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의 인지적 실재감 단계와 학습자 참여 양상 분석

        권성연(Soungyoun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메시지의 인지적 수준과 학습자의 참여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토론의 성과를 확인하고 효과적인 토론 설계와 운영에 대한 지침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Garrison, Anderson, Archer(2001)의 인지적 실재감 프레임워크에 따라 토론 메시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고 토론 참여(상호작용) 양상, 시간의 흐름에 따른 토론 메시지의 양적, 질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토론메시지는 ‘통합’ 단계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탐색’단계로 나타났다. 둘째, 하나의 주제에 대해 이어진 글(thread)이 많았으나 한 주제에 대한 결론이나 종합 의견이 도출되지 않은 채 논의가 종결되고 또 다른 이슈가 제기되는 분산된 형태가 많아 토론의 지속성이 떨어졌다. 또한 학습자들은 한번 접속하여 여러 건의 의견을 올리는 경우가 많았으며 적극적인 참여자인 경우에도 비정기적으로 토론에 참여하였다. 셋째, 토론메시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후반부에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종료 이틀 전 부터는 급감하는 형태를 보였다. 또, 전반부에는 탐색의 메시지가, 중반 이후부터는 통합의 메시지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이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can encourage higher-order thinking, then produce meaningful learning outcomes by analyzing the phase of cognitive presence of the online discussion messages. Besides this, this study focuses on the patterns of interaction and contents of messages in discussion to get implications for effective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For this purpose,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was conducted in a e-leaning course of cyber graduate school. All of the messages in the discussion board were collected, then contents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phases of cognitive presence(Garrison, Anderson, & Archer, 2001). The number of messages, replies and hits recorded in LMS was analyzed by date and person and totally. The content analyses revealed that the message of integration phase was most frequently appeared, the message of exploration phases was in the second place in online discussion. Many threads were found, but most of them were suspended without meaningful conclusion. The most salient feature of interaction was that many concurrent issues by one person were propounded at once, and even most active students participated the discussion irregularly. Average number of hits of one message was 3, and the messages never hit came to about 19% of total messages. This results implied that indirect participation by reading others message was low. As time goes by, the number of message increased gradually, but on the last two days before due date, the number of messages drop sharply.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discussion, message of exploration was more than integration, but the second part, the most frequent message classified as integration phas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to conduct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effectively were recommended.

      • KCI등재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 대상 인공지능교육 연구 현황 분석

        권성연 ( Soungyoun Kwon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학교교육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지능교육의 실천 주제인 교사, 그리고 예비교사들의 역할 변화와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2023년까지 수행된 예비교사 및 교사 대상 인공지능 교육 연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총 7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출판연도, 학술지, 교사 분류,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 편수는 2020년에 10편, 2021년에 16편, 2022년에 17편, 2023년에 28편으로 2023년 들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둘째, 게재된 학술지는 학습자 중심교과교육학회가 14개로 가장 많았고 한국정보교육학회,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순이었다. 셋째, 교사 구분에 있어서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26편,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3편이었고 초등 교사 대상 연구가 중등 교사에 비해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은 설문 등을 활용한 조사연구가 절반이 넘는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연구주제는 인공지능 및 인공지능과 관련된 경험과 인식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사의 역량도출과 진단,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대상 인공지능 교육연구의 확대, 특히 중등교사 대상 인공지능 교육 연구 활성화,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체계 개선 연구, 질적 연구 및 인공지능교육의 실제적 맥락을 반영한 연구의 필요성 등 관련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I education research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conducted from 2020 to 2023 and proposed research directions required to activate AI education. For this purpose, 71 articl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journal, teacher, research method, and topic.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by yea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2023. Second, KLACI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ith 14, followed by KAIE and the KACE. Third, there were 26 studies on pre-service teachers and 43 studies on in-service teachers, there were more studies of primary teachers than secondary teachers. Fourth, surveys method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Fifth, the most researched topics wer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A.I., followed by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y and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implications such as the need to expand research on AI education for teachers, specially secondary teachers, improv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he need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esearch that reflect the actual context of AI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권성연 ( Soung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ICT활용 방안에 시사점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ICT 활용의 목적과 형태, 그리고 활용의 필요성 및 효과성, 장애요인 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을 개발하여 서울·경기 및 충청권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ICT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에는 보통 이상의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효과성 측면에서는 ICT 활용 수업이 학습내용과 개념 이해를 돕고, 수업목표 달성에 효과적이라는 것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나 학습자 중심 수업, 고차원적 학습을 촉진한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에서 ICT 활용의 장애요인으로는 테크놀로지 인프라의 부족을 가장 크게 인식하였고 그밖에 시간과 지원인력 부족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수업에서 ICT를 활용하는 목적으로 학생의 흥미유발과 주의집중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구체적인 예나 추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다음 순위를 나타냈다. 반면 학습자 주도적 활동을 위해 ICT를 사용한다는 응답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ICT 활용 수업은 교사 중심적 형태로 운영하는 비율이 높았다. 학습자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이유로 교실 내에 학생이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가 갖추어져있지 못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학생의 통제와 주의집중이 어려워서 라는 응답이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정보화의 고도화 단계로 인식되는 국내의 ICT 활용 수준이 학교 현장에서는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학습자 중심의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rategies and plans for ICT utilization leading to the educational change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ICT use and teachers` perception of needs, effectiveness and barriers of the utilization of ICT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ed at 123 teachers who work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e needs of utilization of the computer technology moderately,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was that computer technology could facilit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and the following was computer could help to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s. But the perception of facilitating the student-centered high-order learning as for using computer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biggest barriers of utilizing computer technology was low accessibility to computers in classroom, and irrelevant computer equipment, lack of time and technical support were following. Third, the most frequent purpose of the utilizing ICT in class was to facilitate students` interest and gain attention, the next was to provide concrete exampl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Whereas, the utilizing ICT for the sake of student-directed activities was very few. Fourth, computer technology integrated class was more teacher-centered than student-centered, the most severe barriers to implement student-centered class was lack of computer for students in classroom, and difficulty in control and concentrating of students during the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utilize computer technology for more student-centered way in classroom.

