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빅토리아조 성 담론 패러디와 비극적 사랑이야기 : 소설 『무명의 주드』와 영화 〈주드〉 비교 A Comparison between Hardy's Jude the Obscure and Winterbottom's Jude

        高英蘭 水原大學校 2004 論文集 Vol.22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omas Hardy's Jude the Obscure and its film adaptation, Jude, in terms of themes and methods used for the effective presentation of theme. Through it, this paper illuminates genre makes a difference in setting up a theme and presenting it. Hardy's Jude the Obscure is a parody on Victorian sex/gender discourse which includes gender dichotomy and bi-polar views of women. Hardy subverts Victorian sex/gender discourse which is generally accepted among contemporaries including Jude and narrator, by keeping his distance from the narrator as well as from Jude. Hardy implies that Sue's psychological problem results from the unconscious internalization of conventional ideology. For a parody, Hardy uses allegory as well as unnatural and absurd elements. Its film adaptation, Jude directed by Michael Winterbottom, focuses upon the tragic love story of Jude and Sue to cater to the modern taste of spectators. It highlights the sexual attractiveness of Sue to satisfy the voyeuristic pleasure of modern spectators. Sue's psychological conflict, which persuasively presents the woman problem of Victorian society in Hardy's novel, is not apparent. The film uses 'montage' which juxtaposes tragic, dismal scenes and happy, bright scenes. It enables spectators to keep distance from a tragic story and thereby be relieved from excessive despair.

      • KCI등재

        『세켄 무스메 가타기(世間娘氣質)』속 여성상의 의의

        고영란 韓國日本語文學會 2008 日本語文學 Vol.39 No.-

        井原西鶴死後、西鶴の浮世草子の流れを汲む京都の書肆八文字屋には代表作家がいた。江島其蹟がその一人で、彼は氣質物で一世を風靡した。筆者は以前、其蹟の氣質物第二作である『世間娘氣質』の成立過程考察を通じてその文章と構成は其蹟の氣質物第一作『世間子息氣質』と西鶴の『本朝二十不孝』を踏襲·再檎成し、敎訓性より遊戱性に重みを置いている点を確認した。引き續き本稿では『世間娘氣質』の女性像を通じて作品の主題を察してみたい。これを通じて『世間娘氣質』の有する浮世草子としての意義を確認することが出來ると思われるからである。『世間娘氣質』の女性像の分析結果、惡女類型は『本朝二十不孝』のそれに比して親の過保議、家族や夫の過度の愛情により形成されたと考えられた。この惡女類型と共に『世間娘氣質』には成長過程や身分により奇行を行う類型、知惠を動かせる夫により奇行を修正される類型、對比される類型、運命的な出來事を經驗する類型等、類型人物が意圖的に連續して登場することが確認できた。つまり『世間娘氣質』にはその序文にあるように、單に女性としての貞節、婦人としての道理という倫理意識を有しない女性だけが描かれているのではなかった。女性達が惡行、奇行を行うようになる過程から見られる親、夫の多樣な姿、成長過程や身分、周邊の人物像等、女性を取り卷く人間關係と社會像が反映されていると言える。したがって『世間娘氣質』の女性像は決して寫實的とは言えないまでも、その姿は十分當時の女性が經驗する人間關係と社會像を反映していると思われる。また『世間娘氣質』の女性達の『氣質』と言っても一言て定義できないように、女性を取り卷く當時の多樣な不條理が作中に描かれ、『世間娘氣質』は報道性のある作品であると言えるのである。このため、『世間娘氣質』の女性像が作品の遊戱的性格のためだけに設定されているのではないと言えよう。最後に『本朝二十不孝』の女性像が生來有していた性格が描かれた反面、『世間娘氣質』の女性像は生來有していた性格と共に女性の性格と行動樣式を決定する周圍の多樣な樣相が描かれていたという側面から、『世間娘氣質』に至り浮世草子の人物描寫が一層多角化された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

