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비쿼터스 時代의 個人情報 侵害와 法的 對應方案

        권건보(Kwon Keon-bo) 한국공법학회 2004 公法硏究 Vol.32 No.5

        Personal information is contained within the outward focus of personality. Public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bout private matters directly affects how society views an individual, and may affect that individual's role in society. It shapes the individual's social identity, and thus affects the individual's actual identity, since both society and the individual's role in society shape identity. Therefore, monitoring by the government and other people has given rise to serious threat to the dignity and value as a human being.Constitutional basis to effectively cope with these risks can be found in the right of self-control over personal information,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privacy right. Of course, it can be related to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as a special constitutional right, if it relates to the instruments of communication.In ubiquitous environment,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especially by closed circuit television(CCTV), camera-equipped cell phone(camera phone), location checking syste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etc can be at issue. In coping with legal measures, the points we must consider are as follows.First, in relation to the infringe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by CCTV, it will be necessary to legislate the law comprehensively regulating the entities who can establish the CCTV, installing place, kinds of equipments, operating method and procedure, the right of the subject, and the supervision of the competent institution, referring to the international guideline and the legislative cases of foreign countries.Second, in provid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 responding to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by camera phone, the viewpoint of harmoniously ensuring the right of camera phone users and filming counterparts is needed. Therefore, the prohibition plan of confidential filming will be more necessary than the prohibition method of overall marketing or the prohibition of carrying in public spaces.Third,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by location checking system, first of all, the collection and usage of location checking information should be principally agreed by the parties concerned based on the pre explanation, and the handling should be implemented in restriction, a period of time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 and anonymity.Fourth, in order to cope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by RFID, the positive review of the legislation will be necessar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using the electronic tag. Here, the principles of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such as the consumer interest, restriction of collecting and using information, the clarification of purpose in releas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the ensuring of the individual participation right, the securing of the accuracy and safety and so on shall be reflected.Consequently, it may b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try to find a solution for a plan to harmonize the utilization aspec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with protection aspect in the ubiquitous age. It can be converged on discussing principles of harmonizing a reques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ith a constitutional right of others such as public interest, freedom of communication or business of the industry, which collide with the former. The concrete contents can be found in general principles of the restri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and special principl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KCI등재

        EU GDPR 제정 과정 및 그 이후 입법동향에 관한 연구

        권건보(Kwon, Geon-Bo),이한주(Lee, Han Joo),김일환(Kim, Ilhwan) 미국헌법학회 2018 美國憲法硏究 Vol.29 No.1

        지능정보사회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이용해서 기존의 틀을 깨고 세상을 빠르게 바꾸고 있다는 의미에서 다른 한편에서는 ‘4차 산업혁명’사회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이용은 필연적으로 방대한 양의 정보를 기반으로 가능하게 되고, 그 중에는 개인정보도 포함될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고도화되는 ICT의 등장으로 개인정보보호의 과제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개인정보 침해유형에 대처하기 위한 입법적 보완조치를 지속적으로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많은 국가들이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는 결국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 사이에서 균형적으로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EU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해서 선도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EU의 1995년 지침은 각 회원국뿐만 아니라 비회원 국가들이 개인정보보호 정책이나 법제 수립을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동 지침은 급속도로 발전하는 과학기술 발전에 부합하는 데 한계를 드러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2016년 5월 일반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이 제정되었다. 동 규정은 2018년 5월 시행을 앞두고 있는데, 각국은 GDPR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95년 지침과 2016년 GDPR의 제정 과정, EU 제29조 작업반의 대응 동향, EU 형사사법지침 및 E-privacy 규정, GDPR 제정 이후 주요 국가의 개인정보보호 동향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Today, it is called to as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t means that th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I and IoT are expected to play a leading role in developing our life rapidly. However, these developments are not always positive aspects. It seems to be negative aspects as well. The reason is that th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developing by use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e course of using information, it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to infringe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balance between use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EU is leading the development of data protection law in the world. The centrepiece of existing EU legislation on personal data protection, Directive 95/46/EC3(1995 Directives), was adopted in 1995. It has two ends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 to data protection and to guarantee the free flow of personal data between Member States. Nevertheless, 1995 Directives could not reflect rapidly evolving technologies. Eventually, EU enacted new regulation in May 2016,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GDPR replaced the 1995 Data Protection Directive. It shall apply from 25. May, 2018. After enacting GDPR, EU, its member states, and non-member states are considering subsequent legislation to harmonize between GDPR and the act of each states, guidelines, etc.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EU GDPR and the legal trends of each country after enacting GDPR, and suggesting measures for improving ou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 KCI등재
      • KCI등재

