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유의 분배정의와 보편복지의 새로운 체제: 마이드너의 임노동자 기금안에 대한 비판과 변형

        권정임(Kwon, Jeong-Im),강남훈(Kang, Nam Hoo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8 사회경제평론 Vol.31 No.3

        This paper critically studies Meidner s wage-earner funds project. On the basis of this, this paper intends to create new prospects for a universal welfare regi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lfare system, the funds project is a correction or supplement of the Swedish welfare system of the Swedish model centered on ‘redistribution’. However, the funds project shares the ideology of Swedish model and its fundamental premise, I.e. guild socialism and labor-centrism. This paper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funds project resulting from this, especially with regard to its three purposes: equalization of property distribution, economic democracy and the correction of excess profit. It then highlights that the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funds project and the Swedish universal welfare system should be based on a new ideology and fundamental premise that is cut off from guild socialism and labor centrism. As an alternative fulfilling this, this paper focuses on theories that suggest that the Common Wealth Fund should be created and basic income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dividends as its dividend. As a result, Commons Capital Stock and the basic income as its dividend are presented as alternative prospects for the funds project. 이 글에서는 마이드너(Meidner)의 임노동자 기금안을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또한 이에 기초하여 보편적 복지체제를 위한 새로운 전망을 창출하고자 한다. 복지체제의 관점에서 기금안은 ‘재분배’를 중심으로 하는 스웨덴 모형의 보편복지체제에 대한 시정 또는 보완이다. 그런데 기금안은 길드 사회주의라는 이념 및 그 근본전제, 곧 노동중심주의를 스웨덴 모델과 공유한다. 이 글에서는 이로 인한 기금안의 한계를, 특히 기금안이 추구하는 세 목적, 즉 재산분배의 균등화, 경제 민주주의 및 초과이윤의 회수와 관련하여 논의한다. 이어서 기금안의 한계, 나아가 스웨덴 보편복지체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이, 길드 사회주의 및 노동중심주의와 단절되는 새로운 이념과 근본전제에 기초해야 함을 부각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요건을 갖춘 대안으로 공유부 기금을 조성하고 그에 대한 배당의 형태로 기본소득을 실시할 것을 제안하는 이론들에 주목한다. 특히 ‘기금안’에 대한 대안적 전망을 마련한다는 취지에서, 이 글에서는 미드, 바루파키스, 라이트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연구하여, 공유부 기금의 독립적인 한 부분으로 공유 주식자본 및 이에 기초하는 기본소득을 기금안에 대한 대안적 전망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현대 숭고 개념의 헤겔적 기원 연구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오늘날 포스트모던 담론들은 J.-F. 리오타르(Lyotard)를 대표로 하여 사회, 문화, 예술의 본질을 ‘표현될 수 없는 것’의 표현 내지는 제시에서 찾으며, 이러한 사태의 성격을 ‘숭고’로 규정한다. 이러함에 있어 ‘숭고’는 칸트의 개념을 인용한 것으로, 칸트가 크기(‘수학적 숭고’) 혹은 양적 거대함(‘역학적 숭고’)으로 인해 일차적으로 우리의 인식능력인 구상력으로 ‘파악될 수 없는 대상’에서 숭고감이 유발된다고 서술한 바를 기초로 하는 것이다. 특히 이 규정에서 한편으로는 대상의 ‘파악(표현)할 수 없음’이라는 특성과 다른 한편으로는 주체의 인식능력의 무기력함의 계기가 포스트모던의 숭고 담론에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그간 리오타르가 인용한 칸트 숭고 개념 및 이에 영향을 미친 버크의 숭고 개념의 해석과 수용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특히 칸트의 숭고 개념이 포스트모던의 숭고 담론의 주된 근간으로 이해되어왔다. 하지만 리오타르를 중심으로 한 포스트모던 담론에서 의미되는 ‘표현할수 없는 것의 표현(Darstellung des Undarstellbaren)’이나, 더욱 엄밀하게는‘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불가능함의 제시’라는 숭고 개념의 보다 적절한 근원은 G.W.F. 헤겔의 ‘숭고’ 규정에서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칸트의 숭고 개념의 주된 측면이 인식능력의 한계를 순간적으로 넘어서는 거대한 대상이 마침내 우리 내부의 이성이념을 환기시켜 유발하는 ‘감정’을 가리킨다면, 헤겔이 규정하는 숭고는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던 담론에서 강조되는 내용과 형식, 즉기의와 기표의 ‘불일치’와 이러한 불일치의 근거가 되는 대상의 ‘무규정성(Unbestimmtheit)’의 특성을 핵심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연구는 오늘날 리오타르를 중심으로 한 논의들에서 현대 문화와 예술의 주요미적 범주로 부각되고 있는 포스트모던 ‘숭고’ 개념의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내지 ‘표현될 수 없는 것의 표현불가능함의 제시’라는 규정의 의미론적 근원을 헤겔 미학에서 찾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헤겔의 베를린 미학강의 필기록들을 살펴보면, 그는 초기 사유와 달리상징을 더 이상 내용과 형식의 동일성이 아닌, 양자의 ‘불일치’로 규정하며, 이를 토대로 하는 상징적 예술형식의 특성을 ‘숭고’로 규정한다. 