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개발에 따른 마을과 마을공동체의 변화와 마을제사의 의미—신내동 경주임씨 집성촌의 변화 양상과 마을제사를 중심으로—

        권선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41 No.-

        본고는 도시개발을 통해 변화된 마을에서 변화된 마을제사의 의미를 찾고자 한 것이다. 선행연구를 보면 도시개발 이후 마을에 재정착한 토박이가 많을수록 마을제사의 전승이 원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신내동 능말 경주임씨 집성촌은 도시개발 후에 대다수의 토박이가 재정착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제사가 중단되었다. 신내동 능말의 개발은 능말의 지연공동체이면서 혈족공동체였던 경주임씨 종친회를 혈족공동체로 강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종친회는 마을 개발로 혈족공동체가 와해될 위기에 처하자 마을 개발을 통해 형성된 물적토대를 기반으로 종원 정비, 종친공간 확보, 종친모임 강화 등의 적극적인 대응을 하였다. 강화된 종친회는 자연스럽게 마을에 재정착한 대다수의 토박이인 경주임씨 종친들에게 능말이라는 지연공동체를 대체할 구심점이 되었고, 능말 도당제의 전승은 이어지지 못했다. 결국 도시개발에 따라 변화된 마을에서 마을제사는 옛전통의 계승, 구심점 및 정서적 유대관계로 의미가 축소된 것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 의미들이 획득되지 못한다면 전승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한편으로는 마을제사가 의미를 새롭게 획득한다면 재전승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마을제사가 역사탐방 등을 통한 교육의 기능을 지닐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d meaning of village rites in a village that has changed through urban developmen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f there were many natives who resettled in a village after urban development, the transmission of village rites was smooth. In the Sinnae-dong Neungmal Gyeongju Im Clan village,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village rites could not continue even though the majority of the natives were resettled after urban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Neungmal in Sinnae-dong served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Gyeongju Im Clan’s family association, which was a blood-related community within the local community, focusing on the blood-related community. When the clan community was in danger of being disintegrated due to village development, the clan association actively responded by reorganizing the clan center, securing space, and strengthening meetings based on the material foundation formed through village development. The strengthened clan association naturally became a focal point to replace the local community called Neungmal for the majority of native Gyeongju Im clan relatives who resettled in the village, but the transmission of the Neungmal DoDangJe was not continued. In conclusion, in villages that have changed due to urban development, the meaning of village rites has not only been reduced to the inheritance of old traditions, a central point, and emotional ties, but it is also difficult to re-transmit them down if they do not continuously acquire meaning. On the other hand, if village rites acquire new meaning, they can be re-transmitted. Regarding this, this paper mentioned that village rites can have an educational function through historical tours, etc.

      • KCI등재

        서울 당신화의 유형에 따른 성격과 의미 - 좌정담을 중심으로 -

        권선경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aspect of Dang-Sin-Hwa(Mythology of Dang) in Seoul. Therefore I have a review of overall aspect of Joa-Jeong-Dam, and then I have classified for the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a existence of deification as "deification" and "non-deification". "non-deific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main god as "real person", "hiding deification" and "alternate deification". As a result, I have verified that Dang-Sin-Hwa has a characteristic of Seoul and Seoul Bu-Gun-Dang is included in Seoul shamanism. And I would like to give a opinion that "location" can be have high priority compared with "process". 본고의 목적은 ‘서울’만이 갖고 있는 당신화의 면모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서울 당신화 중에서 좌정담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피고, 유형을 분류하여 그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서울 당신화는 신격화의 존재 유무에 따라 ‘신격화형’과 ‘신격화 부재형’으로 나뉘었고, ‘신격화 부재형’은 다시 주신(主神)의 성격에 따라 ‘실존인물 신격형’, ‘숨은 신격형’, ‘이주(대체) 신격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결과 ‘계획 도시’였던 서울의 모습이 당신화에 그대로 녹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서울 ‘부군당’이 서울 무속의 자장(磁場) 안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좌정담에서 ‘신격화 과정’보다 ‘해당 위치에 좌정하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일 수도 있다는 것을 제기였다.