        헌법변천론의 비판적 고찰

        권건보 ( Geon Bo Kwon )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06 世界憲法硏究 Vol.12 No.2

        Durch Verfasungswandel andert sich der Sinn einer Verfassungsnorm, ohne daß auch ihr Text verandert wird. Der Begriff erstmals ist von P. Laband in die Verfassungsrechtswissenschaft eingefuhrt und dann von G. Jellinek ausfuhrlich behandelt worden. Seither ist er jedenfalls allgemein gebrauchlich, ohne daß indessen alle Autoren in bezug auf Begriff, Inhalt und vor allem seine Grenzen ubereinstimmen wurden. In der koreanischen Literatur ist die Uberlegung zur Verfassungswandlung nicht umfangreich benandelt worden. Verfassungswandel ist sowohl ein Interpretationsproblem als auch ein Problem des Spannungsverhaltnisses zwischen Verfassungsrecht und Verfassungswirklichkeit. Einer der wichtigsten Faktoren fur einen moglichen Verfassungswandel ist der Zeitablauf. In diesem Sinne laßt sich die Verfassungswandlung als Verfassungspolitik auf die wesentliche Frage der situationsabhangigen Anpassungsfahigkeit der Verfassungs und Problematik der verfassungsrechtlichen Rechtsfortbildung durch Verfassungsinterpretation verstehen. Mit einer solchen Verfassungswandelung konnen letzlich die Vorgaben der Verfassung der jeweiligen Zeit und ihrem Zeitgeist angepaßt werden, ohne laufend formlich geandert werden zu mussen. Versteht man Verfassungswandlung in diesem Sinne, bedarf es einer neuen Oberbegriffs. Dafur kommt der Begriff der Verfassungsentwicklung in Betracht. Der Vortel dises Begriffs liegt darin, so allgemein zu sein, daß er sich mogliche weitere Formen der Fortschreibung der Verfassung ohne formliche Anderung des Text mit dem Ziel einer zeit- und problemnahen Geltungsfortschreibung ahnelt und dadurch die negative Fassung zur Phanomen der Verfassungswandlung beiseite legt. Schließlich soll der Begriff der Verfassungswandelung als Bedeutungswandel einer Verfassungsnorm eingeschrankt verstanden werden. Es laßt sich nicht leugen, daß auch sozialer und technischer Wandel und namentlich bei einer Verfassung auch die Staatspraxis Einfluß nehmen. Aber wir mussen darauf acht geben, daß die Verfassungswandel in Form eines Verfsssungsinterrpretation findet ihre Grenze darin, wo die Moglichkeiten eines sinnvollen Verstandnisses des Normtextes enden.

      • KCI등재

        감염병 위기 대응과 정보인권

        권건보(Kwon, Geon-Bo)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 공법학연구 Vol.21 No.3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감염병환자의 동선 공개와 추적이 헌법상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 법적 근거는 무엇인지 분석하고, 나아가 감염병의 확산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면서도 감염병환자의 정보인권이 실효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감염병환자의 동선 공개와 추적은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제한하는 것으로 헌법적 의미를 부여하고, 헌법 제34조 제6항, 감염병예방법 제34조의2 및 제76조의2에서 그 제한의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입법자와 방역당국은 감염병의 예방과 관련한 입법과 집행에 있어서 특히 다음과 같은 점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먼저 감염병 위기 대응에 있어서 감염병 위기와 정보인권의 조화적 보장이라는 관점을 견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리고 감염병 환자의 동선을 추적하고 공개할 때는 항상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만 개인정보가 처리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법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정보주체의 권리가 침해받을 가능성과 그 위험 정도를 고려하여 감염병 환자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감염병환자 정보 공개의 구체적 범위에 대해서는 법규적 성격을 갖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직접 규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입법의 정비과정에 있어서 개인정보 보호위원회의 주도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안심밴드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등과 같이 대규모 개인정보의 처리가 수반되는 제도를 도입할 경우 방역당국은 개인정보영향평가를 실시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의견을 듣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stitutional meaning and legal basis of disclosing or track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movement paths of 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nd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way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without prejudice to the Informational Human Rights of 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s. On the Basis of this study I suggested that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points: First, lawmakers and law-enforcers need to pursue the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the Personal Information Self-Control Right and the right to know. In tracking and disclosing the patients’ information, quarantine authorities shall ensure that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tients is processed only to the extent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sequence law-enforcers shall manage safely to prevent the hacking or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Finally, in adopting a system involving large-scal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quarantine authorities to conduct a Privacy Impact Assessment according to Article 33 (1)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 KCI등재

