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치매고령자의 불법행위와 감독자책임 법리에 관한 소고

        고철웅 한국민사법학회 2020 民事法學 Vol.91 No.-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Japan Supreme Court ruling, JR Tokai, in relation to the previous Japanese debates regarding the supervisor's responsibility for illegal behavio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reviewed the law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supervisor for the illegal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The supervisor's responsibility under Article 755 of the Civil Code was mostly not a matter of whether the person was a statutory supervisory officer under paragraph 1, since most of the issues were asking the parent, who is a parent, to take over as a supervisor. Howev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o is the legal supervisor because no one has the same authority as the parent. This study is mainly referred to as a legal supervisor under the civil law and special law. It is an adult guardian, a guardian of care, and a support obligator. On the premise of the nature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the ward's property,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he adult guardian is not a statutory oversight man who bears the daily and comprehensive supervisory obligations regarding the guardian. Under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a guardian is a statutory supervisor because he / she has a duty to prevent self-injury,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vision that the guardian is a guardian must be improved. Regarding dependents,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if a spouse is a dependent, it is a legal supervisor, and if a child of an adult is a dependent, the legal supervisor is not. In the case of Japan, the jurisdiction of selecting the subject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is considered to be a semi-supervisor as well as whether to be a legal supervisor in the case of precedent, but in Korea, only the legal jurisdiction of a supervisor is reviewed. According to Japanese precedents, the judgment structure of the quasi-supervisor appears to be included in the equity responsibility in the Korean case. In the previous case, the minor's responsibility for supervisory responsibility for minors has been operated on the negligence of the parents, but there is room for review as to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should perform the same practice according to the previous case law. In the cas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 legal supervisor is a legal person, and when making judgments related to dismissal of supervision and immunity, there are factor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minors, such as authority to supervise and cohabitation, so all situations should be reviewed comprehensively. 이 논문은 치매고령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독자책임 관련하여 최근 일본 최고재 판결인 JR토카이(東海)사건을 종전 일본 논의와의 관계에서 살펴보고 이를 단초로 한국에서의 치매고령자(책임무능력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독자책임에 관한 법리를 검토해 보았다. 종전에 민법 제755조의 감독자책임은 미성년자가 제3자에게 불법행위를 한 경우 친권자인 부모에게 감독자책임을 묻는 사안이 대부분이었기에 제1항의 법정감독의무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그다지 문제시 되지 않았다. 그러나 치매고령자의 경우에는 친권자와 같은 권한을 가지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누가 법정감독의무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고는 민법 및 특별법에 의해 법정감독의무자로서 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은 성년후견인⋅보호의무자⋅부양의무자이며, 각각에 대해 해당여부를 검토하였다. 피성년후견인의 재산관리와 신상보호를 담당하는 성년후견제도의 성격을 전제로 할 때에, 성년후견인은 피후견인에 관한 일상적이고 포괄적인 감독의무를 부담하는 법정감독의무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정신건강복지법상 보호의무자는 자신이나 타인을 해치지 않도록 유의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법정감독의무자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나, 후견인을 당연히 보호의무자에 해당한다고 하는 조문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부양의무자에 관해서는 배우자가 부양의무자일 경우에는 법정감독의무자에 해당하며, 성년인 자녀가 부양의무자일 경우에는 법정감독의무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일본의 경우에는 감독자책임 주체 선정 법리가 판례상 법정감독의무자 해당 여부 이외에도 준감독의무자 해당 여부를 검토하나, 한국의 경우에는 판례상 준감독의무자 개념이 존재하지 않고, 법정감독의무자 해당 여부만을 검토한다. 일본 판례상 준감독의무자에 관한 판단구조는 한국 판례에서는 형평책임의 판단구조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전 판례는 미성년자의 감독자책임의 경우 부모의 무과실책임에 관한 운용을 해 왔는데, 치매고령자의 경우에도 종전 판례법리에 따라 동일한 실무 운용을 해야 하는지는 검토의 여지가 있다. 치매고령자의 경우에는 법정감독의무자 해당성 여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며, 감독의무해태 및 면책 관련 판단을 할 때 감독권한의 근거, 동거여부 등 미성년자의 경우와는 상황이 다른 요소들이 있으므로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권리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격권론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철웅 한국민사법학회 2017 民事法學 Vol.79 No.-

