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관련 교육과정 현황 분석

        고인규(Go, In-Gyu),김유진(Kim, Yu-Jin),최지연(Choi,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대학에서의 환경교육 교과목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교원양성대학이며 이 연구에서는 초등에서의 13개 대학과 중등 60개 대학, 유아의 98개 대학을 합한 156개 대학(중복 포함)을 모집단으로 하였다. 표본의 지역적 대표성을 위해 경인권, 강원·제주,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지역별로 학교가 골고루 포함되도록 하였고, 학교급별 형평성을 위하여 조사 대학의 수를 비슷하게 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유아교원양성대학 15개, 초등교원양성대학 13개, 중등교원양성대학 13개로 총 41개 대학을 유층표집하였다. 표집된 대학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환경교과목 조사틀에 따라 2019년 5월 27일부터 2019년 6월 25일까지 교과목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학교급별 및 지역별 기술통계, 교육과정 교육내용 분석, 교과목 명칭의 텍스트 마이닝, 교수요목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교과목은 전체 교과목 대비 1.15~2.19% 정도로 미비하였고 특히 유아 교원양성대학에서의 환경관련 전공 교과목이 적었다. 둘째,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교과목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교원양성대학 환경교과목의 교육내용으로는 자연환경, 환경오염, 인공환경, 환경보전과 대책, 환경기술 등을 주로 다루었고, 예비교사의 환경관련 지식 및 소양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은 모든 대학에 있었으나 예비교사의 교육역량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환경교육 교과목 명칭에 드러나는 주요 키워드와 환경을 중심으로 직접 연결되는 단어로는 인간, 지구, 에너지 등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colleges. There are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colleges such as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College of Teacher Training. The study consisted of 156 universities, with 13 universities of primary education, 45 universities of secondary education, and 98 colleg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regional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samples were included in Gyeongin, Gangwon, Jeju,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nla provinces. Finally, 41 universities/colleges were collected from 15 colleg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 universities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13 universities for secondary education. The curriculums of the sample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framework. The technical statistics by school level and region, curriculum content analysis, text mining of the name of the subject, and network analysis of the syllabu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by the level of school were 1.15 ~ 2.19% and there were few environmental-related subjects in colleg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s between the regions. Third, the contents of the environmental subjects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were mainly deali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artifici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Courses aimed at improving pre-teacher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 few courses aimed at developing pre-teachers educational capacity to guid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lass. Fourth, ‘human’, ‘earth’, and ‘energy’ were the word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key-word ‘environment’.

      • KCI등재

        실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고인규(Go In Gyu),이건남(Lee Gun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있는 시점에서 실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여러 내용들에 대해서 현장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 교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어 그 교과가 현장적합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과정의 실수요자인 현장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어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은 가장 기초적 자료이며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자료로 할 수 있다. 결국 이 연구는 이런 기초적 자료 수집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실과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5년 3월 3일부터 30일까지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유층표집 하였다. 수도권 106명, 중부권 121명, 동남권 138명, 서남권 89명 등 총 454명을 표집하였으며, 설문은 구글 문서를 활용하여 온라인에서 응답받아 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명칭 변경에 있어 기술과 가정간의 학문적 영역 구분을 드러낼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 과정 개발 시 현장 교사의 참여와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중요 하다. 셋째 현재 실과 교육 내용을 초등학교 교사 및 학생에게 적합한 내용으로 재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teachers about many details that are the main issues in the 2015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the curriculum. Because the curriculum reflects awareness of teachers are likely to have an site suitability. Meanwhile, The education authorities also have been continually stressed site suitability of the curriculum’. The education authorities have to think seriously reflect awareness of teachers in curriculum development. Because the education authorities believed that awareness of teachers as end users is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have a site suitability. Because of this, awareness of teachers is the most basic and a priority data will be considered to be.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this basic data colle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was sampled by method of stratified sampling in 2015 March 3 to 30. The metropolitan 106 peoples, central region 121 peoples, Southeast region 138 peoples, Southwest region 89 peoples were sampled for a total of 454 peopl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Google Docs in online and This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must be more careful discussion about the name change of the Practical Arts. Second, it should reflect the participation and opinions of teachers in developing curriculum. Third, the curriculum needs to be reconfigured with the contents suitable for prim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에 기반한 실과 재배교육의 현장 적합성 실천 전략