      • KCI등재

        부안 죽막동 수성당제의 변화양상과 콘텐츠 활용을 통한 전승방안

        권선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5 No.-

        본고는 부안 죽막동 수성당제의 변화양상을 전승주체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마을신앙의 전승주체라고 하면 마을사람들만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마을신앙이 마을사람들에 의해서만 전승됐던 것은 아니다. 부안 죽막동 수성당제의 변화양상에서 그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3개 조기 어장으로 이름이 높았던 시절에는 마을주민과 함께 중요한 전승주체가 조깃배의 선주였기 때문이다. 과거 조깃배의 선주들이 죽막동 마을굿인 수성당제에 참여했던 것은 1년 동안 자신의 배를 지켜줄 배서낭을 받기 위해서였다. 다른 말로 하면 선주들이 과거 수성당제 전승주체의 하나였던 것은 수성당제에 깃굿이라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 수성당제의 전승환경은 역사 유적지이자 관광지로 변모하였다. 그렇다면 그 전승환경에 맞게 수성당과 당제는 역사 유적과 관광지를 찾아오는 관광객들도 포함할 수 있는 면모를 갖추어야 한다. 과거 조기 어장이던 시절 선주들이 수성당제 전승주체의 하나였다면 현재는 관광객들이 그 자리를 대신할 수 있어야 한다. 관광객들을 전승 주체의 하나로 포섭하기 위해 수성당을 중심으로 하는 죽막동 제사유적의 살아있는 박물관화와 개양할미 콘텐츠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마을의 변화는 마을의 개념과 성격의 변화를 수반한다. 그리고 그 마을의 변화는 결국 마을신앙의 변화로 이어진다. 마을신앙은 이러한 마을의 변화와 함께 할 때만 전승의 자생력을 가질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nging aspect of Su-Seong-Dang-Je in Juk-Mak-Dong, Buan. The tradition transferee of village faith is generally thought of as villagers. However, the village faith was not handed down only by the villagers. This was confirmed by the changing aspect of Su-Seong-Dang-Je in Juk-Mac-Dong, Buan. When It was famous as the three major croaker fishing grounds, It is because the shipowner of the ship was an equally important tradition transferee. In the past, shipowners participated in the ceremony of Su-Seong-Dang-Je in Juk-Mac-Dong in order to receive a god of ship to protect their ship for a year. In other words, why shipowners were one of tradition transferee in the past, it was included Git-Gut contents in Su-Seong-Dang-Je. The tradition environment of the Su-Seong-Dang-Je changed into a historical site and a sightseeing spot. So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tourists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Su-Seong-Dang and Dang-Je. Shipowners were one of tradition transferee of Su-Seong-Dang-Je in the past, but today tourists should be able to replace them. Just as it was when we were fishing in the past, it was able to get in the way of embracing shipowners. For this purpose, I have suggested a living museum of ancestral rites in Juk-Mak-Dong and usage contents of Gae-Yang-Hal-Mi(Grandmother Gae-Yang). Changes in the village involve changes in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the village. And the change of the village eventually leads to the change of the village faith. The faith of a village can have the inherent power of tradition only when it is accompanied with the change of this village.