        장애인의 인권 보장과 통합

        권건보 ( Kwon Geonbo ),이은상 ( Rhee Eun-sang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서울법학 Vol.30 No.4

        오늘날 장애인은 모든 기본적 인권에 있어서 주체성이 된다. 특히 헌법 제34조에 의하면 장애인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의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 이에 국가는 장애인의 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을 시행할 책무가 있으며, 이를 위해 가능한 한 모든 역량을 투입하여야 한다. 장애인의 기본적 인권을 효과적으로 보장하려면 국가가 장애인의 인간존엄권과 안전권을 확보하고, 장애인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금지하며, 장애인의 접근권을 실효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장애인의 접근권은 ‘완전한 참여와 평등’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는 모든 유형의 장애인을 위해서 물리적 환경은 물론, 정보와 통신수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는 물리적 환경에 있어서 참여를 제약하는 각종 장애물을 제거하는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도로, 건물, 공공운송서비스 등 각종 야외 환경에 있어서 접근성과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을 개발하고, 관련 법제들을 지속적으로 정비해 나가야 한다. 한편 장애인이 인간다운 존재로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각종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도 누릴 수 있도록 적절한 편의를 충분히 제공하여야 한다.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ntitled to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and protected by the State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Act. And we have recognized that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the subject of all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So the State shall have the duty to implement policies for enhancing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actically ensured by making the most of one's abilities. For an effective security for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 concluded that the right to human dignity, the right to safety, the right to equality, and the right on accessibility should be secured for the disabled. Especially the right on accessibi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 precondition for actualizing their ‘full participation and equa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any kind, the state needs to introduce programs of action which make the physical environment accessible; and undertake measures which provide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 the state should initiate measures to remove the obstacles to participa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improve relevant legislation to ensure accessibility and mobility to various public facilities, such as street, building, public transport services etc. And also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able to enjoy the right to acces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Such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in forms accessible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

        권건보(Kwon, Geon B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연구 Vol.54 No.4

        본고에서는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생명권의 주체와 내용 등에 관한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면서, 특히 생명권에 대한 제한과 본질적 내용침해 금지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인간의 생명은 다른 어떠한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생명권은 가장 소중한 가치를 가진 인권이라 할 수 있다. 우리 헌법상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가장 근본적인 기본권이라 할 수 있으며, 헌법상 보장되는 모든 권리들의 전제가 된다. 따라서 국가는 생명권의 보호를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의무를 진다. 이념적으로 인간의 생명은 절대적 가치를 가지지만, 사람의 생명은 예외적으로 법적인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타인의 생명을 구하거나 보호하기 위해서 부득이하게 특정인의 생명을 박탈하지 않으면 안 되는 예외적 상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명권도 다른 기본권과 마찬가지로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법률유보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국가는 그러한 예외적 상황에서 특정인의 생명권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런데 생명권은 본질적 내용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명권의 제한은 언제나 생명권을 형해화시키는 생명의 박탈을 초래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이 엄격한 예외적 상황에서 과잉금지원칙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다면, 그러한 생명권의 제한은 헌법상 금지되는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다. This Study reviewed the constitutional issues on the right to life, especially whether the right to life may be restricted under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infringes the essential aspect of that right. According to my study, human lif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and human right in law because it is not irreplaceable with any other things. While the right to life is not expressly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we can admit that the right is the most fundamental right and precondition to all the rights set forth in the Constitution. Thus the government has a duty to make proactive efforts to protect the human right to life. Even if a person"s life in an ideal sense is regarded to have an absolute value, legal assessment on a person"s life can be permissible as an exception. Because there can be exceptional circumstances where a person"s life must be inevitably taken away in order to protect or save another’s life. As a result the right to life may be subject to the statutory reservation under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government may take measures to restrict on a particular person"s right to life in such exceptional circumstances. Since the right to life consists only of 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any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always results its total deprivation. However the right to life is a fundamental right that may be justifiably restricted in exceptional cases. If the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may be justified und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t shall not be deemed as an infringement of the 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to life.