이러한 헤겔의 숭고 개념은 ‘상징적 예술형식’에 구성되어 있는 ‘의식적 상징론(bewußteSymbolik)’, 즉 알레고리, 은유 등의 언어적 수사법들을 대상으로 하는 ‘비유적 상징론(vergleichende Symbolik)’도 포괄한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는 헤겔의 숭고 규정이 고대 오리엔트 예술이나 유대교적 직관과 시문학에 한하지 않고 근현대 예술의 특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과, 헤겔의 숭고 개념이 현대 문화와 예술에 관한 기호론적 논의들을 포괄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듯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숭고 개념의 근원을 헤겔의 숭고 개념에서 찾는 단순한 추적에 머물지 않고 이 개념과 연관되는 ‘상징’, ‘알레고리’ 개념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탐구하며, 이러한 개념들이 P. 드 만(deMan)과 S. 지젝(Zizek)의 헤겔 숭고 규정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들과 더불어 오늘날 문화와 예술에 관한 사유에 중요한 추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헤겔 미학의 현재적 의미를 재조명한다. In der heutigen Diskussion um die Politik, Kultur und Kunst geht es um den Begriff der ‘Erhabenheit’, die hautptsachlich J.-F. Lyptard auf der Basis des Kantischen Begriffs entwickelt hat. Demdach wurden inzwischen viele Forschungen zu Lyotards Interpretation und Rezeption von Kants und Burkes Begriff der Erhabenheit durchgefuhrt, insbesondere wurde Kants Begriff der Erhabenheit als der wesentliche Wurzel der postmodernen Diskussion um das Erhabene verstanden. Aber man kann in G.W.F. Hegels Bestimmung der Erhabenheit den angemesseneren Ursprung vom Begriff des Erhabenen finden, der in der posmoderen Diskussion wie von Lyotard als ‘Darstellung des Undarstellebaren’, genauer ‘Anspielung auf Nicht-Darstellbarkeit des Undarstellbaren’ bestimmt wird. Denn Hegels Begriff der Erhabenheit hat den Charakter der Unubereinstimmung von Form und Inhalt bzw. von Zeichendem und Gezeichnetem, und der darin grundliegenden Unbestimmtheit, die in Lyotards Bestimmung der Erhabenheit wesentlich ist. Daher wird in der vorliegenden Arbeit versucht, den sinngemassigen Ursprung der Bestimmung der ‘Darstellung des Undarstellbaren’ bzw. ‘Anspielung auf die Undarstallbarkeit des Undarstellbaren’, die in der postmoderen Diskussion wie von Lyotard als vorzugliche asthetische Kategorie auftritt, in Hegels Asthetik zu finden, und wird zugleich die Gultigkeit dafur bewiesen. Ausserdem wird man in der Betrachtung der ‘symbolischen Kunstform’ wissen, dass Hegels Begriff der Erhabenheit, der als der Charakter der symolischen Kunstform im allgemeinen bestimmt wird, ‘die bewusste Symbolik’, d.h. die die Sprachfigur wie Allegorie und Methapor enthaltende, ‘vergleichende Symbolik’ umfassen kann. Aufgrund dieser Tatsache wird in der vorliegneden Arbeit hervorgehoben, dass sich Hegels Bestimmung der Erhabenheit nicht auf die judische Anschuung und Poesie beschrankt, sondern auf das Charakteristikum der modernen Kunst erweitert, und dass sie derjenige Begriff, der die zeichentheoretische Diskussion uber die gegenwartige Kultur und Kunst umfassend ist, sein konne. Mit diesem Versuch wird in der vorlienden Arbeit nicht bloss der Ursprung des Begriffs des postmodernen Erhabenen verfolgt, sondern damit wird auch die Moglichkeit der neuen Interpretation von Hegels Begriff der Erhabenheit sowie dem Begriff des Symbols und der Allegorie, die im Zusammenhang mit diesem Begriff stehen, untersucht. Und der Sinn der vorliegnen Arbeit lasst sich dann darin finden, die gegenwartige Bedeutung der Hegelschen Asthetik ins neue Licht zu bringen und zu aktivieren, indem sie zeigt, dass die Hegelschen Begriffe wie Erhabheit, Symbol und Allegorie besonders mit P. de Mans und S. Zizeks eigenartigen Interpretationen von Hegels Bestimmung der Erhabenheit ein wichtiger Triebfeder des Denkens von der heutigen Kultur und Kunst werden konnen.

