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특성이 고객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소비자와 정책적 관점을 중심으로

        주가기 ( Jia-qi Zhu ),고초군 ( Chao-qun Gao ),정진섭 ( Jin-sup Jung ),이선웅 ( Shan-xiong Li ) 한국질서경제학회 2021 질서경제저널 Vol.24 No.4

        본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해 사용의도가 있는 개인을 대상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어떤 시스템적 특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유용성과 용이성을 거쳐 사용의도까지 이르는 경로를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중요한 현 시기에, 이를 조절변수로 활용했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역시 조절변수로 도입하여,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속성과 유용성 및 용이성 사이의 조절효과도 검토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종합적 연구 모형을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다양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 등도 제시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individuals who intend to use the smart health care system. We investigated what system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path leading to the intention of use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if a smart healthcare system is used. Verification and analysis wa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n addition, at a time wh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important, it is used as a moderating variable. Furthermore, by introducing the important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we als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smart healthcare system and it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this comprehensive research model targeting Chinese consumers and related studies, we suggest some useful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한,중 한자어 비교사전 구축을 위한 실제 사례 연구

        고초 ( Chao Gao ),한정한 ( Jeong Han Han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6

        본고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한자어 비교사전 기술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가 한국 한자어와 중국 한자어의 용 법 차이를 정확히 알고 사용함으로써 오류를 최소화시키려는 데 목적이 있다. 한·중 한자어 사전은 한국 한자어와 현대 중국어의 사전 뜻풀이, 용례, 어원정 보, 한자어의 결합정보, 한·중 한자어 문법 단위로서의 대응관계, 한자어가 포함된 어휘묶음(lexical bundle)을 중심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한자어 비교사전 기술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했다. 기존의 한자어 분류 체계에 관련된 연 구를 분석하여 한·중 한자어의 대응 관계는 8가지로 나누고 그 다음에 기존 사전 과 관련 연구가 아직 해결하지 못하는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한 후 한·중 한자어 비 교사전 실제 사례를 통해서 한·중 한자어간의 다양한 대응관계별로 비교사전 기 술 방법을 제안해 봤다(4장``한·중 한자어 비교사전 실제 사례``). 본고에서 다루는 한·중 한자어 비교사전은 학습사전이고 이중어 사전이다. 한 국어 한자어에 중국어 단어나 대역어를 밝히고 용례들을 제시하며 추가 정보에서 는 한국에서만 쓰이는 한자어의 의미 연원정보까지 보여 줄 것이다(3장``한·중 한자어 비교사전의 거시/미시 구조에 대하여``). 그리고 한·중 한자어 문법 단위로서 의 대응관계, 한자어가 포함된 어휘묶음 정보(5장``한·중 한자어 문법 단위로서의 비교``)도 제공하고 중국어와 한국어 한자어의 동일의미와 차별의미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 the variety and different ways of correspondence relations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considering mono-, and bi-lingual dictionaries of two countries; and, based on it, to propose a better way of Sino-Korean and Chinese comparison dictionary for Chi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To do so, this thesis, at first, propose 8 types of correspondence relations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after going over previous studies worked on semantic classifications of Sino-Korean. Based on it, at second, we propose micro- and macro-structures of actual headword examples of Sino-Korean and Chinese. While doing so, we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variety of semantic corresponding relations especially in homonym and heteronym. There are many Sino-Korean words in Korean vocabulary. In addition, the use of Sino-Korean words is increasing because of continuous exchange between and Korea and China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Sino-Korean words and Chinese characters have as common points and as differences since Korea started to use loan words from Chines due to the historic change and development of two languages. Moreover, ever since two countries developed their own ways of using characters for more than 1500 years, there have been appeared not little of different usages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as a result, nowadays mary Chi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could not understand Sino-Korean by its external forms by large.