      • KCI등재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윤리 교육의 사례와 시사점

        권선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3

        This study focused on learner-centered ‘learning ethics’ education as a way to conduct self-directed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ethics is an ethics that students must abide by in all academic activities, but knowing this does not mean that you can put it into practice. The behaviors that must be practiced in order to follow a learning ethic may differ from each person.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ethics setting, inspection, and final reflection. Students wrote the learning ethics in group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revised them during the mid-term inspection in the 9th week, and had time for group reflection through the final inspection in the 15th week.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 writing and mid-test of the learning ethics contributed to keeping the learning ethics. The main reason is that the students have written the learning ethics they need. The students set the learning ethics necessary for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In fact, learning ethics education, in which students write and check their own learning ethics, was able to obtain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not only in writing education but also in other subjects,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s. 본고는 대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견인하는 방안으로 학습자 중심의 ‘학습윤리’ 교육에 주목하였다. 학습윤리는 학생들이 학업 활동을 하는 전 과정에서 지켜야 하는 윤리이지만 이것을 안다고 해서 학습윤리를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람마다 학습 윤리를 지키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행위들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윤리 설정, 점검, 최종 성찰이었다. 학생들은 학기 초에 학습윤리를 조별로 작성하고 9주차에 중간점검을 하면서 수정한 후 15주차 최종점검을 통해 조별 성찰의 시간을 가졌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습윤리의 작성 및 중간점검이 학습윤리를 지키는데 기여했다고 생각했다. 가장 큰 이유는 학생들 스스로 자신들에게 필요한 학습윤리를 작성했기 때문이다. 즉 학생들이 처한 교육 환경에 따라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윤리를 설정했던 것이다. 실제로 학생들 스스로 학습윤리를 작성하고 점검하는 학습윤리 교육은 글쓰기 교과 외에 다른 교과와 대면 및 비대면 수업 상황에 모두 적용한 결과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도시화에 따른 마을신앙의 변화와 전승의 방향 - 서울 지역 마을신앙의 전승공동체를 중심으로 -

        권선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7 고전과 해석 Vol.23 No.-

        도시화에 따라 서울의 마을은 지연공동체가 해체되고 주거의 기능만이 주(主)가 되는 공간으로 바뀌었다. 마을을 단위로 하는 마을신앙 역시 마을의 변화에 따라 과거와 달리 질적으로 변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을신앙의 전승주체의 하나인 마을주민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토박이이다. 문제는 서울 마을의 구성원이 토박이보다는 이주민의 비율이 훨씬 높다는 것이다. 전승 주체의 동일함은 마을신앙의 전승 공동체 중 마을주민이 마을의 일부로 좁아진 것을 말한다. 전승주체가 토박이로 좁아진 것은 마을신앙의 기능 및 의미 역시 한정되었기 때문이다. 전통사회에서 마을신앙이 가지던 여러 가지 기능과 의미가 현재는 해당 지역의 역사와 전통 문화로만 좁아지면서 집중된 측면이 크다. 여기에서 마을신앙이라는 공동체성과 전승력의 확보라는 문제가 남는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역사와 전통의 유산’에서 말하는 ‘우리’안에 이주민이 포함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마을신앙 전승집단의 확대는 결국 도시화에 따른 마을의 변화에 마을신앙 역시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 완전한 삶을 구현할 수 있었던 마을은 도시화 이후 거주공간으로서의 기능만을 주로 가지게 되어 휴식과 안식의 역할만이 강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부군당의 공원화에 주목하였다. Seoul is changed into living space from regionalism due to urbanization. Also village belief is changed as a qualitative thing. In spite of that, transmission host is still native same as the past. But ratio of immigrants is higher than native. Therefore only part of village can transmit village belief. It means that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are limited. There was a lot of functions and meanings in the past, but it is focused on local history and historical culture these days. So it is faced on the problem for community and transmission of village belief. To overcome these, it has to consider to include immigrants in community. It means that village belief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changing village due to urbanization. Village belief will be have public functions for rest and relaxation similar with the past. So a park of Bu-Gun-Dang is good aspect based on changing of urbanization.