      •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 기반의 정보통신 윤리교육 교수-학습과정 연구

        권정인 ( Jung In Kwon ),안성진 ( Seong Jin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6 No.3

        인터넷 역기능 문제의 심각성이 더해 갈수록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우리 모두 실감하고 있지만 체계화된 교수-학습의 방법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이 논문은 초등학교 실과교과서의 ‘사이버 공간의 특성과 윤리 단원’ 중 정보통신 윤리 영역의 교수-학습 과정으로 Alex Osborn과 Sidney Parnes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6단계 모형을 활용함으로써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교수-학습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방법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54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후 교수-학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을 활용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교수-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윤리의식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기존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교수-학습 과정의 한계에서 벗어나 윤리문제의 해결 과정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의 인지구조의 변화를 유도하는 체계적인 접근방법에 하나로 자리 잡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t is not easy to find out well organ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as the adverse effects of the internet have made a lot of problems because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cyber ethic education. In this paper, I sugges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the information/cyber ethic education as apply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six-step model proposed by A. Osborn and S. Parnes. We divided fifth grade 5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two groups,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conducted the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mental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education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us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got a better result compared to the other group. It must be one of the systematic approach to lead changes of learners`; recognition, focusing on the ethics problem-solving process.

      • KCI등재

        논문 : 판 빠레이스의 후기기본소득론과 생태적 지속가능성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시대와 철학 Vol.24 No.3

