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난약자의 위기관리 이슈분석

        권설아 ( Seol A Kwon ),이재은 ( Jae Eun Lee ) 한국정책연구원 2020 한국정책논집 Vol.20 No.1

        본 연구는 최근 10년동안(2010년~2019년) 소셜미디에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재난약자’와 관련한 위기관리 이슈를 대상으로 ‘재난약자’와 관련한 이슈의 사회적 관심 패턴을 분석하여, 취약분야의 사각지대를 찾아 객관적인 데이터와 이론을 근거로 하여 기초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재난약자에 대한 이슈의 추의증감이 분석되었다. 둘째, 재난약자에 대한 이슈의 구체성이 분석되었다. 셋째, 재난약자에 대한 긍부정어의 감정어의 추이 증가가 분석되었다. 이에 연구결과에 따른 대중의 인식과 관심에 증가에 따라 재난약자에 대한 유형에 대한 구체성을 확보하여 관련한 법제도 정비 및 정책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crisis management issues related to the ‘vulnerable populations to disasters’ that repeatedly displayed an increase and decrease in social media over the past decade (2010~2019) and analyze the patterns of social interest associated to the issue of ‘vulnerable populations to disasters’ and find the blind areas of the vulnerable parts and base on objective data and theories to secure reliability about the basic data. Based on the study findings, first, there was a variation in the progress about the vulnerable populations to disasters. Second, an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the concreteness of the issues about the vulnerable populations to disaster.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n increase in the development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words about the vulnerable populations to disasters. Therefore, the increase of perception and interest of the public followed by the research finding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specificity about the types of vulnerable populations to disasters in order to examine the relevant legal system and also improve the policies.

      • KCI등재

        시계열자료 분석을 통한 재난발생 이후 지역경제 회복력(resilience)에 관한 연구

        권설아(Seol A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현대사회에서의 재난발생 증가 및 피해는 지역경제의 부정적 영향으로 나타난다. 특히 지역경제 침체는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악화시키고, 정신적·물질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지역경제 회복력 강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월호 참사 이후 진도군의 지역경제의 회복력 지표를 산정하고, 재난발생 이후의 경제수준 추이를 시계열자료를 통해 분석하여 향후 경제회복력을 고려한 지역의 위기관리 복구 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역경제를 대표하는 지방재정, 지방소득세는 지역경제 탄력성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주민경제상태, 지역의 경기변동, 외부경제유인 요인과 관련한 지역경제 탄력성 개선은 보이지 않고 있었으며, 주민의 생활수준 및 심리적 스트레스가 매우 높아 위기 내성에 따른 장기적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보인다.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침체된 이미지 극복을 위한 지역 자체적 자원 활용을 통한 지역경제 탄력성 개선, 지속가능한 장기적인 경제회복 정책을 구축, 지역주민의 재난영향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심리치료와 관련한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Increases in disasters and damage caused by the disasters in modern society, have a negative impact on local economy. In particular, a local economic downturn leads to a deterioration in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causes mental and material damag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stable and sustainable local economic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aims to estimate indicators of local economic resilience of Jindo Count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nalyze a trend of the economic level after the disaster through time series data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the local crisis management and restoration policy that considers future economic resilienc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and of workers in related industries hit tourism industry, causing a loss to the local economy and that an increase in a drinking rate of and stress awareness rate of local residents was a stress factor due to disaster impacts. These findings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improving the depressed local image by utilizing local resources in the area, to build a sustainable long-term economic recovery policy and to provide psychological treatment and the relevant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upport for relieving the stress of local residents due to the disaster impacts.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공상관리제도에 대한 실증연구

        권설아(Seol A Kwon),오명근(Myeong Keun Oh),이주호(Ju Ho Lee),이민규(Min-Kyu Lee),박상호(Sang Ho Park),현승효(Seung Hyo Hyeon),류상일(Sang Il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3

