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내 원예활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구연숙,박인숙,허무룡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oor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s on infant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year-old infants from I Kindergarten located in C city,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Male 9, Female 6) and 15 control group (Male 9, Female 6). Two groups were the same. A total of 10 sessions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rom January 5 to February 5, 2021,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nalyzed using SPSS 22.0.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so it can be seen that the Indoor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Recommend continuous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 of each program type. 본 연구는 실내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하는I유치원 만 4세 유아로 실험군 15명(남9,여6)과 대조군 15명(남8,여7)이고, 두 군은 동질하였다. 실험군에게 2021년 1월 5일부터 2월 5일까지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평가는 프로그램 전·후 실시하여 SPSS 22.0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군에게 주의집중력과 정서지능은 유의미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내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정서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성화가 필요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

        農村主婦들의 活動量과 食餌攝取量

        李誠國,具蓮淑 대한보건협회 1992 대한보건연구 Vol.18 No.1

        To identify the balance between dietary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of farm housewives. 100 farm housewives living in kangdongmeon, kyungjugun, kyungpook province, were interviewed with a questionnaire from 10th march, to 20th April, 1991. This survey was carried out physical activities for 24 hours and dietary consumption through 24 hours recall mathod with together general characteristics(age, BMI, educational level, monthly family income, family type, family size et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verage age, monthly family income, and family size of this subjicts 44.4years old, 1.201, 500won, 4.14 persons respectly. Their average farm labour hours and domestic labour hours were 6.l0hours 3.69hours, respectly. so, total labour hours of farm housewives were 9.79 hours. The daily average food intake per 1 hourswife was 1271.03g. Among daily average food intake, vegetable food and animal food were 112.62g(87.54%), 158.41g(12.46%). respectly. Their energy expendiure and intake were 2715.56Kcal, 2420.56Kcal, respectly. so.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expenditure and intake of energy(p<0.01) the ratio of energy intake to energe expenditure was 0.92. but overweight farm housewives showed unbalanced codition as 0.76.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the total labour hours and educational level (r=-0293).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the ratio of energe intake to energy expenditure and body mass index(r=-0.444).