      • KCI등재
      • KCI등재

        테크놀로지 유형과 교육환경 관점에서 분석한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테크놀로지 연구 동향: 2015-2019년 연구를 중심으로

        권성연 ( Soung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교육정보미디어연구지의 2015-2019년도 테크놀로지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교육공학에서 테크놀로지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보다 미래지향적인 테크놀로지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먼저 연구의 배경이 되는 교육환경과 테크놀로지 유형을 1차적 분석틀로 하였으며 교수학습의 제 요소인 학습자, 교수자, 교수학습과정으로서 테크놀로지 개발과 활용, 교육효과를 연구주제 분석을 위한 2차 분석틀로 하여 총 140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의 교육 환경으로 대학교가 약 50%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초중등 학교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낸 테크놀로지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이러닝 이었으며 다음으로 모바일러닝 순이었다. 이러닝은 순수 온라인 활용 방식 이외에 온-오프라인 연계 방식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첨단 테크놀로지에 대한 연구는 12.9%로 아직 활성화가 되지 못한 수준이었으나 학습분석과 VR/AR의 연구가 주도적으로 진행되었다. 2차분석틀에 의한 결과,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테크놀로지 개발/운영 연구, 학습자 연구가 그 다음 순서를 나타냈다. 효과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테크놀로지 기반 교육이나 전략을 활용한 것에 대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것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수학습 변인과의 관계 파악을 통해 이들 변인이 성과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두된 첨단테크놀로지와 새로운 교육 트랜드에 부합하는 연구로 모바일 러닝이 가장 많았으며 플립러닝, MOOC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aims of this research was analyzing the trends of the technology-related research in the Journal of Education Information Media from 2015 to 2019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echnology-related research in educational technology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140 technology-related studies were analyzed by using 2-level analysis frame. Firs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are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and technology type were analyzed. The second analysis frame covering the main subjects of research consisted of the elem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learner, teacher, development & use of technology, and educational effec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universities accounted for nearly 50 perc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echnology-related research, followed by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Secondly,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echnology was e-Learning, and the next was mobile learning. The most dominant sub type of e-Learning was blended learning, such as flipped learning. The research on advanced technology was 12.9%, which was not yet sufficient, but the study of learning analysis and VR/AR was relatively activated. Thirdly, By the results of second analysis frame, th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based education was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technology development & utilization research, Lastly, mobile learning was the most common research in line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new educational trends emerg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llowed by flip learning and MOO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levant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학교급과 교사 경력에 따른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수준 인식 차이

        권성연(Kwon, Soungyo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이 학교급과 교사경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좋은 수업을 위한 학교급별, 경력별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성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 수준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좋은 수업에 대한 학교급별 중요도와 실행수준 인식의 차이분석에서는 다양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실행수준은 조사한 모든 영역에 걸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초등학교에서 인식 수준이 높았다. 둘째,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 경력별 차이가 일부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경력이 많은 교사의 실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그러나 학교급에 비해서 차이 나는 항목이 많지 않았고 교육내용,교육방법, 교육평가 영역에서는 경력에 따른 실행 수준의 인식 차이가 나타난 반면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교육환경 영역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에서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good teach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s and teaching experiences, then suggest the specific implications for good teaching by schools and teachers. For this study, a survey targeting teacher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and a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importance and practices for good teach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chool. Specifically, more attributes were evidently different in practices of good teaching compared with perceptions of importance. Also, th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ere distinct, and all of the scores in importance and practice were higher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ceptions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good teaching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s. In general, senior teachers perceived the attributes for good teaching to be more important, and practiced better than short-career teachers in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es for good teaching in school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건강평가, 삶의 만족 간의 구조관계 분석

        권성연(Soungyoun Kwon),신소영(Soyoung Sh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스트레스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다문화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건강, 삶의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스트레스 관리 및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 제공을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2기 코호트)의 2 차년도 조사 참여자 2,022명(초등학교 5학년)이며, 구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영향요인을 개인, 학업, 가정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3개 요인은 모두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으며, 개인 관련 요인이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학업, 가정 관련 요인 순으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는 자신에 대한 건강평가와 삶의 만족에 모두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은 동일하였다. 셋째, 자신에 대한 건강평가는 삶의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에서 개인요인이 학업과 가정요인보다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로, 다문화청소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건강평가와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재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stress factors of multicultural youth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stress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population was 2,022 participants (5th grader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2nd cohort)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regression model. First, personal factors had the greatest impact on stress, followed by academic and family factors. Second,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health assessment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effect size was the same. Third, self-rated health assess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t is noteworthy that personal factors had a higher impact on stress than academic and family factors, suggesting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t also reaffirms the importance of managing stress in order to improve health assessment and life satisfaction.urpos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