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과 특별보충과정 이수학생들의 행동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고미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 현장에서 교수 방법과 기술이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학습 부진 학생들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2001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에 적용된 7차 교육과정 에서는 이들을 위한 교육적 배려로 특별보충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특별보충과정 편성·운영 목적은 현 단계에서 학습 결손을 보이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의 경우 부진한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학습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으로 선수학습의 부진이 다음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큰 수학 교과의 특성상 하위 단계의 학습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이수학생들의 행동특성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특별보충과정 이수자가 일반학생들에 비해서 학업에 대한 자신감, 적극성, 미래 지향성 등이 여전히 부족하다. 그러나 기초·기본 학습 내용과 개별화 학습에 중심을 둔 특별보충과정 학습을 통해서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었다. 나. 특별보충과정 이수자중에서·시험 성적이 나쁘면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87%를 차지하고 있다. 특별보충과정 학습을 통하여 결손 된 학습 내용을 보충함으로써 성취동기가 긍정적으로 변하고 이로 인하여 꾸준히 노력함으로써 학력이 향상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줄 수 있다. 다. 특별보충과정 이수자들은 정규수업시간에 학습하는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다보니 수업시간에 공상이나 잡념이 떠오르는 경우가 많아 학습 결손이 누적되었다. 그러나 기초·기본 학습 내용과 개별·협력 학습에 중점을 둔 특별보충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의 학습 상태를 확인 함으로써 학습 결손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라. 특별보충과정이 개별·협력 학습 중심으로 운영되어 선생님과의 유대관계가 돈독해지고 학습에 임하는 자세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마. 특별보충과정 이수자들이 일반학생들에 비해서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도가 여전히 낮다. 그러나 특별보충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학습 결손의 누적을 최소화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도 길러 줄 수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볼 때 특별보충과정 이수자들의 행동특성의 변화는 성적의 변화보다 큰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특별보충과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생들의 학습 결손상태와 그들의 수준을 고려한 학습 자료의 활용으로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장기적으로 볼 때 태도의 변화가 성적의 향상으로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7차 교육과정의 특별보충과정을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가. 특별보충과정의 학습자료는 더욱 면밀히 고려되어야 하고 학생들의 학습태도 향상을 고려한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나. 학기초에 진단·형성평가를 활성화하여 특별보충과정 대상자가 덜 생기도록 교사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다. 특별보충과정 대상자들의 학습습관, 태도, 수학 교과의 학습 방법 등에 대한 지도가 함께 이루어져야 효과적이다.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of stage and level education course, the goal of this survey is to analyse the participators' behavior trait changes at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In order to realize the goal of this survey, I set up the following survey contents. First, to check the responses of participators about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Second, to analyse the participators' behavior trait changes such as self-consciousness ,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habit at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These are the results of this survey. First, compared to normal students, the participators of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were still lack of confidence, activeness, future prospectiveness about learning. But, to some degree they could recover their confidence of learning through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centered with basic, standard and individual education. Second, among participators of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 87% of students thought‘if we have a poor score, because we didn't study harder.’Through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we can give them a good condition to improve their learning changing with positive achievement motivation by supplementing their learning deficiency. Third, as the more participators of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did not understand in a math class by having some fantacy and idle thoughts, the more learning deficiency was loaded. but through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centered with basic, standard and individual cooperation education, it helped to minimize the learning deficiency. Fourth, as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is centered with the individual and cooperational education, the students can have a good relation with a tacher and change their attitude positively. Fifth, compared to other normal students, the participators of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had little interests in math. But joining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we could help to minimize the learning deficiency. Cause this, we could give students some interests and confidence about math. Considering this, with the view of long period the participators' behavior trait changes of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means much more than the change of the math score.

