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보통합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조사

        권세경 한국보육학회 2023 한국보육학회지 Vol.23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pre-childcare teachers on the integration of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chieving such integration. Methods: Questionnaires were sent 400 pre-childcare teachers and collected 131questionnaire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used by the SPSS 25.0 Program to interpret the questionnaire’s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χ2-test was conducted. Results: First, prospective pre-childcare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of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a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recognized that unification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and certification is necessary first for integration of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Second, prospective pre-childcare teacher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negatively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This is because the conflict was highlighted due to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related parties in the process of withholding integration, and it did not present serious concerns and opinions on withholding integration of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Third, prospective pre-childcare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impulse to understand and expand consensus among related parties through a integration of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method. As an improvement, it is recognized that the pre-childcare teacher training period should be unified, and this should be done at four-year universities or higher. Conclusion/Implications: Pre-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ion of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differed from those of childcare teachers in previous studies, But their perceptions that public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re the same. Pre-childcare teachers are a resource that will be in charge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is a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process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pre-childcare teachers about how to achieve integration of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 KCI등재

        교사의 감성지능과 사회적 배경 변인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권세경,연선영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4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background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eraly childhood. The aim of this survey is to present concrete data for teacher of early childhood training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eraly childho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5 teacher of early chilhood in Gangwon and Seoul province. This Study used for the questionnaires on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Wong & Law(2002)'s and the questionnaires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eraly childhood by Lee Jung-Suk‘s. The questionnaires on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background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eraly childhood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From this analysis we dre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eraly childhood. There were difference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type.‘Emotional application' and‘emotional comprehension of own’ have large influence. But‘Emotional comprehension of others' have not had a large influe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eraly childhood depending on age among the teacher. Also there were difference of emotional control of emotional intelligence depending among the teacher's class age. We expect this survey to present importance of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vide of early childhood training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eraly childhood.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감성지능과 사회적 배경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강원과 서울 지역 어린이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Wong과 Law(2002)이 개발한 감성지능 도구 및 이정숙(2003)이 개발한‘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 설문지’도구를 수정보완하여 교사의 감성지능과 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질문지를 제작, 배부하였고 이 중 275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빈도분석, ANOVA(분산분석). Regression과 Correla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감성지능은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며 감성지능과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다양한 사회적 배경 중‘연령’에 따라 교사의 감성지능과‘상호작용유형’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가 담당하는 학급 연령에 따라서‘감성조절’요소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연령에 따른 감성지능은‘자기감성이해’영역에서 가장 차이가 크게 있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교사의 사회적 배경 중 연령에 따른 상호작용 유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모든 연령에서‘정서적 상호작용’과‘행동적 상호작용’이‘언어적 상호작용’보다 비교적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25세미만과 만41세 이상 교사의 상호작용유형점수가 다른 연령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감성지능과 교사의 사회적 배경 변인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감성지능의 중요성을 밝히고 영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만 3세 유아 교사의 누리과정 인식과 실행

        권세경,성은영,서동미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4

        본 논문은 만 3세 유아 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행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양적연구와 만3세 누리과정 자율장학에 참여한 교사들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400명의 어린이집 교사에게 설문지를 배부 후 수거하여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행과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이중 만3세 학급 담임 45명을 대상으로 면담과 반성적 저널, 그룹토의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만3세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구성방향과 목표, 편성·운영·교수학습방법·평가 및 각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인식과 실행은 차이가 있었다. 만 3세 유아 교사의 누리과정 자율장학 참여를 통해 인식과 실행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에 대해‘미지의 세계 탐색’이라는 누리과정에 대한 불안감에서 시작하여 구체적으로 유아들과 무엇을 해야 할 지 고민이 많아지는‘고민과 혼돈의 시간’, 누리과정에 대한 자율장학과 실행을 진행 될수록 누리과정이 교사의 교육계획과 실행에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의미의‘나침반 들고 찾아가는 교육’, 교사도 즐기고 유아들도 놀이를 통해 재미를 발견하는‘지적놀이를 즐기기’의 과정으로 변화하였다. This thesis is a parallel study of quantitative study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Nu-ri program class instructors for 3 year olds and a qualitative study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participating instructors for independent scholarship programs for 3-5 year old Nuri Program.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Nu-ri Program for 3-5 year olds through a survey of 400 kindergarten instruction, and collected qualitative data through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and group discussions from 45 of the class instructors that were subject to the aforementioned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differences exist in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depending on the instructors' experience, education, type of kindergarten establishment, and existence of independent scholarship experiences. Also, differences existed in instructors' perception and education regarding the 3-5 year old Nuri Program in organizational direction, objectives, and class composition/operation/instructor teaching methods/eval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through independent scholarship for Nuri Program from participation of class instructors for 3 year olds, the Nuri Program for instructors started evolving from feeling like ‘investigating an unknown world’to a‘time of ponderance and confusion’where the concerns regarding what specifically to do with the children grow, to‘Bringing a compass to class.’which means that the instructors of Nuri Program present teaching plans and implementation directions as the independent scholarship implementation for Nuri Program proceeds, and to‘enjoying intellectual exercises’where the instructors as well as the children find fun through games.

