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어과 교육과정 용어로서 ‘진정성’의 의미

        구영산 ( Goo Youngsa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authenticity’ as it is taught in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I investigated the use of the term ‘authenticity’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nalyzed the meaning of the term in each context. I discovered that the main semantic elements constituting the concept of ‘authenticity’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self and community’, ‘honest expression’, and ‘sincerity’. Based on these key semantic components, I identifi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uthentic’ language performance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I suggest that a reconsideration is needed in relation to the way the concept of ‘authenticity’ is taught in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구영산 ( Youngsan Go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12년에 고시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 필요한 논의 사항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11월과 12월 사이에 총 2회에 걸쳐 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 전문가 34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세부 목표’, ‘내용 체계’, ‘구성 원리’, 단계별 ‘총괄 수준’, 단계별 ‘성취 기준’에 대한 개선안 모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교육과정 각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안을 수렴할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시작점에 해당되는 초등학교 급의 단계별 성취 기준에 대한 검토 결과 기준 대비 낮은 수준의 학습 내용, 진술의 불명료함, 보다 정련된 형태로의 재진술 필요 등이 가장 많은 성취 기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이는 단계상으로 4단계, 영역상으로 쓰기 영역에서 가장 빈번히 논의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설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ationa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curriculum was announced in 201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a suggestion concerning how to revise the curriculum. A delphi survey was administered to 34 subjects. 15 were university professors and 2 were elementary schools teachers specializing in Korean education. 15 were university professors and 2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cializing in Korean-as-a-second-language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ce in November and once in December 2014. On a scale from 1 to 5, subjects indicated the validity of “goals”, “contents”, “organization principles”, level relevance of higher-leveled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level 1-6) and lower-leveled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level 1-6) of the national KSL curriculum. Subjects indicated various ways to revise sections of the curriculum. The most common criticisms of the sections were that they were too easy, they contained unclear statements, or required other stylistic revisions.

      • KCI등재

        ‘실용 국어’의 ‘직무 어휘’ 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구영산 ( Goo Youngsa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3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 survey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regarding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in the textbook Practical Korean, first published in 2015. Regarding content, teachers agreed with the textbook’s division of vocational vocabulary into basic vocational and professional categories. Regarding educational methods, teachers agreed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look up words in the dictionary.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female teachers were more skeptical than male teachers about teaching students to infer the meaning of words from context. However, Korean language arts teachers were not more likely than vocational teachers to oppose teaching students to infer the meaning of words from context. Many teachers indicated that the vocabulary words in the textbook were inappropriate for their students. This paper calls attention to the need to develop criteria to decide which words to teach in vocational schools.

      • KCI등재

        초·중 다문화 가정 학습 부진 학생 교과 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구영산(Youngsan Go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에 해당된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0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147명의 다문화가정 학생과 전국의 320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760명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의 학습부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학습 일반’과 ‘학습 환경’으로 나누어 설문 문항에 반영하였다. 문항 타당도 검증을 거친 뒤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습부진’, ‘학교 급(초등학교·중학교)’, ‘출생지’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부진’ 변인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및 중학교 다문화가정 학생 모두 학습 동기, 학습 전략, 학습지원에 대한 거의 모든 문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 환경 중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에게 부모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학교의 경우 사회적 관계가 주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학교 급’ 변인과 관련하여 초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학습 동기 측면에서 긍정적이며 교사 및 교우와의 학습 또한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등학생은 교사의 학습 지원을 중학생은 교우의 학습 지원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출생지’ 변인과 관련하여 국내 출생 다문화가정 학생에 비해 중도 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에게 보다 면밀한 언어적, 정서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부모 나라의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균형감 있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및 중학교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육 지원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gain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to support LPSMBs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procedure involved surveying students about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 analyzed responses from 1,147 students from 200 elementary schools and 3,760 students from 320 middle schools who were LPSMBs and NPSMBs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LPSMBs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on most questionnair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an NPSMBs. LPSMBs in elementary schools showed higher scores on teachers’ learning support, LPSMBs in middle school showed higher scores on classmates’ learning support. LPSMBs born in foreign countries need to be given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as well as their father’s and mother’s culture. I give suggestions for how to support LPSMBs’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 KCI등재

        초·중·고 건강장애 학생의 질병체험서사에 나타난 결론 구성 방식의 특징과 교육적 시사점

        구영산 ( Goo Youngsan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건강장애 학생들의 글쓰기 행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이 학습자 집단의 학생들이 어떠한 제약도 없는 상황에서 자율적으로 쓴 총 195편의 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질병체험서사라고 칭할 수 있는 텍스트 유형이 상당수 발견되었다. 또한 이 질병체험서사의 결말 부분에서 희망 결론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결론 구성 방식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을 건강장애 학습자 집단의 글쓰기 특징으로 파악한 뒤, 각 학교급별로 질병체험서사의 희망 결론의 구성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초·중·고 건강장애 학습자 집단에게 질병체험서사의 생산이 언어활동으로서 어떠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며, 질병체험서사의 희망 결론이 희망 표현으로서 해당 학습자 집단과 이를 공유하는 이들에게 어떠한 사회적 의미를 지니는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health disabilities. To this end, I analyzed a total of 195 writings by students from 2011 to 2018. A number of text types were found that can be classified as “illness narratives.” My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onclusions of the illness narratives can frequently be characterized by hopeful. I analyzed how these hopeful conclusions were constructed in illness narratives at each grade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the illness narrative has educational value as a language activity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health disorders. I explain what social meaning is expressed in these narratives.

