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rivacy Paradox of E-commerce Experience

        Koh, Heungseok(고흥석) SBS 202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9 No.2

        이 연구는 인터넷 모바일 환경에서 개인의 SNS 이용과 프라이버시 염려가 e-커머스 이용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국 규모의 <한국미디어패널> 데이터 3,756명 샘플을 분석한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학력수준이 높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프라이버시 침해 염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 변인은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미한 통계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SNS 이용행위 중 댓글 달기는 프라이버시 염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SNS 게시물을 공유하는 행위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이용행위와 프라이버시 염려가 e-커머스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SNS 이용이 많고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을수록 e-커머스 이용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아지더라도 e-커머스 이용경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른바 ‘프라이버시 역설’ 현상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닌다. 이 연구는 이론적 차원에서 행동경제학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으며, e-비즈니스 분야에서 프라이버시 역설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실천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rivacy concern and e-commerce behavior. Using the Korea Media Panel data in 2018, this study analyzed 3,756 nationwide samples to test the effect of the privacy concern on e-commerce use experience. Analysis of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privacy paradox phenomenon related to the use of e-commerce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revealed the privacy paradox phenomenon and reconfirmed that a high probability of e-commerce use exists despite individuals" concerns regarding privacy infringement.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stakeholders in the e-commerce industry struggle to mitigate consumers" paradoxical privacy concern because it may be latent risks to businesses.

      • KCI등재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흥석(Heungseok Koh),신중현(Joonghyun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이 연구는 초고속 인터넷 환경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세대를 형성하고 있는 한국적 현실에서 이들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시작됐으며, 미디어 동시이용 행태에 대한 한국적 디지털 네이티브의 속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5년도 〈한국미디어패널〉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해당하는 10대 청소년들의 시간대에 따른 공간적 속성과 이용매체, 동시이용 형태 등에 대해 다중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라고 할 수 있는 10대 청소년의 경우, 시간적, 공간적 매체이용은 매우 균질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미디어 동시이용비율도 제한된 형태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추후 다양한 세대 간 비교 연구를 통해 보다 총체적인 미디어 이용행태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study aimed to explore media use by digital natives in Korea. To date, Korea is a country that has both the highest level of digital natives and fastest Internet access in the world. The study also intended to deeply understand the simultaneous activity use of different media and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gital natives. Based on Korea Media Panel Data for 2015, analyses of the digital natives traits of time-space, media use, and simultaneous use of media were made through a statistic multi-correspondent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spatial attribute and media use of digital natives are homogeneous in pattern and the degree of simultaneous use of media seems to be limited in type. Moreover, the study suggested the new concept of digital natives media use and the need for various studie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and the Internet gen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격차와 삶의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흥석(Heungseok Koh)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이 연구는 급속한 디지털 미디어 발달과 한국사회의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현상에 주목하여,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대해 세대별, 도시-농촌간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국 규모의 9,647개 샘플 데이터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세대별로 구분하였을 경우, 2030연령대가 디지털 활용과 삶의 만족도 등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60대 이상 연령층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디지털 활용은 모든 계층에 있어서 도시거주자들이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삶의 만족도는 하위계층과 중위 계층에서는 농촌지역이, 상위계층에서는 도시지역이 더 높이 나왔다. 이 연구는 초연결사회로 진행되어 가는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디지털 형평의 문제를 사회경제적지위와 도시-농촌 간 비교를 통해 재확인하면서 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digital divide caused by personal SES(Socio-Economic Status) eventually affect personal life satisfac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between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as well as th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with respect to the digital divide and persona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Korean Media Panel data produced by KISDI, this study used 9,647 national samples to obtain variables such as digital divide,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show that personal SES is a key factor that significantly influences digital divide and life satisfaction in various degrees. Also, the study finds that the degree of the digital divide have an effect on people’s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imply that people living in urban areas are more highly used to digital media than those in rural areas regardless of their SES. The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erms of digital equity among generations as well as urban and rural residen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망중립성에 관한 이용자 인식 연구

        오원환(Won-Hwan Oh),고흥석(Heungseok Koh) 한국정보사회학회 2018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9 No.2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망중립성에 관한 이용자 인식 유형과 그 특성을 살펴봤다. 5세대 통신망 투자를 앞두고 제기된 망중립성 논의에서 일반 이용자는 무엇을 중요하게 인식하는지를 탐색했다. 총 4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29개의 Q진술문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했고, PQMethod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했다. 그 결과 최종 4개의 유형을 발견했다. 제1유형은 ‘공공성 기반의 자유민주형’, 제2유형은 ‘시장중심의 혁신추구형’, 제3유형은 ‘비용분담의 형평성 추구형’, 제4유형은 ‘이용자 보호와 콘텐츠의 공정경쟁 추구형’ 등으로 명명했다. 제1유형이 다른 유형과 가장 구별되는 지점은 평등하고 자유로운 인터넷 이용을 위해서 망중립성이 강하게 보호돼야 한다고 믿고, 망중립성을 유지하는 것이 공공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제2유형은 5G 네트워크 투자를 통해서 일자리 창출과, 경기부양, 글로벌 시장에서의 선점 등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업체에게 망사용료를 청구하는 것은 정당한 요구라고 믿는다. 제3유형은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업체에 비용을 청구해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 시대에 5G 통신망 구축은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콘텐츠 기업도 망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제4유형은 특정 콘텐츠나 개인의 트래픽 자료를 공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망중립성이 인터넷을 통한 민주주의 실현에 중요한 원칙은 아니지만, 망중립성의 폐지로 콘텐츠 혁신이 억제될 것이고, 스타트업의 진출 의지가 작아져 인터넷 생태계 전반을 위협하게 될 거라고 우려한다. 이 연구는 복합적, 위계적으로 구성된 망중립성 개념에 대해 현실화 되고 있는 구체적인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Q진술문을 토대로 이용자의 주관성 유형을 밝혀냄으로써 망중립성과 관련한 정책적 고려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미를 지닌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et users’ subjectivity on net neutrality, which is a significant and controversial issue in fifth-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In this study, 29 Q-statements were sorted by 40 P samples for Q distribution by the PQMethod program. Results show four types of user subjectivity: “a liberal democratic type based on publicness,” “a type of market-oriented innovation”, “a type of equity of cost-sharing,” and “a type of user protection and fair competition of contents.” The first type conced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net neutrality and agrees to maintain the policy of net neutrality for public welfare. The second type points out that the network-friendly policy results in increases in the job market and expansions in the Internet economy. The third type argues that the content-producing companies should pay for network fees based on their content traffic. Furthermore, they acknowledge that current policy is unequal between international and national Internet content players because global companies have no legal obligation to pay their taxes in the Republic of Korea. Finally, the fourth type, the content-friendly group, means that net neutrality must be understood in the perspective of new media content, such as VR or AR content, which causes heavy traffic. All four types of subjectivity show that the conflict of net neutrality arises among various media industry players. The issue of net neutrality will be raised in various types continually, especially in the media ecosyste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us, we suggest that, in the aspect of governmental policy, a balance must be sustained between two prospects of net neutrality, namely, developing public welfare and promoting Internet-related industries. Such policies should also be intended to establish a virtuous cycle among the players, such as network sectors, content providers, and the public audience, in the media ecosystem.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