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관시간과 온도에 따른 판매 도시락의 샐러드 미생물 품질 평가 - 편의점과 프랜차이즈 도시락 전문점 제품 -

        최정화,태환,동경,Choi, Jung-Hwa,Wang, Tae-Hwan,Kwak, Tong-Kyung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2 No.6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salads in lunchbox's based on the holding time and temperature at convenience and franchise stores. Methods: Cabbage salad and crab meat salad were targeted for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They were tested for aerobic plate counts, coliform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Enterobacteriaceae and assessment were performed b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Results: In cabbage salad at convenience franchise store's at $5^{\circ}C$, the aerobic plate counts did not exceed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For cabbage salad stored at $25^{\circ}C$, the aerobic plate counts was 5.08 log CFU/g we hours after purchase, which exceeded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In case of cabbage salad in franchise store, the E. coli and S. aureus count exceeded Korean Food Standards Codex 3 hours after purchase. Microbiological analysis did not exceed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t $5^{\circ}C$ in crab meat salad in convenience store. At $25^{\circ}C$, the aerobic plate count was detected at 4.45 log CFU/g after 32 hours, coliforms, E. coli, and S. aureus did not detect, but Enterobacteriaceae was found to be 2.34 log CFU/g after 9 hours in franchise store's crab salad. Coliforms was detected at 1.18 log CFU/g after 3 hours, and S. aureus was detected at 2.04 log CFU/g after 6 hours at $25^{\circ}C$ in the franchise store. The lunchbox' salad under cold storage ($5^{\circ}C$) generally meet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n urgent need to implement proper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of lunchbox foods to ensure microbiological safety, and to improve the shelf life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 KCI등재

        한반도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쟁과 평가기준: 전문가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최영미 ( Youngmi Choi ),곽태환 ( Tae Hwan Kwak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6 한국과 국제정치 Vol.32 No.3

        본 연구는 한반도 사드 배치의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사드 배치에 관한 정책적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사드 배치의 4개 평가기준, ① 북핵위협, ② 사드의 실효성, ③ 대외관계 영향, ④ 남북관계 및 통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북한 및 동북아 안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경험적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현 한국사회는 정치적 이념에 따라 사드 배치에 대한 극명한 이견을 나타내고 있음이 경험적으로 증명되었다. 특히 4개 평가기준 중사드의 실효성에 대해 가장 극명한 이견을 보이며, 그중 비용문제와 관련하여 가장 큰 갈등을 보인다. 둘째, 사드 배치가 한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정치적 이념 간 소소한 차이를 보인반면, 한중관계에 대해서는 큰 이견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드 배치와 관련하여 한국정부가 고려해야 할 일차적 사항은 사드의 실효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통해 사드 배치로 인한 국내외적 오인요소들의 차단임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has two goals: to evaluate the decision to deploy the THAAD system in South Korea and to provide sound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an opinion survey of leading scholar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current debate on the THAAD deployment revolves around four key issues: ① threats from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② effectiveness of the THAAD system, ③ the impact of the THAAD deployment on South Korea’s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region, ④ its impact on inter-Korean relations and on the prospect of Korean unification. By utilizing quantitative data analysis, this study finds empirical evidence of ideological cleavage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with regard to the THAAD deployment. The key findings show: South Korean conservatives are likely to support it, while liberals are not. Moreover, there are major concern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HAAD, and its impact on South Korea’s relations with China.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sugges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first evaluate tangible and intangible costs for the deployment, and the government needs to persuade the Chinese leadership to understand that the THAAD deployment will not jeopardize China’s security interests.

