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国人学習者のための日本語教育文法モデルの開発研究 - 「副詞」のケーススタディを中心に -

        申媛善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4 No.-

        본고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위한 일본어교육문법 모델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그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일본어 문법항목 중 '부사'의 경우를 일례로 들어, 동연구가 목표로 삼는 일본어교육문법의 모델은 무엇인지를 부분적으로 밝힌다. 구체적으로는 1)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부사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2)일본어와 한국어의 의미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부사를 중심으로 양 언어의 부사의 의미론, 통어론, 그리고 연어(collocation)적 접근방식으로 기술하는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일본어 교육문법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일본에서 먼저 제창되어, 현재도 일본어능력시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일본 국내에서 각 언어별 학습자로부터의 시점, 즉 각 모어와의 대조연구를 바탕으로 한 일본어교육문법의 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일본의 이러한 교수법의 변화는 무엇보다 유럽의 CEFR로부터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된다. 한국의 일본어교육계에서도 이러한 일본 및 유럽의 변화에 반응하여 일본어교육 문법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어떠한 문법 항목을 대상으로, 어떠한 교육 모델이 도입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후속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제로 일본어교육문법 도입의 필요성이 주창된 지 약 20여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것은 각 문법범주별로 일본어교육문법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 생각된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개발 작업을 일종의 장기 연구 프로젝트로 삼아 해당 분야별 연구자와 공동 연구를 통해 수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가 그 공동 연구 시작의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The current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model of Japanese pedagogical grammar for Korean learners. In particular, the case of adverbs is taken as an example to demonstrate the model of such grammar.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use of Japanese adverbs by Korean learners, focusing on adverbs whose semantic domains do not match between Japanese and Korean, and analyzing the semantics, syntax, and collocation of adverbs in both languages. In fact, previous studies in Korean and Japan agree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Japanese pedagogical grammar. However, there has been almost no follow-up research on what kind of educational model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the learner's mother tongue. Therefore, this study partly introduces the model of developing such grammar for Korean learners through Japanese adverbs. It is hoped that this will serve as a fuse for the beginning of research on developing a model of the aforementioned grammar.

      • KCI등재

        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Eメ一ルに おける依賴行動 -日韓兩言語話者との比較を通して-

        李善姬,金周衍 한국일본어문학회 2016 日本語文學 Vol.69 No.-

        본 논문에서는 일본어모어화자, 한국어모어화자,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이메일에 나타난 의뢰행동(request)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일본어모어화자와 한국어모어화자가 지도교수에게 교환유학에 필요한 추천서를 의뢰하기 위하여 작성한 이메일을 담화구조와 의미공식의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양 언어화자가 작성한 의뢰의 이메일은 <건명>, <개시부>, <전개부>, <종료부>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의미공식의 사용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일본어로 작성한 추천서 의뢰메일을 일본어모어화자의 이메일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가 작성한 추천서 의뢰메일에는 일본어모어화자가 사용하지 않은 의미공식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requests that appeared in the e-mails of native Japanese speakers, 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of Japanese. First, e-mails written by the two groups of native speakers were compared in which their advisor was asked for a recommendation letter required for a student exchange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discourse structure and semantic formula. The result was that the written e-mails of both groups had similarities in that they were composed of a title, an opening, a main and a closing part. However, there was a huge difference in the usage of semantic formula. Next, e-mails written in Japanese by the Korean learners in which a recommendation paper was requeste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Japanese speake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orme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cluded many semantic formulas that were not used by the latter.