        한국과 일본의 인격권론은 인격권 개념을 인정하고 그 보호를 두텁게 하고 있는 점에서 공통적이며, 한국 및 일본 사회가 민법상 인격 보호를 중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최근 한국에서는 생명, 신체, 명예와 같이 종래 강고한 인격적 법익으로 생각되어 온 것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약한 인격적 법익에 관하여 판례가 전개되었고, 이를 통해 인격 보호가 더욱 세밀화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법익을 인격권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포섭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권리론의 전개가 특징적인 일본의 논의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권리론이 헌법과 민법과의 관계론을 전제로 한 민법상의 사권론으로 전개되고 있는 점 또한 한국의 논의에 시사를 줄 수 있다. 본론의 검토로부터 불법행위법의 관점(좁은 의미의 권리론)과 민법총론의 관점(넓은 의미의 권리론)에서 한국과의 관련성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한국 불법행위법은 권리요건 대신 위법성이라는 유연한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학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 현대사회에서 새로이 등장하는 인격적 법익들을 보호하기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다만, 반드시 위법성 요건 내에서 권리요건을 검토한다고만 볼 수 없으며, 손해 요건에서 권리침해를 검토하거나 심지어 일부 판례는 권리성을 언급하는 경우도 있다. 위법성 요건으로 충분히 판단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굳이 조문상 존재하지 않는 권리성을 언급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권리성을 언급하는 점이 불법행위 성립을 판단할 때 어떤 이득이 있는지, 손해 요건에서 권리침해를 판단하는 데 어떤 근거가 있는지 등의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사권(私權)의 한 권리로서의 인격권이라는 관점은 인격권을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기본법인 민법이 규율하는 범위 내에서 인격권이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실정법상의 인격권이 법철학적인 자연권(droit naturel) 내지 헌법학상의 인권(droit de l’homme)과 구별될 수 있는 시점을 제시한다. 인격권을 인(人) 내지 인(人)법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은 민법전에서 인격권을 자리매김하는데 있어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이 논의는 2004년 민법개정안 제1조의2에 관한 검토논의와 직접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남은 과제는 다음과 같다. 현대 사회에서 대두되는 인격권 보호에 관한 이론적 작업을 위해서는 인격권 개념이 다른 권리들과 어떠한 상호간의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논의될 필요가 있다. 사권(私權)으로서의 인격권이 구체적인 의미를 가지려면 한국사회에서의 민법과 헌법과의 관계 규명을 통해 공권과 사권의 관계를 올바로 적립할 필요가 있다. 인격권의 자리매김과 관련해서는 인(人) (person)⋅권리능력 개념과의 관계정리를 통해 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격권론은 한국 민법의 ‘人의 복권(復權)’ 현상을 설명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It is widely accepted about the notion of right of personality in Korean and Japanese society after the middle of 20 centuries. This phenomenon means that Korean and Japanese society aim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Recently in Korea, legal principles about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such as weak interests protected by law becomes more precisely by jurisprudence. Traditionally, main interests about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were life, human body and the honor which were thought as firm interests by law. Japanese discussions about the theory of right suggest the way how to take these weak interests in the discussions about right of personality in korean contexts. Also, japanese discussions about the theory of right on the premise the discussions between constitutional law and civil law focusing on the private right in civil law suggest meaningfully in korean contexts. After reviewing of the point, we will consider the point of view of the tort law (the narrow sense of rights) and the perspective of the civil law general theory (broad sense of rights) in relation with the korean civil law contexts. Since the korean tort law has a flexible concept of illegality instead of a right, it has a good environment to protect the newly emerging personal interests in modern societ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Nonetheless, some precedents still refer to condition of rights. Despite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only by the illegal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y there is a right to mention, and what difference is there in judging the establishment of tort by mentioning the right. The point of view of personality rights as a private right is to recognize the right of the members of the civil society governed by the civil law, which is the basic law of society, and, more practically, it makes personality rights a distinction between constitutional human rights(droit de l’homme) and natural rights(droit naturel). On the other h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law of person” or “person” can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osition of personality rights in civil law. These two points of view are more directly related to the discussion of Article 1-2 of the 2004 Civil Law Amendment,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w. The remaining tasks are as follows. For the theoretical work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rights emerging in 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he concept of personality rights has relation with other rights. In order for the personality rights as private rights to have a specific meaning, it is necessary to properly acquir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right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law and the Constitution in Korean society. In relation to the positioning of the personality right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 with the concept of person⋅legal capacity. Such a theory of personality rights will be a work that explains the phenomenon of ‘rebirth of person’ in Korean Civil Code.