        재난현장의 극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소방공무원들의 공무상 부상빈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공상에 비하여 공상승인이나 관련 절차는 복잡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 측면에서의 근무환경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공상관리제도에 대한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공상관리제도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실증분석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상에 대한 경험 빈도가 타 직군에 비해 높다. 둘째, 공상신청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셋째, 공상승인 시 자부담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실태분석을 토대로 공상관리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요인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상신청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공상신청 심의 시 고위험 제반사항 고려가 필요하고, 공상관리제도 운영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공상자 혜택 및 지원사업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공상제도 개선 요인을 위해서는 보상 관련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공상관리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피해 예방 및 대처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공상신청 행정절차의 간소화 및 공상자 혜택 및 지원사업 확대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하고, 아울러 기관장의 관심 및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frequency of official injury of fire-fighting officers exposed to an extreme situation in disaster area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spite of increase of injury, procedures of injury approval are complex, so the working environment of fire-fighting officers is very poor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This study was, therefore,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for fire-fighting officer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system for those in Busan city.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injury experienced by them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occupations; second, application for injury is not actively made; third, fire-fighting officers should bear the expense if injury is approved. On the basis of such an analysis on actual conditions, an analysis on policy factors for improving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shows; first, various high-risk matte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view of application for injury, for improvement factors of the application for injury, whil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benefit and support project for injured officers, for operation improvement factors of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and the compensation act should be improved, for the improvement factors of the injury system. Second, it is urgent to develop damage prevention and coping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injury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e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application for injury and the extension of benefit and support project for injured officers should be realized as soon as possible, moreover, the enhancement of directors interest and support is also required.

      •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권설아 ( Seol A Kwon ),이재은 ( Jae Eun Lee ),변성수 ( Sung Soo Byun ),조민상 ( Min Sang Cho ),류상일 ( Sang Il Ryu ) 한국정책연구원 2018 한국정책논집 Vol.18 No.-

        매년 증가하는 재난 위험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비·대응할 수 있는 재난관리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재난관리체계의 최상위 위상을 지닌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의 추진성과 및 문제점에 대해 종합·분석을 하였다. 제4차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은 2020년부터 향후 5년간 안전관리의 기본 방향 및 목표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중점 내용 검토 및 추진사항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은 중앙단위의 계획으로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계획이 도출되지 못하였다. 둘째, 안전관리 계획수립의 전문성 확보 문제로서, 계획 수립 담당자의 전문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현장 중심의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이 미흡하다. 넷째, 신종위험 및 사회적 이슈의 범위 설정에 한계가 나타났다. 다섯쨰, 안전관리계획이 너무 포괄적이고 재난 유형별로 구분되어 있어서 실제 재난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현실적인 반영이 곤란하다. 여섯째, 다중 참여방식을 통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이 미흡하다. 일곱째, 피해원인 분석을 통한 사전적 관리 활동이 필요하다.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의 국내 실태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개선방향으로는 환경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강화, 현장 중심의 협업강화, 안전지식의 축적 및 공유를 제시하고 있다. Disaster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o swiftly and effectively deal with the annual increase of disaster risk.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analyze performance of the National Basic Safety Management Plan,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its problems, comprehensively. The 4<sup>th</sup> National Basic Safety Management Plan is to set up the basic direction and goal of safety management over the next five years starting 2020 and focuses on reviewing the major contents and establishing things to push forward.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National Basic Safety Management Plan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Basic Safety Management Plan has centered around central administration so far, which means it has filed to come up with plans consider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regions. Second, when it comes to safety management planning, there is a limitation in establishing expertise of the staff in charge of planning. Third, there is a shortage of field-based safety innovation master plans. Fourth, there is a limitation in setting the scopes of new risks and social issues. Fifth, since safety management plans are too comprehensive and these ar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disaster types, it is hard to apply to actual disaster management business. Sixth, there is an insufficiency of multiple participation-based cooperative networks. Seventh, proactive management activities must be carried out by analyzing causes for damage.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omestic status of the National Basic Safety Management Plan, this study suggests to reinforce safety management, enhance field-based collaboration, and accumulate and share safety knowledge through environment analysis, as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소방공무원 건강장해 유해인자에 대한 실증연구

        권설아(Seol A Kwon),이민규(Min-Kyu Lee),박상호(Sang Ho Park),김다영(Da Young Kim),류상일(Sang Il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3

