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인과 죄인 사이

        구재진(Koo, Jaejin)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2

        최인훈의 한스와 그레텔 은 세계 제2차 대전의 전범인 루돌프 헤스를 모델로 한 희곡으로 ‘역사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다룬 작품이다. 이 작품은 감옥에 투옥된 30년간 ‘증인’으로서의 자리에 서서 ‘죄인’으로서의 책임을 거부했던 나치전범 한스 보르헤르트가 ‘죄인’으로서의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기 구원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본고는 보르헤르트의 정치/세상일과 사랑/자신의 영혼이라는 양자택일적인 선택 속에서 결락되는 죄와 책임의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1980년대 최인훈 문학의 심층에 놓인 (죄)의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보르헤르트가 역사적 책임으로 받아들인 증인으로서의 자리는 자신의 무죄증명을 위한 자리로서 최인훈 문학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자아비판회’의 경험과 관련되어 있다. 그는 30년 동안 렌즈 세공을 통한 기억의 집짓기에 몰두하며 학살 범죄에 대한 죄와 책임을 히틀러에게 돌리고 자기 손의 깨끗함을 증명한다. 이 작업은 죄악의 가능성에 대한 불안과 무죄 증명의 불완전성 속에서 반복되어 강박신경증적인 증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국 그가 ‘죄인’으로서의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것은 해골더미 위에서 나치 제복을 입고 히틀러 자세로 서 있는 자신의 환영을 통해서이다. 그러한 환영을 통해서 자신이 히틀러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자각하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자각이 정치적인 책임이나 도덕적, 형이상학적 죄에 대한 사유로까지 확장되지는 않는다. 그의 (죄)의식에는 타자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30년간의 수감생활로 죄에 대한 형벌을 다 했다는 판단 속에서 그는 구원의 여인, 그레텔이 표상하는 사랑과 안식의 세계로 귀환한다. 이러한 귀환은 한 편으로는 보르헤르트의 자기 구원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죄로부터의 탈출이자 정치적인 것으로부터의 도피라는 점에서 이중성을 지닌다. 이 작품에서 해골더미가 쌓여 있는 무대는 5.18 광주와 이어지는 1980년대의 시대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증인과 죄인 사이 어딘가에서 길을 잃은 보르헤르트의 모습은 살아가는 것 자체가 죄스러웠던 그 시대 최인훈의 모습이기도 할 것이다. 증인과 죄인 사이, 거기에 보르헤르트와 1980년대 최인훈이라는 작가의 (죄)의식이 존재하고 있다. Choi In-hoon"s Hans and Gretl is a play based on Rudolf Hess, who was the World War Ⅱ criminal. This work depicts the process by which Hans Borchert, who had been in prison for 30 years as a "witness," accepted himself as a "sinner" and got his own salv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lay focusing on the aspects of sin and responsibility. It seems that the position of witness is regarded as historical responsibility to Borchert.However, the position of witness means a place for proving his innocence in reality, which is related to unforgettable experiences of self-criticism shown persistently in works by Choi In-Hoon. For 30 years, he has repeated building ‘a house of memories’ through lens work compulsively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e innocence. He has tried constantly to blame his sin and responsibility for the massacre on Hitler and vainly to prove the spotlessness of his hands. It is through the illusion standing in a Hitler posture with a Nazi uniform on a pile of skeletons that Borchert accepted the position of "sinner". Therefore he realized that he was the same as Hitler. However, because he did not consider the others who were killed or sacrificed, he did not go far to recognize political responsibility or moral and metaphysical sin. Eventually, Borgchert returned to Gretel, the world of love and rest. While his return to Gretel is self-salvation in a sense, it would be an escape from sin and politics in other sense. In this play, the stage where the skeletons are piled up symbolizes the situation of 5.18 Gwangju. The appearance of Borchert who got lost somewhere between witness and sinner would be the appearance of Choi In-hoon who lived in the 1980s in Korea.