      • KCI등재후보

        물리적 환경의 차이에 따른 영아의 탐색 및 놀이행동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권세경,이순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영아를 대상으로 한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따른 영아의 탐색 및 놀이행동과 영아의 가상놀이 행동의 차이, 영아의 또래간 사회적 상호작용의 차이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영아를 대상으로 한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4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아로서 평균 월령은 두 집단 모두 33개월 정도였으며, 대상 영아의 성별은 두 집단 모두 남아 4명, 여아 1명씩이었다. 본 연구는 영아의 자유놀이시간의 활동을 중심으로 8주간 모두 16회의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두 집단 영아의 탐색 및 놀이행동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는 비율면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더 바람직한 물리적 환경을 갖춘 어린이집의 영아가 더 많은 탐색화동과 바람직한 놀이행동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물리적 환경이 영아의 탐색 및 놀이행동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in an attempt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hysical environment of day care center for infants by surveying differences in searching, Playing, imaginative playing activities and social interaction with peers accor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 Sample of this study is infants with 24 months to 36 months of age, and divided by 2 groups with average age of 33 months. Sexes of sample infants in 2) groups were constituted with 4 males and 1 female respectively. The study is collected data from 16 times of observation within 8 weeks, focusing on the free playing time and the data are analyzed in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outcome of this study, 2 infant groups are showing distinctiveness within searching, play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eers in an aspect of percentage, and infants with favorable physical environment of day care center tend to show more searching and effectible play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eers. The outcome suggests that physical environment influences on infants in activities of searching, Playing and interacting with peers.

      • KCI등재

        어머니ㆍ아버지의 영유아 건강관리 행동 비교 연구- 강원지역 어린이집 재원 영유아를 중심으로 -

        권세경,서동미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4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parents' health care behaviors in managing their children's health at home. The aim of this survey is to present concret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which enable the parents to healthcare their children more efficient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7 mothers and fathers each whose children are enrolled in 106 day care centers in Gangwon province. The returned questionnaires on the healthcare management behaviors of mother and father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T-test. From this analysis we drew the following results; the most frequent behavior of the mother was shown in the area of disease prevention of the children while that of the father turned out in the safety area. The least frequent health care behavior of both the mother and the father was from the nutrition area. The health care behavior of the mother proved dominant in every domains of the health care and this difference is statistically validated. Seen from these results, it is critical to develop exhaustive parents' health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for more optimal health care of the children. 본 연구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어머니ㆍ아버지의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행동을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부모의 영유아 건강관리 행동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지역 106곳 어린이집의 재원생 영유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각 257명이었으며 영유아 건강관리 행동에 관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어머니ㆍ아버지의 영유아 건강관리 행동에 대해 조사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유아 건강을 위한 어머니의 건강관리 행동은 질병 예방을 위한 행동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반면, 영유아 건강을 위한 아버지의 행동은 안전을 위한 행동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어머니와 아버지의 영유아 건강관리 행동 중 가장 적게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은 공통적으로 영양을 위한 행동이었다. 영유아 건강을 위해 어머니보다 아버지의 건강관리 행동이 모든 범주에서 수행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영유아 건강을 위한 어머니ㆍ 아버지의 건강관리 행동에서 증진되어야 할 부분을 반영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에서 바람직한 영유아 건강관리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 효능감 및 유아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인식을 중심으로 -