      • KCI등재

        부부의 씨(氏) 통일에 관한 일본인의 규범의식: 사회변화에 따른 법·제도와 자유·권리의 간극

        고철웅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일본비평 Vol.- No.29

        This article analyzes the normative consciousness of Japanese individuals regarding the unification of spousal surnames by examining the topic from a temporal perspective. As the surname system in Japan functioned as a symbol of the ie (家, family) system since the Meiji Civil Code, the wives were legally enforced to use the husband’s surname. However, with the revision of the Civil Code after World War II, the ie system was abolished. Although the marital surname remained, it evolved into a direction that respected individuality and gender equality. As Japan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women’s social activities increased, and it became widely recognized that norms regarding spousal surname unification were hindering individuals’ social activities. In 1996, a proposed amendment to the Civil Code was submitted to the government to legislatively address the issue of selective spousal surname. Judicial precedents recognized the surname as not only a family title but also as a right related to an individual’s personal interests. Recently,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onsecutive Supreme Court rulings regard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marital surname system, revealing clear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Supreme Court justices regarding the concept of marital freedom.

      • KCI우수등재

        인격권 개념의 입법에 관한 小考- 2022년 법무부 민법개정안을 중심으로

        고철웅 한국민사법학회 2022 民事法學 Vol.99 No.-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 of personal right that has been recognized in previous legislation, theories, and precedents, focusing on the Civil Code amendment of the Ministry of Justice in 2022, and attempts to find a point of contact with the previous discussion. In the conventional research on personal rights, civil liability for infringement of individual person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portrait and the right to honor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theory of personal rights was often analyzed in an inclined manner to the theory of “rights” about personality rather than the theory of “personality”. It was in the discussion over the 2004 Civil Law amendment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at these problems appeared explicitly. After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law and the constitution, the values ​​and domains of civil law have been reviewed, and the theory of personal rights needs to be reexamined based on this.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previous legislation, related discuss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vil law and the constitution, this paper reviewed how the Ministry of Justice's Civil Code Amendment could affect civil law if it became legislation in 2022. The Civil Code amendment of the Ministry of Justice in 2022 stipulates provision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rights in Article 3-2 of the General Rules of the Civil Law. Unlike the 2004 amendment that stipulated the personal rights in an abstract and ideological aspect, the 2022 amendment stipulated the personal rights as a bundle or matrice of individual personal rights. In addition, Paragraph 2 was legislated so that not only compensation for damages but also a request for prohibition could be made in terms of prevention in advance.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amendment includes the personal rights of corporations as its content, it is thought that further discussion is necessary. As a nation of reception of law, the Civil Code is not given as a gift, but it is necessary to consciously consider what kind of civil society will be created through the Civil Code. The Ministry of Justice's Civil Code Amendment of 2022 is also an attempt to evoke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personal rights in our society based on these concerns, and I think it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human dignity in our society. 본고는 2022년 법무부 민법개정안을 중심으로 종전 입법안 및 학설과 판례에서 인정되어 오던 인격권 개념을 돌아보고 종전의 논의와의 접점을 찾으려고 시도하였다. 종래의 인격권 연구는 주로 초상권, 명예권 등 개별적 인격권의 침해에 대한 민사책임, 특히 불법행위에 의한 구제방법이 주로 논의되었고 인격권 자체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았다. 즉, 종래의 인격권론은 “인격” 이론이라기보다는, 인격에 관한 “권리”론으로 경사(傾斜)되어 분석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이 명시적으로 나타난 것이 2004년 법무부 민법개정안을 둘러싼 논의였다. 그 후 민법과 헌법과의 관계론이라는 관점에서 민법이 지향하는 가치, 영역이 무엇인가에 대해 검토되어 오고 있는데, 인격권론도 이를 바탕으로 재검토 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종전의 입법안과 그에 관련된 논의들, 민법과 헌법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2022년 법무부 민법개정안이 입법된다면 민법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2022년 법무부 민법개정안은 민법총칙의 제3조의2에 인격권 보호를 위한 조문을 규정한다. 인격권을 추상적이고 사상적인 측면에서 규정한 2004년 개정안과는 달리 2022년 개정안은 개별적 인격권의 다발 내지 모권으로서 인격권을 규정하였다. 또한 손해배상 뿐 아니라 사전적인 예방의 측면에서 금지청구 등을 할 수 있도록 제2항을 입법하였다. 한편, 법인의 인격권에 대해서도 입법안은 그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논의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계수법(繼受法) 국가로서, 민법전은 소여(所與)로서 주어진 것이 아니라 민법전을 통해 어떠한 시민사회를 만들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의식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2022년 법무부 민법개정안 역시 이러한 고민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서 인격권 보호의 중요성을 환기하려는 시도이며, 우리 사회에서 개인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에 대한 보호를 더욱 강고히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리걸테크 관련 일본 변호사법의 현황과 쟁점 - 일본 변호사법 제72조를 중심으로 -

