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규의 한시를 읽는 두 가지 방법, 매체와 교유관계

        권두연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3 No.-

        임규는 320여 수의 한시를 지었고 이를 『北山散稿』라는 책으로 남겼지만 이 시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작성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고찰이 없었다. 스스로를 시인으로 자처하지 않았고 한시에 대한 이론적인 생각을 밝혀 놓은 글도 많지 않지만 임규는 191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한시를 창작했고 『開闢』과 『三千里』, 『啓明』, 『啓明時報』, 『春秋』등에 한시를 발표했다. 흥미롭게도 북산산고 에 수록된 시들 중 상당수가 이 매체들에 소개된 적이 있으며 그의 한시에 상당히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음이 포착된다. 이러한 점에 착목하여 이 논문은 『북산산고』가 엮이기 이전, 신문이나 잡지 등의 매체를 통해 소개된 임규의 한시들을 추적해 봄으로써 그의 시 창작 과정과 시에 나타난 교유관계를 재구해 보았다. 특히 지금까지 학계에 널리 소개되지 않은 잡지 『계명시보』에는 북산일민(北山逸民)이나 북한일민(北漢逸民)이라는 필명으로 게재한 글들도 목격된다. 이 점은 임규가 우정(偶丁) 외에 다른 필명을 사용하였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북산’이 그의 시 쓰기에 상징적인 대상이었음을 드러낸다. Lim Kuy(林圭) wrote the Chinese Poetry of the more than 320 articles and left these as a book called Buksansango(北山散稿). However the consideration that these Chinese Poetry passed through any process, and was made was not seen in particular. Lim Kyu did not have many sentences that revealed a theoretical thought about the Chinese Poetry without dealing with a poet by oneself, but he continued to create the Chinese poetry from 1910 and announced the Chinese Poetry in the media such as Gaebyeok(開闢), Samchunli(三千里), Keimyung(啓明), Keimyungsibo(啓明時報), Chunchu (春秋). Interestingly Buksansango(北山散稿) a considerable number of Chinese poetry, which was recorded to have been introduced in these magazines. Also considerably large number of people in his Chinese poetry has appeared. I paid attention to such a point, This paper tracked the Chinese poetry of LimKuy introduced through the media such as a newspaper or the magazine before Buksansango(北山散稿) was knit and reconstituted the Companionship that appeared in his cre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Chinese poetry which LimKyu placed in pen names called Buksan- Yimin(北山逸民) and Bukhan-Yimin(北漢逸民) is seen in magazine Keimyungsibo(啓明時報) which is not introduced by the society widely until now. This shows that Lim Kyu used pen names except Woojeong(偶丁), and Buksan(北山) expresses that it was the symbolic object in his poem.

      • KCI등재

        흥사단 도서 구입 장부의 구성과 성격

        권두연 대중서사학회 2017 대중서사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독립기념관에 소장된 1918~1920년까지의 흥사단 도서 구입 장부의 구성과 성격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흥사단은 실력을 갖춘 청년 양성을 목적으로 19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를 중심으로 창립된 단체이다. 청년들의 실력 양성을 위해 흥사단은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출판과 도서관의 설립이고 도서 구입 장부는 바로 이러한 활동의 구체적 결과물로 간주된다. 흥사단 도서 구입 장부에는 구매인, 구매처, 구매 서적명, 가격, 권수, 할인액, 보험금, 우송료 등 구매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어떠한 서적들을, 얼마나 구매했는지 그 서적명과 권수가 상세하게 적혀 있어 흥사단 도서 구입 장부를 통해 서적 구매에 관한 각종 정보는 물론이고 흥사단이 구매한 서적들의 구체적 실태를 재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흥사단이 상당히 다양한 서적, 특히 기독교와 국문으로 된 서적을 구매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한글 소설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도 드러난다. 무엇보다 1910년대 국내에서는 유통될 수 없었던 금서들이 유통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동맹독서와 문자보급에 힘쓴 흥사단의 성격을 드러냄과 동시에 국내와 다른 서적의 유통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 KCI등재