        이 연구는 부산시 소방공무원들의 건강장애 유해인자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건강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우선, 화재진압대원의 유해인자를 보면, 아무래도 화재현장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업무특성을 반영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위험성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음으로 화재 진압시에 추락위험을 높이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구조대원의 유해인자에서는 구조대원이 화재 현장이나 각종 사고현장에서 요구조자를 구조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현장 유해화학물질 위험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또한 구조현장에서의 추락위험을 두 번째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업무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구급대원의 유해인자를 보면, 구급대원의 교대근무의 위험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교대근무가 건강에 유해하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대목이다. 다음으로, 환자이송 과부하가 큰 유해요소로 꼽았다는 것은 그만큼 구급업무의 특성상 많은 이송환자들이 많아짐으로 인해서 각종 2차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구급현장 이송 중에는 빠르게 구급차량을 이동시켜야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도 유해요소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유해인자 인식 비교에서는 구조대원이 가장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업무 특성과도 연관되는데, 구조대원의 경우가 화재 등 각종 위험현장과 가장 근접하게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management of firefighters in the future by empirically looking into health hazard factors of firefighters in Busan City. It was revealed that firstly, the danger of harmful chemicals in a fire was perceived the most by firefighters, who extinguish a fire in person on the scene of a fire, and it was followed by the danger of falling while putting out a fi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management of firefighters in the future by empirically looking into health hazard factors of firefighters in Busan City. It was revealed that firstly, the danger of harmful chemicals in a fire was perceived the most by firefighters, who extinguish a fire in person on the scene of a fire, and it was followed by the danger of falling while putting out a fire. Moreover, the danger of shift work was perceived the most by paramedics. This corresponds to the existing studies arguing that shift work is harmful to health. Next, the overload of patient transport was recognized as the second biggest hazard factor. This demonstrates they are worried about various second accidents that may happen due to a lot of patient transport work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causing a traffic accident was perceived as a hazard factor too, since they must drive ambulance cars quickly to transport patients. Lastly, rescue workers regarded these hazard factors to be most dangerous. This is associated with their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because rescue workers are the closest to diverse risks including a fire.

      • KCI등재

        How Strongly Do We Practice Altruistic Behavior in a Crisis Situation? An Analysis on Altruistic Language Networks in Disasters

        권설아(Seol A Kwon),송유진(Eugene Song),이재은(Jae Eun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1 Crisisonomy Vol.17 No.3

        Humankind is entering an era in which daily life itself is a disaster due to severe climate change, an economic crisis that has permeated since 2008, and new infectious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human nature and behaviors in disasters in the context of universal human behavior with habitual and institutionalized styles. This study sought to find an answer to question ‘What do humans do in the face of infectious diseases and fears caused by the emergence of new viruses in modern society?’ This exploratory study on the altruistic nature of humans in disaster adopted text mining through social networks and analyzed a total of 44,411 media articles about altruism and three infectious diseases. An extensive search of words related to the diseases was conducted, including “sharing,” “comforting,” “rescuing,” “devoting,” “helping,” “caring,” “transferring,” and “cooperating.”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disasters, humans are very cooperative and help restore and rebuild society and their community through various altruistic behaviors.

      • KCI등재

        재난지수와 부패지수의 상관관계 분석 : 2013-2015년의 지수를 중심으로

        권설아 ( Kwon Seol-a ),김지은 ( Kim Jee-e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6 공공정책연구 Vol.33 No.1

        각종 재난의 이면에는 부패가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글은 부패지수와 위기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위기관리학에서 새로운 관점을 찾아내는데 목적이 있다. 그래서 본 글은 GDP지수, 부패지수, World Risk 지수를 크로스체크 하여 분석하였다. 본 글은 2013년도에서 2015년도까지의 GDP지수 상위 20위와 하위 20일을 기준으로, 부패지수는 상위 20위에서 하위 20위를 기준으로, 마지막으로 World Risk 지수는 상위 20위과 하위20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부패지수가 높고, 경제적 자립도가 낮을수록 국가적 위험에 취약함이 나타났다. 둘째, 국가가 청렴하고, 경제적 자립도가 높은 국가 및 대륙일수록 국가적 위험이 안전하다고 평가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지표분석의 크로스체크 활용은 앞으로 위기관리 취약계층 분석 및 통합적 재난관리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hidden side of various disasters is deeply related to corrup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a new perspective in crisis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ruption index and the crisis index. For this study, the GDP index, the corruption index and the World Risk index are cross-checked and analyzed. The GDP index is based on the top 20 ranks and the bottom 20 ranks, the corruption index is based on the top 20 ranks and the bottom 20 ranks and the World Risk index is based on the top 20 ranks and the bottom 20 ranks from 2013 to 2015.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untries with a high corruption index and a low economic independence are vulnerable to national risks. Second, the countries and continents with high integrity and economic independence are safe from national risks. It is considered that this cross-check using various index analyses would be helpful in analyzing crisis management of vulnerable classes and studying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 KCI등재