      • U.S-Korean Security Relations : A Reassessment

        Kwak, Tae-Hwan 慶北大學校 1977 論文集 Vol.23 No.-

        美國은 1950年 北韓의 侵略으로부터 韓國을 防禦하기 위하여 美軍을 파견한 以來 韓美관계는 友好와 신뢰의 바탕 위에서 韓半島에서의 戰爭再發을 防止하는 共同利益을 追求하였고, 지난 四半世紀 동안 美國은 北韓에 對抗하여 軍事的 保證人으로서 韓國을 保護해 왔지만 最近 數個月間 韓·美 安保外交關係는 1970年代 後半期에 들어와서는 어느 때보다도 한국의 安保에 위험이 될지도 모르는 상황으로 점차 변화되어 가고 있다. 筆者는 本論文의 第2章에서 美國의 對韓政策을 (1) 韓半島에 있어서 미국의 國家이익과 목표, (2) 美國의 短期목표와 정책수단, (3) 미국의 中長期목표와 정책수단으로 나누어 한미안보관계의 基本性格을 分析하여 評價하였다. 第3章에서 1970年代 後半期의 美國의 大韓安保政策의 問題點을 지적하여 (1) 駐韓美軍의 계속 駐屯의 正當性과 (2) 美軍撤收의 正當性을 分析하였고, (3) 駐韓美地上軍撤收에 대한 美國의 전략 및 전술적 考察을 評價하여 한미안보관계의 問題點을 分析하였다. 第4章 結論에서 筆者는 미국은 太平洋國家(Pacific Power)로서 東아시아 국가들과 맺은 상호방위조약을 준수할 것이며, 한반도에서 새로운戰爭이 發生하지 못하도록 하는 미국의 役割과 계속 追求할 것으로 내다본다. 그리고 南北韓間 平和定着이 이루워질 때 까지 한국의 安保確立과 韓半島統一의 분위기 造成을 위하여 美國의 역할은 계속될 것으로 생각한다. 本論文에서 筆者는 駐韓美地上軍 감축에 따르는 한국의 自主國防力强化와 中·蘇·북한으로부터 양보(Concessions)를 얻어낼 것을 제안하고 있으며, 例를 들면 四强(美·日·中·蘇)의 남북한 向時交叉承認과 二者會談(남북한 및 미국)을 通한 南北韓關係改善과 남북한 상호불가침협정 체결이나, 유엔에 남북한이 同時加入等인 것이다. 그리고 筆者는 美軍地上軍撤收는 조심스럽게 단계적으로 韓美日三角協調下에 이루워져야 할 것이고, 美國의 一方的인 처사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主張하고 또한 中·蘇·北韓이 아무런 양보가 없을 경우에는 美地上軍撤收에 關한 정책을 변경하여야 할 것이며, 美軍 철수는 어디까지나 南北韓 關係 改善 및 중·소·북한으로부터 양보를 얻어내는 方向으로 정책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카터의 美地上軍철수정책은 최대의 成果을 가져올 수 있도록 정책立案을 하여야 된다고 주장하여 이에 對한 一方案도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필자는 美國의 强力한 公約과 한국의 自主國防力만이 韓半島에서의 새로운 전쟁의 再發을 防止할 수 있다고 强調하고 있다.