      • KCI등재

        日本語と韓國語の動物關連のことわざ對照硏究

        金昌男 한국일본어문학회 2018 日本語文學 Vol.79 No.-

        본고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속담사전에 수록된 동물을 소재로 한 속담에 대해 고찰하고 양 언어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첫째는 사전에 수록된 전체속담 중에 동물과 관련된 속담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본어는 18.91%인데 비해, 한국어는 30.99%로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12.08% 더 많이 나타났다.둘째는 종류별로 보면, 양 언어 모두 ‘포유류’와 관련된 속담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조류’와 관련된 것이 많이 나타났으며, 포유류와 조류를 합하면 일본어는 74.87%인데 비해, 한국어는 75.70%로 양 언어가 비슷하게 나타났다.셋째는 동물별로 보면, 일본어는 ‘馬’와 관련된 용례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犬, 鳥, 虎, 魚, 牛, 猫, 鼠’의 순으로 나타난데 비해, 한국어는 ‘개(犬)’와 관련된 용례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호랑이(虎), 소(牛), 말(馬), 쥐(鼠), 물고기(魚), 닭(鷄), 고양이(猫)’의 순으로 나타났다.넷째는 동물 관련 속담 중에 양 언어 모두에 나타난 동물 속담은 총 66종이고, 일본어에만 나타난 동물 속담은 30종인데 비해 한국어에만 나타난 속담은 76종으로,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다양한 동물의 속담이 나타났다. 앞으로 이번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면서 양 언어의 동물 관련 속담의 의미 분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compared the two languages based on the animal proverbs recorded in the proverb dictionary. So, the following was revealed.Firstly, the percentage of animals' proverbs among the total number of dictionary records is 18.91% for Japanese and 30.99% for Korean, and more for Korean than for Japanese.Second, by type, "Mammals" are the most common in both languages, and then "Birds".Thirdly, the number of proverbs by animal is the largest in Japanese, "Horses", whereas in Korean is "Dogs" most.Finally, there are 66 animal proverbs appearing in both languages, and only Japanese appears in 30 species, and only 76 in Korean languages appear. Korean is appearing more than Japanese.

      • KCI등재

        談話における相づちの機能に關する硏究 -日韓の接觸場面を中心にして-

        朴成泰 한국일본어문학회 2018 日本語文學 Vol.78 No.-

        본고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담화 마커의 하나인 "맞장구"의 분석을 통해서 한일 양 언어의 맞장구의 기능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모어화자 간 및 이문화간 접촉 상황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두 언어의 맞장구 기능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우선 맞장구 기능의 빈도에서는 한일 모두 "듣고 있다"가 가장 높았고"그 다음으로 "이해하고 있다" "동의 표현" "부정 표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 표출"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맞장구의 기능의 빈도에 관한 주요 특징은 동일 문화 내의 모어화자 간 담화에서는 한국어 모어화자에 비해서 일본어 모어 화자가 높았다. 이러한 현상은 일본어의 담화의 특징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문화간 접촉 장면에서 일본어모어화자에 의한 일본어 발화에서 빈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 한국어 모어화자에 의한 일본어의 발화에서도 빈도가 증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 것은 일본어의 담화 스타일이 발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ze and clarify the function of back-channel in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Back-channel is one of the discourse markers of both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Specifically, I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back-channel functions using data gathered from Japa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and from an intercultural contact sit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listening" is the topmost function of back-channel between Japa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and considering the intercultural contact situation of both Japanese and Korean speakers,, followed by "understanding," "expression of consent," and "negative expression," in that order. "Expressing emotion" is the lowest function.The most notable attribute regarding the frequency of back-channel is that Japanese speakers use it more frequently in native speakers’ discourse in the same culture, as compared to Korean speakers. This seems to be one of the features of Japanese discourse. Second, in the intercultural contact situation, an increase in frequency is observed in Japanese utterances by Japanese native speakers. Additionally, the frequency of Japanese utterances by Korean native speakers tended to increase. This is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the discourse style of Japanese speakers.