        이 글의 목적은 판 빠레이스의 후기기본소득론을, 기본소득제 및 이에함축된 이상사회, 곧 최적자본주의의 지속가능성, 특히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연구하여 그 의의와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판 빠레이스의 최적 자본주의가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가지는 최대의 난점은, 그가 자연자원고갈에 대한 약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 기초하여 성장주의적인 경향을 취하면서 전기의 올바른 문제의식, 곧 경제의 생태합리적인 ‘규모’에 대한 문제의식 자체를 폐기해 버린다는 점이다. 양적으로 무한한 자연자원은 없다. 따라서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주목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는 바로 생태합리적인 경제‘규모’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글에서는 데일리(Daly)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에 따라 데일리가 제안하는 ‘최적경제규모’를 동학화하면서, 판빠레이스가 제안하는 ‘최대의 기본소득’이 윤리적, 경제적으로만이 아니라 생태적으로도 지속가능하기 위한 조건을 모색한다. In diesem Artikel geht es um die kritische Forschung uber die Grundeinkommenstheorie und den optimalem Kapitalimus von Van Parijs, besonders aus dem Blickwinkel der okologischen Nachhatigkeit. Dadurch zeigt dieser Artikel, dass die grosste Schwachpunkt des Projekts von Van Parijs das Absehen vom okologisch rationalen Ausmass der okonomie ist. Durch die kritische Untersuchung uber Daly und die Dynamisierung seines Vorschlags erforscht dieser Artikel nicht nur die Bedingung der ethischen, okonomischen Bedingung vom ‘nachhaltigen hochsten Grundeinkommen’ sondern und vor allem die Bedingung der okologischen Bedingung davon.

      • KCI등재
      • KCI등재

        칸트 미 규정에 대한 헤겔의 수용과 비판: 취미판단의 네 계기를 중심으로

        권정임 ( Jeong-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4 No.-

        본 연구는 칸트와 헤겔의 미 규정의 출발점과 특성, 그 의미들을 살펴보고, 양자의 차이와 공통점을 분석하여 헤겔 사유에서 고찰되는 칸트 사유의 발전과 확장을 논한다. 이는 형식주의와 내용주의 등 상이한 점만 부각되었던 칸트와 헤겔 미학의 연관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칸트와 헤겔의 사유와 미 규정은 상이하지만, 당대 철학의 과제였던 바인 주관과 객관, 보편과 특수, 이성과 감성 등 대립적 사태들의 통합 가능성과 그 원리를 찾으려는 시도의 연장선에서 미를 규정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헤겔은 칸트 미 규정의 주관성과 추상성을 비판하였지만, 취미판단의 네 계기에 따른 미의 특성(무관심성, 보편성, 무목적적 합목적성, 필연성)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자신의 예술미 규정에 수용하여 발전시킨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칸트의 취미판단 및 미규정의 맥락과 규정 근거들을 고찰하고, 미의 인식론적, 도덕적 의미들을 논한다. 이어 칸트 사유에 대한 헤겔의 비판과 그의 미 규정, 그리고 헤겔이 취미판단의 네 계기에 대한 고유한 해석을 통해 칸트 미 규정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발전시킨 점들을 분석하고, 양자에게서 보이는 미 고찰의 의미를 조명한다. 칸트와 헤겔이 보여주는 미 고찰은 양자의 이론철학적 및 실천철학적 함의를 보여준다는 점, 그리고 대상과 주관의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대상과 자기인식, 진리 직관 및 진리 생성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많은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tarting poi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 Kant’s and G. W. F. Hegel’s definitions of beauty. Also discussed are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Kant’s thought in Hegel's discussion by analyz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both philosop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the association between Kant’s and Hegel’s aesthetics, which are mostly interpreted from the view of the opposition of formalism and contents centered on thoughts. Although Kant’s and Hegel’s philosophical thought and definitions of beauty are different, there is certainly the same point in how they define beauty in the contexts of an attempt to find the possibility of unifying opposite situations such as object and subject, universal and particular, and reason and sensibility. Furthermore, Hegel criticized the subjectivity and abstractness of Kant’s definition of beauty, while we can see that Hegel actively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according to four moments of Kant’s judgement on taste. He accepted and developed it in his definition of beauty of art. The meaning of the contemplation of beauty that Kant and Hegel showed is important even today in that it implicates the issue of Kant’s and Hegel’s theoretical and practical philosophy and enables the recognitions of objects and oneself, the intuition, and the production of truth in the free state of being of objects and subjects.