      • South-North Korean Conflict Dynamics

        郭台煥 慶北大學校 平和問題硏究所 1977 평화연구 Vol.2 No.-

        韓半島는 二次大戰後에 美蘇兩超强大國間의 冷戰國際政治의 犧牲物이 되었다. 즉, 美蘇는 38度線을 그어 韓半島를 두 동강이로 갈라 놓았고 美蘇共同委員會에서 美國의 끈덕진 對蘇協相勞力에도 불구하고, 韓半島에는 韓國과 北韓이 1948年에 設立되어 兩極體系 속에서 冷戰의 부산물로써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리하여 大韓民國政府와 北韓은 1970年代 初에 이르기까지 별다른 意義있는 關係를 맺지 못하였고 더우기 北韓은 韓國戰爭을 유발시키는 등 韓半島에는 武力統一을 시도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그 野慾을 포기하지않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朴正熙 大統領은 1970年 8·.15 기념사에서 南北韓의 平和的 競爭을 提議하였고, 1971年 8月 12日에는 大韓赤十字社에 離散家族찾기運動을 위한 直接協商을 벌릴것을 提議, 1971年에 南北韓赤十字會談이 시작되었으나 이내 雙方의 意見對立相이 노정되었다. 그러나 두 赤十字社 豫備會談이 進行되고 있는 동안, 1971년 11월경 韓國政府는 판문점에서 회합을 갖고 있던 적십자사 代表를 통하여 이후락-김영주 會議를 비밀리에 제안하였고 북한측이 1972년 初에 이 제안을 수락함으로서 南北韓 關係의 新時代에 들어갔다 그래서 이후락 부장은 평양을 다녀왔고 북한의 박성철 부수상은 서울을 다녀갔으며 이와 같은 李. 朴의 상호비밀방문은 1972년 7월 4일 南北韓共同코뮤니케를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에 발표하는 결과를 낳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分斷以後 얼어 붙었던 南北關係가 차츰 녹아내리는 듯 하였으니, 실제로 이 시기는 南北韓相互作用關係에 있어서 가장 協調的인 新時代를 장식하는 그것이었다. 그리하여 1972년 11월에는 南北調節委員會가 設立되었으며 南北對話도 그 後 두 채널 즉 赤十字社와 남북조절위원회를 통하여 계속되었으나 1973년 8월 북한측의 일방적 선언으로 결렬되고 말았다. 이 論文에서는 南北對話가 난항에 빠진 原因을 Table 1 과 Table 2에 상세히 分析檢討하였는데, 各 Table 에서 보는 바와 같이 韓國과 北韓은 平和統一 이슈에 대하여 相 징되는 接近을 채택하여 쌍방이 反對되는 視覺에서 統一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그어프로우치에 있어서 쌍방이 합의점에 대한 모색을 강조하고 있다. 즉 Table 1 과 그를 통해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북한은 통일문제에 대하여 "政治的. 軍事的. 革命的 "接近을 채택하므로서 駐韓美軍 완전철수요구, 주한미군철수 이후에 平和조약체결을 요구하면서 남조선 혁명을 기도해 왔고, 韓國은 韓半島統一을 위한 단계적. 점진적. 기능적 접근을 시도하여 혁명을 시도하여 합리적인 통일정책을 수립하는 한편, 韓國軍의 現代化 및 自主國防을 完成할 때까지 駐韓美軍의 유지와 UNC의 유지를 주장해 왔으므로, 現在에는 확실히 쌍방의 통일접근 上의 상충점 때문에 남북한의 政治的對話가 곤경에 빠져있다. 한반도의 平和정착에 대한 기본적 문제는 통일 이슈에 대한 상충되는 접근을 조정하므로써 남북한이 서로 상충되는 가치관. 이념. 목표 및 社會體制를 어떻게하면 합의점에 도달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일 것이다. 그러면 언제 어떤 조건하에서 북한이 남북해화에 다시 한번 응 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문제를 특히 예상되는 주한 미군철수와 관련하여 생각해 보자. 북한은 南北對話의 계속적인 進展의 조건으로써 駐韓美軍(40,000名)의 완전철수를 주장해 왔다. 말할것도 없이, 현재의 시점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四强의 복잡한 利害關係와 南北韓의 相互敵對行爲를 고려할때, 한반도로부터 주한미군의 완전철수란 非現實的이고 위험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스러운 정책으로 간주될 수 없다. 또한 美國도 이미 4-5年內로 단계적 미군철수란 대원칙하에서 新對韓 政策을 구상하고 있기 때문에 단계적 미군철수와 남북대화의 再開와를 關聯시켜 정책을 구상 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韓國의 安保와 韓半島에서의 戰爭再發防止는 駐韓美軍의 단계적철수 以前에 先行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南北韓의 關係改善에도 必要할 것이다. 南北對話의 再開는 한반도의 긴장환화에 첫단계가 될 것이며 駐韓美軍의 完全철수는 한반도에 있어서의 긴장완화가 先行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1980年代까지 條件없는 駐韓美軍철수는 自滅行爲戰略(self-defeating strategy) 일런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美軍과 韓國政府는 北韓. 蘇聯 및 中共으로부터 양보를 얻기에 勞力하여야 할 것인데 그 예를 든다면, 첫째, 四强의 南北韓交叉承認, 둘째 남북한 相互不可侵條約채결, 셋째 유-엔에 南北韓 同時加入 等인것이다. 그리고 韓. 美 兩政附는 北韓을 南北對話에 유도할 수 있도록 駐韓美軍의 감축(reduction)에 좀더 유연서을 보여줄 필요성이 있다. 例를 든다면 約 5千名의 駐韓美軍을 日本 및 韓國政府와의 긴밀한 협의 下에 一方的인 철수(unilateraal withdrawal)를 감행함으로써 北韓으로 하여금 양보를 유발케하는 一方法이 될수도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北韓이 韓美政府의 駐韓美軍철수 問題에 관한한 유연성을 보여줄지도 모르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美國. 韓國. 北韓의 三者會談을 提議하는것도 바람직한 일로 생각된다. 그런데 만약 北韓이 上記 提案을 拒否하고 南北對話再開를 거절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또한 駐韓美軍의 단계적 철수가 移行되는 기간 동안에 南北韓間에 긴장이 고조 될 경우 어떻게해야 할 것인가? 만약 北韓이 三者會談의 개최를 수락치 않고, 아무 조건없이 駐韓美軍의 一方的 徹收(上記提案대로)를 移行한 後에 南北對話의 再開를 거절할 경우는 北韓이 아직도 韓半島問題를 진지하게 討議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意味하는 일일 것이므로, 그런 경우 美國은 韓國의 安保에 대한 公約을 再確認할 수 밖에 없으며 韓半島에 美空軍 및 小規模의 美地上軍을 韓美相互防衛條約이 存續하는 限 韓國防衛 및 東北아시아安定化를 爲하여 駐屯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韓國安保에 대한 美國의 强力한 公約移行의 신빙성을 상실해서는 안된다. 미국의 强力한 公約과 韓國의 自主國防力만이 韓半島에서의 새로운 戰爭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United States-Korean Relations and the Korean War : A Core Interests Analysis 核心的 國家利益의 分析