      • KCI등재

        위헌법률심판의 대상과 관할

        권건보(Kwon, Geon Bo)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4

        위헌법률심판은 헌법의 최고규범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입법권의 남용을 막고 법원의 합헌적 재판을 확보하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헌법을 최상위 규범으로 하는 전체 법질서의 통일적인 규율체계를 조성하는 데 기본적인 취지가 있다. 따라서 위헌법률심판의 대상이 되는 법규범은 형식적 의미의 법률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와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고 볼 수 있는 법규범도 그에 포함될 수 있다고 본다. 법률적 효력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국회의 제정 또는 관여 여부가 아니라 그 규범을 통해 규율하는 사항의 성격 또는 내용 여하가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이다. 즉 법률과 같은 효력을 가진 법규범은 위헌법률심판의 대상이 되는 '법률'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법원이 헌법재판소에 위헌심판의 제청을 하여야 할 대상으로도 인정된다. 유신헌법상의 긴급조치는 법률로 정해야 할 사항들을 긴급성을 이유로 대통령이 제정하는 특수한 성격의 법규범으로서 법률에 준하는 효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사법심사를 배제하는 조항을 두고 있었으나, 현행 헌법 부칙 제5조에 비추어 긴급조치에 대한 위헌심사까지 금지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과거의 법령이 현행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는 별도의 심사를 통해 비로소 확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신헌법에 기한 긴급조치는 국회의 관여가 있든 없든 현행 헌법 제107조 제1항에 따라 헌법재판소가 위헌심사권을 갖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관습법은 헌법을 최상위 규범으로 하는 법질서 전체의 일부로서 통일적 규율체계 안에서 기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관습법은 성문법의 공백상태를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법률에 준하는 효력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관습법의 효력이 문제되는 이유가 최고규범인 헌법에 위반되기 때문이라고 할 때는 그것은 관습법의 위헌성에 관한 문제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경우 관습법이 법률에 준하는 효력을 갖는다고 보는 이상 그에 대한 위헌여부의 심사권은 헌법재판소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ature and subjects of the constitutionality review system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rticle 111 Section 1 Item 1 of the Constitution and article 41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provide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shall have the power to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upon requests from ordinary courts. And article 107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adopts a system of "concrete review of norms." This review system prevents the legislative branch from making unconstitutional laws for the purposes of protecting the Constitution. And it is concerned with securing the unity of legal order that the ordinary courts make requests on adjudication on un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The subject of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ity include formal statutes legislated by the National Assembly, as well as emergency presidential orders, treaties, and universally accepted international laws. But it is a debatable question whether the Presidential Emergency Measurers based on 1972 Constitution of Korea are subject of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ity or not. Furthermore, there is the similar controversy as to Customary Laws. According to article 10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only executive decrees and regulations can be subject of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ity the ordinary courts.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Presidential Emergency Measurers and Customary Laws have the same legal effect as formal statutes from its functional point of view. Therefore, these norms can be subject of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ity. In other words, on the issue of whether Presidential Emergency Measurers and Customary Laws are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ordinary courts are not allowed to decide for themselves. In this case the ordinary courts shall request a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shall judge according to the decision thereof.

      • KCI등재

        정보인권의 침해와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

        권건보(Kwon, Geon-Bo) 한국헌법학회 2012 憲法學硏究 Vol.18 No.2

        그동안 국가인권위원회는 출범이래 주요 이슈에 대한 의견표명을 통해 정보인권의 신장에 크게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있어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인권보호기구로서의 사명에 충실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국민주권주의의 실현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정치적 표현의 자유나 소수자 또는 사회적 약자의 인권을 증진하기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견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출범에 따라 국가인권위원회가 정보인권과 관련하여 종래에 수행해오던 역할에 일정 정도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하지만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의 한계로 인하여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감독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는 때에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정보인권의 보호를 위하여 의견을 표명해야 할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정보와 무관한 온라인상 표현의 자유나 정보접근권 등의 정보인권 침해에 대해서는 여전히 국가인권위원회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보인권에 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은 향후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Informational Human Rights include freedom of expression,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etc. The no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is intimately linked to political debate and the concept of democracy. The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is an extension of freedom of speech. It may also refer to the right to privacy in the contex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can be generally defined as individual's constitutional righ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oneself. These rights can be restricted for the sake of national security, social order, and public interest, but its restriction should be based on a clear statutory and comply with the rule against excessive restriction. About ten and half years has passed since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NHRCK) was established on November 25, 2001, based o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ct. Though NHRCK has played an active role in Korean Society in terms of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al Human Rights of Korean people, recently NHRCK' attitude to Informational Human Rights, especially freedom of expression in on-line has been backward. Afte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was established on September 30, 2011, most of NHRCK' function i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will be substituted b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But in my opinion NHRCK' role is still important to protect Informational Human Rights.

