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실과(기술․가정) 농업교육 내용 비교

        황동국(Hwang dong Kuk)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 이루어지는 농업교육 내용을 양적, 질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의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3종, 중학교 기술 교과서 3종, 일본의 중학교 기술 교과서 2종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국과 일본의 농업교육 내용 중에서 가장 공통점이 많은 영역은 ‘생활 속의 동식물 이용’으로 작물재배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능을 익히고 실습하는 내용을 유사한 구조로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에서의 농업교육은 작물, 가축, 생명기술에 대하여 폭넓은 주제를 다양하게 배우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일본은 작물을 재배하는 내용에 중점을 두고 이에 관련된 내용을 세부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셋째, 한국 학생은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에서 농업교육을 접하게 되지만, 일본은 초등학교에서 실과와 기술 교과를 다루지 않기 때문에 일본 학생은 중학생이 되어서야 기술 교과서를 통해 농업교육을 배우고 있었다. 넷째, 일본 교과서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금은 다루지 않는 쌀과 수산물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content elem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Practical Arts(Technology, Home)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Korea, three kinds of middle school technical textbooks in Korea, and two kinds of middle school technical textbooks in Japan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hile Korean students learn agri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Japanese students learn agriculture education through Technology textbooks when they become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mong the content factors of textbooks from Korea and Japan, there were many common points in Plants and Animals Used in Daily Life , and they learned basic skills and knowledge about cultivation of crops and presented them with a similar structure. Thirdly, agricultural education in Korea focuses on various topics of crop, livestock, and life technologies. On the other hand, Japan focuses on the cultivation of crops and focuses on explaining such contents in (more) detail. Fourth, in Japanese textbooks, we could not find any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kinds of animals and plants and their use which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in Korea. Also, the contents about breeding methods of pets and farm animals were minimized in Japanese textbooks

      • KCI등재

        유튜브를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의 가능성 탐색

        황동국(Hwang, Dong-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이 연구는 유튜브를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튜브의 특징과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양농업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채널을 분석하고, 유튜브를 활용한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유튜브는 학생들이 영상안에 있는 사진, 그림, 음향 등을 통해 정보를 복합적으로 접하게 함으로써 그 이해를 돕고, 실내와 실외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여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일방적인 지식의 수용자가 아닌 지식의 생산자로서 학습자간에 정보를 공유하며 배움이 일어날 수 있게 해준다. 교양농업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작물의 종류와 특징을 배우고, 텃밭과 화단에서 작물 재배를 경험할 때 자신의 화초를 선정하고 재배방법을 익히는데 유튜브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작물을 재배하는 가운데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스스로 작물을 지속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게 해준다. 유튜브는 이제까지 교사중심의 교양농업교육의 한계에서 벗어나 학생중심의 수업이 가능하게 해주며, 학생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구성주의 학습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using YouTub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and its potential for educational use, explored channels that can be used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ed a teaching model using YouTube. YouTube helps students understand by searching for complex information with pictures, pictures, sounds, etc. through video, and learning can be done regardless of the place, indoors and outdoors. In addition, it enables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eaching and learning by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opinions, and sharing information among learners as producers of knowledge.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students can use YouTube to lear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rops, select their own flowers and learn how to grow them when growing crops in gardens and flower beds. In addition, it can help diagnose problems and find solutions when problems occur while growing your own crops, and help you develop the ability to grow your own crops continuously. YouTube has been able to make students-centered classes out of the limits of teacher-oriented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vist learning in which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 KCI등재

        실과 농업생명과학영역에 기반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황동국(Hwang, Dong-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교육에서 적용이 가능한 농업생명과학영역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준비단계에서는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목표와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분석하였고, 진로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 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진로교육의 목표를 도출하고, 예비주제를 선정 및 조직화하는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선단계에서는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된 실과교육에서 활용이 가능한 농업생명과학영역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프로그램 목표는 초등학생이 농업생명과학의 다양한 일의 세계를 경험함으로써 진로인식을 향상시키고,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는데 있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5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농업과 우리의 삶, 식물을 가꾸는 일과 직업 ⅠⅡ, 동물을 돌보는 일과 직업 ⅠⅡ, 농업의 변화와 유망직업, 나의 진로 설계, 생명과 함께하는 마음으로 모두 8차시로 구성하였다. 셋째, 각 차시별 활동구성은 수업개요, 수업과정, 학습활동자료, 읽기자료로 이루어져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agricultural life sciences career education program which can be applied in practical art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goal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nd curriculum contents system was analyzed in the preparation stage, and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set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on teachers who had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goal of career education was derived,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selecting and organizing preliminary contents. In the improvement stage, opinions of the program were gathered from the expert group, and they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ed practical art educa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goal of the program is to improve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experiencing a variety of jobs in agriculture and bioscience, and to have the right values for their jobs.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five areas: agriculture and our lives, planting and occupation Ⅱ Ⅱ, animal care and occupation Ⅰ Ⅱ, agricultural change and prospective occupation, my career design, 8 times. Third, each activity structure consists of Class overview, Class process, Activity Materials, and Reading material.