      • KCI등재

        韓國のビジネス日本語敎材にみられる 不自然な表現

        趙南星,舩橋瑞貴 한국일본어문학회 2019 日本語文學 Vol.81 No.-

        본고에서는 한국의 비즈니스일본어 교재에 나타나는 부자연스러운 표현에 대해서 조사했다. 본고에서의 비즈니스일본어 교재란 한국에서 발행된 교재이고, 부자연스러운 표현이란 문맥상 적당하지 않은 표현으로 판단된 것이다. 교재에서 부자연스러운 표현은 교수자의 문제이지만, 학습자에게는 좀더 틀리기 쉬운 오용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들은 중점적이고 우선적으로 지도할 항목으로 생각된다. 교재 작성, 교육에서 주의할 항목임은 새삼 더 말할 필요도 없다.본고에서는 2007-2014년 한국 내에서 발행된 비즈니스일본어 교재 10권을 대상으로, 한국 내외의 일본어교사(일본어모어화자) 10명의 용인성 판단을 바탕으로 검토한 결과, 교재 7권에서 41개의 부자연스러운 표현을 추출했다. 그 결과 비즈니스일본어 교재에서의 부자연스러운 표현은 어휘 관련 표현(25개)이 문법 관련 표현(16개)보다 많이 나타났다. 어휘 관련 표현은 명사, 동사 등, 문법 관련 표현은 모달리티(-ノダ、ネ/ヨ등), 아스펙트(-テイル) 등의 부자연스러운 표현이 많았다.이상, 명사, 동사 관련 표현, 모달리티(-ノダ、ネ/ヨ등), 아스펙트(-テイル) 관련 표현의 부자연스러운 표현은, 비즈니스일본어 교재 작성 및 교육에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게다가 비즈니스 장면에 한정되지 않는 부자연스러운 표현도 다수 나타나기 때문에, 종합적인 일본어를 교육함에 있어서도 폭넓게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unnatural expressions found in Korean-made Japanese business textbooks. The “Korean-made Japanese business textbook” described in this paper refers to a textbook published in Korea, and “unnatural expression” refers to an inappropriate expression in a contextual perspective. Unnatural expressions in the textbook that come from the teaching side, however, are perceived as a misuse of the learning side. Therefore, this content should be prioritized.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a crucial point that needs to be emphasized when writing textbooks as well as when educating students.Ten Japanese teachers in Korea (native Japanese speakers) assessed the acceptability of 10 Japanese business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from 2007 to 2014; a total of 41 unnatural expressions were observed in seven textbook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25 expressive vocabulary items and 16 grammatical expressions were found to be unnatural in those Japanese business textbooks. Nouns and verbs were found among the unnatural expressive vocabulary items, and modality (-noda. ne/yo) and aspect (-teiru) were most likely to be unnatural out of grammatical expressions.Nouns and verb-related expressions as well as modality (-noda. ne/yo)- and aspect (-teiru)-related expressions require scrupulous attention when writing Japanese business textbooks and when educating students so as not to appear unnatural. Moreover, many unnatural expressions appeared outside of the business scene;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focused widely in Japanese education overall.

      • KCI등재

        韓?開化期の日本語?育に?する考察 -日本語?習書による日本語?育の成立を中心に-

        黄雲 한국일본어문학회 2017 日本語文學 Vol.72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근대 일본어 교육의 시작이라는 관점에서 개화기의 일본어 교육에 대해 고찰하였다.근대 한국의 일본어 교육기관에서의 일본어 교육은 관립주도에 의해 수도권에서 시작되었으며, 오카쿠라 요시사부로라고 하는 일본인 초대교관의 초빙등 일본측의 역할이 많았지만 그 학습은 한국인의 선택에 의한 것이었다.그러나 한국 개화기의 일본어 학습서에 의한 일본어 교육은, 일본인에 의해 작성되어 한국인에게 학습된 점은 교육기관과 그 성격이 같지만, 그 성립에 있어서는 교육 기관과 달리 개항지에서 민간인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또한 개항지와 근대화라고 하는 교육 배경을 생각해 보면, 한국 개화기의 일본어 교육은 실용적 목적에 의해 필연적으로 생겨났다고 보여진다. The mechanism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began in the capital based on leadership from government officials, and while there was much involvement on the Japanese side, such as the first principal Okakura, engaging in study was the choice of Koreans. Conversely, whil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were similar in character to the Japanese Language School, in that they were produced by Japanese and studied by Koreans, they were produced at the direction of private citizens, and they began in the open port cities.Also, considering the background of modernization and open ports,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t the time was born out of necessity because of practical concerns.