      • KCI등재

        공적 사과 교육의 내용 연구 -사과에 대한 수용 반응을 중심으로

        구영산 ( Goo Youngsan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공적 사과 교육의 내용 초안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사과라는 언어 행위는 사과의 대상인 사과 받는 이가 해당 사과 메시지를 받아들이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 본연의 역할(기능) 수행 정도가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 유의미한 공적 사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해당 사과가 소통되는 과정에서 사과의 수용 여부 및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공적 사과 담화 및 텍스트의 소통 모델을 제시하였다. 사과는 수용됨으로써 언어 행위로서 그 본연의 의미를 갖게 된다는 점에서, 사과 수용 반응을 고려한 공적 사과 담화 및 텍스의 표현 원리를 공적 사과 교육의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contents of public apologies. The language of the act of apology is judg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ubject(s) accept(s) the apology. In this study, I focused on a case involving a series of public apologies and identifi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acceptance of apologies in communication process. In cases when an apology becomes meaningful as a linguistic act by being accepted, the principles of expressions of apologies that are accepted are presented as educational contents of public apologies.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구영산(Youngsan Goo),오상철(Sangchul Oh),이화진(Hwajin Yi),장경숙(Kyungsuk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교육 지원을 위한 콘텐츠 개발을 위해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200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09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변인과 일반 학습부진 변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설문 대상에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습부진학생과 중상위권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포함시킨 후 변인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 특성과 학습 환경의 많은 부분에서 다문화가정 중상위권 학생이 다문화가정 학습부진 학생과 일반 학습부진학생에 비해 더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그러나 소속감과 사회적 관계의 일부 측면에서는 학습부진과 상관없이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더 낮은 평균을 나타냈다. 또한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은 아버지 또는 어머니 문화에 대한 이해 부분에서 취약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gain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to support LPSMB(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rough the survey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e analyzed a survey of 2,091 students from 200 schools who were low-performing Korean students, LPSMBs, and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most questionnaires than low-performing Korean students and LPSMBs. However,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LPS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on 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s. LPSMBs showed lower scores on parents culture than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e suggested how to support LPSMBs’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 KCI등재

        다문화 학생을 위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재 평가 연구

        장경숙(Kyungsuk Chang),구영산(Youngsan Goo),전영주(Young-Joo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교육을 위해 개발된 한국어교재평가를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고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이다. 교재평가에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한국어교재를 평가할 수 도구를 활용하였다. 학교에서 표준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32명의 한국어 교사들이 평가에 참여하였다. 평가 도구에 제시된 51개의 세부 기준에 따라 교재의 내적·외적 구성요소별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 결과에 의하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어휘 제시, 어휘의 반복적 사용, 문화에 대한 내용 확대 등이 개선점으로 지적되었다. 한국어교재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표준한국어교재 개발의 방향, 한국어 교원의 교재평가 전문성 제고, 평가 결과 기반 교재 선정 및 활용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evaluate the Korean textbook they use for teaching primary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Faced with the rich variety of materials available, it is often a challenging task for language teachers to select the most suitable coursebook. It is required that they carry out a detailed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coursebooks and evaluate them with a set of criteria to guide the process. 32 Korean teachers took part in the primary KSL textbook evaluation that aimed to identify improvement areas. They used a pro-forma specified with 51 criteria. The teachers responses to the questions in the pro-form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draw implications for material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KSL textbook for primary multicultural students need to be improved at the internal and external levels. Implications are discussed with focus on material evaluation and development, and KSL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by helping them gain good and useful insights into the nature of the textbook, and sensitizing them to features to look for i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자기 노출 요구 및 응답에서 대화자 양측의 불만족 유발 양상 -드라마 ‘갯마을 차차차’를 중심으로-

        백정이 ( Baik Jeongyi ),구영산 ( Goo Youngsan ) 한국화법학회 2022 화법연구 Vol.- No.58

        Self-disclosure is a communicative behavior through which individuals sincerely and intentionally communicate novel truth and traditionally private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to one or more individuals. People decide whether to self-disclose based on their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personal differences, and evaluate the situation, including the purpose, benefit, and risk of self-disclosure. This study explored aspects of dissatisfaction experienced on both sides when people are asked to self-disclose and do so. The drama “Gaetmaeul Chachacha” was analyzed as a source. Scenes chosen for analysis were self-disclosure situations, including follow-up questions and reactions, considering verbal and nonverbal hesitation cues. Regarding the questioner's problems, two problem types were suggested: being unprepared to listen and insincere questions. Concerning the respondents' problems, four types were suggested: ignoring the questioner’s intentions, focusing only on conveying the facts, excessive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failure to set self-disclosure boundaries. By examining examples of unsuccessful questions and reponses in self-disclosure from the speaker and listener’s perspective, the results could create a foundation for appropriate self-disclo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