      • 흰쥐 뇌에서 속후각겉질 손상 후 해마로 투사하는 콜린성 및 도파민성 신경로의 변화에 관한 연구

        고미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Pseudorabies 바이러스 (PRV)의 Bartha stain은 여러 바이러스 중에서 시냅스를 건너는 추적자로 흰쥐에서 말초기관 (peripheral organs)과 뇌 (brain)에 주입한 후 다단계 시냅스 회로를 분석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해마 (hippocampus)의 역할은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며, 속후각겉질 (entorhinalcortex)은 새겉질 (neocortex)과 해마구성체 (hippocampal formation)을 연결하는 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속후각겉질 손상은 Alzheimer's disease(AD) 모델로서 해마부위에서 신경손상으로 인한 새로운 섬유들의 sprouting에 관여하는 신경화학적 특징을 연구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첫째, 해마로 PRV를 주입한 후 횐쥐 뇌 내에서의 해마의 신경로, 콜린성 또는 도파민성 신경로를 구축하였다. 둘째, 속후각겉질 손상후에 PRV를 주입한 후 해마로 투사되는 해마의 신경로, 콜린성 또는 도파민성 뉴론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동물로서는 무게가 200-350g 정도의 Sprague-Dawley 계통의 암·수를 사용하였다 속후각겉질의 손상을 위한 뇌정위수술기구의 좌표는 외측으로부터 10˚ 각도를 준 후 bregma를 기준으로 위로 8.3mm (AP-8.3mm), 정중선을 기준하여 옆으로 4.8mm (ML-4.8mm), dura matter에서 6mm (DV 6mm)과 4mm (DV 4mm), 다시 정중선에서 옆으로 4.3mm (ML-4.3mm), dura matter에서 5mm (DV Smm), 그리고 bregma를 기준으로 위로 8.8mm (AP-8.8mm), 정중선을 기준으로 옆으로 3.65mm (ML-3.65mm), dura matter에서 5mm (DV 5mm) 각각 네 곳에 우측 속후각겉질을 파괴하였다. 전기적 손상은 1mA 의 음전류를 26-gage의 stainless-steel electrode를 이용하여 전기를 45초 동안 실시하였다. 정상 흰쥐와 속후각겉질 손상 후 10일, 30일에서 뇌정위수술기구에서 10㎕ 헤밀턴 주사기를 이용 (0.05㎕/min)하여 PRV 3㎕를 해마부위에 주입하였다. 흰쥐에 감염된 후 4% PLP (paraformaldehyde-lysine-periodate)를 사용하여 관류 고정하고 뇌를 적출하였다. PRV 양성신경세포는 1차 항체 rabbit anti-PRV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속후각겉질 손상 후 이중형광염색은 같은 뇌조직에서 PRV와 ChAT (choline acetyltransferase) 양성 신경세포 (rabbit anti-PRV, FITC conjugated donkey-anti rabbit IgG; goat anti-ChAT, TRITC conjugated donkey-anti goat IgG), PRV와 TH (tyrosine hydroxylase) 양성 신경세포 (rabbit anti-PRV, FITC conjugated donkey-anti rabbit IgG, mouse anti-TH, TRITC conjugated donkey-anti mouse IgG)를 신경전달물질의 효소로서 확실한 콜린성, 도파민성 신경세포관찰에 이용하였다. 모든 고정된 조직들은 면역조직화학염색 또는 이중형광염색을 통하여 광학, 형광, 공초점 레이져 스캔닝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콜린아세틸 전이효소와 티로신 가수분해효소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PRV의 역방향 표지는 흰쥐의 해마구성체로 투사하는 중추신경계의 콜린성,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구축하는데 사용되었다. ChAT와 PRV, TH와 PRV의 이중형광염색된 신경세포들은 뇌줄기에서 대뇌의 속후각겉질에 이르기까지 몇 개의 다른 핵들이 분포되었다. 정상 흰쥐에서 해마로 투사되는 해마의 신경로, 콜린성 또는 도파민성 신경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속후각겉질 손상후에 해마로 투사하는 콜린성 및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형태학적 변화가 조사되었다. 이런 자료들은 속후각겉질의 손상이 뇌 내에서 시냅스를 통과하는 방법에서 해마로 투사되는 해마의 신경로와 콜린성, 도파민성 신경세포들의 형태학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The Bartha strain of pseudorabies virus (PRV) is one of several viruses frequently used for transsynaptic tracing, and has been widely employed for analysis of multisynaptic circuitry following injection into peripheral organs and brain of rats. The role of the hippocampus was involved in learning and memory functions and the entorhinal cortex plays a crucial role as a gateway connecting the neocortex and hippocampal formation. Entorhinal cortex lesions have been employed in numerous studies seeking to neurochemically characterize the processes governing the sprouting of new fibers in denervated hippocampal regions as the Alzheimer's disease model.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ippocampus pathway, the cholinergic or dopaminergic pathway in the normal rat brain after PRV injection into the hippocampus. The second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hippocampal cholinergic or dopaminergic innervations by using the PRV injection into the hippocampus after entorhinal cortex lesions.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carried out with adult male and fe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50-350g. In the normal or ECL rats, 3㎕ of PRV were injected into hippocampus, using a 10㎕ hamilton syringe (0.05㎕/min) with the stereotaxic instrument. Stereotaxic instrument coordinates for the entorhinal cortex lesion were placed 10˚ outward from the bregma: AP (anteroposterior) 8.3mm, ML (medial line) 4.8mm, and DV (dorsoventral) 4mm and 6mm from the dura matter, ML 4.3mm, DV 5mm from the dura matter, and AP 8.8mm, ML 3.65mm, DV 5mm from the dura matter. Electrolytic lesions were made by passing a 1mA cathodic current through a 26-gauge stainless-steel electrode for 45 seconds. After the PRV infected rats were perfused with 4% paraformaldehyde-lysine-periodate and the brains were removed. PRV-positive neurons were identified by immunohistochemistry employing rabbit anti-PRV