        고철웅 한국소비자법학회 2022 소비자법연구 Vol.8 No.1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ed discussions focusing on Article 72 of the Japanese Lawyer Act, which prohibits the handling and mediation of legal affairs by non-lawyers among Japanese discussions on legal tech. Recently, in Korea, the position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Korean Bar Association regarding the lawyer platform are divided. This paper has the character of providing data in terms of introducing the Japanese discussion, which was introduced individually in Korea, but was only a fragmentary introduction or relatively less introduced, and diversifying our discussion. Regarding Article 72 of the Attorney Act in Japan, the jurisprudence is based on the one criminal theory, which interprets that “the business is to ‘handle legal affairs or mediate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remuneration’.” In other words, a non-lawyer activity is satisfied if all of these requirements are met : ① a person who is not a lawyer or a lawyer, ② the purpose of obtaining remuneration, ③ a legal case, ④ legal affairs, and ⑤ a business position to do so.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arrangement under Article 72 of the Attorney Act, the lower court precedent refers to “the act of intervening between a party to a litigation case and a litigation agent upon receipt of an application t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a deleg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es, and no need to intervene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establishment of a delegation relationship”. In Japan, as the number of lawyer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lawyer industry, and the methods of handling cases are diversifying. There are not a few lawyers or law firms who use Legal Tech in relation to the handling of cases. In response to this, in 2018, the Japan Bar Association passed the 「Guidelines for posting on website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lawyers」 as a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This guideline defined “arrangement” and “repair purpose” in more detail. ① When the information provider selects and processes lawyer information at the discre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r, ② When the information provider recommends the provision of legal services such as legal consultation and case handling, adjusts the interview date, ③ In case the content is processed by medi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viewer and the registered attorney through the website, except for cases where direct e-mail is sent, ④ In other cases, the website is actually sent to the viewer or the registered attorney by a lawyer or As an introduction to the handling of legal affairs, when it is judged that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lawyers through the Internet is only a part of it, it is said that the