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장소기억기반 공간재생에 관한 연구

        권영재(Kweon, Yeong-Ja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Seoul city is running a future heritage project of numerous heritages which are worth preserving and utilizing. However, in the case of future heritage of Seoul, problems arise since the subjects are not cultural assets and the whole excavation and preservation process is voluntary and unprofessional. Regarding these issues, this thesis proceeded research on building conceptual identity for future heritage based on common memories of citizens, along with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it. With a hypothesis of ‘Securing value for future heritage preservation enables mutually autonomous relation structure, through spatial regeneration using place memory basis’, this study draws a conclusive, future heritage place memory-based spatial regeneration model. This research implements theoretical study, literature research on future heritage, and its key concept of place memory. Consequently, it draws features such as ‘placeness’, ‘publicity’, and ‘narrativity’, and further specific sub-features. We completed an interview with an expert, and a survey to test the validity of selecting sub-features of place memory and category. Next, we implemented empirical testing to prove the validity of place memory-based spatial regeneration relation structure by doing a survey of many citizens, since the main purpose of future heritage is preserving and utilizing heritage of citizens’ shared memory.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se are the conclusions. First, we researched on the very core of future heritage, which is the common memory of citizens, via theoretical research to analyze its features. By this, we found features of place memory such as placeness, publicity, and narrativity, and further specified sub-features as well. We used these as our theoretical basis to set a standard for place memory-based spatial regeneration. Secondly, the final version of future heritage’s place memory-based spatial regeneration hypothetic model and the check list based on it, both acquires validity wi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sting via 3 times of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Future heritage, as seen in this research, is an ordinary asset, which requires spatial regeneration entailed with place memory preservation. Preservation values can be reinforced by utilization values, and this is enabled by supplementation of sharing values and improvement values. This research on spatial regeneration, which is such a practical perspective, creates motivation for preservation value reinforcement, and helps building a future heritage’s place memory-based regeneration structure.

      • KCI등재

        Norman Foster의 건축 공간에 나타난 지속 가능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권영재(Kweon, Yeong-Jae),김정신(Kim, Jung-Shi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Norman Foster has done about 300 projects over the world and has been understood as a global architect for sustainable design on various areas including urban design, architecture, interior, transport and furniture. The trend of Forster"s work which had been changed positively as experimental trials from 1960 has established his design trend for sustainable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Norman Foster"s sustainable design leading the trend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over the limit of the high-tech architecture is researched through the project report, literature, field study and interview based on sustainability aspects which are social, environment and economy especially. For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modern analysis of Norman Foster"s architecture, the research is analyze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n case works focused on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after the middle of 1980 when Norman Foster"s sustainable design was emerged clearly. Consequently, the research could be a substantial process for understanding sustainable design as current outstanding ideas which makes Norman Foster overcome his limit of Post-high tech architecture through looking at his spatial identity.

      • KCI등재

        장소기억을 활용한 공공적 장소성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시 미래유산을 중심으로-