as a primary antibody. Double immunofluorescent staining after ECL were employed for visualization of both the PRV and the choline acetyltransferase, and the PRV and tyrosine hydroxylase as neurotransmitter enzymes and definitive markers for cholinergic, and dopaminergic neurons. All tissues were evaluated by light, fluorescent microscope,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The hippocampal pathway, the cholinergic or dopaminergic pathway were identified in the normal rats. The double labelled neurons (ChAT and PRV, TH and PRV) were distributed at several different nuclei from the brainstem to the entorhinal cortex of the cerebrum. The morphological changes were be observed in the hippocampal cholinergic or dopaminergic innervation after entorhinal cortex lesions.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hippocampal cholinergic and dopaminergic innervation showed morphological changes throughout the whole brain areas after ECL.

      • Cu첨가에 따른 n형 Bi-Te계 열전소재의 열전성능 변화 거동 연구

        고미희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Bi-Te계 열전소재는 상온영역(200-400K)에서 우수한 열전성능을 나타내며 오랜 시간 동안 유용한 열전소재로써 연구되어 왔다. 현재 Bi-Te계 열전소재는 소형/고밀도 냉각 및 정밀온도 제어를 위한 제품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범용냉각 및 저온 열전발전 등으로의 응용확대를 위해서는 성능증대가 요구된다. p형 Bi2-xSbxTe3계 소재의 경우 나노구조화 등의 전략에 의한 격자열전도도 저감으로 고성능의 소재가 개발되고 있으나, n형 Bi2Te3-ySey계 소재의 경우 열전성능의 결정이방성 문제로 나노구조화 소재에서도 zone melting으로 제조한 ingot 대비 높은 성능 구현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Bi-Te계 열전소재의 열전성능 및 재현성을 증대를 위해 n형 Bi-Te계 다결정소재의 경우 재현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므로 기존에 많은 연구에서 그 해결 방안으로 Cu를 첨가하여 열전성능의 증대와 동시에 결함 제어에 의한 재현성 증대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형 Bi2Te3-ySey계 열전소재의 성능증대를 목적으로 Cu를 첨가한 조성에 대해 소재 합성 공정에 따른 상 형성 거동 및 이에 따른 열전특성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성 및 공정에 의한 상 형성 거동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Cu를 과량 첨가한 조성인 CuxBi2Te2.7Se0.3과 Bi자리에 Cu가 치환된 조성인 CuxBi2-xTe2.7Se0.3 (x=0.1, 0.3, 0.5) 원료합금을 각각 box furnace와 rocking furnace를 이용하여 용융-응고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Box furnace를 이용하여 제조한 원료합금은 Cu0.1Bi1.9Te2.7Se0.3를 제외한 모든 조성에서 Cu-Te 및 Cu-Se의 2차상이 형성되었다. 반면, rocking furnace를 이용하여 제조한 원료합금은 모든 조성에서 단일상이 형성되어 box furnace와 비교하여 단일상 합성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Rocking furnace와 spark plasma sintering 공정으로 제조한 Cu 과량 첨가 조성과 Bi 자리에 치환 조성 소결체에 대한 열전특성을 평가한 결과, 전기전도 특성 향상으로 Cu 과량 첨가 조성이 더 높은 power factor 값을 나타내었다. Cu 첨가량 최적화를 위해 CuxBi2Te2.7Se0.3 (x=0.01, 0.03, 0.05) 조성의 소재를 제조하고 열전특성을 평가하였다. Cu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는 증가하였으며 제백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첨가한 Cu 중 일부가 van der Waals 결합 위치로 intercalation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u0.01Bi2Te2.7Se0.3 조성에서 3.78mWm-1K-2의 최대 power factor가 300K에서 구현되었으며, 최대 ZT=1.05의 높은 열전성능을 나타내었다. Bismuth telluride (Bi2Te3) based alloys (p-type Bi2-xSbxTe3 and n-type Bi2Te3-ySey) are effective thermoelectric materials near room temperature (200–400K). They are widely used for small-scale and high-density cooling, and precise temperature control applications; however, a broad range of applications including power generation from low-grade heat and domestic refrigeration remain constrained due to the insufficient therm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p-type Bi2-xSbxTe3 alloys have been remarkably enhanced due to the reduction of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through various nanostructuring approaches. However, for n-type Bi2Te3-ySey alloys, the ZT values of nanostructured materials were rather lower than that of the zone melting ingot owing to severe anisotropicity in thermoelectric transport proper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hase transformation behavior of Cu-doped Bi2Te3-ySey alloys with processing parameters and their thermoelectric properties. In order to clarify the phase formation behavior by composition and process, starting alloys of CuxBi2Te2.7Se0.3 (excess Cu) and CuxBi2-xTe2.7Se0.3 (Bi-site substitution, x=0.1, 0.3, 0.5) were fabricated by melt-solidification process both using box furnace and rocking furnace. For the starting alloys fabricated by box furnace, the secondary alloy of Cu-Te and Cu-Se was formed in all compositions except Cu0.1Bi1.9Te2.7Se0.3. Whereas the starting alloys prepared by rocking furnace were found to form a single phase, suggesting the melt-solidification process by rocking furnace is more effective for the fabrication of high purity Bi-Te-based