      • KCI등재

        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 연구

        구재진(Koo, J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2

        1960년대는 4.19가 내걸었던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와 5.16이 앞세운 빵과 성장의 대립, 즉 시민적 지향과 자본주의적 성장에 대한 지향이라는 이항대립 속에 놓인 시대였다. 『서울은 만원이다』는 1960년대 서울의 세태를 그림으로써 이러한 이항대립의 향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는 이러한 이항대립을 기초로 하여 『서울은 만원이다』에 나타난 하위계층의 존재양상을 고찰하고 '동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그들의 윤리의식과 집단의식을 분석하였다. 우선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돈'의 논리를 분석하였다. 인물들은 '돈'을 '빈곤'을 넘어서서 '풍요'로 가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그것을 삶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돈'이 삶의 목적이 되면서 '자유'의 문제, 즉 시민적 지향성의 문제는 유보되거나 배제된다. 이 작품에서 '무작정상경소녀'로 대표되는 하위계층들은 서울의 주변부를 형성하며 살아가고 있다. 주로 임시노동을 하는 그들은 노동의 불확정성과 거주의 불안정성 속에 놓여 있다. 이러한 불안정성으로 인해 그들은 서울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변두리를 전전한다. 이 작품에서 하위계층은 도시의 중심부에서 배제됨으로써 오히려 도시에 포함되는 위치에 있는 존재로 제시된다. 소설 속에서 이러한 하위계층의 지배적인 감정은 동정과 자기 연민으로 나타난다. 인물들은 모든 죄와 책임을 '난세'의 탓으로 돌리고 행위의 도덕성이나 윤리성을 묻지 않은 채 서로를 동정하고 있다. 동정이 몰가치성을 띄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정과 자기 연민을 기초로 '우리의식'이 형성된다. 우리와는 다른 그들을 '상상'함으로써 상상적 '우리'를 형성하고 서로를 동정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의식'은 일종의 피해자 의식과 노예도덕으로 귀결된다. 이 작품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1960년대 서울의 하위계층에 주목하여 그들의 모습을 그렸다는 점 자체에 있다. 그러나 하위계층과 그들을 낳은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position and consciousness of subaltern in 1960's Seoul with Seoul is Full written by Lee, Ho-Cheol.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ivity, this study performed research in two aspects.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d logic of money and position of subaltern. In 1960, there was binominal opposition view of directivity. Freedom oriented tendency of 4.19 was come into conflicted with economic growth oriented tendency of 5.16 is conflicted. This work reflected this situation. In this work, Seoul becomes modern city and money becomes everybody's purpose in this city. So economic growth oriented tendency holds lead over freedom oriented tendency. And this work represented subalterns who moved from province to Seoul exist as subaltern whose job is undetermined and whose residence is unstable.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subaltern's 'we-consciousness'. Most important emotion of characters is sympathy and self-pity in this work. Even though the characters commit immoral or unethical behavior, the characters justify their immorality with sympathy and self-pity. And they ascribe their immorality to the situation of 1960's Seoul rather than take responsibility. In that process, 'we-consciousness' is formed by consciousness of victim of situation. Meanwhile 'imagined we' is composed contrasted with 'imagined they'. So this consciousness results in morality of slave defined by Nietzsche.

      • KCI등재

        민족-국가의 사이 혹은 너머에 대한 상상 ―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트랜스내셔널 양상