      • KCI등재

        翻訳されるレイプと男性セクシュアリティ ― 大島渚『絞死刑』と大城立裕『カクテル・パーティー』のあいだから ─

        高榮蘭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6

        오시로 다쓰히로의 『칵테일 파티』(1967)와 오시마 나기사의 <교사형>(1968)을 나란히 놓고 분석하는 것은 상당히 복잡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같은 시기, 같은 문 화 권력에 의해 높이 평가된 두 작품을 ‘강간’과 ‘재현—번역’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보면 소설의 강간 표상을 통해 영화의 강간 표상을 비판적으로 재 해석할 수 있는 단초들이 부각된다. <교사형>에서 나타나는 재현, 즉 번역행위는 ‘히노마루’를 매개로 여성(의 나체)의 횡령, 남성의 동성애, 근친상간, 나아가 민족의 불가시화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남성(주로 일본인)들에게 면죄부가 주어지게 된다. 한편 『칵테일 파티』가 발표되던 1967년은 조국복귀운동이 한창이던 시기, 즉 일본을 외치는 운동이 끓어오르던 시기였다. 그러나 『칵테일 파티』는 중국에서 망명한 중국 인 변호사를 등장시켜 구 일본 제국(오키나와 포함)의 전시 성폭력과 미군정 하의 군사 성폭력을 겹쳐서 보여준다. 이처럼 오키나와(인)를 통해 피해와 가해가 뒤섞인 양의적 구도를 개입시켜 본토와의 관계를 드러내는 것은 R이라는 기호를 매개로 일 본인과 조선인 남성에게 면죄부를 부여한 <교사형>의 히노마루와는 확연히 다른 것 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두 작품을 역사화해온 일본의 사상사와 문화사를 다시 묻고자 한다. A comparison of Oshiro Tatsuhiro’s novel ’Cocktail Party’ (1967) and Oshima Nagisa’s film ‘Death by Hanging’ (1968) is quite challenging because the two works belong to two different art-forms, a novel and a film, having different grammars. Both received high acclaim around the same time and from the same kind of cultural authorit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se two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re-enactment / translation of ’rape’. Such analysis is expected to allow us to critically reconsider the representation of rape in the film from the representation of rape in the novel. In the re-enactment / translation in ’Death by Hanging’, the Japanese flag was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erasure of ethnicity, male homosexuality, incest, and appropriation of the (nude) female occurred. The events are thus reconstructed from a male-centric perspective, and men, especially Japanese men, were excused for their crimes. On the other hand, ’The Cocktail Party’ was published in 1967 during the height of the reversion movement. That is, it was written at a time when the movement to reestablish ties with Japan was very active. However, ‘The Cocktail Party’ features a Chinese lawyer who has fled from China, thus overlapping the wartime sexual violence of the former Japanese empire (including Okinawa) and the military sexual violence of the U.S. By leaving the status of Okinawa(n)’s as victims/perpetrators ambiguous, the relationship with the mainland that has been portrayed in this novel is quite different than that seen in the ’Death by Hanging’, where the Japanese and Korean men were excused for their crimes.

      • KCI등재

        팬데믹(Pandemic) 시대의 일본고전문학 교육의 가능성 시론(試論) -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

        고영란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4 No.-

        本研究は、パンデミック時代に当り、大学の教科目である<日本古典文学史>をリアルタイムのオンライン授業として計画、実践したものを分析し、これを省察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リアルタイムのオンライン授業は非対面であるため、一見非効果的であるかも知れないが、逆説的に時空間的制約を乗り越え、オンライン上の教育技術(edu-tech)及びチーム活動を通じて、学習者の主導的、社会文化的認知学習を誘導することが出来た。また、日本大学所属の教授の特別講義を通して、日本古典文学に関する学習者自らの理解度を客観的に省察する時間を確保することも出来た。さらに、この授業では、チーム活動による日本と韓国の古典の比較により、日本文学に関する比較を試み、日本古典文学をより立体的に理解できたと思われる。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n the education about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Pandemic era through the real time on-line education. Thus we planned the real time on-line <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 class with lecture, special lecture from Japan, and the group activity. In the group activity, students could get the sociocultural cognition initiatively. Then, through the special lecture, students could think about their understanding on the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Finally, they could get the comparative point of view on the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group activity.

      • KCI등재

        18세기 우키요조시(浮世草子)로 보는 도시 상공인의 양상과 윤리(2) - 『쇼아킨도 세타이카타기(諸商人世帯形気)』를 중심으로 -

        고영란 일본어문학회 2020 일본어문학 Vol.88 No.-

        The ethics of merchants in towns, as described in Ukiyozoushi, written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converges on the notion of frugality. In the present study, I explore the image of merchant portrayed in Shoakindo Setaikatagi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ethic underlying it. My analysis reveals that the traditional notions of honesty, diligence, “frugality,” and the like are considered valuable properties for merchants in Shoakindo Setaikatagi. On the other hand, “frugality” alone does not make merchants rich, and the story depicts those who tell a lie, resort to a fraud, and so on for their business. This indicates that a more extended version of the ethical concept is described in Shoakindo Setaikatagi than in Toseimimochi Dangi, but it would not be reasonable to assume that this contradicts the consciousness of ethics in Confucianism. As can be seen in its title and its theme, the focus of this literary work is on “diverse dispositions of various merchants.” This feature of the work reflects the nature of public novels for merchant class people, which lays emphasis upon various dispositions of merchants. In other words, the work, I argue, focuses on commercial profits and the styles of merchants’ life, rather than the Confucian ethic.