      • KCI등재

        韓国人中級日本語学習者のEメールに 見られる断りのストラテジー - 日本語母語話者との比較を通して-

        曺英南 한국일본어문학회 2020 日本語文學 Vol.87 No.-

        본 연구는 한국인 중급일본어학습자와 일본어모어화자가 교원에게 보내는 이메일에 나타난 거절 전략을 습득수준별과 사용빈도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메일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밝혔다. 먼저 일본어능력에 따른 집단 간의 발화를 살펴본 결과 ‘거절발화’와 ‘거절이유’에서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거절발화’는 일본어모어화자에 비해 중급일본어학습자가 명시적인 사용이 소극적이어서 유의차를 유발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거절이유’는 일본어모어화자 보다 일본어 학습자에서 많이 사용되고 구체적인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거절 시에 의뢰자가 받는 부담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배려발화’ 중 하나인 ‘거절에 대한 아쉬운 마음’은 일본어학습자보다 일본어모어화자에서 많이 사용되고, ‘의뢰자의 체면이나 입장을 세워주는 배려발화’ 중 하나인 ‘선생님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과 ‘제안’은 일본어모어화자 보다 일본어학습자에서 많이 사용된 점이 특징적이다. 이상으로 일본어학습자의 특징으로 제시된 거절 전략은 모어로의 화용론적 전이에서 작용한 것이라 볼 수 있고, 향후 일본어학습자의 모어조사를 통해서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everal refusal expressions appear on E-mails by comparing these written by Korean students in intermediate level Japanese language and which of Japanese native speakers. Notable statistical difference surfaced on “Refusal utterance” and “Reason of refusal” amongst the groups of different acquisition level. Korean students are more reluctant to use “Refusal utterance” in an explicit way when compared to native Japanese speakers, however they have a tendency to repeat “Reason of refusal” in details within a same E-mail which Japanese native speakers almost never do. Also, native Japanese speakers express their feelings of apology (a part of “Attentive utterance”) more often than Korean students, while Korean students are eager to express their favorable feelings and suggest alternatives (a part of “Compassion utterance”) to the teacher whose request they have to refuse.

      • KCI등재

        日本語と韓国語の重なりの機能に関する研究 -接触場面を中心として-

        朴成泰 한국일본어문학회 2020 日本語文學 Vol.86 No.-

        본 연구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자연발화 데이터를 이용한 중복 기능에 관한 한일 대조분석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어 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일본어 또는 한국어로 발화한 발화 자료 즉, 대면발화 및 비대면 발화 데이터를 토대로 중복 기능의 실태를 조사하고 χ<sup>2</sup>검정에 의한 상관성 분석을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전체적인 경향으로는 일본어모국어화자와 한국어모국어화자가 각각 모국어를 사용하여 발화한 경우, 중복의 기능이 유사한 경향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일본어 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모국어 화자 모두 모국어 화자끼리의 장면이나 이문화간 접촉장면에서 '도중'의 빈도가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너무 빠름'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서 일본어 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한일 접촉 장면에서 외국어로 발화한 경우도 모국어 화자끼리의 경우와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대면발화 및 비대면 발화를 관찰하면 대면발화가 중복 기능의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일본어 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사용언어를 불문하고, 비대면 발화보다 대면 발화에서 중복의 기능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s a Japanese-Korean contrast analysis of overlapping functions using Japanese and Korean natural utterance data. Specifically, based on the utterance materials uttered by Japa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Japanese or Korean, that is, the face-to-face utterance and non-face-to-face utterance data, the actual state of the overlapping function was investigated watching subjects speak, and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for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general tendency, when Japa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uttered in their native languages, it became clear that overlapping functions tended to be simila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both Japa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had the highest frequency “Tochu (on the way)” in situations where the native speakers were in contact within each either others of the same culture or during intercultural contact, followed by “Hayasugi (too early)” was done. Then, when Japa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uttered in a foreign language in intercultural context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people, the same tendency as that between native speakers was observed. When observing face-to-face utterances and non-face-to-face utterances, it was confirmed that face-to-face utterances had a higher frequency of overlapping functions. That is, it was revealed that both Japa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have a higher frequency of overlapping functions in face-to-face utterances than in face-to-face utterances, regardless of the used language.