        고인규(Go, In-G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이 연구에서는 재배 교육에 대한 현장 적합성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재배 교육의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자는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장기간에 걸쳐, 노동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재배 활동의 특성상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으로 구성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교수·학습방법은 각 단계별 절차가 존재하는데 이 절차에 따라 재배 교육의 내용을 세분화하면 누구나 쉽게 재배 활동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문에 프로젝트 교수·학 습에 기반한 재배교육은 그것의 현장 적합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매우 적절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실천 전략은 목적설정, 계획, 실행, 평가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프로젝트 교수·학 습 방법에 따른 것으로 각 단계별 세부 내용은 다른 프로젝트 모형의 활동 내용을 참고하여 현장 적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새롭게 구성하였다. 프로젝트 교수·학습에 기반한 재배 교육 실천 전략은 재배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행 의지를 높 이는 한편 그동안 재배교육의 주요 교육적 가치로 여겨져 왔던 인성함양의 차원을 넘어, 자율, 자주, 주체성을 기르는 민주시민 교육으로서의 새로운 가치를 재배 교육에 더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t proposed the classroom-friendly implementation strategy as a means to improve the teacher’s efficiency and performance. The researcher’s proposed project method of classroom friendly implementation aims to improve agricultural education because currently agricultural education is labor-intensive and requires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ject method proposes a four part training process. When divided this way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become more accessible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 training process will also make teaching the activities of agricultural education easier and more efficient. In this study, The classroom-friendly training process consists of four parts: the purposing stage, the planning stage, the execution stage, and the evaluation stage. Its basic procedure is modeled after the project method in the 2009 Practical Arts’s curriculum. The details of its procedure have been developed with reference to the activities of other project method models. Through this, the project method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classroom-friendly implementation of agricultural education. Another effect of it is to develop an autonomous and self-identity beyond develop the personality. Because the effect of agr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 방법에 기반 한 실과 농업 단원의 핵심개념 연구

