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동남아시아 페라나칸(Peranakan) 자기의 조형과 성격 : 문화적 혼종성과 창조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구혜인 ( Hyein Koo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페라나칸 자기는 19세기-20세기 초 중국 청대 경덕진에서 제작되어 싱가포르, 말레이반도, 인도네시아 등지에 소비된 법랑자기이다. 페라나칸 자기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백자 태토에 광물성 안료인 에나멜(법랑)로 그림을 그려 장식한 채색자기 중 하나인 법랑자기가 주류를 차지했다. 페라나칸 문화의 큰 특징은 유럽과 동남아시아 문화와 융합되면서도 동시에 중국 본토의 정체성도 잃지 않고 유지했다는 점인데, 페라나칸 자기 역시 중국 도자기 문화에 바탕을 두면서도 타문화의 영향을 받았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페라나칸 도자의 성격을 ‘문화 혼종성과 창조적 정체성’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페라나칸 자기는 경덕진에서 유행하였던 분채의 양식을 따르고 있고 소재도 중국의 길상소재인 봉황문, 모란문을 주로 사용하지만 분홍색과 밝은 청록색을 안료로 칠하여 중국이나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도자기와는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그리고 캄쳉이나 카트마우와 같은 특수 기형을 제작 주문하는 등 페라나칸 도자만의 기종, 문양, 안료 등이 어우러진 독자적인 도자문화를 이루었다. 물론 페라나칸은 생산지역이 아니라 소비지역이기는 하지만 중국 경덕진과 물리적인 거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인 수입이 아니라 주문 방식을 통해서 정착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한 도자문화를 주도적으로 형성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페라나칸 자기는 오늘날에도 상업도자기로 제작되거나 예술작품으로 활발하게 창작되는 등 여전히 애호되고 있어 페라나칸 자기의 의미는 아직까지 현재 진행중이다. The Peranakan porcelain was made in the early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n the Jingdezhen and consumed in Singapore, the Malay Peninsula and Indonesia. The great feature of the Peranakan culture is that it has been integrated with European and Southeast Asian cultures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ed mainland China’s identity, as well, which can be identified by the influence of Southeast Asia while also based on the Chinese ceramics culture. The Peranakan porcelain, which follows the popular style in Jingdezhen and uses mainly Chinese auspicious materials, but has been painted with pink and emerald colors, which are mainly used in Southeast Asian cities, creating an atmosphe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It also produced and ordered special deformities that are not found in China, such as Kamchat and Chufu, and achieved its own provincial advisoryization that combines the models, patterns and pigments of the Persian Gulf. Although it was not produced directly in the Peranakan region, attention is focused on the fact that it has formed a new provincial advisory system while losing its identity as a result of customizing and consuming ceramics that incorporate Southeast Asian elements in Chinese culture. The complex nature of Perranakan's identity and hybridity is still meaningful in that it is still loved today, such as being produced as a commercial tool or actively created as an artwor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왕실 연향용 주기(酒器)의 종류와 운용체계 -의궤의 기용도(器用圖) 분석을 중심으로-

        구혜인 ( Koo Hyei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1 한국문화연구 Vol.40 No.-

        이 글은 조선후기 왕실 연향용 주기가 구성된 배경, 종류와 조형 그리고 소비와 수급체계를 살펴본 논문이다. 현전하는 유물이 드문 연향용 주기를 조사하기 위해 조선후기 의궤 기용도를 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당시 공예문화에서 주기가 갖는 성격과 의미를 파악했다. 주기는 왕실 연향을 상징하는 기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왕실 연향 절차에서 진작하는 순간이 의례의 핵심이고 왕실 구성원의 위차를 예를 통해 드러내는 중요한 기회이자 수단이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조선후기 연향의궤 속 기용도의 시작은 조선전기 국가전례서의 준작도설에서 찾을 수 있었다. 또 의궤 속 주기 중에서 잔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명칭의 수가 총 34개에 이를 만큼 다양하다. 각각의 명칭 안에는 기종, 구성, 재질, 장식 등의 풍부한 정보들이 조합되어 있다. 그 중에서 서배와 옥잔은 잔의 위계에서 핵심을 차지하고 있다. 연향용 주기의 공급과 사용양상에 대해 살펴본 결과 내하, 호조, 상의원 그리고 주원 등에서 주기가 조달되었다. 그리고 참석자의 위계에 따라 주기의 종류, 재질, 색 등이 엄격하게 구분되는데, 이에 비해 다정과 시접반의 기물들은 참석자 간 큰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대조된다. This article is a thesis that examines the background, types and format, and consumption and supply and demand systems of the liquor vessels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beginning of Kiyongdo in the Yeonhyangui-gw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found in the Junjackdosul of the national rituals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 addition, cups occupy the largest number of cycles in Uigwe, and the names are varied enough to reach a total of 34. In each name, the information such as model, composition, material, decoration, etc. are combined. Among them, Seobae and Okzan occupy the core in the hierarchy of the cup.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pply and usage patterns of liquor vessels, the liquor vessels were supplied from Nae-Ha, Hojo, Sanguiwon and Juwon. In addition, the type, material, and color of the liquor vessels are strict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the participa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순조~고종대 지밀방 궁녀의 삶과 직무

        구혜인(Koo Hyein) 한국인물사연구회 2014 한국인물사연구 Vol.22 No.-

        The woman introduced in this atticle is identified only as Ha. She served as a court lady fOt more than seventy years from the reign of King Sunjo (r. 1800-1834) to that of King Gojong (1863-1907). She rose to the highest position among all court ladies, that of Jejo Sanggung, and was responsible for handling matters pertaining to all the property that belonged to the women’s section of the Royal Court under the control of the queen.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contain details about the date of her death, the location of her parents’ house, her duties and salary, and her complex network of cliques among other things. Her career at the royal court coincided with the period spanning the door-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Empire (Daehan, 1897-1910). During that period, the Joseon Dynasty underwent epochal changes. As the highest court lady, she had to carry out her duties by maintaining the traditions of the Royal Court while simultaneously adapting to the chang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Research on the life of Lady Ha has enabled researchers to shed light on the considerable role played by court lad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handicrafts of the Royal Court, the details of which have remained obscure until now. The results of research on her life as a court lady can be exploited in a variety of relevant research areas. Her story is not merely a story about an individual: Rather, it offers a glimpse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nfluence of a high-ranking court lady and the type of network of social relationships she maintained with others within the Royal Court. It is thought that the content of this article could also serve as a useful material for studies of women’s social activities, including those associated with fine art, during the Joseo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