alloys. The power factor of Cu excess samples fabricated by using rocking furnace and spark plasma sintering were higher that those of Cu substituted ones due to the enhanced electronic transport properties. For the optimization of the Cu content, CuxBi2Te2.7Se0.3 (x=0.01, 0.03, 0.05) samples were prepared and their thermoelectric properties were evaluated. As the amount of Cu added increas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creased and the whitening coefficient decreased, suggesting that some of the added Cu intercalated to the van der Waals bonding sites. In the composition Cu0.01Bi2Te2.7Se0.3, the maximum power factor of 3.78mWm-1K-2 was obtained at 300K and showed the highest thermoelectric figure merit ZT=1.05.

      • 음악 감상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지도방안 연구

        고미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음악과 연계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필요성에 비해 그 사례와 모 델이 미비하기 때문에 향후 지도 방안 마련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의 음악회 감상 실태와 의견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음악과 연계한 「창의적 체험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 음악회를 활용한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제주시 지역 중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음악회에 대한 경험과 인지도,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효과적인 지도방안 모색을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도입, 강화된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해 이해하고, 음악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음악회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지도안 작성을 위해 음악회의 교육적 의 의 및 수업매체로서의 장점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청소년들의 음악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고, 음악회 감 상 경험에 대한 문항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음악회 감상 경험이 있으나 ‘뮤지컬’ 과 ‘대중음악’ 장르를 감상한 것에 그쳐 편향된 양상을 보였다. 그 외 음악회 감 상을 위한 청소년들의 의견을 조사하는 문항에서는 적당한 비용과 음악회 감상 시간, 사전지식 및 음악회 도중 설명에 대한 요구, 청소년을 위한 음악회의 필요 성, 음악회 감상 시 학생 개개인의 감상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 수 있었다. 음악과 연계한 「창의적 체험활동」자료 수집 및 분석을 한 결과 그 사례가 부족하고 지도안이 타 교과목과 달리 미흡하였다. 그리고 설문 결과에 따라 수업 매체로서 음악회 활용의 가능성과 이를 「창의적 체험활동」에 적용하기 위한 청소년들의 구체적인 의견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 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음악 감상을 활용한 지도 방법뿐만 아니라 가창, 기악, 창작, 생활화 영역에서도 다양한 지도 방법과 활성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그 리고 「창의적 체험활동」‘자율영역’ 외에도 ‘동아리·봉사·진로영역’과 음악을 연 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체험을 통한 음악교육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와 제주도내 음악인들의 노력은 물론 지역사회가 연계된 음악을 활용한 지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기에 음악을 향유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ctivate teaching methods hereafter because there are few cases and models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 s」related to music subject compared to their necessiti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distribu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 result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and opinions of teenager appreciating music concerts, The researcher also suggested the teaching plan utilizing music concerts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to activate those related to music. The researcher surveyed 200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area about teenagers' experiences, awareness and opinions toward music concerts, understoo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introduced and enhanced since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o fi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looked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education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 researcher also looked into the educational value and the advantages for lesson material of music concerts to write the teaching plan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utilizing music concerts.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that teenagers were positive about music subject and many students experienced music concerts but it was only concentrated on the genres such as musicals and popular music concerts. Moreover, the researcher was able to know proper expense and time for music concerts, needs of prior knowledge and explanation during the concerts, necessities of music concerts for teenagers, individual manners during the concert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in the question asking opinions of teenagers about appreciating music concerts. In the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material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connected to music, there were fewer cases and teaching plans compared to other subjec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researcher checked ou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music concerts as a lesson material and the specific ideas of teenagers to apply them to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and designed a teaching plan based on the ideas from the survey.