        구재진 ( Koo Jaeji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문학사의 ‘이방인’으로서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특히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한국문학사의 영토화를 경계하고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이 디아스포라 문학으로서 지닌 새로운 방향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경향을 대표하는 미중일의 세 작품을 검토하였다. 대상 작품은 허련순의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가네시로 가즈키의 『GO』, 그리고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이다. 이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의 세 가지 양상을 밝혔다. 허련순의 작품에서는 부유하는 노동와 트랜스로컬 주체를 통해서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이 펼쳐진다. 코리안 드림이라는 판타지를 가지고 밀항선을 탔던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비극적인 결말은 그러한 판타지의 실현 불가능성과 허구성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 작품의 디아스포라들은 자본과 노동의 세계화 속에서 이동할 수밖에 없는 트랜스로컬 또는 트랜스내셔널 주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창래의 작품은 원어민에 의해 타자화되는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이 ‘타자로의 열림’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통합’이 아닌 ‘공존’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를 통해서 미국이라는 국가적 정체성을 넘어서는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가네시로 가즈키의 작품은 민족-국가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과 차별의 패러다임 자체를 문제 삼고 디아스포라의 자유와 일본인에 대한 디아스포라의 (윤리적) 우위성을 선언한다. 그럼으로써 일본인과 재일 디아스포라의 비대칭성을 전복시키고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을 제시한다.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세가지 양상은 하나의 민족-국가의 문학으로 영토화하는 민족주의적 기획에 맞선 디아스포라 문학만의 트랜스내셔널한 기획의 현실성을 입증해준다. This paper studied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ppearing as ‘stranger’ of history of literature. The purpose is to be alert of Korean literature history’s territorialization o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nd to illuminate the directiv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s diaspora literature. Three literary works of America, China and Japan representing the new tendenc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examined. The works are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by Heo, Ryeon-Sun, GO by Kaneshiro, Kazuki, and Native Speacker by Chang-Rae Lee. Three aspects of transnational imagination i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clarified through analysis of these works. In the work by Heo, Ryeon-Sun, transnational imagination is presented through drifting labor and translocal subject. The tragic ending of Korean diaspora in China who took a smuggler with a fantasy of Korean Dream suggests fantasy is unrealistic and impossible to reach. However, the diaspora in this work are shown as translocal or transnational subjects who have no choice but to migrate within capital and globalization of labor. The work by Chang-Rae Lee shows the possibility of identity of diaspora that is otherized by natives to move towards ‘coexistence’ instead of ‘integ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towards others.’ Transnational directivity that overcome national identity as America is shown through such process. Lastly, work by Kaneshiro, Kazuki calls paradigm of violence and discrimination done under the name of nation into question and declares diaspora’s (moral) superiority on diaspora’s freedom. Thereby subvert the asymmetr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diaspora in Japan and suggest transnational directivity. These three aspects in recent Korean diaspora literature proves the reality of diaspora literature’s unique transnational plan against nationalistic plan that territorialize as a single nation literature.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 ‘불온한 자’의 운명 : 천운영, 공선옥, 허련순의 결혼 이주 여성 소설 연구

