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밀지형자료와 과거 침수피해정보를 활용한 침수흔적도 구축 정확도 개선

        구신회(Goo, Sin Hoi),김성삼(Kim, Seong Sam),박영진(Park, Young Jin),최재원(Choi, Jae W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4

        대규모 홍수가 빈발하여 홍수피해 규모가 천문학적으로 커지고 있는 현실에서 침수지역에 대한 침수흔적조사, 침수예상분석, 대피계획 수립 등 종합적인 검토ㆍ분석의 결과를 지도위에 표현하는 재해지도는 비구조적인 홍수방어대책의 주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태풍, 호우, 해일 등으로 인한 침수흔적을 조사하여 표시한 침수흔적도는 침수예상도, 재해정보지도 등과 유기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는 방재 기본도임에도 불구하고 작성 예산 문제, 작성시기 지연 및 침수흔적 표시 관리가 미흡하여 침수흔적도 작성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청에서 제시한 침수흔적도 제작 지침을 토대로 과거 홍수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했던 지역을 대상으로 침수피해정보와 3차원 정밀 지형정보(DEM)을 이용한 침수흔적도 작성을 통해 구축 정확도를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increasing astronomically damage costs caused by frequent and large-sized flood, a hazard map containing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such as inundation trace investigation, flood possibility analysis, and evacuation plan establishment for flooded regions is a fundamental measure of non-structural flood prevention. Though an inundation trace map containing flood investigation results occurred by typhoon, rainfall and tsunami is a basic hazard map having close relationship with a flood possibility map as well as a hazard information map, it is often impossible to be produced because of financial deficiency, time delay of investigation, and the lack of maintenance for flood trac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accuracy enhancement procedure of inundation trace map with flood damage information and three-dimensional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or the past frequent flooded regions according to a guideline for inundation trace map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 시나리오 기반 홍수위험정보지원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구신회(Goo, Sin Hoi),진경혁(Jin, Kyeong Hyeok),정태성(Cheong, Tae Sung) 한국측량학회 2010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0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 for visualizing inundation area by using 1-D numerical model analyzing damage information such as inundation area, facilities, land usages, population, building, loads.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hydraulic models to select a flood model for simulation of discharges, water depths and velocities. The study area is Namhan River from Youngwol to Paldang Dam which had a flood damage on upper and below regions of Chungju Dam by a storm event in 2006. At the first, we developed the DB system base on GIS thematic map, ortho images, cadastral maps to analyze flood damages and support decisions making. Changing the boundary conditions such as discharge at the gauging stations, flood simulations were performed and then damage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s inform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1-D numerical hydraulic model,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analyze flood damages and support a decision making for reduce flood relate damages. In the future,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for flood forecasting system of small scaled streams.

      • 재해사례정보의 효율적 공유를 위한 재해사례지도 개발

        최선화(SeonHwa Choi),구신회(SinHoi Goo),정태성(TaeSung Cheong),이원호(WaonHo Yi)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9

        재난관리 업무 수행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각 상황에 적합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 중 과거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재해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은 재해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으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재해사례들의 정보를 재해가 발생한 위치에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재해사례지도(Disaster Instance Map)를 소개한다. 재해사례지도는 자연재해 즉, 태풍, 호우, 강풍, 해일, 대설, 지진, 급경사지, 가뭄, 낙뢰, 산불을 중심으로 피해정보를 제공하며, 재난관리를 수행하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향후 인적재난 및 기타 재난ㆍ재해정보를 단계별로 구축하고 또한, 사용자별 차등화된 콘텐츠 정의를 통해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제재난기구 협업을 통한 적시적 재난대응