      • KCI등재

        농업교육 실천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감정

        황동국(Hwang, Dong-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농업교육 활동을 실시하는 동안 느끼는 감정을 탐색 하여 그 특징과 시사점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농업교육을 시행하는 2016년 3월부터 11월까지 3회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라북도 읍면지역에서 근무 하는 초등학교 교사로서 4명이다. 연구결과, 농업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첫째, 교사가 농업을 체험하면서 느끼는 감정이 교사가 교육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감정 형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농업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교사는 자신의 감정을 발산하고, 교사와 학생이 감정의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셋째, 농업교육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기르는 동식물이 죽었을 때 농업교육 경험이 풍부한 교사는 상실감을 극복하고, 발전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그렇지 않은 교사는 교육활동을 이어나갈 원동력을 상실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motions that they experience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ducting agr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gathered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interview three times from March to November.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jeonbuk.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the emotion felt by the teacher while experiencing the farming played a big role in the emotional formation felt by the teacher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the teachers who actively practiced agricultural education emanate their feelings, and teachers and students put emphasis on forming consensus of emotions. Third, when the animals and plants that cultivated in the practice of agricultural education were killed, the teachers who had abundant agr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overcome the sense of loss and developed, but the teachers who did not have lost the power to continue education activities.

      • KCI등재

        숲해설가의 교수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황동국(Hwang, Dong-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teaching experience the forest interpreters has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A case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microscopically analyz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forest interpreters. Data from interviews, activity photos, and newspaper articles from three resear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wo months from February 2018. Confirm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peer researchers were verified to ensure valid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forest interpreters was not to focus on knowledge of plants or animals. Rather, the forest interpreters was trying to make students understand human while looking at nature and how to live together. Second, the forest interpreters was using physical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ould open their minds and concentrate on classes when teaching in forests. In addition, they tried to use literature to heal students minds and to have positive emotions. Third, the forest interpreters was trying to reflect and improve his class through the eyes of students and colleagues. 이 연구는 숲해설가가 교육활동 과정에서 어떠한 교수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숲해설가의 교수경험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연구방법 중에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2018년 2월부터 2개월동안 연구 참여자 3명로부터 면 담자료, 활동사진, 신문기사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참여자 확인과 동료연구원 검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해설가의 교육 목적은 학생들이 자연을 바라보면서 인간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깨달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데 있었다. 숲해설가는 숲에서 지식을 전달하는데 강조점을 두지 않고, 인간의 품성을 선하게 변화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둘째, 숲해설가는 학생들이 숲이라는 공간에서 마음을 열고,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신체활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문학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마음을 치유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도록 노력하였다. 셋째, 숲해설가는 학생과 동료의 눈을 통해 자신의 수업을 반성하고, 교육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 성격유형에 따른 원예 선호도에 관한 연구

        황동국(Hwang, Dong-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성격유형에 따라서 어떠한 원예활동과 원예식물을 선호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8년 9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동안 전주에 소재한 초등학교 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 검사와 원예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에니어그램 성격 검사에서는 학생들의 성격을 9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원예 선호도 검사에서는 원예활동과 원예식물의 선호도를 복수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SPSS를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 고, 초등학생의 성격유형과 원예식물의 선호도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활동 선호도 조사에서 1, 2, 3, 4, 6, 8유형은 꾸미기 활동을 가장 선호하였고, 5, 7, 9유형은 가꾸기 활동을 가장 선호하였다. 반면, 학교정원과 수목원 등을 활용한 식물 감상하기는 공통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식물 가꾸기에서는 대부분 유형이 실내에서 화분을 가꾸는 것을 선호하였고, 식물 꾸미 기에서는 수경재배, 테라리움, 토피어리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물 감상하기에 서는 국립공원과 수목원, 공원의 선호도가 비슷하였는데, 학교정원의 선호도는 모든 유형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꽃의 색에서는 9유형을 제외한 모든 유형이 흰색을 선호하였고, 꽃의 향기에서는 모든 유형이 과일 향기를 가장 선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horticultural plants are prefer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For this purpose, 2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for 5 days from September 10th to 14th, 2018 were subjected to enneagram personality test and horticulture preference test. In the enneagram personality test, students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9 types. In the horticulture preference test,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preferences of horticultural plants were selected as multiple response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reference of horticultural plants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horticultural activity survey, 1, 2, 3, 4, 6, 8 types preferred the decorating activities and 5, 7 and 9 types preferred the plant rais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observing plants using school garden and arboretum showed a low preference in common.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to plant plants in indoor pots, and preferred hydroponics, terrarium, and topiary in plant decorating. Third, preference of national parks, arboretums and parks were similar in viewing plants, and school preferences were lower in all types. Third, all types except for 9 were preferred to white in flower color, and all types preferred fruit flavor in flower scent.

      • KCI등재

        디지털영상 기반 저비용 선과시스템 개발

        구민정(Min-Jeong Koo),황동국(Dong-Kuk Hwang),이우람(Woo-Ram Lee),김재홍(Jae-Hong Kim),서정만(Jeong-Man Se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3 No.6

        과일의 품질은 여러가지 파라미터에 의해 측정되며,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선과시스템은 회전 드럼식 방식이 사용되며 크기 등급을 선별할 때 과실의 손상이 발생된다. 또한, 당도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광검출기는 고가의 선별장비 비용을 초래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과일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3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였으며, 과일 선별을 위해부피와숙성도정보를사용하므로당도 자체는 측정할 수없지만색상과파손의정보를검출할수있으므로 고해상도의 디지털영상이 필요치 않아 저렴한 비용으로 선과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 인간의 시각판단과 비교하여 샘플을 분류한 결과 약 96.7%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The quality of the fruits is measured by a lot of parameters. The grader of the fruits to measure the size of them is using the rotation drum method. Therefore when we classify the size of the fruits, they will be damaged. Also the optical grader used for estimating the degree of the saccharinity will incur high cost for it. In the proposed system, to se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uits, three cameras are used. Becaus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volume and the degree of the maturity is used to classify the fruits, the degree of the saccharinity can't be estimated itself, but the information such as the color and the damage of the fruits can be estimated. Therefore, because we don't need the digital image with high resolution, we can develop the grader system of the fruit with low cos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e compared it with the sight estimation and then we classified the sample. The result shows the accuracy of 96.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