      • KCI등재

        「~すぎる」と「~すぎ」について-韓國語譯との對照硏究-

        李忠奎 한국일본어문학회 2018 日本語文學 Vol.79 No.-

        일본어다운 일본어, 한국어다운 한국어를 습득하는 것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하나의 중요한 목표가 될 것이다.본 연구는「~すぎる」와「~すぎ」의 형태적 특징 및 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각각의 형태에 대응하는 한국어와의 대조를 통하여 양 언어 사이에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힌 것이다. 핵심적인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1)일본어는 동사 어간 형태로 문장을 종결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한국어는 동사 어간 형태로 문장을 종결할 수 없다. (時代劇の見すぎ!→*시대극 너무 보!→시대극 너무 봤네!)2)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도) ~도 너무 ~」와 같은 문형은 직역 형태의 일본어로는 대응되지 않고 적절한 형태로 의역할 필요가 있다. (해도 해도 너무 하네→*してもしてもしすぎるよ→あまりといえばあんまりだ)3)양 언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각각의 고유한 표현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목표 언어의 유창한 구사 능력을 위해 필요하다.4)양 언어에서 1대1로 대응되지 않는 표현들을 선정하여, 그 대응관계를 정리하는 작업은 일본어교육·한국어교육을 위해 필요한 금후의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To achieve native-like fluency in Japanese and Korean is one of the important goals for both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features and uses of ‘~sugiru’ and ‘~sugi’ in Japanese, and (2)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rough comparisons with the Korean equivalents to each form of Japanes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i) Japanese sentences can end up with verb stem, while Korean can not. (e.g. 時代劇の見すぎ!(zidaigekino misugi!)→*시대극 너무 보!(sidaegeug neo-mu bo!)→시대극 너무 봤네!(sidaegeug neo-mu bwassne!))(ⅱ) There is a colloquial expression Koreans frequently use such as "(~도) ~도 너무~((~do) ~do neomu ~)" which means no matter how much. However its literal translation to Japanese fails to make a sense. (e.g. 해도 해도 너무 하네(haedo haedo meomu hane)→*してもしてもしすぎるよ(sitemo sitemo sisugiruyo)→あまりといえばあんまりだ(amaritoieba anmarida))(ⅲ) Accurate understanding of high-frequency expressions is important for language learners to achieve native-like fluency in target language.(ⅳ) For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make lists of untranslatable idiomatic expressions in Japanese and Korean and to clarify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s between them.

      • KCI등재

        日韓接?場面におけるあいづちの分析

        朴成泰 한국일본어문학회 2017 日本語文學 Vol.74 No.-

        본 연구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대면 및 비대면(전화 회화) 자연 발화 데이터를 수집하여 한국어모어화자와 일본어모어화자의 동일문화 및 이문화간 접촉 장면에서 나타나는 맞장구의 종류와 빈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먼저, 맞장구의 종류를 살펴보면, 일본어는 한국어 비해 종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맞장구의 빈도에서도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한일 접촉 장면에서의 일본어 담화의 경우, 한국어 모어화자는 모어인 한국어보다 오히려 일본어 담화에서 맞장구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한편 일본어 모어화자의 한국어 담화의 경우, 한국어 모어화자 보다 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전화 회화의 경우, 접촉 장면, 사용 언어, 모어 등과 관계없이 대면 대화 보다 맞장구 빈도가 높은 것이 명확해졌다. The study examined the responses of JPN and JSL experts in JPN and Korean languages by collecting naturally created data dur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ontact situations. Furthermor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both Korean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to examine enthusiastic agreement in discourse in different cultural meetings.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iscourse of Japanese and Korean speakers, the frequency of using enthusiastic agreement in Japanese tended to be higher than in Korean. Second, in the Korea-Japan discourse, Korean speakers showed higher frequency of using enthusiastic agreement when speaking Japanese than when speaking Korean.Meanwhile, Japanese speaker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using enthusiastic agreement when speaking Korean than Korean native speakers. Finally,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meetings such as in a telephone conversation, both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showed higher usage of enthusiastic agreement than in face-to-face contact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