      • KCI등재

        에도(江戸) 시대 일본 소생담 시론(試論)─ 조선 후기 소생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고영란 한국일본학회 2022 日本學報 Vol.- No.130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literary imagination on revival recognition in Korea and Japan. To this end, this thesis analyzed the revival stories written during the Edo era in Japan comparing with the revival stories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era in Korea after the Imjin War. Suggyong Nangzajeon, Eou Yadam, Chonggu Yadam which were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era showed the progress and background of the revival stories at that time. It means that the Korean society did not have the realistic concern but metaphysical concern over the revival stories very much. However, there were still the Taoist revival stories, such as Ibongbinjeon. This showed that there were still metaphysical concerns over the revival stories. The revival stories written before the Edo era were similar to those of Korea because of similar cultural background. However, there were certain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revival stories. The Japanese during the Edo era thought that ordinary person’s revival was negative, whereas that of the upper class was positive. Furthermore, the Japanese revival stories from the Edo era showed medical interest on the revival. This means that the Japanese at that time had less concern over Buddihst revival stories, but the stories were realistic and the revival was real. 본 연구에서는 임란 이후의 한국과 일본에서의 소생담을 통해, 소생과 관련된 당대의 문학적 상상력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 후기의 <숙영낭자전>과 『어우야담』, 『청구야담』 속 소생담은 기존의 소생담보다 소생의 과정과 그 배경을 상세히 묘사하였다는 측면에서 사실적 소생 그 자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하겠다. 역설적으로 동일한 조선 후기의 <이봉빈전>의 소생담은 여전히 도교적이라고 할 수 있었고, 나아가 소생의 과정이나 배경에 관한 자세한 묘사가 확인되지 않는 바, 조선 후기 소생담 중에는 사실적인 소생 그 자체가 묘사되기 보다는 여전히 문학적 상상력이 발휘된 일화도 공존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도시대 이전의 일본 문학작품 속 소생담은 신비한 약으로써 소생하는 무교적, 혹은 도교적인 성격의 것과 불교적 인과응보담의 것으로서, 일본 소생담과 관련된 믿음과 상상력은 한반도에서의 그것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에도시대 일본 소생담의 특징은 어느 정도 불교적 인과응보와 무관하지는 않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소생의 사실적 소생의 원리나 기제에 보다 큰 관심을 두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흐름은 조선 후기 소생담에서도 일정 정도 확인되지만, 조선 후기 소생담에서는 의학적 관점이 묘사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에도시대 일본 사회가 사실적 소생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에도시대 일본 소생담은 생사에 대해 보다 사실적인 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하고, 역설적으로 동시기의 조선의 경우는 사실적이지는 않지만 형이상학적인 소생을 꿈꿨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 KCI등재

