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3기 주상골 불유합 진행성 붕괴의 관혈적 무두나사 고정 및 자가 장골 이식술 치료

        강호정(Ho-Jung Kang),고일현(Il-Hyun Koh),최윤락 (Yun-Rak Choi),김지섭(Ji-Sub Kim),박영창(Young-Cha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2

        목적: 제2-3기 주상골 불유합 진행성 붕괴의 환자에서 무두나사를 이용한 관혈적 고정술과 자가 장골 이식술의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6월부터 2013년 6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제2-3기 주상골 불유합 진행성 붕괴의 환자 중 관혈적 무두나사 고정술 및 자가 장골 이식술을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상적 결과는 골유합, 주상월상각 및 측면 주상 골내각으로 평가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관절운동 범위, 통증, 악력, Mayo wrist score, Maudsley 평가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유합 소견을 보였다. 최종 추시상 관절면의 경화 및 낭성 병변, 골 감소 병변의 정상화 및 관절면이 매끄러워지는 소견을 보였다. 술 전과 비교하여 술 후 통증은 감소하였으며, 약력 및 Mayo wrist score는 유의미하게 호전되었다. 주상월상각 및 측면 주상골내각은 수술 후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Maudsley 평가법은 우수 4예, 양호 4예, 보통 2예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제2-3기 주상골 불유합 진행성 붕괴에서 주상골의 안정성 회복이 중요하며 관혈적 무두나사 고정술과 자가 장골 이식술로 만족할 만한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얻었다. 이에 추천할 만한 치료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utcome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headless screw and auto iliac bone graft for patients of scaphoid nonunion advanced collapse (SNAC) stage II and III.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10 patients diagnosed with stage II or III SNAC, and consequently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headless screw and auto iliac bone graft with or without radial styloidectomy between 2010 and 2013. Radiographic results were evaluated by bone union, the scapholunate angle and lateral intrascaphoid angl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range of motion, pain, grip strength, Mayo wrist score, and assessment of Maudsley. Results: All patients showed union after the operation. Final follow-up X-rays show smoothening of the articular surface with improvement of sclerotic lesions of the articular surface, cystic lesions and osteopenic lesions. Pain decreased after the operation compared with preoperative status, grip strength and Mayo wrist scor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Scapholunate angle and lateral intrascaphoid angle decreased after the operat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assessment of Maudsley, among 10 cases, there were 4 excellent cases, 4 good cases and 2 fair cases. Conclusion: Restoration of stability of scaphoid is important to SNAC stage II and III,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headless screw and auto iliac bone graft shows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Thus it is considered a recommendable operation.

      • KCI등재

        관절경하 AO 무두 압박 나사를 이용한 견갑골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의 치료

        김형식(Hyung-Sik Kim),고일현(Il-Hyun Koh),김성국(Sung-Guk Kim),천용민(Yong-Min Chun),김성재(Sung-Jae Kim),강호정(Ho-Jung Kang)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4 No.1

        목적: 견갑골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에 대해 관절경하 정복 및 AO 무두 압박 나사를 이용하여 골편을 고정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31세 남자로 내원 2주 전 추락 후 발생한 좌측 견관절의 전방 관절와 분쇄 골절에 대하여 관절경하에서 골절을 정복한 후, 표준 전상방 삽입구를 통해 1.1 mm K 강선을 가이드핀으로 삽입하고 AO 무두 압박 나사로 골편을 고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12개월째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정상 범위로 회복 되었으며, 골절은 유합을 얻었고 일상 생활에 불편감은 없었다. 결론: AO 무두 압박 나사는 나사의 길이가 다양하여 작은 관절와 골편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가이드 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나 1.1 mm K 강선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나사 돌리개 (screw driver)나 천공기 (drill bit) 등의 동반 기구의 길이가 길어 비교적 깊은 위치의 견갑과 골절의 고정에 사용하기 편리하여 관절경적 고정술 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present a case of anterior glenoid rim comminuted fracture that was treated with arthroscopic reduction and an AO headless compression screw (HCS)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31-year old man complained of left shoulder pain after falling down on stairs. The anterior glenoid comminuted fragments were arthroscopically reduced. Fixation with an AO HCS was done after placement of 1.1 mm Kirschner wire as a guide pin through a standard cannulated anterosuperior portal. Results: Twelve months after the operation, union of the fracture was achieved and the range of motion was fully recovered. He did not complain of any discomfort during his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An AO HCS had various screw sizes and this was good for fixation of a small glenoid fracture and a long drill bit and screw driver were useful for fixation of deep seated glenoid fracture. A short guide wire could be replaced by a 1.1 mm K-wire. An AO HCS was useful for fixation of an anterior glenoid rim comminuted fracture.