        Kwak, Tae-Hwan 慶北大學校 1976 論文集 Vol.22 No.-

        國家利益의 개념은 國際政治學 및 外交政策의 分析硏究에 이론적틀(Theoretical framework) 로서 國際政治學者에 依하여 널리 使用되어진 重要한 理論이다. 이 論文에서 國家利益가운 데 가장 重要한 개념인「알」利益 혹은 核心的 國家利益(Core interests)의 개념을 美國의 1950年 以前까지의對韓政策 및 美國의 한국전쟁 介入의 硏究에 어떻게 說明되고 評價될 수 있는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核心的 國家利益의 理論을「分析的 道具」(Analytical tool)로써 使用하였다. 第一章에서는 强大國의 軍事介入硏究에 있어 核心的 國家利益이 무엇인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세가지의 가정을 定立하고 있는데 첫째가정은 만약 强大國 A가 B지역에 대하여 核心的 國家利益을 주장한다면 A국가의 外交政策이 적극적인 형태로 表現될 수 있으며 둘째가정은 만약 强大國 A가 B지역에 대하여「핵심적 국가이익을 主張하지 아니한다면 A國의 外交政策이 소극적 형태로 表現되어 B지역에 대하여 關心度가 낮아지기 때문에 A국은 B지역에 대하여 계획이 없고 우유부단한 定策을 추하게될 것이며, 셋째가정은 强大國A의 정책수립가들이 B지역에 대하여 外部努力에 依한 A국의 핵심적 이익이 위협을 당하고 있다고 認識할 때 A국은 핵심적 이익을 주장하는 B지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軍事的 介入을 할 것이라는 세가지 가정을 세워서 美國의 한국전쟁의 軍事介入의 事例를 分析하였다. 第二章에서는 한국전쟁 以前까지 國家의 核心的 國家利益의 관점에서 美國의 對韓政策을 分析하였고 第三章에서는 美國의 國家安保會議 No.68{Natianal Secarity Council(NSC)-68}을 分析하여 1950年初에 美國이 非共産世界의 방위를 위하여 취한 美國의 世界戰略을 再評價하고 새로운 對韓政策方向을 제시하는 美國의 對韓半島 政策을 分析하였으며, 第四章에서는 美國의 韓國參戰으로 因하여 東아시아에 있어 美國의 핵심적 국가이익의 재정비를 시도한 미국의 對아시아 政策을 分析하였다. 그리고 結論에서는 美國의 韓國戰爭 軍事介入을 초래할 重要한 要因을 핵심적 국가이익의 觀點에서 分析하였다. 이 論文에서 세운 세가지 가정을 强大國의 軍事介入에 대한 硏究에 分析的 道具로써 使用할 수 있으며 美國의 對韓政策의 事例를 통하여 核心的 國家利益의 理論이 國際政治學 硏究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立證하도록 시도하였다. 이 論文에서 著者는 몇가지 重要한 點을 발견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美國은 한국을 1950年 한국전쟁 以前까지 核心的 國家利益(Core interests) 地域으로 主張하지 않았고, 둘째 美國은 한도의 地政學的 位置 때문에 완충지대(Buffer state)로 인식하여 日本의 安保에 한반도가 긴요하다고 인식하긴 했으나 東北아시아에서 全面戰爭(All-out war)의 경우에는 韓半島의 地政學的 價値가 美國의 國家利益이 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것은 誤認에 依한 것이며 制限戰爭(Limited war)의 경우에 한반도의 地政學的 價値를 고려하지 못한 것이 美國의 對韓政策의 큰 과오였다. 셋째 美國이 韓半島의 武力충돌에 軍事介入한 要因은 理念的 要因은 (1) 트루만독트린(Truman Doctrine) (2) 國家安保委員會 No.68회의록(NSC-68) (3) 문헨심리(Munich Syndrome) 즉 非有和政策 (4) 유우엔의 集團安保體制(U.N. Collective Security System) 維持 等의 근거에서 찾을 수 있고 地政學的 要因으로는 制限戰爭의 경우에 日本 및 美國 西太平洋의 海外 軍事基地에 대한 韓半島의 地政學的 位置 때문에 美軍介入이 불가피하게 되었었다고 結論을 내린다.