        권영재(겸임교수) ( Yeong Jae Kweon ),김주연(교신저자,교수) ( Joo 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 미래유산 보전 종합계획(2014)에 나타나는 서울시 미래유산의 개념을 살펴보면 “근현대 서울을 배경으로 시민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사건이나 인물 또는 이야기가 담긴 유.무형의 자산으로 미래세대에 전달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정된 미래유산의 장소기억 속에 담겨진 가시적이고 물질적인 장소성형성 인자를 추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내재적 가치와 관계성을 이해하며, 다층적으로 축척된 미래유산의 공공적 장소성의 가치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그 특성을 도출하여 추후 미래유산의 보전 및 재생화 방안의 마련을 위한 근거 구축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1차적으로 국내의 주요 미래유산을 포함한 유산정책과 사례 관련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 고찰 및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유산에 대한 현황과 가능성을 현장 답사를 통해 고찰하였다. 이상으로 고찰된 미래유산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내용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2차적으로 공공적 장소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형성 요소를 도출하여 미래유산사례대상의 분석할 툴을 마련하고 특성을 도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시에서 선정된 미래유산 전체389개(2015년) 대상 중 1. 용도 보완 및 변경을 통한 공공 장소화(미래유산 사업 이전 용도변경 대상 포함)가 진행 되었으며, 2. 공공의 경험을 통해 공통의 기억을 강화시키고 있는 대상, 3. 이미지 상징적인 기억 대상에서 체험 상징적 공공화가 이루어진 미래유산, 4. 기존의 아이덴티티를 보전 활용한 대상으로 21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장소활용의 주체에 따른 분류를 통해 나타나는 특성을 기준으로 선정된 대표적 대상으로 혜화동 주민센터, 함석헌 가옥, 상암동 일본군 관사, 구의 취수장-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금천예술공장의 5소 대상을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미래유산의 고유한 특성인 장소기억을 기반으로 한 공공적 장소성을 기준으로 5개소 서울시 미래유산 대상에 적용 및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서울시 미래유산 중 용도변경을 통해 공공적 장소화 특성이 나타나는 5개소 대상을 중심으로 장소적 기억과 장소성의 형성 요소를 바탕으로 분석 하였다. 장소적기억 형성 시 나타나는 공공성과 장소성의 경우 다수 시민의 공통된 기억을 배경으로 정체성이 형성되며, 미래 유산의 유지관리강화 방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난다. 따라서 공공적 장소화 특성 형성 요소를 기준으로 미래유산을 분석 도출한 내용의 의미를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선정된 미래유산의 장소기억 속에 담겨진 가시적이고 물질적인 장소성 형성 인자를 추출, 내재적 가치와 관계성에 대한 이해, 공공적 장소성의 가치의 구조적 이해를 통해 실제 대상에 적용 및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서울시 미래유산의 내재적 가치 특성의 도출 및 적용에 대한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추후 미래유산의 보전 및 활용을 위한 방향성 구축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In the masterplan on future heritage in Seoul(2014), the concept of future heritage is " future heritage is events in memory of modern Seoul citizens to the background, character and stories and issues related to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 which is valuable to future gen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hysical space element in the place memories and to understand Inherent value and relationship, the accumulated value of public places for basis of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future heritag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heritag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the future to deploy measures aimed at.(Method)The methods of this research is first, field research on future heritage based on regulation of future legacy, related data base and research papers. Second method is theoretical study on the public space-forming. Through this methods, characteristics is derived by place elements and analysis tools This study selected in Seoul, the scope of 21 was selected for the basis for Seoul future heritage of total 389 (2015) below 1. by changing use complementary and public places (including use changes before the future heritage policy) 2. Cases strengthens the memory of the common through public experiences. 3. Future of heritage which is change from iconic image memories to symbolic public experience 4.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for existing identity. Selected representative cases based on the properties of place use are Hyehwa-dong community centers, House of Ham-seokhun, Sangam Japanese Military residence, Gu-ui intake station (Seoul streets art creativity center), Geumcheon Art Factory (Results)Seoul future heritage has been applied in five cases through the place of public based on memories of place and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Seoul future heritage by change of land use including Hyehwa-dong community centers, House of Ham-seokhun, Sangam Japanese Military residence, Gu-ui intake station (Seoul streets art creativity center), Geumcheon Art Factory are analyzed by elements of place memories and place-forming. Publicity and placeness in the formation of memory place is a common memory as the background of citizens. Publicity and placeness are important elements that determines the measures to the maintenance of legacy of the future heritage. Therefore, the future heritag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e point of view the future public places properties. (Conclusions)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standard was constructed for the physical space element in the place memories and Inherent value and relationship, the accumulated value of public places for basis of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future heritage.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for method of public place regeneration on future heritage in Seoul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public placeness based on the internal value of place mem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for method of public place regeneration on future heritage in Seoul.

      • KCI등재

        근대 건축 공간의 재생화 디자인

        김주연(Joo Yun Kim),권영재(Yeong Jae Kw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오늘날 대부분의 건축 공간은 30년을 넘기지 못하고 그 사용성을 다한다. 이는 건축공간이 사회, 경제, 문화의 변화를 중요하게 반영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사회적 현상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적절한 재생화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되어졌다. 연구방법은 재생화 관련 업체, 기관들의 각종 보고서와 보도자료 등의 분석과,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에는 Derek Linstrum교수의역사성을 가진 건축물에 대해 고려되어야 할 관점을 공간 재생화 특성 분석의 틀로 삼아 진행되었다. 첫째, 미학적 관점에서는 역사적 공간과 새로운 공간의 조합 구성 유형이 상호 의존적 관계와 상호 독립적 관계 구조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제적 관점에서는 공간 프로그램의 변경을 통해 지역 재생을 이루는 특성을 나타낸다. 셋째, 기능적 관점에서는 M.H.S.W에 따른 접근성향상을 통해 커뮤니티의 형성 및 개방적 사회성을 이루는 특성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관점에서는 무형의 커뮤니티 형성 및 건축의 조형적 상징성에 따른 이미지 구축으로 지역 활성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공간 재생화를 위한 디자인의 전략적 특성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시간성을 가지는 모든 역사적 건축물의 그 근본적인 역사성을 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재생화의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Today, most of the buildings are not passed on to30 years to finish the function. Architectural space is important elements of thesocial phenomenon which reflects the social, economicand cultural changesThis research is to provide research material whichis for theoretical data of regeneration methodsThe main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portsand papers by regeneration companies and institutions, to review the data from research D/B and webnetworks, and to consider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cope and content of this study contains thehistoric buildings to be considered on the basis of theterms of regeneration analysis study from ProfessorDerek Linstrum`s researchIn addition, the study has the analysis of theobjective cases on four perspectives. First,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Thecombination of historic space and new space is shownby the structure of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ndindependent of each other. Second, in an economic point of view, the changein the spatial program makes the regional regeneration. Third, the functional point of view, theimprovement of accessibility based on M.H.S.W isshown through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ormationand spatial opennessFinally,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construction of image based on community formationand symbolic design of buildings achieves a regionalregeneration. This study analyzed through a variety of cases, thecharacteristics of strategic design for the regenerationand through these studies, it is intended to contributeto the setting of the proper orientation for regeneratingto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