        구재진(Koo, Jaeji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이주의 여성화’와 ‘생존의 여성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혼 이주 여성은 이러한 현상을 가장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존재이다. 본고는 결혼 이주 여성을 재현한 소설 가운데 조선족 여성을 재현하는 소설들을 대상으로 ‘생존의 여성화’와 ‘불온한 자’로서 재현되는 결혼 이주 여성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천운영의 『잘가라 서커스』와 공선옥의 「가리봉연가」, 그리고 허련순의 소설 『중국 색시』이다. 이 작품들을 비교 고찰하여 한국 작가와 조선족 작가의 결혼 이주 여성 재현 양상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세 작품은 결혼 이주 조선족 여성의 삶을 천착하여 한국 사회에서 동일화/타자화라는 이중 기제 속에 놓인 결혼 이주 여성의 ‘불온한 자’로서의 존재론을 탐색하고 있다. 그러나 ‘생존의 여성화’의 문제와 ‘불온한 자’로서의 결혼 이주 여성의 모습, 그리고 연대와 경쟁의 문제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우선 『잘가라 서커스』, 「가리봉연가」와는 달리 『중국색시』에서는 ‘생존의 여성화’의 결과로서가 아니라 탈주의 욕망으로서의 결혼 이주를 그리고 있다. 그리고 결혼 이주 여성이 자신에게 덧씌워진 타자성과 ‘불온성’을 저항성으로 전유함으로써 가시적인 존재로 주체화하는 모습을 제시한다. 또한 『잘가라 서커스』, 「가리봉연가」가 연대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이주 여성들에 대한 이상적인 관점을 나타낸다면 『중국색시』에서는 경쟁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현실적인 관점을 나타낸다. 나아가 『잘가라 서커스』와 「가리봉연가」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은 물론 이주 여성이 결혼한 한국 남성과 그 가족까지 피해자로 나타냄으로써 결혼 이주라는 기제 자체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반면 『중국색시』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이 적극적이고 저항적인 모습으로 주체화되고 중국으로의 귀환, 아이의 출산, 남편과의 해후를 통하여 ‘본래적 의미의 결혼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가족주의의 도식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진정한 가능성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는 한국 작가와 조선족 작가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현실에서 결혼 이주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As the world becomes global, the phenomenon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feminization of survival” are appearing. Married immigrant women are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is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married immigrant women recreated as “feminization of survival” and “disquietude”, targeting novels representing Korean-Chinese women among novels representing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eon Won-yeong s Goodbye Circus, Gong Seon-ok s Garibong Love, and Heo Ryeon-soon s Chinese Wife.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se works, I tri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artists. All three works explore the ontology of married immigrant woman as a “disquieting one” in Korean society under the dual mechanism of identification/otherization by delving into the lives of married immigrant Korean-Chinese women.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ssue of ‘feminization of survival,’ the appearance of a married migrant woman as a ‘disquieting one,’ and issues of solidarity and competition among migrant marriage women. First of all, unlike Goodbye Circus and Garibong Love, Chinese Wife depicts marriage migration as a way of a desire to escape, not as a result of “feminization of survival.” In addition, the immigrant marriage woman in Chinese Wife presents the appearance of transforming into a visible subject by appropriating the otherness and disquietude overlaid on her as resistance. In addition, while Goodbye Circus and Garibong Love focus on the aspect of solidarity and reveal the ideal point of view, Chinese Wife reveals a realistic view by focusing on competition. Furthermore, in Goodbye Circus and Garibong Love, not only migrant women but also Korean men and their families married by migrant women are represented as victims, revealing the problems of the mechanism of marriage migration.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Wife, married immigrant women become subjective in an active and resistive form, and the possibility of reaching a marriage in the original meaning is suggested through return to China, childbirth, and husband-to-b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 real possibility in that it repeats the schematic of familism. This difference in the works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writers, and also shows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s of a married migrant woman in reality.