      • 노인 교통안전 개선방안

        지우석,구연숙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11

        고령 친화적 시설과 제도적 상황이 충분치 못한 현 상황에서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노년인구의 활발한 사회활동으로 이들의 외부 지체시간이 증가하게 되었고 또한 여러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특히 노인은 신체 기능의 저하로 반응속도가 느리고, 주의력 부족으로 교통사고의 위험이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매우 높기 때문에 노인 교통사고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 시설 및 제도개선, 정책개발 등이 종합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의 교통사고 자료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교통안전의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노인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시설 개선안과 정책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는 노인인구 비율을 기준으로 볼 때 이미 고령화 사회의 단계에 진입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인구대비 노인 교통사고 비율이 1.7배 더 높게 나타나고 있어 노인 교통안전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특히 인구대비 노인 교통사고 비율이 2배가 넘는 시ㆍ군과 노인 교통사고 비율은 낮지만 노인인구의 비율자체가 높아 전체 인구 대비 노인교통사고 비율이 낮게 나온 도농 복합형 도시들은 노인교통안전 사고예방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고령사회로 분류되는 도시에서는 노인교통사고를 줄이는 정책이 일차적인 교통안전 정책이 되어야 한다. 이렇듯 전체적으로 노인 교통사고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급속한 고령화의 원인도 있겠지만 노인들이 교통사고에 그만큼 더 취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두 가지 문제의 결합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우선 노인들 자체의 문제로서 신체적, 심리적으로 교통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와 교통법규나 질서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노인의 교통 문화적 특성에서 기인하며, 다른 한 가지는 우리사회가 아직까지 노인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노인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교통제도 및 시설의 정책적 개선과 개발에 적극적이지 않다는데 있다. 이 두가지 문제의 해소를 위해서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교통문화와 보행습관의 변화를 위한 교육 및 홍보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노인의 교통안전을 우선적으로 배려하는 교통시스템과 교통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노인 교통안전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노인보호구역의 개선이다. 현재 경기도에 운영 중인 노인보호구역은 별도의 지정기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최소한의 설치기준을 제정하여 노인보호구역에 대한 인지도와 시인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 고령화의 진행과 함께 노인보호구역의 개념 보다는 노인인구의 보행수요가 많은 보행축을 기준으로 노인이 보행하기에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 필요성이 있으며, 그리고 각 시ㆍ군에서는 보행 교통안전사고의 지점별, 연령별 자료를 구축하여 노인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지점에 대해 우선적으로 개선사업을 시행하도록 한다. 두 번째는 신호 교차로의 개선이다. 노인 보행수요가 많은 지역에서는 보행자 신호시간을 0.8m/초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며, 지역별 보행수요의 특성에 따라 0.6m/초 까지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 신호의 출발 시 예비신호는 운전자로 하여금 예측출발, 사전출발 등을 유도하여 보행사고 뿐만 아니라 차대차 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출발 시 신호는 적색신호에서 황색신호 없이 바로 녹색신호로 변경되도록 개선한다. 노인을 포함하여 모든 운전자, 보행자에게 신호교차로 보다는 회전식 교차로가 더 안전하므로 우리나라도 회전식 교차로를 확충할 필요가 크다. 세 번째는 이면도로의 보도 개선이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보듯이 노인들은 이면도로 보행 시 교통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느끼고 있으며, 실제로도 이면도로에서 차대사람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면도로의 보도 개설사업 시나 개발 사업을 통하여 이면도로가 생겨날 때는 보행안전을 고려한 설계가 되어야 할 것이다. 네 번째는 농촌지역의 보행안전 제고이다. 버스정류장 주변을 비롯한 보행수요발생 구간에는 보도를 일차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횡단수요에 상응하는 횡단보도를 설치하고 무단횡단의 사전 방지를 위한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횡단신호가 있는 곳에서는 100m 전방에 예고신호를 추가로 설치하고 본 신호지점에서는 과속 및 신호위반 단속 카메라의 설치를 확충하도록 한다. 다섯 번째는 보행습관의 개선이다.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하여 보행시 주의사항에 대해 노인들이 지킬 수 있도록 교육 및 홍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 번째는 운전자 교육의 강화이다. 노인의 보행특성에 대해 운전자가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야 보행자 보호 운전이 가능해지므로 노인의 보행안전 증진에 초점을 둔 운전자의 보행자 보호운전기법에 대한 교육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 방안으로는 운전면허 시험에서 이와 관련된 문항을 강화하고, 민방위훈련, 반상회 등을 통한 교육과 언론매체를 통한 중앙정부차원의 홍보 및 캠페인의 지속적인 전개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NGO 활동의 강화이다. 노인 연령층 스스로 지역의 교통안전과 보행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삶의 질 개선을 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활동은 현재 활성화 되어 있는 녹색교통 또는 교통안전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여러 NGO단체들과 공조하여 활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래서 노인 중심의 보행환경 개선단체들의 활동은 보다 개인적으로 동기부여가 더 크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각 시ㆍ군에서는 이러한 단체의 발족을 위한 초기 지원을 검토할 필요성이 높다.