        고인규(Go, In-G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실과 교과서 농업 단원에서 핵심 개념을 도출해 내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6년 3월 1일부터 3월 20일까지 2009 개정 교육과정 5학년 실과 검정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교과서 분석을 위해 사용 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은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이었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프로그램은 R 프로그램이고 R 프로그램의 ‘tm’, ‘RColorBrewer’, ‘wordcloud’, ‘qcc’, ‘KoNLP’ 패키지를 이용하여 불용어와 기호를 삭제하고 자연어 처리 기술 중 형태소 분석을 통해 문장을 최소단위로 쪼개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과 검정 교과서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단어의 빈도수를 파악하고 이 결과를 R 프로그램의 클라우딩 패키지를 활용하여 워드클라 우드로 제시하는 것으로 실과 5학년 농업 단원의 핵심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 에서 도출된 핵심 개념은 5학년 실과 검정교과서 농업 단원의 모든 텍스트 자료를 점검하여 도출한 것으로 매우 높은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실과 농업 단원의 핵심 개념은 ‘동식물’, ‘생활’, ‘이용’, ‘자원’, ‘친환경’, ‘농축산물’ 이었다. 이를 통해 현재 실과 농업 단원에서는 자원으로 서의 동식물의 가치와 친환경적인 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있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과 검정교과서 개발에 있어 내용 집필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농업 단원을 지도하는 교사에게 핵심 개념 위주로 교육 내용 적정화 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key concepts from agriculture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s based on big data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e analyzed six kinds of 5th grade textbooks of practical art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types of big data analysis methods were text mining techniques. Tm , RColorBrewer , word cloud , qcc , KoNLP were used package in R. It was to delete the words and symbols that do not require and by using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made the statement as a minimum unit. This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of words that are addressed in practical arts textbooks. This results was expressed a word-cloud by packages in R. It could lead to significant key concept of agriculture unit in 5th grade textbooks of practical arts. Key concepts are derived by checking that all text data for agriculture unit in 5th grade textbooks of practical arts. Such key concepts derived by the method is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key concept was Animals and plants , life , utilization , resources , eco-friendly growth , low carbon , green in agriculture unit in 5th grade textbooks of practical arts. Agriculture unit, you can see that it is stressing the importance of a resource as valuable Animals and plants and eco-friendly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it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the basis for meaningful to teacher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고인규(Go, In-Gyu),황동국(Hwang, Dong-Guk),길영재(Gil, Young-Jae),이기태(Lee, Ki-Tae),최지연(Choi,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교육 변화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구글 드라이브를 활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0년 8월 31일부터 2020년 9월 9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은 전국 6개 교원양성대학 총 341명의 예비교사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래 교육 목표와 관련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신기술적응’, ‘사회적 가치 추구’였다. 미래 교육과정의 방향은 ‘개별화 원격 교육’, ‘프로젝트 학습’이었다. 교사 역량은 ‘테크놀로지 리터러시’, ‘학습 어포던스’였다. 학교 교육 시스템은 ‘생활을 강조하는 교과를 중심으로 융합’, ‘안전, 협력, 배려’였다. 예비교사 교육 시스템은 ‘정보 소양’, ‘융·복합 수업’이었다. 미래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큰 틀에서 살펴보면 ‘정보 기술’, ‘융합’, ‘사회적 가치’(안전, 협력, 배려, 개별화)로 요약될 수 있다. 코로나19 이후 예비교사는 정보 기술 혁신에 기반을 둔 비대면 중심의 교육 시스템이 우리 교육의 주를 이룰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그동안 교육계에서 지속해서 강조되어왔던 융·복합 교육의 기조 역시 유지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안전, 협력, 배려, 다양성 같은 사회적 가치 역시 교육의 중요한 기조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changes in education after the COVID-19 outbreak.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ers surveyed using Google Drive from August 31, 2020 to September 9, 2020, and a total of 341 pre-service teachers from 6 teachers’ training universities nationwide respon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adapting to new technologies’ and ‘pursuing social values’ should be the goals of future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oriented towards ‘individualized distance education’ and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future. And they recognized that ‘to have technology literacy’ and ‘to create learning affordance’ are important competencies for teachers. They recognized that ‘convergence around life-related subjects’ and ‘safety,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are important in the future school education system. They recognized that ‘information literacy’ and ‘convergence/combination class’ are important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Future education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is summarized as ‘emphasizing information technology’, ‘convergence education’, and ‘pursuing social values(safety, cooperation, consideration, individualization)’. Prospective teachers recognized that non-face-to-face education using innovative information technology would become the mainstream after COVID-19. They recognized that convergence/complex education, which had been emphasized so far, will continue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future. They also recognized that social values such as safety,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respect for diversity are important in future education.