      • KCI등재

        보육현장에 대한 전자적 감시의 법적 문제점

        권건보(Kwon, Geonbo)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3

        Generally, Closed circuit television(CCTV) equipment may be used for a number of purposes such as in the prevention, investigation and detection of crime. CCTV equipment also may be utilized for monitoring traffic flow and unlawful parking. Then people do not think they are monitored through CCTV but protected from crimes with the help of CCTV. While the CCTV and IPTV system in Child Care facilities is engaged in child care facilities for teachers and parents. CCTV, and IPTV all of the operational objectives for teachers and parents to give parents peace of mind to the beneficiary for the policy that the parents had different opinions. CCTV may infringe upon a private life of individuals and other human rights when this facility is recklessly introduced and installed while into consideration the structure and environment of the place where crimes occu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to scheme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ecurity CCTV and reduce the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by utilizing CCTV of the local government. To do that, I reviewed the present state of CCTV and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In my opinion, operation of CCTV and IPTV system is necessary to correspond to international principles for protecting the information of individuals which are propos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mits to th purposes of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the details of correct information, the regulation on access to information, and the descrip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s operating CCTV. Especially in installing those system the intervention of Labor Relations Commission demands that it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s supervis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CCTV. As far as CCTV and IPTV system in Seoul presents the clear management regulations, public agencies must be held accountable by management for CCTV and IPTV. 보육현장에 대한 전자적 감시의 법적 문제점 보육시설에 CCTV를 달아 IPTV로 중계하는 정책은 보육현장에 대한 학부모의 불안감과 불신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어린이들과 보육교사의 초상권 및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보육교사가 가지는 노동자로서의 권리 등을 제약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본권의 제약이 정당화되려면 관련 당사자의 동의가 있거나 아니면 명확한 법률상의 근거가 있어야 한다. 공공 보육시설의 경우 CCTV의 IPTV 중계는 그에 관한 법적 근거를 찾을 수 없다. 민간보육시설의 경우에도 보육교사, 아동 및 그 보호자 등 관련 당사자의 명시적 동의를 얻어야 하며, CCTV에 의해 취득한 정보에 대해서 정보주체의 통제권이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가사 CCTV의 설치에 대해 관련 당사자의 명시적 동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설치목적의 범위를 넘어 카메라를 임의로 조작하거나 다른 곳을 비추는 것은 금지되며, 녹음기능을 사용하여서도 안 된다. 또한 보육시설 내의 음향까지 중계하려면 그에 대한 별도의 명시적 동의를 얻어야 한다. 물론 이 경우 관련 당사자가 명확한 설명을 듣고 그 의미를 충분히 이해한 상태에서 자발적 의사에 따라 동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고 이른바 몰래카메라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불법 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의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한편 CCTV의 설치와 운영은 보육교사에게 있어 근로조건의 내용을 이룬다고 볼 것이다. 근로기준법 제94조 제1항에 의하면 근로조건을 불리하게 변경할 경우 근로자로부터 동의를 얻어야 하므로, 보육시설에 CCTV를 설치하려면 보육교사로부터 서면을 통한 동의서를 받아야 한다. 특히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의하면 상시 근로자 30인 이상 사업장에 속할 경우 “사업장 내 근로자 감시설비의 설치”는 노사협의회의 협의사항이 된다. IPTV를 통한 중계는 보육교사와 어린이들의 얼굴, 신체적 특징, 행동 유형, 근무 현황 등 수많은 정보를 대중에게 고스란히 노출시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모든 교사들의 동의를 얻도록 하고, 관련 전문가 및 이해관계인의 의견을 사전에 수렴하는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상 줌과 회전 기능 또는 촬영 범위 등이 제한되며, 녹음기능의 사용 또한 금지된다. 따라서 당사자의 동의가 없는 한 CCTV를 통해 생생한 화면과 음성을 IPTV를 통하여 중계하는 것은 정당화되기 어렵다고 본다. 또한 직장 내에서 노동자의 지위는 고용관계의 속성상 취약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실제 보육교사가 시설장의 요구를 거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보육교사가 개별적으로 CCTV의 설치에 동의하였다고 해도 그 동의의 객관성과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대표와 협의를 거친다거나 혹은 노동위원회의 조정을 거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