      • KCI등재

        천연두신 무가에 나타난 젠더의 관계 양상과 의미-동해안 <손님굿> 무가를 중심으로-

        권선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0 No.-

        본고는 천연두신 무가를 ‘젠더’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여 서사 구현 방식과 그 의미를 고찰하여 본 것이다. <손님굿> 무가는 ‘사공-각시손님’, ‘김장자-각시손님’, ‘김장자의 아들-각시손님’이 대결 혹은 갈등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 둘의 관계는 모두 ‘남-녀’라는 젠더 대결로 소급되었다. 이와 달리 ‘각시손님-사공 부인’, ‘각시손님-노고할미’, ‘각시손님-김장자 부인’, ‘각시손님-노고할미 외손주’는 모두 ‘여-여’ 관계로 우호 혹은 협조적인 젠더 양상을 보여준다. 젠더간의 상이한 관계는 전통사회에서 젠더에게 기대했던 역할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천연두라는 질병을 통해 당대 사회에서 아이 양육을 전담했던 젠더는 여성이며 집안의 전권을 담당했던 젠더는 남성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여성이 한 가정 내의 양육과 돌봄을 전담했지만 그 역할은 남성의 전권 안에 포함된 것이었다. 이는 천연두라는 전염병을 통해 성별(Sex)이 어떻게 젠더라는 권력관계로 기능하였는가를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이와 함께 천연두라는 전염병이 아이 양육 과정에 있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과의례적인 질병이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narrative method and its meaning, focusing on the keywords of “gender,” in the shaman song about the Smallpox. In the <Sonnimgut> shaman song, ‘Sagong-Gaksi Sonnim’, ‘KimJangja-Gaksi Sonnim’, and ‘KimJangja’s son-Gaksi Sonnim’ show a confrontation or conflict. Both of these relationships resulted in a “male-female” gender confrontation. On the other hand, 'Gaksi Sonnim-Sagong’s wife', 'Gaksi Sonnim-Noguhalmi', 'Gaksi Sonnim-Kimjangja’s wife', and 'Gaksi Sonnim-Noguhalmi's grandchildren' were all friendly or cooperative in relation to 'female-female' . The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genders are due to the different roles expected of gender in traditional society. Through the smallpox disease,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society at that time, child rearing was dedicated to women, and that the entire household was in charge of men. In particular, even though women were dedicated to nurturing and caring for a family, that was a role in the man's whole authority. Through this epidemic of smallpox, we can see how each gender functioned as a power relationship called gender. Along wit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mallpox is an epidemic that must be experienced in the child rearing process.

      • 삼각산 도당제의 특징과 의미

        권선경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20 No.-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of thenorthern Gyeonggi dodanggut ‘samgakmountain dodanggut’. The biggest feature ofsamgakmountain dodanggut is that the mountain God ritual appear strengthened. This is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ritual to show that the material wellfounded. Through this study, since it can be seen to hold the sphere and the systemof the inorth Gyeongg Dodangut even roughly, you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thispaper. 본고에서는 경기도 북부의 대표적인 도당굿인 ‘삼각산 도당굿’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삼각산도당굿의 가장 큰 특징은 산신의례가 강화되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의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요소 중의 하나가 물적 토대라는 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대략적이나마 경기 북부 도당굿의 권역과 계통을 잡아볼 수 있었다는 데에서 본고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동해안굿에서 군웅의 의미