      • KCI등재

        최인훈의 고현학, ‘소설노동자’의 위치

        구재진(Koo, Jaejin)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8

        본고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작이 1960년대로부터 1970년대로 이행해 나가는 시기 현실의 변화 속에서 작가가 스스로에게 제기하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함축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한 질문을 통하여 1960년대에 지속되어 온 자기규정과 현실 대응의 태도를 점검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적절한 의미부여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 작품의 중핵이 바로 이러한 자기규정의 변화, 다시 말해서 소설가의 위치 조정에 있다고 보고 그 변화와 조정의 내용이 무엇인지, 이것이 최인훈 소설에 어떠한 변화를 불러왔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소설가의 위치, 소설쓰기의 방법론, 현실에 대한 대응전략이라는 세 가지 층위에서 이 작품과 최인훈의 이전 소설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지식인에 대한 규정의 변화는 ‘지식 노동자’, ‘소설 노동자’라는 자기 규정을 통해서 드러난다. 이전 소설에서 지식인이 ‘알고 있다고 가정된 주체’로 기대되는 ‘상상된 지식인의 위치’로서 제시되었던 것과는 달리 이 소설에서 ‘노동자’의 위치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노동자를 포함하는 민중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노동자-민중은 저항주체로서의 민중과 무지와 무능의 민중이라는 두 가지 민중으로 분열된 채 사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유는 1970년대의 시대적 변화의 징후를 보여주는 민중의 존재와 의미에 착목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지식인의 위치가 노동자의 위치로 변화한 것처럼 소설에 대한 규정의 측면에서 볼 때도 변화가 나타난다. 그의 이전 소설에서는 소설이 고고학적 작업으로 규정되던 것에 반해 이 소설에서는 ‘율리시스’적인 작업 또는 고현학적인 작업으로 변화한 것이다. 고고학은 미래의 시점에서 현재를 조망하는 관점으로 부분의 합은 전체를 구성한다는 인식을 보여주는 것인 반면, 고현학은 현재의 시점에서 현재를 바라보는 관점이며 통합적 인식을 전제로 하지 않는 관점이다. 한 편 현실대응전략의 차원에서 이 작품은 1870년대의 격변하는 정치적 현실에 대해서 무지의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현실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이나 판단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궁극적으로는 현실의 부정성과 부조리함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소설은 역사와 현실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에 대한 욕망을 가지고 있었던 지식인 최인훈이 소설노동자라는 자기규정 속에서 현실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이 소설의 의미는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반의 현실의 변화를 예민하게 포착하여 이를 소설가 자신의 위치 문제에 대한 고민과 함께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novel, which a series of a day of writer Goo-Bo written by In-Hoon Choi take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novel, focusing on the changes in his novel in the transition from the 1960s to 1970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hree issues, definition of novel, strategy of dealing with politic reality, and self-regulation of intellectual. First of all, it is revealed that what was defined as an archaeological methodology in his previous novels became what is defined as an "Ulysses" methodology or the methodology of modernology in the novel. While archeology, an way of understanding that the whole consists of summation of all parts, views the present from the point of future, the methodology of modernology is a perspective of viewing the present from the point of the present. Regarding the strategy of narration, this novel takes a strategy of facing away turbulent political situations in the 1970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judge or to criticize the situations directly, this strategy is chosen to show negativity of reality and absurdity of reality ultimately. The changes in the self-regulation of intellectual can be found in the self-regulation of "intellectual labor" or "novel labor." In the previous novels, intellectual is explained as "an intellectual imagined", who is subject assumed to know all. However, the intellectual is presented as labor in this novel. Also this novel shows an understanding of grassroots including labors. In the novel, grassroots including labors are depicted as splitted characters, as agents of resistance in a sense and as agents of ignorance and incompetence in other sense. Despite the flaw, the novel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captures the existence of grassroots and the importance of grassroots demonstrating transitional symptoms in the 1970s. In conclusion, this novel shows that an intellectual, In-Hoon Choi, had a desire for a holistic perception of history and reality and he tried to search for a new perspective viewing reality within the self-regulation as an "novel laborer".