      • 國際政治分析에 있어 國家核心利益論

        郭台煥 韓社大學 1981 대학논문집 Vol.11 No.-

        The concept of the national interest is widely used as an analytical tool in the litera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ven more widely used as a means of political action in the rhetoric of statesmen, and yet it remains ambiguous and nebulous. Thus, this paper attempts (1) to explore, evaluate and operationalize the concept of core interests, and (2) to make the concept more rigorous so as to be used as an analytical tool in international politics. Part Ⅰ briefly discusses Morgenthau's definition of the National Interest, the "objective" national interest. There is also the concept of "subjective" national interests. An attempt is made to establish the criteria by which to "objectify" the "subjective" national interests. Part Ⅱ defines "core" interests of the nation-state. Core interests are defined as those which are determined by policy-makers as being so vitally important to the existence of the nation-state that if those interests are threatened, the existence of that state itself is threatened. A threat to a core interest causes a nation-state to react as it would to a threat to its survival; in defense of these core interests, nation-states are willing to go to war. Part Ⅲ discusses "objective" criteria for determining core interests, i.e., (1) geostrategic factor; (2) historical-economic-political-military ties with other states; (3) the statements and policy behavior of policy-makers. It also discusses problems in accepting these criteria. Part Ⅳ deals with distinction between geopolitical core interests and "ideological" core interests. There exist ideological core interests which were expressed by the two super-powers in the post-World War Ⅱ years. The defense of existing Communist regimes that are in danger of being put asunder by capitalist-imperialist powers became an ideological core interest of the Soviet Union. The U.S. also asserted an ideological core interest that non-Communist states must be kept non-Communist, defending them from Communist aggression. The distinction is also made with regard to the concepts of core interests and strategic interests. Part Ⅴ discusses positive and passive assertion of core interests in the nuclear age. The asserting of core interests of great powers can be very dangerous as well as self-defeating in the nuclear era.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core interests, despite the weaknesses inherent in the concept, is important in international political analysis, and serves as a useful tool for the study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interactions among great power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