      •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강호정(Ho-Jung Kang),고일현(Il-Hyun Koh),주종환(Jong-Hwan Joo),천용민(Yong-Min Chun),김형식(Hyung-Sik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1

        목적: 견쇄관절의 손상이나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으나, 견쇄관절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저자들은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및 결과, 예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쇄골 외측단에서 2.5 cm 내를 침범한 원위 쇄골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1명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과 CT상 원위 쇄골의 골절선이 견쇄관절로 연장 (5예)되어 있거나, 7 mm 이상의 견쇄관절의 이개 (separation)가 있는 관절내 골절 (9예), 또는 건측과 비교해서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 (7예)을 견쇄관절의 손상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Craig 분류상 III형이 16예, V형이 5예였다. 금속판 (9예), 소형나사 (1예),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10예) 및 경 견쇄관절 K 강선 (1예)을 사용하여 골절을 고정하였다. 건측에 비해 100%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었던 1예 및 골편이 작아 고정력이 약하다고 판단된 1예에서 경 견쇄관절 (transarticular AC joint) K 강선 고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견봉 쇄골 인대 또는 오구쇄골 인대의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결과: 21예 중 20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8.4주이었다. 최종 추시시 5예에서 견쇄관절의 외상성 관절염이 관찰되었고, 4예에서 견쇄관절의 이개가, 2예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50% 이하의 상방전위가 남아 있었으나 견쇄관절의 이개 및 상방전위가 술전보다 증가된 예는 없었다. Kona 등의 기준에 따른 기능적 평가상 19예에서 우수, I예에서 양호, 1예에서 보통의 결과를 얻었다. 견쇄관절 손상의 분류에 따른 UCLA 점수는 I형에서 32.6점, II형에서 34점, III형에서 34.1점이었다. 술전 견쇄관절 손상 종류, 술후 잔여 관절의 이개 및 전위, 외상성 관절염의 유무와 임상 결과간에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p>0.05). 합병증으로는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고정술로 고정한 1예에서 불유합이 관찰되어 술후 3개월 금속판 고정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으며,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예에서 추시 관찰 중 내고정물의 이완이 있었으나 추가적인 치료 없이 골절이 유합되었다. 결론: 견쇄관절로 연장된 골절이 있거나 관절내 골절이 있으면서 견쇄관절 간격이 7 mm 이상 벌어진 경우 또는 정상측과 비교하여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견쇄관절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라도 원위 쇄골의 정확한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수술 전 견쇄관절의 손상 종류 및 수술 후 경도의 외상성 관절염이나 이개, 상방전위와 임상적 기능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nd the prognosis of various surgical treatments for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n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21 patients with a minimum of 12 months follow up was done. We classified acromioclavicular (AC) injury into type I (only intra-articular fracture (IAF), 5 cases), type II (IAF with widening of the AC joint > 7 mm, 9 cases) and type III (IAF with AC joint superior subluxation > 50%, 7 cases). The distal clavicle fractures were fixed using plate (9 cases), mini screws (1 case), K wire and tension band wiring (10 cases) and transarticular pinning (1 case). Acromioclavicular or coracoacromial ligament reconstruction was not done in all the cases. Results: In 20 of 21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at an average of 8.4 weeks. Traumatic arthritis (5 cases), AC joint widening (4 cases) and AC joint subluxation (2 cases) were noted at the last follow up. The average UCLA score was 32.6 in the type I AC joint injuries, 34 in type II and 34.1 in type III.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outcomes and the preoperative AC joint injury pattern, postoperative traumatic arthritis, AC joint widening or AC joint subluxation (p>0.05).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by acut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of th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C joint injur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AC joint injury, the residual radiologic findings and the functional outcome.