      • KCI등재후보

        유리 소재를 적용한 환영적 공간 특성 연구

        고초 ( Chao Gao ),이재규 ( Jae 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들은 현실 세계와 환영 속에서 동시에 살고 있으며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는 것이 모호해지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은 거대한 환영 세계라고도 말할 수 있다. 유리 소재는 환영을 일으키는 중요한 한 근원이고 생활 속에서 건축물의 창문이나 외피 등 많은 영역에서 환영적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유리는 빛과 상호작용하여 환영적 표현을 나타나며, 생활 용품과 가구뿐만 아니라 건축에도 사용되는 소재이다.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이 중첩되는 현시대에 유리소재에 의한 환영적 공간의 연구에 의한 물리적공간의 재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간디자인에서 유리 소재와 관련하여, 환영과 시지각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부분 유리가 갖는 본질적 특성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은 유리의 그 특성에 따라 환영을 체험하며 시각적으로 사람들의 지각과 인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유리의 환영적 특성과 시지각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리소재로 적용한 공간의 환영적 표현 특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은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리의 역사와 물질적, 건축적 특성과 환영에 대하여 두 관계영역을 연구 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환영의 개념과 유형을 분석하여, 유리 소재를 적용한 환영적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리 소재에 관한 선행연구 중 연구내용에 자주 등장한 사례와 환영적 특성을 표현하는 대상을 선별하여 분석 대상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유리를 사용한 모더니즘 실험 이후 재방향 설정시기인 1990년대 이후의 대표적 유리 건축물과 공간을 사례로 선정하여 환영적 공간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그 결과와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유리 소재를 적용한 환영적 공간 특성에 관한 사례분석을 통해 형태적 왜곡성과 모호성, 공간적 확장성, 그리고 표현적인 재현성 등의 공간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환영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유리 소재를 적용한 공간이 형태적, 공감각적 표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공간에 적용하였을 때 왜곡감, 모호감, 확장감, 재현의 표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환영적 특성을 가진 유리소재를 활용한 공간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공간 고유의 특징이나 표현의도들을 통해 흥미로운 공간으로의 가능성을 열 수 있다. 환영을 통한 시지각적 형태의 변형과 모호, 공간적 확장, 그리고 표현적 재현에 자극을 주는 공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people are living in the real and illusionary world at the same time; thus, it is becoming difficult to distinguish "real" from "fake." The reality that we are living in is also illusionary. Glass material is an important source of manifesting illusion, and glass creates illusionary images in the form of window or building fa?ades. Glass embodies illusionary expressions after interacting with light. In the current era in which reality and virtual space overlap,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reinterpretation of physical space by studying the illusion of space with glass materials. Glass is a material that is used not only for items used daily, including furniture, but also for buildings. In spatial design, the relationship between illusion and visual perception shows natural characteristics that most glass materials have. Moreover, illusions are possible because of the traits of glas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that visually influences people``s perceptions and recogn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illusion attributed to glass and its effects on visual percep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haracteristics of the illusion of space with glass materials. (Research scope and method) In this study, two related domains-the history of glass and its physical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illusion according to a theoretical study-were examined. An analysis regarding the concept and type of illus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ed in the creation of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llusion in a space with glass material. Based on this analysis, commonly used cases and objects that illustrate the illusional traits in objec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dditionally, symbolic glass buildings and spaces of the post-1990s were designated for a case study analysi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the illusion of space. The 1990s were considered as a reorienting period after the modernism experiment with glass. (Results) After analysis, result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lusion of space using glass material confirmed actual characteristics of space, such as morphological distortion, ambiguity, spatial expansion, and expressive reproducibility.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spaces with glass material affect expressions of morphology and synesthesia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illusion. Applying these characteristics increases the possible expression of distortion, ambiguity, expansion, and reproducibility. This shows that spaces with glass materials that have characteristics of illusion can provide direction. Further, the nature of space or expressed intention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illusion formats, thanks to glass. It is likely that spaces that stimulate morphology, ambiguity, spatial expansion, and reproducibility can be created through il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