결정을 다룬 경험적 연구의 메타분석

        권혜선(Kwon Hye Seon),윤순진(Sun Jin Y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현재의 환경문제는 그 발생부터 해결까지 윤리적, 도덕적 가치와 관련된 도덕적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도덕적 측면에서 환경에 대한 실제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환경에 대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련된 경험적 연구 21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과 도덕적 의 사결정의 특성을 파악하고 환경윤리와 환경윤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환경에 대한 도덕적 의사결정 연구는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자연 환경과 경제, 사회적 요소가 포함된 환 경내용을 다루었으며, 도덕적 추론과 판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이 엇비슷한 비중으로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실제로 환경문제에 대해 도덕적 의사결 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의사결정에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이 함께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지도덕발달 측면에서 구체적이고 자기중심적으 로 고려하는 데서 일반적, 추상적으로 사고하는 발달 경향이 나타났으며, 생태중심적 추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연령이 낮은 연령에 비하여 생태중심적 추론을 더 많이 사용 하는 것은 인지도덕발달의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인간중심적 추론에서 생태중심적 추론 으로 통합·변화되는 조짐은 환경윤리의 당위성이 실제 능력으로 존재할 사실적 가능성을 보여 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환경윤리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생태중심적 추론능력과 실제 판단 이 더욱 확장될 가능성이 높으며, 효과적인 환경윤리교육을 위해서는 추후 인지·정의의 통합적 측면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환경에 대한 실제 의사결정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Contemporary environmental problems are moral issues embedded with moral values from their manifestation to resolution. This study conducted a meta analysis targeting 21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mor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explored re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 from a moral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the nature of moral decision-making and potential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mpirical studies of mor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 dealt with environmental contents including economic and social factors intended for people in various ages from preschool children to adults by using similar degree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is study found that majority of research subjects recognized environmental issues from a moral perspective and that mor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 was undertaken by using a combination of cognitive morality and affective morality. Research subjects tended to think more generally and in abstract terms, and have relatively more biocentric reasoning with increasing age. The more extensive use of anthropocentric reasoning in younger people compared to older people can be interpreted as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morality, and signs of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from biocentered reasoning to anthropocentric reasoning are meaningful to the extent that i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the relevance) of environmental ethics to exist as a real ability. These findings provide positive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that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can contribute to expansion of biocentered reasoning ability and real judgment. However, more specific and in-depth studies on real decision-making on the environment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cognitive and affective morality will be required for more effectiv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초중등 학생들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환경쟁점 해석과 환경도덕민감성의 특성

        권혜선 ( Hye Seon Kwon ),윤순진 ( Sun Jin Yu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1

        이 연구는 초중등 학생들의 환경쟁점 해석과 환경도 덕민감성의 연령별, 성별 특성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살 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쟁점에서 학생들 의 고려 대상은 없음에서 인간, 자연으로 유의미하게 확장되었으며, 인간중심적 환경도덕민감성이 생태중심적 환경도덕민감성으로 확장되고 통합되는 발달적 경향을 보였다. 환경도덕민감성의 발달 은 생물에 대한 역할채택과 공감, 생태학적 관계에 대한 이해가 주 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인간중심적 고려와 생명중심적 고려, 전체론적 고려는 서로 연결되어 상호 심화 발달에 영향을 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환경도덕민감성의 발달 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전 도덕적 단계인 문제없음과 이기적 해석 을 거쳐, 도덕적 해석 단계인 인간중심적 해석, 생명중심적 해석, 전 체론적 해석으로 발달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성별에 따른 환경 도덕민감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인간중심적 환경도덕민감성에서 생태중심적 환경 도덕민감성으로의 발달을 촉진하는 환경윤리교육, 둘째, 역할채택과 공감을 통한 환경윤리교육, 셋째, 학생의 연령에 적절한 환경윤리교 육, 넷째, 생태적 정체성을 함양하는 환경윤리교육이 실시되어야 함 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how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terpret environmental issues and what the nature of their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is by age and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following: 1) as the age of the students rose, the objects they considered in interpreting environmental issues expanded significantly from nothing to human beings and nature; 2) as students became older, their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showed a tendency to be extended and integrated into eco-centric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from one focused on anthropocentric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seems to result from students` adopting the roles of other living things, feeling sympathy for them and considering ecological relations. This study`s results show the fact that anthropocentric consideration, life-centric consideration and holistic consideration are interconnected and impact mutual intensified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as human beings become older,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develops from the pre-moral stage, including the “no-problem stage” and “egoistic problem interpretation stage,” to moral interpretation stages including the anthropocentric, life-centric and holistic interpretation stages. However, the study found no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by gend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rection of current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in schools should reflec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promotion of the development of eco-centric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from a curriculum focusing on anthropocentric one; mobilization of role-taking and empathy in curriculums; confirming that curriculums are appropriate for particular age groups; and, finally, curriculums that foster ecological identity.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경기도민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 요인 분석

        권혜선(Hye-Seon Kwo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2

        국가와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지속가능발전의 최종 목표는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연구는 경기도의 주관적 삶의 질 현황을 파악하고 지속가능발전 차원에서 분석하여, 경기도민의 주관적 삶의 질을 강화시킬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민 20,0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총체적 삶의 질과 사회, 경제, 환경적 삶의 질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민의 총체적 삶의 질은 개인적 특성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총체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자리 만족도, 이웃과의 관계, 건강상태 인식 등이며, 총체적 삶의 질 영향 요인 역시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요인은 총체적 삶의 질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특성과 지속가능발전 차원의 삶의 질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특히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은 연령에 따라 다르므로, 지속가능발전 차원에서 연령별 맞춤형 삶의 질 정책을 우선적으로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람들이 삶 속에서 건강한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해 행동할 수 있는 정책과 교육이 필요하다. The ultimate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is improving their residents’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Gyeonggi province of Korea, and then to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ing their subjective quality of life. Using 20,000 sample dataset, the study examined the quality of life of Gyeonggi residents in terms of their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tatu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Gyeonggi residents vari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ge. Second, factors affecting overall quality of life were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rs, perception on health, and so on. The factors affecting overall quality of life also varied by ag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fac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particular, becaus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ffecting factors varied by ag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ge-based policy targeting different age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its Influence on Digital Citizenship: Focusing on CMF Education Programs in Korea

        박윤미 ( Park¸ Yun Mi ),채지혜 ( Chae¸ Ji Hye ),김슬기 ( Kim¸ Seul Ki ),권혜선 ( Kwon¸ Hye Seon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1 情報시스템硏究 Vol.30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social science method and find out the impac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n digital citizenship in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an independent t-test to analyze relativeness between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factors. We also adopted an independent t-test to investigate media literacy influence on digital citizenship. Furthermore, we found out age differences using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one-way ANOVA)’. Findings We have found four media literacy factors, MC, CT, C&P, R&R, have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media literacy education. We have also pulled out three digital citizenship factors, IPA, TS, and CP, involved in media literacy education. Moreover, we have analyzed our survey by different age groups.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TS. CP was highest among those from 30 to 59, followed by those under the 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