      • KCI등재

        카프 문학과 윤리적 주체 : ‘물’ 논쟁을 중심으로

        구재진(Koo Jaejin)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본고의 목적은 ‘서화’, ‘물’ 논쟁, 그리고 이 논쟁을 촉발시킨 〈서화〉와 〈물〉 각각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1930년대 중반 카프문학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주체의 문제를 밝히는 것이었다. 카프 문학에서 도덕은 계급성에 기초 선악의 이분법, 정치성과 도덕성이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일원론적 것으로서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도덕성을 실현하기 위한 주체적이고 윤리적인 계기는 거의 고려되지 못하였다. 본고는 1933년에 이루어진 ‘서화’ ‘물’ 논쟁에서 정치성과 계급성의 뒤에 가려져 있던 윤리적 계기에 대한 문제제기를 발견하고 그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우선 ‘서화’‘물’ 논쟁을 재론하였다. 그 결과 임화의 관점이 계급성과 도덕성을 일치시키는 선악의 이분법에 의거한 것이었다면 김남천의 관점은 작품이라는 결과의 책임을 자기 자신에게 묻는 윤리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었음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서화〉와 〈물〉의 분석을 통해서 이러한 관점이 작품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밝혔다. 〈서화〉에서는 야수적 인간이 그가 가진 계급성으로 인하여 혁명적 인간으로 도약할 가능성을 부여받는다. 그리고 그가 했던 부도덕한 행위는 사회 경제적 현실의 탓으로 돌려지고 합리화됨으로써 윤리와 책임의 문제가 전면화되지 못한다. 반면 〈물〉에서는 감각적, 생물학적 차원으로 전락한 인간의 모습이 그려지지만 그로부터 이성적 인간의 차원, 윤리적 인간의 차원으로 상승하는 과정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물〉은 계급적, 정치적 주체와는 다른 윤리적인 주체의 문제를 제기한다. 카프가 이상으로 삼았던 공산주의적 인간형의 지향점은 계급적, 정치적 주체와 윤리적 주체의 결합일 것이다. ‘서화’‘물’ 논쟁, 그리고 〈서화〉와 〈물〉은 그러한 결합을 보여주는 데까지 나아가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카프 문학에서 ‘윤리적 주체’의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이 지니는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 of ethical subject found in the KAPF literature in the mid 1930s. For the purpose, the argument about 'Seohwa,' and 'Mool' and each of the both will be considered respectively. Ethics in the KAPF literature is monistic ethics for that the ethics are based on the class-conscious and a dichotomy between good and evil. And political and ethical moments are overlooked widely in the KARF literature. This study finds out the issue of ethical subject, which has been behind political and class-consciousness issues. First of all, the Im-Hwa's views showed in the argument about 'Seohwa,' and 'Mool' are a dichotomy between good and evil that political position corresponds with ethics. Unlike the Im-Hwa's views, Kim Namcheon's views are to bring out a question of ethical issue that the author should be liable for the outcomes of the literary work.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son's views are found in the debates on 'Seohwa,' and 'Mool.' A brutal spirit in 〈Seohwa〉 is vested with the possibility to be upwardly mobile revolutionary human by virtue of his class position. Also all immoral conduct done by the spirit are justified as a result of unreasonable political reality. The 〈Mool〉 shows us how sensuous and biological person could evolve to rational and ethical person. The 〈Mool〉, through the process, puts the question of ethical subject issues different from class-related and political subject issue. The end of the type of communists, which KAPF literature dream of, would be to combine class-related and political subject with ethical subject. The argument about'Seohwa' and 'Mool' and each of the both did not advanced to show the combination. They are quite meaningful in that they induce us to think the issue of ethical subject, though.