mediation or reasonable grounds for suspecting the mediation are recognized. Article 34 (1) of the Korean Lawyer Act also stipulates that no one shall arrange a lawyer in relation to a legal case or the appointment of a legal service. Our jurisprudence states, “Arrangement refers to a mediation between a party to a legal case and the other party who handles legal affairs such as appraisal and representation, etc”. According to the theory, in order to rationally distinguish arrangement from introduction and inducement, it is argued that arrangement should be viewed as a specific act, such as mediating or mediating between the mediation client and the mediation target. In relation to legal tech, what is interpretatively important is how to view the “act of arranging or facilitating the convenience” in our case law or “concrete acts such as arranging or mediating” in theory. When developing a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is, the Japanese discussion can be referred to some extent. 본고는 리걸테크 관련 일본의 논의 중에서 변호사가 아닌 자의 법률사무 취급 및 알선을 금지하는 일본 변호사법 제72조를 중심으로 관련 논의를 검토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변호사플랫폼 관련하여 우리 법무부, 대한변호사협회의 입장이 나뉘고 있다. 본고는 국내에 개별적으로 소개되었으나 단편적인 소개에 그친 부분 혹은 상대적으로 소개가 덜 된 일본의 논의를 소개하고 우리의 논의를 다양화하는 측면에서 자료를 제공하는 성격을 가진다. 일본 변호사법 제72조 관련하여 판례는 “보수를 얻을 목적으로 ‘법률사무를 취급하거나 또는알선을 할 것’을 업으로 할 것”이라고 해석하는 1요건설(一罪說)의 입장이다. 즉, 판례는 ① 변호사 또는 변호사법인이 아닌 자, ② 보수를 얻을 목적, ③ 법률사건, ④ 법률사무, ⑤ 업으로하는 것, 이 모든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비변활동(非弁活動)에 해당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변호사법 제72조상 주선에 관해 하급심 판례는 “신청을 받아 소송사건의 당사자와 소송대리인 간에개입함으로써 양자간에 위임관계 성립을 위한 편의를 도모하여 그 성립을 용이하게 하는 행위를지칭하고, 반드시 위임관계성립의 현장에서 직접 이에 관여하여 개입할 필요는 없다”고 보았다. 일본에서도 근래에 변호사 숫자가 늘어남에 따라 변호사 업계에도 변화가 일어났고, 사건 수임방법도 다양화되고 있다. 사건 수임 관련해서 리걸테크를 이용하는 변호사 또는 법무법인이 적지 않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변호사협회는 2018년에 「변호사 정보제공 웹사이트에 대한게재에 관한 지침」을 이사회 의결로서 통과시켰다. 이 지침은 “주선”과 “보수목적”을 보다 세밀하게 규정하였다. ① 정보제공사업자의 판단으로 변호사정보를 선별ㆍ가공하는 경우, ② 정보제공사업자가 법률상담, 사건수임 등 법률사무의 제공을 추천, 면접일시를 조정하거나 또는 열람자로부터 상담을 받아 등록변호사를 선정하는 경우, ③ 직접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경우 등을제외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열람자ㆍ등록변호사 간의 의사소통을 중개하여 그 내용을 가공하는경우, ④ 그 외 실질적으로 웹사이트가 열람자 또는 등록변호사에게 변호사 또는 법률사무 취급을 소개하는 것으로서 인터넷에 의한 변호사정보제공은 그 일부에 그친다고 판단될 때에는 주선 또는 주선을 의심할만한 타당한 이유가 인정된다고 하였다. 우리 변호사법 제34조 제1항 역시 누구든지 법률사건 또는 법률사무의 수임 관련하여 변호사에게 알선 등을 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이를 위반시에는 제109조에 의해 처벌받도록 규정한다. 우리 판례는 “알선은 법률사건의 당사자와 그 사건에 관하여 감정ㆍ대리 등의 법률사무를취급하는 상대방 사이에서 양자 간에 법률사건이나 법률사무에 관한 위임계약 등의 체결을 중개하거나 그 편의를 도모하는 행위를 말한다”고 판시한다. 학설에서는 알선과 소개ㆍ유인을 합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알선을 알선의뢰자와 알선대상자에게 매개하거나 중개하는 등의 구체적 행위를 할 것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리걸테크 관련해서 해석론적으로 중요한 것이 우리 판례가 말하는 “중개하거나 그 편의를 도모하는 행위”, 혹은 학설상의 “매개하거나 중개하는 등의 구체적 행위”를 어떻게 볼 것인지일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론을펼칠 때 일본...