      • KCI등재

        대학생활을 경험한 만학도의 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권정해(Jung Hae KWON),최은희(Eun Hee CHOI),최성열(Sung Yeol CHOI)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5 상담심리교육복지 Vol.2 No.1

        본 연구는 평생교육시대에 대학생활을 경험한 만학도의 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다. 이는 대학의 학습자중 만학도가 가지고 있는 학습적 필요와 긍정적인 학습의욕이 만학도의 삶에 긍정적으로 전이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K지역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의 만학도 1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을 경험한 만학도의 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으로 업무적 만족도와 정서·신체적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만학도의 대학생활에 대한 이해와 학교생활이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in the age of life-time education, the effect of life-satisfaction of late-starting college students on their happiness. The research focused on finding out if the learning need and motivation of late-starting college students are being positively transferred to their lif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153 late-staring college students at vocational college located in K region. SPSS 20 was used to perfor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collected data. The result showed that the life-satisfaction of late-start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college life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happiness. In terms of sub-components, job satisfaction and physical/emotion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Using the results, the paper discussed how late-starting students’s understanding of college life and their actual school life affected their life and suggeste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 컴퓨터활용교육 2, 4 : 미래 정보화 사회의 인터넷 역기능 분류에 관한 연구

        권정인 ( Jung In Kwon ),이성철 ( Seong Chul Lee ),안성진 ( Seong Jin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2

        정보화 사회의 문제점은 이제 단순한 생활의 불편함이 아닌 사회적 병폐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혼란스러움 역시 정보화 사회의 발전만큼이나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기존의 많은 연구는 정보화 사회의 역기능에 따른 문제점과 예방책을 내놓았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분야와 대상을 상대로 한 문제점이나 예방책에 국한되어 있어 전체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웠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인터넷 역기능의 피해 사례를 사회적 현상분석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여 인터넷 중독, 유해매체, 사이버폭력, 정보침해, 사이버범죄, 판단저해 등으로 그 영역을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따른 분류체계의 표준화 모델을 만들었다. 이러한 역기능의 표준화 모델은 정보화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역기능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의 문제점까지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역기능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 혹은 예방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 또는 교육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헤겔 사유를 기초로 한 문화적 통일의 방향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7 No.-