      • 수도권 교통관광통합패스 도입방안 연구

        지우석,이수진,구연숙 경기연구원 2012 정책연구 Vol.2011 No.12

        선진외국의 경우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최근 도시자체를 관광상품화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역사가 오래된 런던, 파리, 로마 등의 도시에서는 유적지나 역사적 건물은 물론이거니와 현대에 건설된 건축물, 거리, 광장 등도 관광도시로서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들 도시의 관광경쟁력을 향상 시키는 또 하나의 공통적인 수단이 바로 도시 내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편의 제공이다. 대중교통 이동편의성이 도시의 관광경쟁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단기간 체류하는 외국관광객에 있어 대중교통 이용편의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유럽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교통패스나 관광패스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대중교통 이용이 유럽이나 일본, 홍콩 등 아시아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편한 미국의 대도시들도 유사한 교통패스나 관광패스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수도권의 주요 관광지를 쉽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수도권 내 모든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정액권개념의 교통카드기능과 수도권 주요 관광지의 무제한 이용이 가능한 관광패스기능이 통합된 교통관광통합패스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의 수도권 관광행태를 분석하여 정액권의 적정한 가격을 산정하고 교통관광통합패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관광객은 아직까지는 단체관광, 패키지관광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향후 점차적으로 개별 자유여행 형태의 관광 비중이 높아질것으로 예측되므로 교통관광통합패스(MVP: Metropolitan Visit Pass)의 도입 필요성이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MVP는 외국관광객의 국가, 관광형태, 체류기간, 선호 공항교통수단 등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관광특성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와 가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관광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Korea Pass는 선불교통카드의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외국관광객들의 경우 재충전에 어려움을 느끼는 등 몇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단순 신용카드나 선불카드의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현재 Korea Pass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 서비스이지만 MVP는 쇼핑매장, 식당, 숙박업소 등의 가맹유무나 할인혜택 등을 하나하나 책자에서 확인하는 것 대신에 QR 코드나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하여 관광객과 가맹점이 서로 편리하게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분실보험 서비스기능, 대중교통사고 보험 서비스, 독특한 외관 디자인 등 새롭고 흥미로운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MVP 이용활성화를 도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도권 교통관광통합패스는 단순히 국내외 관광객의 이동편의성을 높이는 기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도권 관광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보행환경 만족도 연구