      • KCI등재

        실과 교육과정 ‘성격’의 프레임워크 개발

        고인규(Go, In-gyu),최지연(Choi, Ji-yeon),황동국(Hwang Dong-kuk),길영재(Gil, Yeong-Jae),유동현(Yoo, Dong-hyun),박임순(Park, Im Soon),김유진(Kim, Yu-Jin),김연정(Kim, Yeon-Jung),김재원(Kim, Jae-Won)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는 교육과정 문서에서 실과교육이 추구해야 할 본질적 특성을 진술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외 실과 관련 교육과정 및 국내 타교과의 교육과정과 제1차부터 현행 2015 개정 차수까지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성격’의 진술에 적합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그 예시를 제시하였다. 실과 교육과정 ‘성격’의 프레임워크로는 학문 배경 중심 전개, 현장 중심 전개, 학문-현장 연계 중심 전개 등 세 가지 안을 개발하였다. 세 가지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각각 실과 교육과정 ‘성격’의 예시를 진술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실과교육의 ‘성격’에서는 인공세계를 탐구의 대상으로 하고, 안목 형성을 탐구의 목적으로 삼으며, 창의노작을 탐구의 방법으로 삼는다. 또한 문제해결, 프로젝트, 실천적 추론 등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고, 타교과와 연계하여 지도할 것을 강조하였다. 실과 교육과정 ‘성격’을 진술하는 내용과 방식은 교과를 이해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교육과정 ‘성격’에 관한 연구는 실과교과의 본질을 공고하게 다지고, 학교 현장에서 실과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학생들이 실과교육을 통해 온전히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state the nature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pursue in the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ers developed a framework suitable for the ‘character’ statements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by analyzing foreign documents, other domestic subjects and Practical Arts curriculum from the 1st to 2015 revi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framework for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character , three examples were developed: academic background-oriented, field-oriented and academic-field combined oriented framework. The statement of character propo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se frameworks. The object of inquiry is the artificial world, the purpose of inquiry is to form discernment, and the method of inquiry is creative work. It is emphasiz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problem solving, projects, and practical reasoning are applied, and the instruction is provided to integrate with other subjects in various ways including integrated theme-based clas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tating ‘character’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are important in that they serve as the basic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It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helping students to see and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Drake의 KDB모형을 적용한 농업과 식생활 영역의 통합적 접근

        고인규(GO IN GYU)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는 Drake의 KDB 모형을 적용하여 농업과 식생활 영역의 통합적 접근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최근의 학교 교육 경향은 교육과정의 충실도 관점에서 벗어나 교사가 교과서 없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중심으로 수업하는 창의적 접근 방법을 선호하고 있는데 그 과정 속에서 학문 영역 간 통합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고 있다. 실과 역시도 통합을 지향하는 교과로 실과에서 최근 통합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는 영역은 ‘농업’과 ‘식생활’이다. 이는 농업과 식생활이 ‘먹거리’를 매개로 하여 태생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KDB 모형을 ‘교육과정 분석’, ‘교육과정 조망’, ‘통합 단원 개발’의 3단계로 재구조화하여 농업과 식생활 영역의 통합적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분석 단계에서는 성취기준을 ‘알 수 있는 것’ 과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하여 계열화했다. 교육과정 조망 단계에서는 분석된 성취기준를 종횡으로 나누어 연결하는 내용 조망을 하였다. 통합 단원 개발 단계에서는 KDB 우산을 활용하여 간 학문적인 통합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과 식생활 영역 통합의 알고리즘을 제시함으로써 두 영역 간 통합 가능성을 촉진 시킬 것이다. 둘째, 농업과 식생활 영역 통합 수업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농업과 식생활 영역 통합 수업의 실현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중심의 통합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실과교육 내 다른 영역 간 통합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approach to agricultural and dietary education applying Drake s KDB model. In recent years, the tendency of school education has shifted from the viewpoint of fidelity of curriculum, and teachers prefer creative approach to teaching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ithout textbooks. Recently, the areas of attention for integration are agriculture and dietary in practical arts. This is because agriculture and dietary are linked through eating .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integrated approach of agriculture and dietary education by restructuring KDB model into three steps of curriculum analysis, curriculum perspective, and integrated approach. First, in the curriculum analysis stage,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and sequenced. At the stage of the curriculum perspective, the analyzed achievement standards were divided into longitudinal and horizontal connections. In the integrated approach phase, the KDB umbrella model was used to perform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ill promote the integration possibility between the two areas by presenting the algorithm of integration of agriculture and dietary education. Second, it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agriculture and eating habits in the field by suggesting an example of integrated agriculture and eating habits. Third, by presenting an integrated model centered on curriculum, it can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other areas within practical education.