        본 연구는 통일과 교육에 관한 헤겔의 사유에서 논의의 실마리를 찾아 남북한 통일의 실현과 연관하여 우리가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이며, 앞으로 해나가야 할 바가 무엇인지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헤겔이 베른 시기(1793-96)과 프랑크푸르트 시기(1797-1800)에 철학과 종교의 실정성을 비판하며 삶의 영역에서 이분되고 대립된 상태들을 통합하고 통일하는 원리로 논한 미와 사랑 개념을 통해 ‘통일’에 관한 헤겔의 사유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예나 『정신현상학』(1806)에서 발전시킨 ‘상호인정’의 의미를 파악하여 우리가 추구해야 할 남북 ‘통일’의 의미와 필요성을 성찰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틀로서 헤겔이 규정한 ‘이론적 교육’과 ‘형식적 교육’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문화적 통일’의 의미와 방향을 살펴본다. 헤겔이 의미하는 ‘이론적 교육’과 ‘형식적 교육’은 ‘보편적 관점(allgemeiner Standpunkt)’에서 사태를 보게 하여 자신의 한정된 인식의 지평을 넓히게 하는 교육이다. 이 교육이 추구하는 ‘형식적 보편성’은 내용을 규정하는 범주가 아니라 ‘사유의 형식’, ‘관점의 보편성’을 말한다. 이러한 “보편적인 것의 형식”을 헤겔은 주체이면서도 특수자인 개별자에게 보유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특수자가 보편자로 고양 혹은 발전하는 가능성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형식적 보편성을 획득하는 것은 근대 필수적인 ‘형식적 교육’이 추구하는 바로서, 한정적 개인이 가지는 편협한 의식과 사고방식을 확장하고 하나의 공동체 속에서 타자와 함께 삶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것이 된다. 형식적 교육의 내용은 인간의 삶과 정신적 활동의 산물들로서의 문화 일반이며, 예술, 종교, 철학 모두가 형식적 교육의 계기가 된다. 특정한 내용을 유일한 진리나 유일한 가치로 제공하기보다는 다양한 가능성들을 제시하며 비판적 사유와 성찰을 통해 보편적 관점을 획득하게 하는 이론적 및 형식적 교육은 통합 속에서도 독립성을 유지하는 ‘상호인정’을 바탕으로 한 남북의 참다운 통일을 실현하는 데 있어 선행적 과정으로의 문화적 통일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적 통일이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미래적이며 열린 민족공동체 형성을 상정하고, 최근 연구들에서 제안되고 있는 ‘상호문화주의’에 기초한 통합적 공동체에서 그 모델을 찾는다. 상호문화주의적 통합공동체는 이질적 문화의 다양성 혹은 복합성만을 주장하는 다원주의나 복합문화주의와 달리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공통성과 통합성을 추구해나가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성격의 통합공동체가 헤겔이 미와 사랑, 상호인정에서 논한 참된 합일의 성격에 부합하다고 보며, 무엇보다 타자적인 것에 대한 개방성과 상호작용의 과정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상호문화주의적 통합공통체 형식을 문화적 통일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고찰한다. In der vorliegenden Studie werden die notige Einstellung und die weitere Aufgabe fur die Verwirklichung der Vereinigung von Sud- und Nordkorea untersucht. Der Ansatzpunkt der Uberlegung wird aus Hegels Gedanken uber die Vereinigung und Bildung entnommen. Dabei werden zunachst Hegels fruhe Gedanken uber die Schonheit und die Liebe als das Prinzip der Vereinigung der Entgegengesetzten im Leben betrachtet. Anschliessend daran wird die Bedeutung der gegenseitigen Anerkennung in der Phanomenologie des Geistes aufgefasst. Durch diese Begriffe werden der Sinn und die Notwendigkeit der Vereinigung von Sud- und NordKorea reflektiert. Danach werden als die Grundlage der Verwirklichung dieser Vereinigung die Zuge der theoretischen und der formellen Bildung analysiert, die auf die Bedeutung sowie die Richtung der kulurellen Vereiningung hinweisen. In Hegels theoretischer und formeller Bildung geht es darum, den allgemeinen Standpunkt zu erreichen und die beschramkte Erkenntnis zu erweiteren. So ist die formelle Bildung eine Bildung zur ‘Allgemeinheit’, die aber nur formell und ‘dle Form des Denkens’ ist. Da die formelle Bildung in der Moderne statt der absoluten Wahrheit die verschiedenen moglichen Formen des Lebens bzw. Kulturen vorschlagt und durch das kritische Denken und die Reflexion auf der Basis des allgemeinen Standpunkts die einer vereinigten Gemeinde notige gegenseitige Anerkennung ermoglicht, gilt sie als die Grundlage der kulturellen Vereinigung, die der politischen Vereinigung vorausgehen sollte. In der vorliegenden Studie wird als eine vereinigte Gemeinde, die durch die formelle kulturelle Bildung zu verwirklichen ist, die zukunftige offene Volksgemeinde vorgeschlagen. Das Vorbild dafur findet sich in der Form einer ‘interkulturalistischen Vereinigungsgemeinde’. Diese Gemeinde sucht nach der Gemeinsamkeit und Vereinigung mit dem Anderen, indem sie die Differenzen und Eigenheiten der anderen Kulturen anerkennt. Sie unterscheidet sich durch diesen Charakter von dem Pluralismus sowie Multikulturalismus, die nur die Mannigfaligkeit und das Zusammensein fur wichtig halten. In der vorliegenden Studie werden daher behauptet, dass die Form der interkulturalistischen Vereinigungsgemeinde der Hegelschen Konzeption der wahren Vereinigung, der die gegenseitige Anerkennung zugrunde liegt, nahe steht, und dass sie im Blick auf ihre Offenheit fur das Andere und auf ihre Betonung des Prozesses der Interaktion zwischen den verschiedenen Kulturen als die Richtung fur unsere kulturelle Vereinigung von Sud- und Nordkorea geltend 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