        <제국신문>의 한글 활용과 독자 전략 —미공개 자료의 현상모집을 중심으로

        권두연 대중서사학회 2018 대중서사연구 Vol.24 No.3

        <제국신문>은 창간사에서 순국문 즉 한글 전용에 대한 의지를 분명히 밝혔고 한글 독자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펼쳤는데 현상모집은 그 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는 <제국신문>의 한글 활용과 독자 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현상모집에 주목했다. 독자투고와 달리 현상모집은 사측의 입장과 독자의 반응을 모두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체 연구에 유용한 관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제국신문>이 실시한 현상모집은 <말모듬>과 <국문풍월> 두 가지로, 전자는 한글 낱글자로 문제를 내고 이를 맞히는 일종의 퀴즈이고 후자는 한글로 된 시를 짓는 작시다. 이들은 1907~8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한글을 활용했다는 공통점이 확인된다. 현상모집에 대한 독자들의 호응 역시 상당했는데 특히 10대와 여성 독자들의 참여가 활발했음이 밝혀졌다. 이 점은 현상모집이 여성 외에도 한글을 구사하는 10대의 독자들을 유인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방증한다. 요컨대 현상모집은 <제국신문>이 순국문 사용이라는 매체의 지향성을 보다 대중적으로 확장한 장치로, 창간사에서 밝힌 한글 독자를 향한 언어 실천인 동시에 당시 <대한매일신보> 국문판을 비롯한 다양한 한글 매체들과 경쟁하기 위해 고안한 독자 전략 가운데 하나였다. 이 점은 독자들의 한글 활용에 대한 이해를 높였을 뿐 아니라 상당한 독자들의 호응과 참여를 불러왔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현상문제의 난이도나 현상문예의 작시 수준이 사측의 기대나 요구에 미치지 못했고 계속된 경영난으로 지속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닌다.

      • KCI등재

        전경화된 연애, 후경화된 시대, 실종된 ‘청년’들* -이희철(李熙喆)의 「읍혈조(泣血鳥)」를 중심으로-

        권두연 대중서사학회 2012 대중서사연구 Vol.- No.28

        이희철의 「읍혈조」는 1920년대 초반 『동아일보』에 「환희」와 「선도자」에 이어 세 번째로 연재된 창작 장편 소설이다. 이 소설은 유학생들의 근대적인 체험 및 연애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1920년대 연애소설의 계보에 속하면서도 (표면적으로만 연애를 구사했을 뿐-삭제) 미달된 연애소설의 형태를 취(하고 있-삭제)한다. 등장인물들 대부분이 남녀 간에 연인 관계로 설정되지만 이들 사이에 애정 갈등이나 삼각관계와 같은 구도는 전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연애를 통한 진정한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나 성찰로도 가 닿지 못한다. 오히려 연애서사가 전면화 되면서 흥미롭게 설정된 시대 배경이나 다양하게 등장한 인물들이 후경화 되거나 혹은 실종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소설예고와 연재 사이의 간극을 통해 극명하게 드러난다. 애초 예고대로 현대 조선 청년을 주인공으로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시대를 그리고자 한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미달된 연애소설로 귀결된다.

      • KCI등재

        『계명시보』 소재 임규의 한시와 한시작법

        권두연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7 No.-

        This study considered Lim Kyu's Chinese Poetry in 『Keimyungsibo』(啓明時報), a tabloid journal published by Keimyunggurakbu(啓明俱樂部), following 『Keimyung』(啓明), a magazine issu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his versification of them. As a member of Keimyunggurakbu, Lim Kyu actively engaged in many projects and activities, designed and initiated by Keimyunggurakbu. In particular, he published substantial Chinese Poetry in 『Keimyungsibo』, a journal issued by Keimyunggurakbu, from 1934 to 1938. In addition, he used new pen names such as Buksanilmin(北山逸民) and Bukhanilmin(北漢逸民). Above all, he also published the versification of Chinese Poetry in the first issue, which is regarded as the only text suggesting his view of Chinese Poetry. As such, 『Keimyungsibo』 not only included Lim Kyu's many Chinese Poetry and his versification of them, but also revealed that he used other pen names, except for Woojeong(偶丁), a pen names he had preferred to used in all his life. Such a finding not only provides new data for studies on Lim Kyu's Chinese Poetry, which have been conducted around 『Buksansango』(北山散稿), but also helps reconsider the direction and the perspective of the studies on the Chinese Poetry of Lim Kyu. 이 연구는 계명구락부(啓明俱樂部)가 펴낸 타블로이드판 기관지인 『啓明時報』에 실린 한시를 대상으로 임규(林圭)의 한시와 한시작법을 고찰한 것이다. 『계명시보』는 『啓明』에 이어 발행된 계명구락부의 기관지로 임규는 계명구락부원으로 계명구락부가 기획, 주도한 여러 사업 및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한 바 있다. 특히 1934년에서 1938년 사이에 발행된 『계명시보』에 상당한 한시를 발표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한시를 발표할 때 북산일민(北山逸民)이나 북한일민(北漢逸民)과 같은 새로운 필명을 사용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창간호에 한시 쓰는 법에 관한 글을 게재했는데 이는 한시관에 관해 밝혀 놓은 그의 유일한 글로 간주된다. 이처럼 『계명시보』에는 임규의 한시작법과 여러 편의 한시가 실렸음은 물론이고 그가 평생 즐겨 사용한 우정(偶丁) 외에 다른 필명들이 사용되었음이 드러난다. 이 같은 사실은 지금까지 『北山散稿』를 중심으로 연구된 임규의 한시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임규의 한시에 대한 연구가 나아갈 방향과 관점을 제고한다.