      • KCI등재

        요골 두 및 경부 골절의 경피적 도수 정복술

        이정길(Jeong-Gil Lee),고일현(Il-Hyun Koh),김형식(Hyung-Sik Kim),최윤락(Yun-Rak Choi),김성재(Sung-Jae Kim),강호정(Ho-Jung Kang)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Mason 분류 제 2형 및 일부의 3형 요골 두 및 경부 골절에 대하여 제한적 피부절개 및 경피적 도수 정복술 시행 후 기능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해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7년 2월까지 Mason 분류 제 2형 또는 3형의 요골 두 및 경부 골절로 경피적 도수 정복술을 시행받은 13명의 환자 (요골 경부 골절: 9예, 요골 두 및 경부골절: 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29세 (11세~59세)였고 남자는 8명, 여자는 5명 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년 6개월 (12개월~2년 9개월)이었다. 요골 두 및 경부의 도수 정복술은 방사선 투시기를 사용하여 골절부위를 확인 후, 골절부위 2~3 cm 원위부에서 1 cm 정도의 피부절개 후 경막 거상기를 이용하여 압박이나 감입 (impacted)형태의 요골 경부골절 및 두부의 부분 함몰된 관절면 골편의 정복을 시행하였다. 정복 후 불안정한 3예에 대해 1예에서 골절부의 경피적 핀고정술을 시행하였고, 2예에서 근위 요척골 간에 경피적 횡 핀고정을 추가 하였으며, 나머지 10예에서는 석고 부목 고정술만 시행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상 전 예에서 골유합이 관찰되었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6.2주였다.요골두의 각형성은 수술 전 평균 33.2도 (30도~42도)에서 수술 후 평균 7.8도 (4도~15도)로 감소하였다. 수술 직후에서 최종 추시시까지의 각변형은 0.7도 (-1도~2도) 였다. 수술 후 주관절의 운동 범위는 굴곡 평균 133.1도 (120도~140도), 신전 평균 7.3도 (0도~25도), 회내전은 80도 (72도~90도), 회외전은 84.3도 (78도~90도)였다. Mayo Elbow Performance Index는 평균 96.2점 (80점~100점),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elbow score는 평균 97점 (83점~100점),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는 평균 1.2점 (0점~5.8점) 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합병증으로 각각 한 예에서 일시적인 후골간 요골 신경 마비 증상과 경도의 주관절 외반 변형이 발생하였다. 결론: 경피적 도수 정복술은 관절내 독립적인 감입이 없는 Mason 분류 제 2형 및 일부의 3형 요골 두 골절 및 경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간단하고 합병증 발생이 적으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중의 한가지로 생각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result of percutaneous, mini-open reduction for the treatment of Mason II or III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13 patients (8 male, 5 female) with Mason II or III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s were treated by 1 cm percutaneous mini-open reduction under fluoroscopy. The average age of our subjects was 29 years. Follow up duration was 18 months. Results: Union was noted in all cases. Mean radial neck angulation was decreased from 33.2 degrees to 7.8 degrees. The mean change in angulation betwee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was 0.7 degrees. The mean range of motion at the elbow joint was at last follow up, 133.1 degrees in flexion, 7.3 degrees in extension, 80 degrees in pronation and 84.3 degrees in supination. Postoperatively, mean Mayo Elbow Performance Index,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elbow score, and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were 96.2, 97 and 1.2. Temporary posterior interosseous nerve palsy (1 case) and minimal cubitus valgus deformity (1 case) were noted. Conclusion: Selected Mason II or III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s can be treated satisfactorily with percutaneous mini-open reduction.

      • KCI등재

        수술 후 발생한 상완골 원위부 불유합의 치료

        김형식 ( Hyung Sik Kim ),장기준 ( Ki Joon Jang ),최윤락 ( Yun Rak Choi ),고일현 ( Il Hyun Koh ),강호정 ( Ho Jung Kang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4

