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곽민재(Kwak, Min Jae),신우진(Shin, Woo Ji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7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7 No.1

        청년실업 문제를 해소 방안으로 「청년상인 창업 지원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2016년 기준 지원된 점포 218곳 중 48곳이 폐업했으며, 지원 종료 후 폐업 수순을 밟는 점포들은 증가하고 있어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년상인 창업 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청년상인 창업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은 광주광역시 내 무등시장, 1939송정역시장 등 총 2곳이다. 연구대상은 1년 이상~2년 미만 점포를 운영 중인 청년창업가, 1개월 이상~1년 미만 점포를 운영 중인 청년창업가, 폐점 또는 휴점 중인 청년창업가이다. 연구내용은 두 가지로, 청년창업가들의 창업실태와 「청년상인 창업 지원사업」의 문 제점과 개선점을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FGI(포커스그룹 인터뷰)이다. 이 연구는 청년창업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청년창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는 향후 청년정책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청년창업을 연구하는 이론가들에게 선행연구로써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노인 대상 영양지수 개발

        민재(Chung, Min-Jae),동경(Kwak, Tong-Kyung),김혜영(Kim, Hye-Young),강명희(Kang, Myung-Hee),이정숙(Lee, Jung-Sug),정해랑(Chung, Hae Rang),권세혁(Kwon, Sehyug),황지윤(Hwang, Ji-Yun),최영선(Choi, Young-Sun)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1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노인 대상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노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국가 영양정책 및 권고사항,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식품섭취영역에서 18개 문항, 식행동 · 식습관 영역에서 23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노인 265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식사섭취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 항목으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기본 층화변수로 6개 권역을 설정하여 권역별로 성별, 연령군별 노인 인구수를 기준으로 비례 배분하여 총 1,0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노인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19개 항목의 4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4개 요인을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추정된 경로계수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영역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는데, 영역별 가중치는 각각 0.3, 0.2, 0.2, 0.3으로 수렴하였다. ‘식행동’ 영역에는 음식을 씹는데 불편한 정도, 우울정도, 건강에 대한 자각, 건강한 식생활 노력, 식사 전 손 씻기, 운동시간의 6개 항목, ‘균형’ 영역에는 우유 및 유제품 섭취빈도, 과일 섭취빈도, 간식 섭취빈도, 물 섭취빈도의 4개 항목, ‘다양’ 영역에는 달걀 섭취빈도, 생선이나 조개류 섭취빈도, 채소류 섭취빈도, 콩이나 콩제품 섭취빈도, 하루 식사빈도, 혼자 식사하는 빈도의 6개 항목, ‘절제’ 영역에는 단음식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섭취빈도, 가당음료 섭취빈도, 라면류의 섭취빈도의 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표준화된 경로계수가 항목의 가중치로 적용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NQ-E 평균 점수는 57.6점이었고, 영역별 점수는 식행동 55.0점, 균형 41.4점, 다양 50.0점, 절제 76.5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 영양지수, NQ-E는 노인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지 판정할 수 있으며,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4가지 영역으로 점수 산출이 가능하므로 노인의 체계적인 영양관리에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dietary quality and behaviors of Korean elderly. Methods: The development of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The 41 items of the NQ-E checklist were derived fro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questionnaires and nutrient intake level, and 24 items were selected for a nationwide survey. A total of 1,000 nationwide elderly subjects completed the checklist questionnair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NQ-E was assess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SREL. Results: The nineteen checklist items were used as final items for NQ-E. Checklist items were composed of four-factors: food behavior (6 items), balance (4 items), diversity (6 items), and moderation (3 items).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the weights of the items. The NQ-E and four-factor scor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obtained weights of the questionnaire items. Conclusion: NQ-E would be a useful tool for assessing the food behavior and dietary quality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