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중심의 초등과학수업에서 활용이 가능한 학생 사전질문 확보 방안 -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 중심으로 -

        강헌태(Kang HounTae),노석구(Noh Suk-Goo)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2

        학생 사전질문은 교육의 수요자라고 할 수 있는 학생의 관심과 요구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과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활용되어 학생의 과학교과 역량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과학 학습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학생 사전질문이지만 교수 학습 과정에서 활용이 가능한 유의미한 사전질문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과학 학습에 활용이 가능한 학생 사전질문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로 과학교육 전문가와 초등교사를 포함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사전질문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설정한 후, 세 종류의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학습목표, 핵심용어, 학습내용을 포함한 세 종류의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초등 6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각 설문지에 따라 학생 사전질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전질문은 전문가 집단에서 구성한 사전질문 분류 기준에 따라 활용가능 사전질문, 활용불능 사전질문, 무관련 질문, 오개념 질문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집단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설문지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세 종류의 설문지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과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활용 가능성을 살펴 본 결과 핵심용어 설문지의 학생 사전질문이 양적, 질적인 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 중심 과학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교사의 교수 학습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students pre-questions can elucidate their interests and needs. Students are the consumers of education and the science teaching-learning process positively affects their ability to develop scientific competence. As such, students’ pre-questions are important in science learning, but research on how to secure meaningful pre-ques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has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ways to secure pre-questions for students that can be used for elementary science learning. Three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covering learning objectives, key terms, and learning content. The produc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ree sixth-grade classes, and students pre-question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pre-questions were classified into available pre-questions, unavailable pre-questions, unrelated questions, and misconception questions, based on pre-question classification criteria established by an expert group. Students thoughts on the questionnaire were investig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in each group. Through this, three types of questionnair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in the science teaching- learning process, the students’ pre-questions from the key terms questionnaire were found to be the best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On the basis of thi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eachers’ teaching-learning composition when conducting student-centered science classes.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사전질문 분석틀 개발 및 적용

        강헌태 ( Hountae Kang ),노석구 ( Sukgoo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학생의 사전질문은 교사에게 학생의 관심사와 수준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을 반영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는 유용한 수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사전질문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 분석틀을 적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학습 단원과 관련된 학생의 사전질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발된 분석틀은 지식형, 확장형, 호기심형 질문의 3개의 대범주로 구성되며, 각각의 범주에서 다시 몇 개의 하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5, 6학년 학습 단원에서 제시한 학생 사전질문 914개를 분석한 결과, 학년 및 학습 단원, 차시별로 분포하는 질문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질문의 비율에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질문 분석틀을 통해 학습에 대한 학생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도 분석틀이 유의미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ent’s pre-questions (pre-class questions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not only provide the teacher a gauge of the interest and level of the student, but also provide a useful means of providing clues to proceed with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for effectively analyzing students’ pre-questions and to analyze students’ pre-questions related to elementary science learning unit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by applying this framework. The developed framework is composed of three major categories: knowledge type, extended type, and curious type, each of which is then subdivided into several sub-categories. Using the developed analysis framework, 914 pre-questions from the students presented in the 5<sup>th</sup> and 6<sup>th</sup> grades of elementary science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 types of questions distributed by grade. The percentage of questions by type was also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needs for learning can be grasped through the pre-questions analysis framework and reflect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could be presented. It is expected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analysis framework.

      • KCI등재

        2009개정 3~4학년군 과학교육과정과 연계한 체험학습 장소 및 과제형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권혁재,강헌태,권난주,Kwon, HyoekJae,Kang, Hountae,Kwon, Nanjoo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7 초등과학교육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enabl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experiential learning places in order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to students for solve the problem of prejudice to specific places such as science museum, zoo and botanical garden. For this purpose, the surveys were conducted about experiential places and awareness of experiential learning. 88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s a result, they were positive about the use of experiential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but there were responses that a lot of preparations for the progress and efforts were needed. Therefore, i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aterials for experiential learning are given, it is confirmed that the intention of using is increas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experiential sites were categorized into 12 types. We could present basic data that can diversify not only the science museum but also science related experiential places. We developed a learning program related to 'The Liquid and Gas' unit of the third grade, And 'Life unit of Plant' unit of the third $4^{th}$ grad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help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to be activated and student - centered experiential learning to be realized.

      • KCI등재

        초점집단 면담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체험학습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권혁재 ( Hyeokjae Kwon ),강헌태 ( Hountae Kang ),성혜진 ( Hyejin Seong ),전상일 ( Sangil Gen ),권난주 ( Nanjoo Kwon ),신영준 ( Youngjoon Shi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2

        연구의 목적은 과학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학교 현장의 분위기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과학 체험학습의 활동 경험이 풍부한 5명의 초등교사와 초점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체험학습의 운영실태, 과학체험학습의 운영, 계획 수립 및 진행, 평가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예산에 대한 고민을 가장 먼저 꼽았으며,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체험학습을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부담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과학 체험학습시 과학지식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과학교과 전담 교사가 있을 경우 협업의 어려움을 꼽았다. 전체적으로 과학 체험학습의 교육적 효과보다 예산이나 장소, 행정적 편의성 등을 먼저 고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체험학습 주제 선정과 방법, 교육적 기대효과, 고민사항을 확인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and the atmosphere of school fields in depth in the course of conducting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had rich experiences in science field studies. Through interviews, the actual state of experiential learn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including planning, progress and evalu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oper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s were most concerned about budget, and were burdened with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In addition, teachers expressed their lack of expert scientific knowledge with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and difficulties with collaboration with science-specialized teachers. In sum, teachers consider budget, site, and administrative convenience first, rather than effects of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selection of topics, method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problems of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topics, which were difficult to identify in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