      • KCI등재

        종교단체의 부당한 권유로 인한 민사적 피해구제방안 - 일본의 최근 논의를 소재로 -

        고철웅 한국사법학회 2023 비교사법 Vol.30 No.4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총격 테러 사건을 계기로 최근 일본에서는 종교단체로부터 부당한 권유로 인해 기부를 한 자와 그 가족을 민사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신법을 입법하였다. 법인 등에 의한 기부의 부당한 권유 방지 등에 관한 법률이 바로 그것인데, 이 글은 신법의 입법 전후에 어떠한 논의가 있었는지에 대해 소개한다. 신법은 민법의 특별법으로서 소비자계약법과 함께 피해자 보호를 도모하고 있다. 신법상 기부는 계약에 의한 경우와 계약에 의하지 않는 단독행위의 경우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법인 등은 부당한 권유행위로 기부자를 곤혹에 빠뜨리거나, 자금 조달을 위해 대출 등을 요구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부당한 권유행위로는 6개의 유형을, 자금조달 요구행위로는 3개의 유형을 규정하고 있다. 법인 등이 이러한 의무를 위반하였을 때 기부자는 기부의 의사표시를 취소할 수 있다. 취소권 행사 기한도 더욱 늘렸다. 혼인 비용 및 양육비 등을 보전하기 위하여 가족에 의한 채권자대위권의 행사에 관한 특례도 마련하였다. 피보전채권이 부양청구 등에 관한 정기금채권인 경우, 신법 및 소비자계약법에 의거하여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고, 기부한 금전의 반환청구권에 관해서는 이행기가 도래하지 않았더라도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행정기관의 권고·명령 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법인 등이 허위로 보고하거나, 명령을 위반하면 형사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최근 대법원은 종교 단체에 의한 모략전도의 위법성 관련하여 법리를 설시하는 판결을 하였다. 사회적으로도 종교 2세들의 피해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등 종교 단체에 의한 부당한 권유 관련된 피해 사안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일본은 종교 관련 피해자의 민사적 보호에 관한 법률 체계(소비자계약법 등)가 우리와 다른 측면도 없지는 않으나, 이를 전제하더라도 일본의 논의가 우리의 해석론 및 입법론을 전개할 때에 참고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된다. In the wake of former Prime Minister Shinzo Abe's shooting terror incident, Japan recently legislated a new law to civilly protect those who made donations and their families due to unfair recommendations from religious organizations. It is the law on the prevention of unfair solicitation of donations by corporations, etc., and this article introduces what discussions took place before and after the legislation of the new law. The new law is a special law of the Civil Code and seeks to protect victims along with the Consumer Contract Law. Under the new law, donations are aimed at both contractual and single acts not based on contract. Corporations are prohibited from putting donors in trouble through unfair solicitation or requesting loans to raise funds. There are six types of unfair solicitation and three types of financing request. When a corporation, etc. violates these obligations, the donor may cancel the expression of intention to donate. The deadline for exercising the right to cancel has also been extend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marriage expenses and child support, special provisions regarding the exercise of creditor's right of subrogation by family members were also established. If the claim to be preserved is a regular payment claim related to a claim for support, etc., the right of cancellation can be exercised in accordance with the New Law and the Consumer Contract Law, and with respect to the right to claim return of donated money, the creditor's right of subrogation can be exercised even if the performance period has not arrived. Despite the recommendation and order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criminal punishment may be imposed if a corporation or others falsely reports or violates the order.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establishing legal principles in relation to the illegality of conspiracy by religious organizations. Socially, issues related to unfair solicitation by religious organizations are becoming an issue, such as growing voices of damage from religious second generations. Japan's legal system for civil protection of religion-related victims (Consumer Contract Law, etc.) is different from ours in some respects, but even if this is premised, I think Japan's discussion has something to refer to when developing our interpretive and legislative theories.