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activation plans are needed not only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and teaching methods utilizing music concerts, but also in the area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habituation of music. Besides the autonomic area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e program that connects club · volunteer · career area with music has to be developed to vitalize the music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For these to be happened, teachers and musicians in Jeju must make their efforts to find teaching methods utilizing community-based music activities. Lastly, the researcher looks forward to various studies on teenagers enjoying music in adolescence.

      • 장애아동의 치아우식경험과 구강위생상태에 관한 조사

        고미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동, 뇌성마비아동, 자폐아동의 치아우식경험과 구강위생상태를 알아보기 위한것으로, 3개의 특수학교(정신지체특수학교, 지체장애특수학교, 정서장애특수학교)에 재학중인 8-13세의 99명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장애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한 결론과 선행연구에 비추어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형별 치아우식경험을 조사한 결과 장애유형별로 치아우식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간 평균의 차이는 나타났다. 치아우식경험의 평균은 정신지체아동집단이 4.70, 뇌성마비아동집단이 4.58, 자폐아동집단이 3.67으로 정신지체아동집단이 가장 심한 치아우식경험을 나타냈고, 자폐아동집단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아우식경험은 유치우식경험과 영구치우식경험 두 가지를 보는 것으로 유치우식경험에서의 집단간 차이, 영구치우식경험에서의 집단간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유치우식경험에서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신지체아동집단이 4.50, 뇌성마비아동집단이 4.38, 자폐아동집단이 4.45로 정신지체아동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뇌성마비아동집단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영구치우식경험도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신지체아동집단이 2.47, 뇌성마비아동집단이 2.81, 자폐아동집단이 2.13, 뇌성마비아동집단이 가장 높고, 자폐아동집단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형별 구강위생상태를 조사한 결과 장애유형별로 구강위생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유형별 평균을 비교해 보면 정신지체아동집단이 32.30, 뇌성마비아동집단이 35.00, 자폐아동집단이 27.79로 뇌성마비아동이 구강위생상태가 가장 좋지 않으며, 그 다음으로 정신지체아동, 그리고 자폐아동의 구강위생상태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위생상태는 구강위생관리능력과 유두변연부착치은염 두 가지를 보는 것으로 구강위생관리능력에서 집단간 차이, 유두변연부착치은염에서의 집단간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구강위생관리능력에서는 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구강위생관리능력의 차이에 대해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LSD)을 한 결과 뇌성마비아동과 자폐아동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아동집단은 22.70, 뇌성마비아동집단은 24.55, 자폐아동집단은 21.48로 뇌성마비아동에서 구강관리가 가장 안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정신지체아동, 자폐아동 순으로 나타났다. 유두변연부착치은염에서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신지체아동은 9.61, 뇌성마비아동은 10.45, 자폐아동은 6.30, 으로 뇌성마비아동이 유두변연부착치은염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정신지체아동, 자폐아동순으로 자폐아동이 가장 유두변연부착치은염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추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장애유형별 치아우식경험은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길라(1991)의 장애유형별 치아우식경험에서 정신지체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뇌성마비군과 자폐군에서 정신지체군보다는 낮은 수치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Swallow(1969)는 자폐인에서 치아우식증이 많을 것으로 예측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자폐인 보호자들이 사회적 지위가 높아 구강위생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자폐인과 정상인의 치아우식증이 비슷하게 나타났다(류영덕, 1999, P 168)고 하였는데 이 결과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연구 대상 선정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연구의 대상 선정 시 구강위생관리가 장애의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한 점 때문에 그 결과가 달리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장애유형별 구강위생상태는 어떠한가를 조사한 결과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강위생관리능력에서는 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두변연부착치은염에서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위생관리능력의 차이에 대해서 집단간 차이는 뇌성마비아동과 자폐아동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선행연구에 비추어보면, 구강위생관리를 위한 잇솔질을 하는 능력에 있어서 뇌성마비인이 운동기능 장애로 인해 구강위생관리능력이 불충분하고 이에 따른 치주질환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송정우(2002)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정의태(1988)가 치은염유병자율과 치은염유병부분수를 각 장애유형간에 비교해 본 결과 뇌성마비군이 현저히 높음을 보고한 결과와 일치한다. 