        권선경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5 No.-

        This study is focused on growth, birth and breeding of Gun-Ung-Sin as Jang-Su-Sin from Ease sea Kut. Gun-ung is played 2 times such as Gun-Ung-Geo-Ri and Jang-Su-Geo-Ri, or is played only 1 time as Gun-Ung-Jang-Su-Geo-Ri. The players is recognized that Gun-Ung-Sin is same as Gun-Ung-Jang-Su or Jang-Su because they know Gun-Ung is same as Jang-Su. However Gun-Ung-Sin is not only recognized as Jang-Su-Sin, but also a God(Sin) for growth, birth and breeding from the analyzing Mu-Ga-Sa-Seol. Gun-Ung is So(cow)-Sam-Sin in Yeongdong area according to their functionality of growth, birth and breeding. Gun-Ung has a protection role from the outside because he is a God(Sin) of Seng-No-Byung-Sa(birth-old-disease-death) from San-Mek-Yi. Therefore, it is recognized to powerful Jang-Su protected from Ho-Hwan(disaster from tiger). And it is related to Gun-Ung-Jang-Su and Gun-Ung-Jang-Kun. From my analyzing, the functionality of So(cow)-Sam-Sin is for managing Seng-No-Byung-Sa(birth-old-disease-death) when Byul-Sin-Gut is played. Also it is for protection their descendant from a war when Jang-Su-Geo-Ri is palyed. 본 논문은 동해안굿에서 장수신으로 인식되는 군웅신이 생장․번식의 신임을 밝힌 것이다. 동해안 별신굿에서 군웅은 군웅거리와 장수거리로 2번 연행되기도 하고, 군웅장수거리라고 하여 한 번 연행되기도 한다. 연행자들은 군웅을 장수와 동의어로 인식하여 군웅신을 군웅장수, 장수로도 지칭하지만 무가사설 분석 결과 군웅거리와 장수거리가 별개로 연행될 때에 군웅신은 장수신의 면모뿐만 아니라 풍농과 가축의 생장․번식을 도모하는 신이기도 했다. 군웅신이 생장․번식신으로 기능하는 것은 영동 지역의 소(牛)삼신이 바로 군웅이기 때문이다. 산멕이에서 군웅은 가축의 생로병사를 주관하는 신(神)이기 때문에 외부 위협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기능도 가졌다. 따라서 과거 호환(虎患)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할 수 있는 힘 있는 장수로도 인식되었으며 여기에 군웅장수, 군웅장군이 결부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이 별신굿에 오게 되면 소삼신의 기능은 군웅에서는 풍농과 가축의 생로병사를 주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장수거리(군웅장수거리)에서는 군대에 간 자손에 대한 안전 도모로 나타나는 것이다.

      • KCI등재

        글쓰기 윤리 교육의 현황과 실천적 교육 방안 연구-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수업을 중심으로-

        권선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8 사고와표현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writing ethics education and to find ways to practice writing ethics. Most of the writing ethics education have done one lecture only. Therefore, the educational effect is insignificant. Students should be exposed to writing ethics repeatedly during writing classes to always be aware and aware of writing ethics when writing. It is impossible to say that writing ethics is practiced because it expresses the footnotes and references correctly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 Writing ethics is related to all parts of writing, ranging from submitting formal and complete writings to selecting appropriate and appropriate materials to suit your own views. So it is important to note how individual activities in the classroom are related to writing ethics and to allow them to combine to make writing ethics practical and engaging. This is one such teaching practice. 본고는 글쓰기 윤리 교육의 문제점을 이해하고, 그것을 실제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쓰기 윤리는 대부분 글쓰기 수업에서 한 번의 강의로 끝난다. 따라서 교육적 효과가 미미하다. 학생들이 글을 쓸 때 글쓰기 윤리를 언제나 의식하고, 그 과정을 숙지시키기 위해서는 글쓰기 수업 시간에 반복적으로 글쓰기 윤리에 노출시켜야 한다. 각주와 참고문헌을 형식에 맞추어 올바르고 정확하게 표기했다고 해서 글쓰기 윤리를 다 실천했다고 할 수 없다. 자신의 견해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타당하고 적절한 자료를 검색하고 선택하여 가지고 오는 것에서부터 형식적으로 완전한 글을 제출하는 것까지 글쓰기 윤리는 글쓰기의 모든 부분과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수업 시간의 개별 활동들이 어떻게 글쓰기 윤리와 연관되는지를 언급해주고, 이러한 과정들이 합쳐져서 글쓰기 윤리가 실천된 한편의 글이 되는 것을 경험할 수있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고는 그러한 하나의 수업 사례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