      • KCI등재

        교제의 필요성과 서양 예법서의 간행

        권두연 반교어문학회 2022 泮橋語文硏究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ed for the friendship with Western people by focusing on the period in which a series of books of the Western etiquette in the early modern period. New knowledge of the Western etiquette was required, as the exchange with Western people began through the opening of ports and diplomatic activities. In particular, diplomatic missions emerged based on commercial treaties with foreign countries and Joseon people came to have foreign experiences as they studied abroad, so the knowledge necessary for interacting with Western people began to be required within the Joseon Dynasty. Such knowledge of the Western etiquette newly emerged as a term, ‘Seorye(西禮)’. The publication of books about the Western etiquette was realized as people who have had experience about America, such as Park Jeogyang and Lee Sangjae, engaged in the editing and writing of textbooks for colleges. One of the representative books was Seoryesuji (西禮須知) translated by an editorial office of a college, in 1896. The other books include Gyojesinrye (交際新禮) written by Yu Dongjak(柳東作), a Joseon person, in 1905 and Seoryepyeongo(西禮便考) edited by Lee Cheolji (李喆柱), an enlightened intellectual, 1909. It is possible to estimate how the books of the Western etiquette were recognized only with essential knowledge or guidelines about the Western etiquette. In addition, it can be found that the recognition on new etiquette necessary for the interaction with Western people who first came to Joseon was accompanied.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about the Western etiquette, however, began to be declined since 1910. Such a trend corresponded to the decline of books about the enlightenment under the Japanese colony, because the interaction and exchange with Japanese people emerged as a more urgent challenge, than those with Western people. 이 연구는 근대 초 서양 예법에 관한 일련의 서적이 출판되는 시기에 주목하여 서양인과의 교제의 필요성과 서양 예법서의 출현 배경 및 간행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근대 초기 개항 및 외교를 통해 서양인과의 교류가 시작되면서 이전에 없던 지식이 요구되었다. 특히 외국과의 통상조약으로 사절단 및 유학 등으로 해외 체험을 하는 조선인들이 생겨나고 조선 내부에서도 서양인과의 교류에 필요한 지식이 요구되기 시작했다. 이른바 서양 예법에 관한 지식이 ‘서례(西禮)’라는 용어로 새롭게 대두되었던 것이다. 박정양과 이상재 등 미국 체험을 한 이들이 학부 교과서 편집과 저술에 관여하면서 서양 예법에 관한 서적의 간행이 현실화 되기에 이른다. 그 대표적인 서적이 1896년 학부편집국이 번역한 서례수지(西禮須知)이다. 이 밖에 법조인인 유동작이 1905년 저술한 교제신례(交際新禮)와 개화 지식인으로 활동한 이철주가 1909년 편집한 서례편고(西禮便考)가 서양 예법서로 간행되었다. 서양 예법에 관해 마땅히 알아야 할 내용이라든가 지침과 같은 책의 제목만으로 서양예법에 관한 서적이 당대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또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국내에 새롭게 유입된 서양인과의 교제에 새로운 예법이 필요하다는 인식도 수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서양 예법서의 간행은 1910년을 기점으로 쇠퇴하는데 이 같은 양상은 일제강점기 계몽 서적의 쇠퇴와 궤를 같이 한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이는 시대적 필요가 다한 이유와 함께 식민지 상황에서 서양인과의 교제보다 일본인과 교류하거나 교제하는 것이 더 시급한 당면 과제로 부상했을 가능성 때문이다.