        목 적: 상완골 원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으로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에 대해 수상 원인, 방사선 소견, 치료 결과 및 예후 등 임상적 추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상완골 원위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 후 불유합 상태가 지속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 수술 후 불유합 진단까지의 평균 기간은 7.4개월(4∼16개월)이었다. 최종 추시 기간은 평균 24.6개월(12∼65개월)이었다. Mayo Elbow Performance Score와 The Disability of Arm, Shoulder and Hand Score를 이용하여 기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불유합에 대해 금속판 고정술 및 골편 이식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주관절의 관절운동 범위는 굴곡 구축 18.8o(0∼30o), 후속 굴곡 120.2o (102∼140o)였다. 합병증으로는 중등도의 관절 강직이 3예, 내과 불유합이 2예, 내고정물의 해리가 1예에 서 관찰되었다. 결 론: 상완골 원위부 골절의 불유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차 수술시에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유지가 우선시되어야 하며, 자가골이식 등의 적절한 추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for non-union of distal humerus fracture. We evaluated them in terms of causes of injury, radiologic findings, and clinical outcomes such as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consecutive radiologic patients who were confirmed to have nonunion of a distal humerus fracture underwent reoperations. These patients had already undergone operations for distal humerus fractures. This survey was held from 2005 to 2010. The average period up to diagnosis of non-union after the first operation was 7.4 months (4 to 16 month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6 months (12 to 65 months). Each patient was graded functionally according to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and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Results: Osteosynthesis was performed by internal fixation with plates and screws and then a bone graft for non-union of the distal humerus fracture.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ithin the elbow joints was found to be a flexion contracture of 18.8 degrees (0∼30 degrees) and further flexion of 120.2 degrees (102∼140 degrees). Amo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ree cases of medium-degree stiffness, two cases of medial column nonunion, and one case of dissociation of the internal fixator were reported. Conclusion: Stable internal fixation for maintenance reduction status is essential after accurate initial anatomical reduction. We concluded that nonunion could be prevented by additional surgical treatment such as autogenous bone graft, if it is necessary.

      • KCI등재

        수술 후 발생한 주두골 불유합의 치료

        강호정 ( Ho Jung Kang ),김지섭 ( Ji Sup Kim ),신명호 ( Myung Ho Shin ),고일현 ( Il Hyun Koh ),최윤락 ( Yun Rak Choi ) 대한골절학회 2015 대한골절학회지 Vol.28 No.1

        목 적: 주두의 불유합은 빈도가 낮으나 관절의 운동 장해나 불안정성을 야기하므로 임상적 중요성을 지닌다. 수술 후 발생한 증상이 있는 주두 불유합 환자에 대한 분석과 수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1예를 병변의 위치와 관절면의 손상 정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Oxford elbow score (OES),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를 통해 평가하였다. 결 과: 불유합 분류상 IA 2예, IIA 5예, IIIA 4예였다. 1A 중 1예는 골편 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10예는 골이식 및 금속판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증례에서 유합이 되었으며, 수술 후 1년 MEPS는 평균 87.7점(범위: 60-100점)로 우수 3예, 양호4예 소견을 보였다. DASH score는 평균 18.3점, OES는 평균 43.2점이었다. 2예에서 관절운동 제한, 3예에서 일시적 척골신경 증상을 보였다. 결 론: 주두골 불유합 시 골이식 및 금속판 고정술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I형의 경우 골편 제거도 유용한 정상을 보였다. Purpose: Olecranon nonunion after surgical management is relatively rare, but it leads to limitation of motion of joint or instability.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 and result of treatment.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1 cases treated for nonunion of olecranon fractures. Nonun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ot of the lesion and the extent of articular surface damag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Oxford elbow score (OES),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s, and the range Results: According to the spot of the lesion and the extent of articular surface damage, nonunion was categorized as IA (2 cases), IIA (5 cases), and IIIA (4 cases). One case of IA underwent nonunion fragment excision and the remaining cases were treated by bone grafting. A plate was used in seven cases and the other three cases had both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fixation. All nonunions finally became union. The 11 patients with one year follow-up had average MEPS of 87.7 points (range: 60-100 points), average OES of 43.2, and average DASH score of 18.8 points. Complications included limitation of motion (2 cases) and ulnar nerve symptoms (3 cases). Conclusion: Bone grafting and fixation by plate may be beneficial. In addition, excision can be useful in type I.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시 후방십자인대 보존 및 절제에 따른 관절선의 변화