        한일 여성괴담 속 사회상 연구 - 현대 영화를 중심으로 -

        고영란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1

        본 연구는 <장화홍련전>과 <가사네 괴담>의 영화화를 통해 그 사회적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영화 <장화홍련전>과 <괴담 가사네의 연못>은 긍정적인 남성상, 즉 여성을 보호하고 이해하는 부성을 부각시키기도 했었지만, 최근의 영화인 <장화, 홍련>과 <괴담>에서는 ‘우유부단하고 무책임한 아버지’, ‘극단적으로 나약한 남성’으로서 그 부성은 부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근세기 한일 양국의 여성괴담 속 여성의 불행이 공통적으로 부성 부재라는 측면에서 묘사되었던 사실이 현대 영화를 통해 부정된 바 있으나, 근래에 다시 부성 부재라는 문제에 한일 여성괴담 영화가 착목하고 있음을 알리는 지점이다. 과거 한일 여성 괴담에서 여성은 아버지의 우유부단함과 무책임, 남성의 일그러진 욕망 등에서 비롯되는 부성 부재 때문에 불행해지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이와 같은 전통은 최근의 영화를 통해 또 다시 계승되고 있고, 한일 양국에서 공통적이라는 점에서 그 사회적 의의가 있다. 즉 현재 한일 양국 사회의 공통 관심사는 ‘부성 부재가 야기하는 여성의 불행’인 것이다. 한편 고전장화홍련전에서는 계모가 절대적 ‘악’이었다면, 최근 한국 영화에서는 계모와 같은 또 다른 여성이 ‘악’의 표상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전의 고전 <가사네 괴담>에서 요에몬이 성과 재물에 대한 욕망의 절대적 축이었다면, 최근 일본 영화 속 남성은 욕망의 주체가 아닌 욕망의 객체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한일 여성괴담 전개의 전통 계승과 변화 양상은 여성의 불행은 부성 부재에 의한다는 불변의 사회 인식을 반영하면서도 현대에 여성의 불행에 또 다른 여성이 개입하지 않는다는 점, 남성은 더 이상 욕망의 주체가 아니라 객체가 될 수 있다는 변화된 사회 인식 또한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examining the social meaning of Female ghost story such as <Changhwa Hongryeon Jeon> and <Kasane Kaidan>, and the Film related to <Changhwa Hongryeon Jeon> and <Kasane Kaidan>. Film <Changhwa Hongryeon Jeon> and <Kaidan Kasanega Huchi> show the positive mele characters, but the film <Changhwa, Hongryeon> and <Kaidan>, those made recently, show negative male characters who is lack of decision or responsibility as a father, or weak extremely as a man so he finally lose his sense. Thus we can see the female's unhappiness caused by lack of fatherhood in <Changhwa Hongryeon Jeon> and <Kasane Kaidan> written in the past and recent film. And we can name the lack of fatherhood is the tradition or the social recognition in female ghost story written in the past and recent film. In other hand, <Changhwa Hongryeon Jeon> and <Kasane Kaidan> written in the past and recent film show that the female is no longer a devil, nor the male is a person who goes after a desire. This is the point those recent film <Changhwa Hongryeon Jeon> and <Kasane Kaidan> show, that means the change of social recognition in Korea and Japan recently.

      • KCI등재

        『곤탄 이로아소비 후토코로 오토코(魂胆色遊懐男)』에 관한 일고찰

        고영란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0 일본사상 Vol.0 No.19

        본 연구는『후토코로 오토코』의 주인공 마메에몬의 모티브에 대한 연구의 미진함에 의문을 느껴 시작한 것이다. 또한 그 주제의식에 대한 고찰이 전무하다는 점에 의구심을 느껴 시작한 것이기도 하다. 출판 후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은『후토코로 오토코』의 주인공 마메에몬은 소인 모티브와 빙의 모티브로써 조형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 두 가지 모티브는 돌연의 창조적인 것이라고 하기 보다는 잇슨보시 소인 모티브,『화상기연』의 소인 모티브,『겐지모노가타리』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은『게이세에 이로쟈미센』의 빙의 모티브의 영향 하에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이처럼『후토코로 오토코』의 주인공 마메에몬의 모티브가 성공적일 수 있었던 것은 다름 아닌, 독자의 의식 속에 이미 전제되어 있는 설화 및 고전과 외국 작품, 가깝게는 기세키 스스로의 데뷔작에 힘입은 것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인기작품을 출판해야만 했던 당시의 기세키에게『후토코로 오토코』의 성공은 보장되어야만 했고, 이에 인기를 보장받을 수 없는 독창적인 모티브보다는 독자에게 널리 수용되는 안정적인 모티브 이용이라는 집필 방법에 이르게 되었던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소인 모티브와 빙의 모티브의 독창성을 강조하며 이후의 작품에 대한 영향력 위주로 연구가 된 반면, 내용 면에서 성교 묘사의 외설스러움, 노골성 등 때문에 본 작품을 춘본에 가까운 작품으로 인식한 탓인지, 그 주제의식에 대한 고찰이 전무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후토코로 오토코』는 마메에몬을 통해 여성이 정욕을 표출할 수밖에 없는 불행한 인간사, 남녀의 정욕 묘사를 통한 골계미 및 반전의 재미, 남녀의 정욕을 매개로 한 인간의 재물욕 등을 묘사하였다고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후토코로 오토코』는 단순한 성교 묘사에 치중한 작품이라기보다는 인간의 정욕을 매개로 한 다양한 인간사 또한 주제의식으로 담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올바른 평가일 것이다. 이상을 통해 데뷔 이후 한참 동안 샤미센물로 인기를 구가하던 기세키가 다시 한 번『후토코로 오토코』라는 호색물로서 성공작을 이루어내게 된 배경을 확인하였고, 이에『후토코로 오토코』에 대한 평가는 재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