한창규·이긍호(1994)의 올바른 잇솔질의 시행이 곤란하고, 충분한 잇솔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주질환의 발생이 높고, 또한 구강내와 구강주위근육간의 불균형으로 부정교합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연구는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뇌성마비가 타 장애보다 구강위생관리 능력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구강위생관리능력검사에 있어서 연구자가 대상자의 검사전 잇솔질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없었다는 점과, 선행연구들이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간의 비교 연구는 상당히 많이 이루어진것에 비해, 각 장애유형간의 비교 선행연구는 많지 안다는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제한점을 갖는다. 또한 장애유형중 자폐아동을 대상으로한 관련 연구가 특히 부족함에 따라 앞으로 많은 연구가 있어야 된다고 본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장애유형별로 공통적으로 치과 질환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며 치과질환이 발생하면 치료받는 것이 비장애아동에 비해 많은 인력과 시간과 경제적 부담과 노력이 요구됨에 따라, 근본적인 대책으로 예방차원의 구강관리능력향상과 예방적 처치가 중요하며, 기대효과도 크다고 본다. 장애아동의 개별적 지도목표에 따른 잇솔질 교육을 시행하며, 잇솔질 교육이 불가능한 중증의 장애아동은 가족으로 구성된 Home care(가정관리)와 전문가로 구성된 Professional care(전문가관리)를 받도록 하며, 예방처치로 치아우식증발생을 억제하는 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 식이조절등, 정기적으로 치과검진을 통해 정확한 검사가 선행되어야 치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통 3개월 주기로 내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research is on the purpose of examine into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ral Hygien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erebral palsy, and autism. It handled for statistics from 99 students, from 8 to 12 ages of 3 special school(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fficulties, emotional disturbance), looked into regardful differences by trouble types. Following the conclusion. First of all, the conclusion from research of Dental Caries Experience by trouble types, nothing of statistical regardful differences but the averages of Dental Caries Experience revealed 4.7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4.58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3.67 for group of autistic childre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group is severe, autistic children group is few. Dental Caries Experience is composed for dmft and DMFT, compared difference between groups about dmft and DMFT. Nothing of statistical regardful differences on dmft index, 4.5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4.38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4.45 for group of autistic childre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as revealed highest,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as revealed lowest. 2.47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2.81 for group of autistic children, 2.13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DMFT, it revealed highest o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lowest on autistic children. Second of all, the conclusion from research of Oral Hygiene by trouble types, statistically regardful differences were revealed. It shows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s on worst stat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s on next state, autistic children is on best state by compare for averages by trouble types, 32.3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35.00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27.79 for autistic children. Oral Hygiene is composed for PHP and PMA, compared difference between groups about PHP, and PMA. Statistically regardful difference between groups revealed on PHP. It revealed betwe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autistic children by LSD to inquire difference between groups about difference of PHP. 22.7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24.55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21.48 for group of autistic children, worst state on oral car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xt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utistic children. Nothing of statistically regardful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PMA, 9.61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10.45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6.30 for autistic children. PMA is the most frequent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xt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utistic children.