        유주형(Ju-Hyung Yoo),이윤태(Yun-Tae Lee),오현철(Hyun-Cheol Oh),하중원(Joong-Won Ha),고일현(Il-Hyun K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인공 슬관절 치환술에서 후방십자인대 보존형과, 굴곡간격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시행한 후방십자인대 절제형간의 관절선과 슬개골의 높이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8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인공슬관절 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시 골절제 후에 신전간격과 굴독간격의 균형이 맞아 후방십자인대 보존형을 시행한 50예와, 굴곡간격이 상대적으로 작아 굴곡 간격을 늘일 목적으로 시행한 후방십자인대 절제형 50예를 대상으로 하여, PACS를 이용한 수술 전 및 수술 후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대퇴경골간 관절선, 대퇴경골간 관절선으로부터의 슬개골선, 대퇴경골간 관절선으로부터의 슬개골 관절선, 경골 결절로부터의 슬개골선, 경골 결절로부터의 슬개골 관절선을 비교 측정하였다. 결과: 후방십자 인대 보존형과 후방십자 인대 절제형 간에 수술 후 관절선과 슬개골의 높이의 통계학적인 차이점은 없었다(p>0.05). 결론: 인공 슬관절 치환술에서 후방십자 인대의 절제는 굴곡간격을 넓힐 수 있으면서, 관절선과 슬개골의 높이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굴곡간격이 신전간격에 비하여 작을 경우에 후방십자 인대의 절제가 관절간격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의 하나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nge of joint line and patellar position between posterior crucate ligament-retained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sacrificed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Fifty posterior crucate ligament-retained and fifty posterior cruciate-sacrificed total knee arthroplasties were evaluated to compare the joint line height from tibial tuberosity, patella bone height from joint line, patella articular height from joint line, patella bone height from tibial tuberosity and patella articular height from tibial tuberosity. The measurements were assess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Results: No difference in joint line height from tibial tuberosity, patellar bone height from joint line, patellar articualr height from joint line, patellar bone height from tibial tuberosity and patellar articular height from tibial tuberosity were found with either design (p>O.05).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resection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can be one of the preferable method to increase the flexion gap without influencing the joint line in Total knee arthroplasty.

      • KCI등재

        대퇴사두근-보존형[Quadriceps-Sparing] 최소 침습 슬관절 전치환술의 방사선학적 평가

        유주형(Ju-Hyung Yoo),한대용(Dae-Yong Han),한창동(Chang-Dong Han),오현철(Heun-Cheul Oh),고일현(Il-Hyun K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적: 대퇴사두근-보존형(Quadriceps-Sparing) 최소 침습 슬관절 전치환술의 방사선학적인 결과를 기존 수술 방법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1년간 전향적으로 대퇴사두근-보존형 최소 침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50예 (제1군)와 기존의 수술방법으로 시행된 50예(제2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Nexgen LPS-flex Total Knee System (Zimmer, Warsw, IN)을 사용하였다. 각 군에 대하여 수술 전후 대퇴 경골각, 경골 삽입물의 각도, 경골 절단면과 경골 삽입물 크기의 비를 측정하여 경골 삽입물 크기의 적정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에서 수술 후 경골 삽입물의 정렬 각도 및 후방 경사각, 경골 삽입물의 크기, 출혈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수술 후 8주 후에 측정한 슬관절 운동범위, 슬관절 점수는 제1군이 제2군에 비하여 양호하였다(p<0.05). 수술 후 대퇴 경골각은 제l군에서 6.9±1.3° 외반, 제2군에서 7.7±1.4° 외반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대퇴사두근-보존형 최소 침습 슬관절 전치환술이 기존의 수술 방법에 비하여 경골 삽입물의 정렬 및 크기 선택은 차이가 없었으나, 대퇴골 원위부의 외반 절골각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results of quadriceps-sparing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50 consecutive total knee arthroplasties with a quadriceps-sparing surgical technique and 50 consecutive total knee arthroplasties with conventional surgical techniques were performed. The same surgeon performed all the operations with the same type of prosthesis (Nexgen LPS-flex Total Knee System).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in terms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femorotibial angles, tibial component alignment angles, tibial component inclinations, and ratios of size of the tibia component to tibial cutting size.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eoperative femorotibal angles, tibial component alignment angles, tibial component inclinations, ratios of sizes of tibia tray to tibial cutting size, and blood loss between the two groups (p>0.05). The average ranges of motion and HSS scores at 8 weeks postoperatively in the quadriceps-sparing total knee arthroplasty group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surgical technique (p < 0.05). The mean postoperative femorotibial angle in the quadriceps-sparing total knee arthroplasty group was a valgus of 6.9±1.3° compared with a valgus of 7.7±1.4° in the standard arthroplasty group (p < 0.05). Conclusion: A quadriceps-sparing total knee arthroplasty offers predictable results in terms of radiological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arthroplasty technique. But this technique has the tendency of producing a decreased valgus angle at the distal fem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