        도민안전보험 보장항목 및 보장금액 개선방안 연구: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권설아 ( Kwon¸ Seol A ),변성수 ( Byun¸ Sung Soo ),송유진 ( Song¸ Eugene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도민안전보험의 보장항목과 보장금액을 평가하여 지역 특색에 맞는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도민안전보험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조기에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지역민의 도민안전보험 인지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보장항목은 유지하되 보장금액을 지역 상황에 맞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자체는 미디어, SNS 등 다양한 정보전달 수단을 통해 도민안전 보험 제도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인지도를 높여야 하며, 보장금액의 조정은 지역민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민들의 사회불안요소들을 미리 파악하여 새로운 보험항목 개발하여 추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afety Insurance for Residents of Province in coverage items and amounts and identify their improvement measures. The findings show a need to adjust coverage amounts according to local features, which includes keeping old coverage items and developing new coverage items for Safety Insurance for Residents by reflecting the local residents’ demand for new coverage items and expert opinions about them. By putting together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to improve Safety Insurance for Residents and to promote its appropriate settlement: first, it is needed to promote and introduce a system of Safety Insurance for Residents in various ways so that the residents will have higher awareness of the insurance; secondly, there is a need to adjust insurance coverage amounts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s of local accidents and facilities while keeping the old coverage items; and finally, it is required to identify the elements of social anxiety among the local residents in advance and add them as insurance items in addition to the old coverage items.

      • KCI등재

        재난 대피 시설의 공간적 분포와 접근성에 관한 연구: 청주시를 중심으로

        박현수(Hyun Soo Park),권설아(Seol A Kwon)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5

        기후위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바로 자연재해이다. 지구의 기온 상승으로 인해 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의 특징으로는 재해의 대상이 불특정하고, 양태는 다양해지며, 규모는 대형화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청주시를 대상으로 재난대피시설의 분포를 살펴보고, 이들 시설까지의 접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른 인구특성별로 이동거리를 확인하고, 재난대피시설까지의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재난대피시설은 인구에 비례하여 위치하고 있어,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거리가 짧게 나타났다. 재난대피시설까지 거리가먼 지역은 대체로 산재되어 있었다. 이 지역은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어 재난대피시설의 지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재난대피시설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지역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전체 인구 중에서 유아의 인구가많을수록, 건물수가 많을수록 재난대피시설로부터의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전체 인구 중에서 노인의 인구가많을수록, 노후된 건물이 많을수록 재난대피시설로부터의 거리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Hazards are problems that can arise due to the climate crises. The rise in temperature on the earth can lead to an outbreak of many natural hazards. Hazards arising due to the climate crises are typically characterized by their unspecified targets, diversified aspects, and enlarged scal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accessibility of disaster evacuation facilities, considering Cheongju as the target city. Our findings show that the disaster evacuation facilities are proportional to the population;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facilities was less in highly populated areas. Areas far from the disaster evacuation facilities are generally scattered. This particular area has a population scattered over a wide region; therefore, it was not easy to designate a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Additionall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the distance from the disaster evacuation facilities, which showed that the areas with a higher population of toddlers relative to the entire population and a higher number of buildings were nearer to the disaster evacuation facilities. Conversely, areas with a higher elderly population relative to the entire population and decrepit buildings were further from the disaster evacuation facilities.

      • 여성소방공무원의 근무여건에 대한 실증연구

        류상일 ( Ryu Sang-il ),권설아 ( Kwon Seol-a ) 한국안전문화연구원 2018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1 No.3

        연구목적 : 아직까지 소방직은 여성이 진출하기 어려운 공무원 영역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방직의 업무영역이 다변화하고 여성 진출이 촉진되어 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여성소방공무원의 근무여건과 정책은 불합리 하지 않은지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여성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근무여건에 대한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여성소방공무원들의 근무환경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결론 : 첫째, 여성소방공무원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여성에게만 지워진 고정적 성역할에 대한 극복이 필요하다. 여성소방공무원에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소방업무를 요구하기 위해서는 신체적 제한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사회에서의 동등한 대우와 제도개선을 통한 평등한 조직문화를 구성함에 있다고 본다. Purpose : Fireighting is still one of public service areas that is tough for women to enter. Nevertheless, work domains of firefighting are diversifying and the entry of women in firefighting is being boosted. At this point of time, there is a need to see whether or not working conditions and policies for female firefighters are irrational, and improve. Methods : This study was, therefore, conducted to offer fundamental basic for improvement in working conditions of female firefighters in the future by examining working conditions of female firefighters empirically.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onclusion : First, institutional support for female firefighters is needed. Second, there is a need to get over the fixed gender role, which is given to women only. In order for female firefighters to do firefighting work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t is considered that equal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formed by providing them with equal treatment and improving the system in the organization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