        지우석(Osok Ji),구연숙,좌승희 경기연구원 2008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2008 No.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커지면서 이동수단에 대해서도 녹색교통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행환경 개선, 자전거도로 개설 등의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연구와 정책 제시도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보행 및 자전거 관련 기반시설이 취약하고 녹색교통수단을 이동수단보다는 레저활동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있는 수준이며, 보행환경은 자동차 통행을 위한 도로환경에 비해 분석 기준 및 방법, 평가 기준 등의 개발이 미흡하다. 보행 서비스수준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보행만족도는 기계적 평가에 의해 결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보행의 주체인 사람이 평가 하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으므로 보행자의 만족도 평가를 통해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그 영향력을 파악하여 향후 보도개선 및 확충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요약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영향력의 파악을 위해 수원시의 구도심에 해당하는 팔달구 지역과 신도심에 해당하는 영통구 지역에 대해 실제 보행자가 느끼는 보행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수원시 YMCA 소속 회원으로 구성하였으며, 10여명을 1개조로 편성하여 조별 조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구간은 팔달구 약 6.8㎞(13개 구간)와 영통구 약 7㎞(11개 구간)이며, 각 조사원은 한 구간씩 직접 걸어본 후 해당 구간에 대한 전체적인 보행만족도,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등에 대해 5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구간별로 단절구간 수, 수직 경사도 및 수평 경사도, 음영비율, 불법주차차량 대수, 자전거 도로 유무, 인접도로 차로 수, 보도폭 균일 정도, 점자블럭 설치유무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항목과 보행자가 느끼는 전체적 보행만족도, 안전성, 편안함, 쾌적성, 흥미성 등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인접차로의 자동차 통행량은 영통구와 팔달구 지역간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보도의 노후정도, 보도경사, 단절구간, 보도 불법주차, 인접차로 수, 쓰레기, 보도폭의 일관성 부족, 전신주 수, 가로변 주차대수, 보도상 적치물, 유효폭대비 보행량, 대화불편 정도 등의 변수가 보행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도폭, 보행인수, 음영정도, 인접차로 차량속도 등의 변수는 보행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수별 보행환경 만족도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팔달구와 영통구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변수들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팔달구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던 도로상의 점자블럭은 영통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타나났으며 가로등의 경우는 반대로 팔달구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연령이나 성별 등 개인적 특성은 두 지역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분산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변수들을 중심으로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을 나타내는 변수들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적 요인으로 주로 물리적 시설설치 방안과 관련이 있는 1차 변수와 보행환경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요인으로 주로 제도적 요인 또는 그간 보행환경 개선과 관련하여 고려가 미흡했던 2차 변수로 구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들을 선정하기 위해 회귀분석에서 Stepwise를 사용하였다. 결론 및 정책건의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을 조사 및 분석하여 보다 나은 보행환경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실질적으로는 보행기초시설이라 할 수 있는 보도의 유무 및 노후정도, 보도의 기울기 등 보행환경과 보행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1차적 요인이 일정수준 만족된 조건에서 2차적으로 보행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보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 보행환경의 현실에서는 1차적 요인들에 대한 영향력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어 1차적 요인들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아직까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지역적으로는 신도시라 할 수 있는 영통구에 비해 구도심에 해당하는 팔달구에서 이러한 경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보행환경의 개선을 위해 제시된 모든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겠지만 재원의 한계, 공간적 한계 등의 문제로 인해 일괄적 개선이 불가능하다면 단계적 시설확충을 통한 보행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보행환경 개선의 단계를 구분하였다. 1차적 요인으로는 보행의 기본적 인프라시설이 포함되는 보행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해줄 수 있는 요인들이며, 2차적 요인으로는 보행의 쾌적성과 관련되는 요인들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1차, 2차 요인을 다시 1차, 2차 개선사항으로 나누었는데, 1차적 개선사항은 주로 물리적 시설개선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2차적 개선사항은 단속 등 제도적 개선내용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분에 의해 4단계의 개선 우선순위가 만들어지는데 1단계 개선으로는 보도단절구간, 보도노후도, 보도 수평경사 등이며, 2단계 개선으로 유효폭 대비 보행인수, 가로수 개수이다. 3단계 개선으로는 보도상 오토바이 통행빈도, 보도상 불법주차 빈도 등이며 4단계 개선으로는 인접차로 자동차 통행량, 인접차로 차로수 등이다. Recently a sharp attention on green transportation is increasing as worldwide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is rising. Accordingly various efforts to improve pedestrian street and bike road are actively followed and as the related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In Korea, infrastructure for walking and biking is still insufficient and green transportation is considered as leisure activity rather than a transportation mode. However many cities recently starts various green transportation related plans such as pedestrian environment master plan or bicycle road master plan. Most recently master plan for mobility inferior social groups such as the handicapped, elders, and children becomes a legal plan. However, analysis tools, analysis methods,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pedestrian environment are not satisfactorily developed comparing to those for vehicle road environment. Some studies suggest the measurement of service level of pedestrian environment with similar methodology to determine the vehicle road service level. These efforts however can not suggest satisfactory standard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vehicles. In case of vehicle roads, we can use rather simple indices to decide the service level such as speed, density, or congestion level. In case of pedestrian streets, these indices have certain limits. For instance, some extremely crowded pedestrian streets, like the Insa-dong street in Seoul, service level should be the lowest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used for vehicle roads, which actually satisfaction level of the Insa-dong street should very high. To find crucial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satisfaction level of pedestrian environment, many studies survey the pedestrian passing on the sidewalk. In this study a different survey method is used. A survey team is formed, which is constructed with 100 people from various age spectrum. They are instructed how to survey and what to survey prior to the survey. In order to compare areal differences, 13 blocks from Padal Ku are chosen to survey and 11 blocks are chosen from Yongtong Ku. Paldal Ku is an old town while Youngtong Ku is a new and planned town. Satisfaction level or service level of pedestrian street can not be determined by rather simple and mechanical evaluation tools. This is because we can not disregard the role of pedestrian themselve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for pedestrian, which can be used to enhance pedestrian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