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이용실태 조사

        고등영 ( Deung Yong Go ),박경옥 ( Kyoung Ock Park ),육주혜 ( Ju Hye Yook ),유재연 ( Jae Yean Y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정보통신보조기기 보조기기 이용 현황 및 정보통신 보조기기 사용에 대한 인식 및 관련 정보 전달 방법 및 지원 확대 품목에 대한 실제적인 요구를 파악하여, 좀더 체계적인 정보통신보조기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보급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정보통신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2002년과 2004년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장애유형별 정보통신 보조기기 및 특수 SW 사용비율에 근거하여 비례 할당하였으며, 미사용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에 등록돼 있는 장애인의 성별, 지역별, 장애유형별, 장애등급별로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하여 전문조사업체를 통해 면접 또는 전화로 설문조사 하였다. 본 조사 결과,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정책에 대한 개선 사항으로 1인당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 확대, 품목의 다양화, 관련 정보 및 교육을 제공하여 일상생활 및 직업 생활에서의 삶의 질에 대해 재고해보는 것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장애인에게 필요한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보급하기 위해 개별적 진단-처방-일상생활 적용을 연계지을 수 있는 실효성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into how the person with disability access and use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and how they realize the importance and the need of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on purpose to produce the basic data and resource for making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ublic policy which was affecting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development and supply of assistive device.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ho accessed and used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were allotted proportionally with the ratio of use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pecialized software by type of their dis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ones, who did not access and use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and who registered on the list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legally, are allotted proportionally with gender, region, type of disability, grade of disability. The group for a survey was formed randomly and interviewed or phoned by a professional survey agency. A survey showed the majority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required a change for the better, such as a various support, a expanding items and numbers of the person who is aided. A lot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strongly agreed that the policy related with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supply needs to be developed, for example, increase of assistive device supply per person, the multiplicity of assistive device items and the service of related information and education.

      • KCI등재

        특수교육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장애유형별 전문가 요구 분석

        육주혜,김성남,금미숙,고등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디지털교과서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실시간 전문가 델파이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25명의 전문가 패널에게 장애유형별로 요구되는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형태, 내용, 범위, 활용, 개발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디지털교과서는 장애유형별로 특정 학생에게 필요한 구체적 기능을 반영하도록 국가적 차원의 개발 표준화 지침을 제정하고 제도화해야 한다. 둘째, 인터넷 기반으로 교육과정 데이터베이스가 공유되면서도 학생 개인별 학습이 가능한 단말기의 활용이 필요하다. 셋째, 시각ᆞ청각ᆞ지체장애 학생이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국어, 수학과 같은 주지과목 순으로 접근성을 부여해야 하고 정신지체ᆞ정서장애ᆞ학습장애 학생에 대해서는 기본 교육과정의 국어, 수학 등 주지과목 순으로 별도 개발하고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기본적인 자료 이외에 관련 멀티미디어 자료를 풍부하게 제공하고 교사 간 자료 공유가 쉽게 이루어지는 웹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민간분야 지원 및 유인 정책이 필요하고 장기적인 투자와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