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음의 사각지역 및 음상의 경제적 개선방안 연구

        고은지,이현수,이경량,김성권,Ko, Eun-Ji,Lee, Hyun-Soo,Lee, Kyung-Ryang,Kim, Seong-Kwe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6 No.5

        본 논문에서는 대형 교회를 제외한 대부분의 교회가 협소한 공간에 많은 청중을 수용하고자 발코니 층을 설치하여 음의 사각지역 및 음상 정위가 어긋난 지역이 발생하는 문제를 경제적 관점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음의 사각지역 및 음상의 개선하는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교회에 대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 툴로 경제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Mapp online으로 사용하였으며, 서브 스피커의 추가 설치 및 메인 스피커 대비 서브 스피커의 -10 dB 이득조절로 명료도를 실측값과 비교한 결과 약 52% 상승하여 명료도가 "보통"에서 "아주 좋음" 단계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most of the church except for a large church has accommodated many audience to install a balcony floor in a small space. therefore, dead zone and dislocated sound image localization is made due to this under-balcony seats. This paper propose that the problems of dead zone and dislocated sound image localization could be solved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the view of practical side. The economical computer simulation tool, Mapp online that can be found easily was used to the specified church. Installation a sub speaker for dead zone and -10 dB power control of the sub speaker to main speaker power for dislocated sound image localization was proposed. Computer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value of definition for area was improved from "Normal" to "Very Good" which means about 52% improvement.

      • KCI등재

        사용자 캘리브레이션이 필요 없는 시선 추적 모델 연구

        고은지,김명준,Ko, Eun-Ji,Kim, Myoung-J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5

        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간접시선추적 시스템에서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동공에 반사된 조명의 위치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안구의 크기나 머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는 변수가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정의된 상수로 계산에 포함되어 있어 오차를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적외선 조명을 사용하면서도, 사용자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반사각에 의한 글린트(glint)위치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하면서, 시스템의 모델과 시선 계산은 단순하게 하여 실시간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In remote gaze tracking system using infra-red LEDs, calibrating the position of reflected light is essential for computing pupil position in captured image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reducing errors because variable locations of head and unknown radius of cornea are involved in the calibration process as constants. This study purposes a gaze tracking method based on pupil-corneal reflection that does not require user-calibration. Our goal is to eliminate the correction process of glint positions, which require a prior calibration, so that the gaze calculation is simplified.

      • KCI등재

        시선 추적 시스템에서의 호모그래피를 이용한 글린트 복원 알고리즘

        고은지,김명준,Ko, Eun-Ji,Kim, Myoung-J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10

        간접 시선 추적 시스템은 적외선 조명을 각막에 반사시켜 그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에서 시선을 계산한다. 적외선 조명이 각막에 반사되어 이미지에 나타난 점을 글린트라고 한다. 최근 간접 추적 시스템은 머리의 움직임에 민감하지 않고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개의 적외선 조명, 즉 여러개의 글린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험 도중 글린트의 일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해당 프레임에서는 시선 계산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적외선 조명을 사용하는 시선 추적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유실되거나 인식이 어려운 글린트의 모습을 살펴본 후, 인식이 가능한 나머지 글린트 위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글린트의 위치를 복원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 시선 추적 시 유효한 이미지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 시키고, 복원 단계에서 글린트의 위치 변형 모델을 이용하여 글린트의 왜곡 또한 보정하여 시선 추적 결과의 오차도 줄일 수 있다. Remote gaze tracking system calculates the gaze from captured images that reflect infra-red LEDs in cornea. Glint is the point that reflect infra-red LEDs to cornea. Recently, remote gaze tracking system uses a number of IR-LEDs to make the system less prone to head movement and eliminate calibration procedure. However, in some cases, some of glints are unable to spot.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gaze. This study examines patterns of glints that are difficult to detect in remote gaze tracking system. Afterward, we propose an algorithm to reconstruct positions of missing glints that are difficult to detect using other detected glints. Based on this algorithm, we increased the number of valid image frames in gaze tracking experiments, and reduce errors of gaze tracking results by correcting glint's distortion in the reconstruction phase.