      • KCI등재

        최인훈의『화두』에 나타난 애도와 기억

        구재진(Koo, J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화두』는 1990년대 초반 냉전체제의 와해와 사회주의의 몰락이라는 정치적 변화 앞에 제기되는, ‘나는 누구인가’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을 담고 있다. 기억을 통한 뒤돌아보기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방법론적 의미를 지닌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이 작품을 기억학이라는 방법론의 의미, 기억을 소환하는 기술과 과정, 그리고 기억 소환의 결과 등의 세 가지 층위에서 고찰하였다. 우선 뒤돌아봄, 기억학이라는 방법론은 기억을 통해서 자기 자신과 세계를 인식하는 것으로, 미래의 향방을 알아차릴 수 없는 시대에 길을 찾는 방법론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억이 곧 나라는 명제를 통하여 기억에 절대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나의 시간을 과거에 묶어두고 미래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작품에서 그러한 기억을 소환하게 하는 것은 상실과 죽음으로 기억 소환의 과정은 애도/우울증의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 때 사회주의가 우울증의 근원으로서 나타나는데 작품에서 사회주의는 몰락하여 상실됨으로써 오히려 과잉 현존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주의의 몰락으로 중립에의 지향이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된 상황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조명희에 대한 우울증적인 동일시로 구체화된다.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애도는 망명자의 위치와 작가로서의 자의식이라는 두 가지 맥락에서 기억을 소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기억 소환의 결과 발견된 ‘나 자신의 주인 되기’라는 해답은 기억과 환상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때문에 주인 되기는 미래를 향해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과거로의 회귀와 반복으로 나타나게 된다. 결국 그러한 회귀와 반복 속에서 현실과 기억의 정치성은 탈각되어 잉여로 남게 되고 정치적 책임의 문제도 지워지게 된다. Hwa-Du is a narrative of a refugee and also of a memor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author of Hwa-Du raises the question about "who I am and how I will live/write" in the age of global political turbulence in the early 1990s, when the historic events happened like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European socialism. The way to answer the question in this novel is "to look back" in other words, recollection. To look back is expressed in a progress of mourning. The diaspora-based experience and global political turbulence puts the sense of identity as a political refugee in front. For the reason, the question earns political significance. In this paper, Hwa-Du is analyzed, focusing on the three different aspects; the position of the one who recollects, the technique and process of recollection, and the results of recollection. As a result, it is revealed how the diaspora-based experience and the position as a political refugee can connect with "memoryology" Moreover, it is implied that the process of recollection is expressed by the mourning for the mother"s death, internalizing the memory, the mourning for Jo, Myung-Hee"s death, and identifying him by melancholy. It is found that a departure from the political significance occurred as a result of recollect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live/write" and the meaning of "becoming master" is considered critically. "Becoming mater" has its limit on the point that it is realized only in the memory and in fantasy and it is not a step into the future, but repetitive past life regressions. As so, the present"s political identity in the fantasy is shattered to be left alone with its shell. Finally the political became a political surplus as a result of the recollection. 『화두』는 1990년대 초반 냉전체제의 와해와 사회주의의 몰락이라는 정치적 변화 앞에 제기되는, ‘나는 누구인가’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을 담고 있다. 기억을 통한 뒤돌아보기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방법론적 의미를 지닌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이 작품을 기억학이라는 방법론의 의미, 기억을 소환하는 기술과 과정, 그리고 기억 소환의 결과 등의 세 가지 층위에서 고찰하였다. 우선 뒤돌아봄, 기억학이라는 방법론은 기억을 통해서 자기 자신과 세계를 인식하는 것으로, 미래의 향방을 알아차릴 수 없는 시대에 길을 찾는 방법론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억이 곧 나라는 명제를 통하여 기억에 절대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나의 시간을 과거에 묶어두고 미래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작품에서 그러한 기억을 소환하게 하는 것은 상실과 죽음으로 기억 소환의 과정은 애도/우울증의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 때 사회주의가 우울증의 근원으로서 나타나는데 작품에서 사회주의는 몰락하여 상실됨으로써 오히려 과잉 현존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주의의 몰락으로 중립에의 지향이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된 상황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조명희에 대한 우울증적인 동일시로 구체화된다.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애도는 망명자의 위치와 작가로서의 자의식이라는 두 가지 맥락에서 기억을 소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기억 소환의 결과 발견된 ‘나 자신의 주인 되기’라는 해답은 기억과 환상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때문에 주인 되기는 미래를 향해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과거로의 회귀와 반복으로 나타나게 된다. 결국 그러한 회귀와 반복 속에서 현실과 기억의 정치성은 탈각되어 잉여로 남게 되고 정치적 책임의 문제도 지워지게 된다. Hwa-Du is a narrative of a refugee and also of a memor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author of Hwa-Du raises the question about "who I am and how I will live/write" in the age of global political turbulence in the early 1990s, when the historic events happened like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European socialism. The way to answer the question in this novel is "to look back" in other words, recollection. To look back is expressed in a progress of mourning. The diaspora-based experience and global political turbulence puts the sense of identity as a political refugee in front. For the reason, the question earns political significance. In this paper, Hwa-Du is analyzed, focusing on the three different aspects; the position of the one who recollects, the technique and process of recollection, and the results of recollection. As a result, it is revealed how the diaspora-based experience and the position as a political refugee can connect with "memoryology" Moreover, it is implied that the process of recollection is expressed by the mourning for the mother"s death, internalizing the memory, the mourning for Jo, Myung-Hee"s death, and identifying him by melancholy. It is found that a departure from the political significance occurred as a result of recollect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live/write" and the meaning of "becoming master" is considered critically. "Becoming mater" has its limit on the point that it is realized only in the memory and in fantasy and it is not a step into the future, but repetitive past life regressions. As so, the present"s political identity in the fantasy is shattered to be left alone with its shell. Finally the political became a political surplus as a result of the recollection.