        권세경 한국보육학회 2021 한국보육학회지 Vol.21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distinction was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Second, Do Teacher Efficacy affect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rd, Do Teacher Efficacy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ffec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In order to solve such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94 people from 300 people. This study used measure teacher efficacy of the tool by Shin Hye-young(2004), measure the understand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f the scale of Park-Jong-myeong(2020). This study analyzed for T-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of SPSS 40.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eacher Efficacy affect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Particularly, personal efficacy was the higher than normal efficacy affect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rd, The understanding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had the biggest impact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s result was significant level.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support of teacher’s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본 연구는 유아교사 효능감과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사가 2019 개정누리과정을 실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차 서울, 경기, 강원, 인천 지역 총 3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개정누리과정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질문지를 배포하여 294부의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이 중 질문에 대한 답이 누락되거나 오류의 정도가 높은 질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194부의 질문지를 분석하였다.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 검정을 실시하였고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인식과 실천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이 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미치는 영향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서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회귀분석은 단계선택(stepwise)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개정누리과정의 지원계획부터 평가하기까지 모든 분야에 대한 교사의 인식 평균이 교사의 실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평가하기’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효능감은 개정누리과정 인식과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개인효능감이 일반효능감보다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과 개정누리과정 인식이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인식이 실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교사효능감과 개정누리과정 인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것은 교사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을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권세경 ( Kwon Se-kyung ),백승학 ( Beak Seung Ha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경향성과 각각의 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의 유아교육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201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경향성을 SPSS 22.0의 기술통계로 분석하고, 각 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AMO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변인별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진로동기, 학습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에 의하면 학습 동기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진로동기와 학습동기는 양방향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 동기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진로동기는 자기주도학습능력에 간접적인 부적영향이 있었으나 이는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변인간 구조적 관계의 유의성을 토대로 향후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1 students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 SPSS 22.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AMOS 24.0 program was used for structu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each variab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reer motiv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found to be high in order. Second, Learning motiv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ich was found to be at a significant level. There was a two-wa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nd career motivat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addition, career motivation ha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t this was not at a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 in that they present basic data were provided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can impro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

        현행 법규범 체계에서의 아동학대 개념의 인식과 수용의 범주

        권세경 ( Se-kyung Kwon ),이은정 ( Eun-jung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3

        법규범은 그 사회공동체의 공감대를 징표하는 의식 수준의 반영이다. 우리 사회의 아동인권에 대한 인식의 수준은 법규범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으며, 특히 아동학대에 관한 법규범을 분석함으로써 아동인권에 대한 사회공동체의 인식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아동학대에 대한 법규범이 사회공동체의 가장 기본적 수준 아동학대 개념의 인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에 대한 우리 사회공동체의 기본적 인식인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하는 아동학대에 관한 법규범을 분석함으로써 아동학대에 대한 규범적 인식과 수용의 범주를 알아보고자 한다. 국내법에서는 아동학대에 대하여 「아동복지법」에서 아동학대에 대한 개념과 인식을 규정하고 있으며, 기타 단행 법률들로서 아동학대에 대한 처벌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아동학대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됨과 더불어 2014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제정을 통해 강력한 처벌법규가 마련되었다.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공동체의 문제의식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규범 체계가 일관된 체계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아동학대에 대처하는 법규범의 통일성, 체계성의 부족함이 문제되고 있다. 2014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제정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의 개념 정의가 부족한 점, 피해아동의 보호보다 학대 행위자의 처벌 강화와 학대에 더 중점을 둔 것, 아동 학대범죄를 현실에 맞게 유형화하지 못 한 점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강력한 처벌 법규를 규정하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실효성을 갖고, 아동 인권에 대한 사회공동체의 기본적 수준에서의 보루가 되기 위해서는 「아동복지법」을 중심으로 하는 아동인권의 일원화되고 체계적인 규범 정립이 필요하다. Laws and regulations reflect the level of socialized consciousness, which is indicative of a bond of sympathy by social community, and the level of social awareness about child rights can be assessed by analyzing laws and regulations about Child abuse. This research seeks to discover the normative awareness of Child abuse and the level of acceptance in social community by analyzing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ith a focus on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Domestic legal system defines the concept and awareness about child abuse under the application of "Child Welfare Act" and provides grounds on which child abuse is punished under the application of miscellaneous special Acts. However the lack of consistency and systematization of current laws has surfaced as a serious problem. The reasons are distinguished as: a) the concept of child abuse is not clearly defined b) there is a greater focus on the punishment of the abuser and its reinforcement than the protection of the victimized children. c) child abuse crime has not been appropriately categorized to reflect what happens in reality. In order for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to be the bastion of child rights in social community, it consequently requires a unified and systematized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with a focus on "Child Welfare Act" which respects the rights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