      • KCI등재
      • KCI등재

        공극률과 건조율을 이용한 다공질 사암의 투과도 추정방법 제안

        고은지 ( Eun Ji Ko ),김진후 ( Jin Hoo Kim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4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7 No.3

        투과도는 다공질 암석 내에서 유체의 유동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매개변수로서 일반적으로 코어 시료의 유체유동실험을 통해 산출된다. 하지만, 유체 유동실험을 위해서는 별도의 실험장치가 필요하며, 투과도가 낮을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투과도 측정 실험 없이 시료의 건조과정만으로 투과도를 도출하기 위해 유체투과도, 공극률, 건조율간의 상관관게를 분석하였다. 공극률은 표면건조 포화시료를 건조시키면서 무게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건조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건조율은 물 포화율에 따른 시료의 무게 변화율로부터 구했다. 70 ~ 670 mD의 투과도를 보이는 6개의 베레아 사암을 이용해 회귀분석한 결과 공극률 및 건조율로부터 다공성사암의 투과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식을 도출하였다. As the permeability is an important parameter to characterize the ease with which a porous medium transmits fluids, it is usually obtained by fluid flow experiment using core samples. In order to measure the permeability, however, an experimental apparatus is required and it might take long measurement time, especially for tight sample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meability and porosity as well as drying rate has been investigated to predict the permeability without a series of measuring experiments. Porosity is measured by drying monitoring method, which measures weight variation continuously while drying surface-dried saturated sample, and drying rate is obtained from weight variation ratio with respect to the water saturation. The total of 6 Berea sandstone samples, which have a permeability range of 70 to670 mD, were used in this work, and a new and empirical equation which could predict permeability of porous sandstone by using porosity and drying rate were obtain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닥지 고해과정에 따른 먹 번짐 효과에 관한 연구

        고은지(Ko, Eun-Ji) 동서미술문화학회 2019 미술문화연구 Vol.15 No.15

        본 연구는 닥지 제조방법을 통한 표현 효과에 대한 방법 연구이다. 닥지의 제조과정 중에서 고해과정을 변용하여 닥섬유 길이에 따른 먹 번짐 특성을 연구하고 회화에서 표현 도구로 사용되는 닥지와 먹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세 가지 방법으로 제작된 닥지는 ‘두들닥지’, ‘두들손가위닥지’, ‘손가위닥지’이다. 제작된 닥지는 네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1.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으로 표면 관찰을 하였다. 2. 물리적 특성은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파악하였다. 3. 광학적 특성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한다. 4. 회화적 특성은 먹물을 이용하여 실험하고 고찰하였다. 닥나무의 백피를 두드리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 ‘두들닥지’는 섬유의 길이가 길고 섬유의 방향에 따라 먹물이 불규칙하게 번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가위로 백피를 절단한 닥섬유와 고해 과정을 거친 닥섬유를 배합하여 제조한 ‘두들손가위닥지’는 먹물이 전체적으로 원형을 유지하지만, 최종적으로 도달한 부분은 섬유의 방향에 따라 거칠게 번지는 특성을 보인다. 닥섬유 길이가 짧은 ‘손가위닥지’는 번짐이 원형을 유지하면서 곱게 번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술가는 닥지 제조방법을 응용해서 기법과 먹의 운용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가치관이나 의도에 부합한 작품을 구현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The present study is a method study concerning the expressive effects connected to mulberry paper production methods. The study aimed at examining ink smear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mulberry fiber length by alternating the refining stages during the mulberry paper production process thereby undertaking an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ve tools of painting, namely, mulberry paper and ink. The three mulberry papers produc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are ‘Dudeul mulberry paper’, ‘DudeulSon-gawi mulberry paper’, and ‘Son-gawi mulberry paper’. The surface of the mulberry paper produced was observ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in order to understand its morphological properties; its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to determine its physical properties; a spectrophotometer was used to determine its optical characteristics;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ink to determine its pictorial characteristics. Produced through a process of beating the white bast of the paper mulberry, ‘Dudeul mulberry paper’ has longer fiber length, with the ink irregularly smear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fiber. ‘DudeulSon-gawi mulberry paper’, on the other hand, which is produced through a mix of mulberry fibers with their white bast cut with scissors and rough mulberry fibers which have gone through a refining process, allows the ink to maintain its original shape as a whole but ultimately causes it to roughly smear along the direction of the fiber at the brush’s end point. Lastly, ‘Son-gawi mulberry paper’, with its short mulberry fiber length, allows the ink to smear smoothly while maintaining its original shape. Thus, the artist is able to realize an artwork that reflects his or her values or intentions through the use of the brush and techniques which utilize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mulberry paper.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초 시가의 새로운 소통 매체 출현과 그 의미 -신문, 잡가집 그리고 유성기음반을 중심으로-