      • KCI등재

        이호철의 1960년대 초반 소설에 나타난 4.19와 불안

        구재진(Koo, J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본고의 문제의식은 월남 작가 이호철에게 1960년대 초반의 혁명의 시대, 4.19 와 5.16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이호철의 작품에서 4.19에서 5.16을 경유하는 시대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가에 있다. 1960년대 혁명의 시대에 대한 이호철의 의식을 해명하기 위해 본고는「용암류」와 「무너앉는 소리」연작을 고찰하였다.「용암류」는 자유를 둘러싼 1950년대의 사회 문화적인 현상인 두 개의 자유와 연관되어 있다. 하나는 개인의 실존적 자유이지만 윤리를 도외시한 방임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닌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치적, 이념적인 가치로서의 자유이다. 그러나「용암류」는 자유의 문제를 선택의 문제로 제시하고 두 개의 자유가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을 봉쇄함으로써 개인에게 부과된 혁명의 당위성만을 제시하게 된다. 이것은 이호철에게 4.19가 아직 판단 유보, 미결정의 역사였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상태는「무너앉는 소리」연작에서도 이어진다. 연작에서 집 안의 가족은 무위와 권태 속에서 속물화되어가고 집 밖은 4.19와 5.16의 소용돌이 속에 놓여 있다.「닳아지는 살들」에서는 이러한 미결정 상태의 혼란과 불안을 ‘꽝 당 꽝 당’하는 쇳소리를 통해서 상징화하고 있다. 이 소리는 1960년대 초반 작가가 겪고 있는 불안을 함축하고 있는데 그것은 전쟁과 피난, 그리고 월남 트라우마의 경험과 관련된다. 결말을 통해서 이호철이 미정형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를 기대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1960년대 초반 혁명의 시대는 전후 세대 작가이자 월남 작가인 이호철에게 ‘자유’와 ‘민주’의 이념으로 빛나는 시대가 아니라 불안의 시대였다. 이 불안이 단지 한 작가의 개인적인 불안이 아니라 전쟁과 분단이라는 한국의 역사성 속에 놓여 있는 불안이라는 점에 이 작품들과 이호철이라는 작가가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critical perspective on what the early 1960s, April 19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meant to Lee, Ho-Cheol as a writer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In order to clarify Lee, Ho-Cheol"s sense on the early 1960s, this study contemplated Volcano and continuation of The Sound of Collapse. Volcano is related with two kinds of freedom which ar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over freedom. One is an individual freedom that holds risk of neglection of ethics and the other is a freedom as a political and ideological value. However, Volcano suggests freedom as a matter of choice, in the end only propos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volution imposed to individual. This implies that April 19 revolution for Lee, Ho-Cheol was a history of judgment reserved. This status continues with continuation of The Sound of Collapse. The family within the continuation becomes materialistic and world outside is swirling by the impact of April 19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In Evil Spirits becoming worn, the chaos and horror in such the situation is symbolized as a metallic sound. This sound signifies the anxiety to be related with his trauma about war, refuge and defection. The ending suggests that Lee, Ho-Cheol hopes to escape from anxiety. The laborer in the ending who comes to clean up is similar to the serviceman of May 16 Military Coup who claimed to eradicate the chaos and corruption. The early 1960s were not a time shining with the value of freedom and democracy, but a time of anxiety. Such anxiety is within Korea"s historical background of war and division. It is what brings the meaning of this work and writer Lee Ho-Cheol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본고의 문제의식은 월남 작가 이호철에게 1960년대 초반의 혁명의 시대, 4.19 와 5.16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이호철의 작품에서 4.19에서 5.16을 경유하는 시대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가에 있다. 1960년대 혁명의 시대에 대한 이호철의 의식을 해명하기 위해 본고는「용암류」와 「무너앉는 소리」연작을 고찰하였다.「용암류」는 자유를 둘러싼 1950년대의 사회 문화적인 현상인 두 개의 자유와 연관되어 있다. 하나는 개인의 실존적 자유이지만 윤리를 도외시한 방임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닌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치적, 이념적인 가치로서의 자유이다. 그러나「용암류」는 자유의 문제를 선택의 문제로 제시하고 두 개의 자유가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을 봉쇄함으로써 개인에게 부과된 혁명의 당위성만을 제시하게 된다. 이것은 이호철에게 4.19가 아직 판단 유보, 미결정의 역사였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상태는「무너앉는 소리」연작에서도 이어진다. 연작에서 집 안의 가족은 무위와 권태 속에서 속물화되어가고 집 밖은 4.19와 5.16의 소용돌이 속에 놓여 있다.「닳아지는 살들」에서는 이러한 미결정 상태의 혼란과 불안을 ‘꽝 당 꽝 당’하는 쇳소리를 통해서 상징화하고 있다. 이 소리는 1960년대 초반 작가가 겪고 있는 불안을 함축하고 있는데 그것은 전쟁과 피난, 그리고 월남 트라우마의 경험과 관련된다. 결말을 통해서 이호철이 미정형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를 기대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1960년대 초반 혁명의 시대는 전후 세대 작가이자 월남 작가인 이호철에게 ‘자유’와 ‘민주’의 이념으로 빛나는 시대가 아니라 불안의 시대였다. 이 불안이 단지 한 작가의 개인적인 불안이 아니라 전쟁과 분단이라는 한국의 역사성 속에 놓여 있는 불안이라는 점에 이 작품들과 이호철이라는 작가가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critical perspective on what the early 1960s, April 19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meant to Lee, Ho-Cheol as a writer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In order to clarify Lee, Ho-Cheol"s sense on the early 1960s, this study contemplated Volcano and continuation of The Sound of Collapse. Volcano is related with two kinds of freedom which ar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over freedom. One is an individual freedom that holds risk of neglection of ethics and the other is a freedom as a political and ideological value. However, Volcano suggests freedom as a matter of choice, in the end only propos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volution imposed to individual. This implies that April 19 revolution for Lee, Ho-Cheol was a history of judgment reserved. This status continues with continuation of The Sound of Collapse. The family within the continuation becomes materialistic and world outside is swirling by the impact of April 19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In Evil Spirits becoming worn, the chaos and horror in such the situation is symbolized as a metallic sound. This sound signifies the anxiety to be related with his trauma about war, refuge and defection. The ending suggests that Lee, Ho-Cheol hopes to escape from anxiety. The laborer in the ending who comes to clean up is similar to the serviceman of May 16 Military Coup who claimed to eradicate the chaos and corruption. The early 1960s were not a time shining with the value of freedom and democracy, but a time of anxiety. Such anxiety is within Korea"s historical background of war and division. It is what brings the meaning of this work and writer Lee Ho-Cheol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