        김성삼(Kim, Seong Sam),구신회(Goo, Sin Hoi),박영진(Park, Young J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최근 복합적 대형 재난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전지구적인 재해ㆍ재난 모니터링을 위해 인공위성 센서, 항공/지상 LiDAR 등 다양한 관측센서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지구를 주기적ㆍ반복적으로 관측하며 cm급 고해상도 공간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상업 위성은 국가적 재해ㆍ재난 발생에 대한 전조 모니터링에서부터 신속한 복구 등 재해ㆍ재난업무에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독자적 위성운용 시스템만으로는 광역적이고 준실시간적 대응을 요하는 재해ㆍ재난 상황 대응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중 센서가 탑재된 탑재체 운용, 여러 대의 탑재체를 연동하여 적시에 위성영상을 확보하기 위한 긴밀한 국제적 협력체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2011년 발생했던 국내 폭설 및 집중호우 재난 대응을 위해 국립방재연구원과 국제재난기구인 International Charter와의 협업을 통하여 신속한 위성영상 수급과 자료처리, GIS 분석, 지도화(mapping)함으로써 적시적으로 의사결정지원이 가능한 재난관리 체계를 제시하였다. Recently, large-scale multi-hazards have been occurred in the various areas of the world. A variety of Earth observation sensors such as satellite EO, aerial and terrestrial LiDAR have been utilized for global natural disaster monitoring. Especially, commercial satellites which observe the Earth regularly and repeatedly, and acquire images with cm-level high spatial resolution enable its applications to extend in the fields of disaster management from advanced disaster monitoring to timely recovery. However, due to existing satellite operation systems with some limitations in almost real-time and wide regional disaster response, close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between satellite operating organizations like NASA, JAXA, KARI etc. have been required for collecting satellite images in time through a satellite platform with multi-sensors or satellite constellation. For responding domestic natural disaster such as heavy snowfall and extreme rainfall in 2011, this paper proposes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timely decision-making; rapid acquisition of satellite imagery, data processing, GIS analysis, and digital mapping through cooperation with NDMI in Korea and International Charter-Space and Major disasters.

      • KCI등재

        도로경사와 연령별 보행속도 차이를 고려한 자연재난 대피소의 입지분석

        이소희(Lee, So Hee),구신회(Goo, Sin Hoi),전영우(Chun, Young Woo),박영진(Park, Young J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2

        우리나라 대피시설의 종류는 재난유형별 대피계획에 따라 구분된다. 자연재난 대피의 경우, 시ㆍ군ㆍ구별로 수립되는 ‘안전관리계획’에 대피소의 입지 및 대피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그러나 인구수용이 용이하고 구조상 안전한 건축물을 지정하도록 되어 있을 뿐 대피소의 입지나 규모 등에 대한 정량적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실적인 대피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자연재난 대피소의 분포 및 대피면적에 대한 현황 분석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도로경사 등 지형요소와 연령별 신체능력의 차이는 도보 대피 시 신속한 대피경로 분석을 위한 주요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요소와 연령별 보행속도 차이를 고려한 3차원 기반의 최적 대피경로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기준 대피시간(7.5, 15, 30분)별 대피소 커버권역의 지역적 차이 분석을 통해 자연재난 대피소의 입지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인구 1인당 평균대피면적은 0.45m2로 분석되었다. 이는 최소 대피면적을 1m2로 가정했을 때 서울시 전체 인구의 45%만 수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기준 대피시간 7.5분 이내에 대피 가능한 인구비율은 서울시 전체 인구의 33%에 불과하였다. 셋째, 5~9세 어린이나 65세 이상 노인의 대피가능 인구비율은 15~49세 기준 보행속도 그룹에 비해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In Korea, local governments have decided the location of shelters as part of their disaster planning. However, no quantitative standards, such as assuming different hazard and shelter types, shelters’ capacity, are specified in that planning. To propose the direction of disaster evacuation policy, first of all, the current state of shelters’ location and evacuation area is needed to be analyzed. In addition, considering topographical condition such as road slope and physical strength by age are important factors to measure optimal evacuation route. The purpose is to suggest a new methodology of estimating optimal evacuation route considering resistance of road slope and difference of walking speed by age. Moreover, as a case study of Seoul, Korea, using coverage analysis of GIS analysis tool, the accessible area (or vulnerable area) to the shelters is evaluated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s and their accommodation capacity, according to evacuation time within 7.5, 15 and 30 minute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area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per person is calculated as 0.45 square meters. Considering that the minimum shelters’ area per person is 1 square meters, only 45% of people in Seoul can be accommodated. 2) The ratio of inhabitants who live in accessible area within 7.5 minutes presents only 33% of all. Furthermore, the ratio of inhabitants by age group of 5~9 or over 65 years old shows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 in comparison with 15~49 years old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