      • KCI등재

        소설의 모델, 독자, 작가 : 이희철(李熙喆)의 문학적 행보에 대한 고찰

        권두연(クォソ·ドゥヨソ)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2

        이 연구는 오산인 이희철의 문학적 행보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희철은 이광수의 오산학교 제자로 이광수와 동성애로 오해될 정도로 특별한 관계에 있었다. 그러한 이유에서인지 그는 이광수의 『무정』을 비롯한 자전적 소설 속에서 이희경이나 H君, Y 등으로 자주 언급된 바 있다. 그런데 이 인물은 춘원의 소설 속 모델에 그치지 않고 근대적인 교육 시스템 및 근대매체를 통해 다양한 문학적 경험을 함으로써 독자에서 투고자로, 나아가 작가로까지 성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이희철은 오산학교에서 이광수의 수업을 통해 『소년』과 같은 근대매체를 접하면서 문학에 눈뜨기 시작했고 『아이들보이』와 같은 잡지에 글을 써서 독자투고를 하는 등 '소년시대'에 학교 제도와 매체를 통해 다양한 문학적 경험을 하게 된다. 오산학교 졸업 후 일본 요코하마 등지에서 인쇄노동을 하면서도 『창조』와 같은 동인지에 글을 싣는 등 이른바 '문학청년'의 길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가 1923년 『동아일보』 연재소설 『읍혈조』의 작가로 등장한 것이 우연이 아님은 바로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이해된다. 그렇지만 이희철의 문학적 열정은 1924년 만 26세의 나이에 폐결핵으로 사망함으로써 마무리된다. 이희철의 문학적 도정을 추적하는 작업은 그의 삶의 일부를 재구하는 동시에 근대문학 형성기에 독자에서 작가로 나아간 한 문학청년의 삶을 살펴 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의미 있을 것으로 간주된다.

      • KCI등재

        이육사 문학의 소리와 감각에 대한 시론(試論)적 연구

        권두연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3 No.-

        독립운동가이자 저항시인으로 잘 알려진 이육사의 시는 남성적 어조와 선명한 이미지가 강조되면서 다양한 감상과 해석을 제한해 온 경향이 있다. 특히 대표 시에 반하는 감상적이고 감각적인 시에 대해서는 많은 접근이 시도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소리와 감각이라는 측면에서 육사의 시와 문학을 고찰하였다. 육사는 전통적인 유교 가문에서 성장해 강도 높은 듣기 훈련을 받았고 어린 시절 어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경청하는 태도를 습득하게 되었다. 이러한 듣기와 경청의 태도는 일상적인 소리에 마음을 두고 자연의 움직임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감각의 소유자로, 능동적 청취자로 육사를 견인하였다. 육사의 문학 특히 시에서 소리나 청각 요소가 75%에 달할 정도로 그 비중이 크다는 것은 이 같은 점을 방증한다. 특히 노래와 울음, 부름 등은 시의 주요 모티프로 작용하는 경우가 상당한데 이는 육사의 시에서 소리가 노래가 되는 과정과 밀접하게 연동한다. 요컨대 듣는 태도와 소리에의 감각은 육사의 시가 소리에서 노래로 확장하는 시적 모티프를 제공할 뿐 아니라 그의 시가 마침내 “가난한 노래의 씨”에 도달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 KCI등재

        근대 여성의 성명에 나타난 착종과 모순 - 근대 초기 이름과 성(姓)을 바꾼 여성들을 중심으로

        권두연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여성문학연구 Vol.43 No.-

        이 연구는 근대 초 한국 여성들의 성명을 둘러싸고 펼쳐진 양상 가운데 개명과 성씨 전환에 주목함으로써 여성 삶에 내재된 균열과 착종된 근대의 모습을 중층적으로 밝히는 데 주력했다. 근대 이전 여성들에게 이름은 제한적으로 부여되었다. 근대 초기 이름과 성(姓)을 바꾼 일군의 여성들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지금까지 예외적인 존재나 서구화에 강력하게 추종된 이들로 간주되어 왔다. 그렇지만 이 현상은 근대 여성의 존재론적 위치를 묻는 동시에 인정투쟁 속에서 착종된 근대의 단면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논의의 대상으로 다뤄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름 없는 여성들이 집을 나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름을 얻고 호명되었는지를 학교, 교회, 단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꾼 여성들의 사례를 서구식과 일본식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로써 서구 기독교를 통해 세례명을 얻고 유학이나 신교육을 통해 새로운 이름뿐 아니라 성을 바꾼 여성들의 다층적인 측면은 물론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개명이 지니는 의미와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꾸는 현상을 단순히 서구화의 추종으로만 볼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n aspects of crack and entangling in female life, in a stratified way that focusing on the renaming and switch of last names among Korean women in the early modern age. Names were given to women to a limited extent before modern times. Although some of women in the early modern age change their first and last names, so far, these cases have been regarded as, women who strongly follow the an exceptional existence or the conventions of westernization. But this phenomenon needs to be discussed in earnest, because it not only gives rise to questions about the ontological position of modern women, but also reveals the intersection at which modern times are entangled in a struggle for recogni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nameless women got their names after leaving their homes and they were called, through schools, churches, and organizations. Moreover, the cases of Western and Japanese women changing their last names to those of their husbands were considered separately,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multi-layered aspects of women, who received baptismal names through Western Christianity and who changed their first and last names while studying abroad or receiving new education. This unpacks the meaning of renaming as a social phenomenon and implies that changing last names to those of their husbands was not merely an cult of wester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