      • KCI우수등재

        직장 내 성희롱으로 인한 사업주의 불법행위책임 여부 - 대법원 2017. 12. 22. 선고 2016다202947 판결을 중심으로 -

        고철웅 한국민사법학회 2018 民事法學 Vol.85 No.-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sion on Dec. 22. 2017 (2016da202947)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ruling to propose legal principles concerning the employer’s liability for his adverse act against the third party. This article analyzes the decision of a subject with two main themes. First, it has to be examined whether unfair disciplinary action or disadvantage against fellow worker who assisted victims violates the duty of protecting his injured workers. The court found that the above act was not unreasonable from the various evidences and the original court ruled that the above act was not subject to unfair measures under the Equal Employment Act.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Court affirmed the employer's respect for the employees and the obligation to protect his employees and stated that it would violate the duty of the employer’s protection “unless there were special circumstances”. Also the Supreme Court found the employer’s obligation to protect workers was considered to include not only for the victim's actions but also for the third party. It should be examined how such a duty of protection could be applied to the discussion of precedents jurisprudence and doctrines. In Japan, the initial jurisprudence constituted a jurisdiction as a duty similar to the precautionary jurisdiction of safety, but later established a jurisprudence on the obligation to care for the workplace. Afterwards, the obligation to care for the work environment was upgraded to the obligation of care from the obligation of consideration in the legislation by amendment of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en and women. The court rul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for the victim but also for the surrounding people of the victim after the occurrence of the sexual harassment of the employer. Second, it should be considered whether the employer has taken unfavorable measures against the fellow worker who helped the injured workers in close proximity so that it violates the Civil Code Article 750 or not. In the past, the responsibility of the employer in the precedent case was generally recognized as the employers’ vicarious liability of the Civil Code Article 756. In case of sexual harassment, since the 2000s, case law has widely recognized the employers’ vicarious liability under Article 756 of the Civil Code. It seems that the remand court adopted this legal structure. However,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it was not the employers’ vicarious liability in Article 756 of the Civil Code but the liability of the employer for the illegal acts under the general liability of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It is based on the Civil Code articles 750, 752, 763 and 393. In addition, as a criterion for third party limitation, the object judgment refers to “close relationship” or “intimacy with contents of social or legal relationship”. The criteria for delimiting the range are meaningful, but it seems that there is unclear point as a standard. In the past, there has not been much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ibility of the employer in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user in Article 756 of the Civil Code caused by certain acts of the employer. The object judgment has a theoretical meaning as a judgment with important judgment in this regard. 대상판결은 제3자에 대한 불리한 조치로 인한 사업주의 불법행위책임의 성립여부에 대한 법리를 처음으로 제시한 사안으로서 의의가 있다. 본 평석은 아래의 두 가지에 관해 대상판결을 분석한다. 첫째, 피해근로자 등을 도와준 동료 근로자에 대한 부당한 징계처분이나 불이익 조치가 사업주의 피해근로자 등에 대한 보호의무를 위반한 것인지에 관해서 본다. 1심은 각종 증거로부터 위 행위가 부당하지 않다고 보았으며, 원심은 위 행위가 남녀고용평등법상 불리한 조치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하였다. 반면 대상판결은 사업주의 근로자에 대한 인격존중 및 보호의무를 긍정하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업주의 보호의무위반이 된다고 판시하였다. 사업주의 근로자에 대한 보호의무는 사업주가 피해자 본인에게 가한 행위 뿐 아니라 제3자에게 가한 행위까지 미친다고 보았는데, 이와 같은 보호의무가 종래 판례, 학설의 논의와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일본에서는 초기 판례는 보호의무를 선행법리인 안전배려의무와 유사한 것으로서 법리구성하였지만, 나중에는 직장환경배려의무에 관한 법리를 독자적으로 구축하였다. 그 뒤 직장환경배려의무는 남녀고용기회균등법 개정에 의해 입법상에서 배려의무에서 조치의무로 격상되었고, 판례는 사전조치 뿐 아니라 사후조치까지 배려해야 한다는 법리로 발전시켰다. 대상판결은 사업주의 성희롱 사건 발생 후 사후조치 관련해서도 피해자 뿐 아니라 피해자의 주변인에게까지도 일정한 배려를 해야 한다는 점을 판시한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둘째, 사업주가 피해근로자 등을 가까이에서 도와준 동료 근로자에게 불리한 조치를 한 것이 민법 제750조의 일반불법행위책임이 성립한다는 판시에 대해서 검토한다. 종래에는 판례상 사업주의 책임은 사무집행 관련성을 넓게 인정하여 민법 제756조의 사용자책임으로서 법리구성해 왔던 것이 일반적이었다. 성희롱의 경우도 판례에서 2000년대 이후 민법 제756조의 사용자책임을 넓게 인정해 왔다. 대상 판결의 환송심도 이러한 법리구성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상판결은 민법 제756조의 사용자책임이 아니라, 민법 제750조의 일반불법행위책임에 의해서 사업주의 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였다. 그 근거로 민법 제750조, 제752조, 제763조와 제393조를 들고 있다. 또한 제3자 한정을 위한 기준으로 대상판결은 “밀접한 관계” 내지 “사회적 또는 법률적 관계의 내용과 친밀성”을 거론한다. 범위획정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기준으로서 불명확한 점도 없지 않다고 생각된다. 종래에는 사업주의 일정한 행위로 인한 민법 제750조의 사업주의 책임과 민법 제756조의 사용자책임이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많은 논의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대상판결은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판시를 한 판결로서 이론적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