      •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고미희 韓南大學校 學際新學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년기는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들과 부딪치게 되는 장으로 한 사람이 독립된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준비 기이며 아동이 성인이 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도기이다. 이 시기에 청년들은 역할의 변화와 그에 따른 적응문제, 확대된 교우관계, 이성문제, 진로문제, 가치관 문제 등 지금까지 없었던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이러한 시기에 있는 청년들이 부딪치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정체감 혹은 정체감 확립의 문제이다. 청년들이 “나는 누구인가?” “ 나는 무엇에 가치를 두고 있다고 보는가?”라는 물음에 직면하고 있을 때, 이것에 대한 자신있는 확답을 얻지 못하면 정체감의 혼란에 빠지며 심각한 문제의 행동을 일으키게 된다(이형득, 1999). 이런 위기와 갈등속에 있는 일반 청년들의 자아정체감 발달 프로그램의 연구와 그에 따르는 효과는 입증되어 왔지만, 기독 청년들의 자아정체감 발달 프로그램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그나마 연구된 프로그램은 주로 중.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되었고 내용 면에서는 신체적 움직임을 요하는 놀이위주 프로그램이어서 기독 청년들이 신앙 인으로써 하나님과 나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한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목적과 가치를 가지고 타인을 수용하여 나 자신을 어떻게 발달시켜 나가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제한성이 있었다. 대부분의 교회에서는 기독 청년들에 대한 교육이나 자아정체감 발달에 관심을 집중하기보다는 장년 층을 주된 대상으로 강단 중심의 목회에 국한하여 교회 안에 있는 청년들을 소외와 갈등으로 방치해 둠으로써 더욱더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발달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신앙 생활을 하면서 자기정체성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기독 청년들에게 그리스도가 나의 구주 되심을 믿고 신앙 안에서 내가 누군지, 자기존재를 분명히 하여,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하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자신을 더욱 발달시켜 나가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과 프로그램의 실제로 구분하였다. 먼저 기독 청년들이 겪고 있는 갈등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현 상황과 문제점을 개관하고, 이론적으로는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정의, 자아정체감 저해요인, 자아정체감 발달요인, 자아정체감 발달 프로그램 등 네 분야로 구분했다. 프로그램의 실제에서는 발달 프로그램을 10회로 나누어 진행하도록 구성했다. 이론적인 배경에서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주로 가정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가족간의 부족한 의사소통, 학교에서는 학업성적, 사회에서는 또래친구들로부터의 소외감, 교육받지 못한 이성교제, 교회에서는 신앙과 실생활의 불 일치감에서 오는 죄의식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을 돕는 요인으로는 하나님과 나와의 관계에서의 일치성, 신앙과 믿음으로 구속자 하나님을 통해 나의 존재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또한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가정은 서로 많은 대화와 부모의 수용적 태도이며, 학교에서는 성적에 대한 자유함, 사회에서는 공동체 생활, 올바른 이성교제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기독교 성교육 등이다. 따라서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죄의 고백과 용서의 확신, 하나님의 임재경험, 신앙과의 관계에서, 나의 실패를 통한 하나님의 목적알기, 신앙 가치관 정립, 타인을 수용하는 단계로, 역할극을 통한 가족수용(가정), 공동체를 통한 신뢰감 형성(사회), 성경으로 본 친구이해(학교), 거울 속에서 만난 나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기 등과 같은 내용이 발달시키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프로그램의 틀은 10단계로 구성되어 시작단계(1회), 죄의 고백과 용서의 확신(2회), 하나님의 임재 경험(3회), 나의 실패를 통한 하나님의 목적 알기(4회), 신앙 가치관 정립(5회), 역할극을 통한 가족수용(6회), 공동체를 통한 신뢰감 형성(7회), 성경으로 본 친구이해(8회), 거울 속에서 만난 나(9회), 마무리의 단계(10회)로 구성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