        고은지 ( Eun Ji Ko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5

        전통적으로 필사본 가집에 의해 소통되던 고전 시가 장르는 20세기에 유입된 새로운 인쇄 기술 및 음향 녹음 기술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신문과 잡가집, 유성기 음반이라는 새로운 소통매체를 가지게 된다. 잡가집을 제외한 신문과 유성기 음반의 체제는 노랫말들은 모아 놓고 있는 가집의 일반적인 형태와 다르지만, 여기에는 수많은 고전 시가 텍스트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가집의 대상을 ``연창(演唱)``을 위한 노랫말들을 모아 엮어 놓은 대본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을 고전 시가 텍스트를 기록하고 있는 매체로까지 확대하여, 신문이나 유성기 음반 역시도 가집에 포함시켰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20세기에도 중단 없이 진행되고 있었던 고전 시가사의 성장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20세기 고전 시가의 성장의 원인을 가창물, 즉 ``가요``로서 그것이 가지고 있었던 대중적 인기에서 찾아보았다. 일반적으로 ``유성기의 황금시대``, 즉 1930년대에는 ``유행가``의 성장에 압도되어 전통 음악이 밀려 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성기 음반의 실체는 1930년대 한국 가창 문화계의 현장을 ``유행가 시대``로 규정내릴 수 없을 정도로, 전통 양식 즉 고전 시가 장르들의 대중적 지지 기반 역시 만만치 않았음을 말해 주고 있었다. 따라서 유성기 음반은 20세기 고전 시가의 새로운 소통 매체로, 이를 통해 고전 시가사의 흐름이 20세기 이르러 경험한 변모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Classical poetry genres, which were traditionally communicated through collections of poetry on a manuscript, through new printing technologies and sound recording technologies introduced in the 20th century discovered new communication mediums such as the newspaper, jabgajib and phonograph records. Except jabgajib, newspaper and phonograph record systems differ from the customary structure of gajib (collection of poems), which is basically a group of lyrics.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classical poetry texts recorded in it. Accordingly, in this paper, lyrics for ``yeonchang (performing songs), which are the subject of gajib, represents the traditional concept of a collection of lyrics, as well as a medium that records classical poetry texts. Newspapers and phonograph records were all included in the gajib. In result, this paper was able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classical poetries that continued to progress without disruption in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compositions, or in other words gayo (songs, ballads)`` were the cause for the development of 20th century classical poetry, and its mass popularity was also examined. However in actuality, the phonograph records of Korean song cultures in the 1930s had such a strong popular support base of traditional forms (or simply put, classical poetry), that it could not be defined within the bounds of a ``popular song era``.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phonograph records were crucial as a new communication medium for classical poetry in the 20th century and that it is important in the fact that it provides the opportunity to observe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classical poetry flow during the 20th century through phonograph record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