      • KCI등재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과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이영찬(Youngchan Lee),고인규(Ingyu Go),길영재(Yeongjae Gil),김연정(Yeonjeong Kim),장한울(Hanul Jang),김희필(Heuipil Kim)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문제 해결에 기반한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하고, 개발된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과 흥미도 변화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ADDIE 모형의 절차에 의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FGI 검증을 거쳐 최종 완성하였다.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를 「필기구를 거치할 수 있는 발명품 제작」으로 선정하고 10 차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각 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또한, 수업에 활용할 교육자료도 제작하였다.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기술적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술적 창의성의 하위 영역에서는 과제 집착력과 호기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D 모델링을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흥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using 3D modeling based on solving invention problems. An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t is to verify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interest change. To achieve this aim, a 3D model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procedure in the ADDIE model. The developed program was finally completed after verification by a group of experts. The selected subject for the 3D model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Production of inventions that can hold writing instruments.” A 10-hour program was organized, and a teaching plan was prepared for each session in addition to class material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a paired-sample t-test was conducted, which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sub-domain of technological crea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obsession and curiosity. The students created 3D drawings using Tinkercad for their concept drawings. Because the experiential activity of directly observing the 3D expression of the conception was developed, the will to express one's own until the end was developed, which exhibited an effect on task obsession. I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curiosity about 3D drawing production programs and inventions increased dur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results. The paired-sample t-test was also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interes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During the program, it was judged that interest in invention and 3D drawing production increased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and exchanging opinions and, presenting and evaluating their own work and the work of others.

      • KCI등재

        실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김유진(Kim, Yu-Jin),고인규(Go, In-Gyu),최지연(Choi,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이 연구는 실과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이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과교육의 주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교수·학습 방법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1 차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실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주요 키워드와 1983년부터 2019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실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205편의 초록에 드러난 교수·학습 방법의 키워드를 종합하여 30가지의 예비 변수를 추출 하였다. 추출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2019년 8월 2일부터 8월 9일까지 현장교사 25인의 검토를 통하여 중요도가 높은 ‘프로젝트’, ‘문제해결’, ‘실습’을 핵심변수로 결정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실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 여 연구 동향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는 ‘프로젝트’, ‘문제해결’, ‘실습’이라는 주요 키워드가 있었으며 프로젝트와 문제해결은 각기 자기주도성과 창의성 과 연관되어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와 문제해결과 관련된 연구들은 실험연구 중심의 ‘효과’ 분석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앞선 모형을 수정 보안하거나 발전시키는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셋째, 실과에서 ‘실습’은 프로젝트나 문제 해결과는 다르게 오히려 그것의 효과를 살펴보는 실험 연구가 부족하여 프로젝트의자기주도성이나 문제해결의 창의성과 같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대표적 교육적 효과가 무엇인지를 발견할 수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related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s extracted the key-words from analyzing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1st to the 2015 revision and the research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rom 1983 to 2019. Key variables were determined as Project , Problem-solving and Practice through a review of the selected key words by the exper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n,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key words in the research o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 is derived according to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First, teaching method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had major key-words: Project, Problem-solving and Practice. And Project and Problem solving are related to self-direction and creativity. Second, the studies related to Project and Problem-solving are focused on experimental research-oriented effects analysis. Unfortunately, the researches are absolutely lacking of challenge and creativity in modifying or developing the preceding model. Third, Practice is lacking of the experimental studies looking at its effects as compared with Project or Problem-solving . So we can not find what typical educational effects are directly linked to, such as self-direction of Project or creativity of Problem-solving .

      • KCI등재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김연정(Yeonjung Kim),고인규(Ingyou Go),최지연(Jiye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 활동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마인크래프트에듀케이션 활동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투입한 후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중학교 1학년 84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성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사전 사후 대응 표본 t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ADDIE 모형의 절차에 의해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수업하였다. 셋째,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 하위 영역 중 호기심, 과제집착, 독립성, 위험감수, 심미성에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소인 호기심, 과제집착, 심미성에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s on creative propensity were ana-lyzed through Minecraft educ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applied with Minecraft education activities was put in,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measured for 84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in middle school,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pre-post response sample t-verification. Resul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e developed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using Minecraft education using the procedures of the ADDIE model. Second,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1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were taught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through Minecraft. Third, through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using Minecraft Education, students showed improvements in curiosity, task obsession, independence, risk-taking, and aesthetics among the stu-dents' creative orientation subdomains. Conclusions By using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through Minecraft, it was effective for the sub-elements of creative tendencies, such as curiosity, task obsession, and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