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관수행 중에 나타나는 병인(病因)과 치유 -『마하지관』 병환경(病患境)을 중심으로-

        강향임 ( Kang Hyang-im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9 密敎學報 Vol.20 No.-

        불교에서는 수행 중에 나타나는 번뇌를 병으로 파악하고 여기에서 비롯된 苦를 다시 수행을 통해 떨쳐버릴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몸은 사대의 화합에 의해서 생겨난 것으로 지수화풍이 균형을 잃으면 병을 유발시킨다. 이들 사대는 서로 영향을 끼쳐 병이 생기게 되므로 그 원인을 찾아 몸과 호흡과 마음의 세 가지를 다스려야 병을 고칠 수 있다고 하여 수행에 의한 치병론을 펴고 있다. 일찍이 천태대사의 『마하지관』은 불도로 들어가는 지관법문의 한 체계에서 수행 중에 나타나는 장애로서의 병상에 대해 그 원인을 파악하여 모든 병고와 번뇌를 끌어내고 지관으로 치병하는 수행론으로 전개하고 있다는 점을 큰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증상에 따라 다른 호흡법을 사용하여 수많은 질병이 치료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먼저 천태지의 저술의 제 문헌에 나타난 병인과 그 치병법을 살펴보았고, 특히 『마하지관』 병환경은 병인과 치유방법이 매우 실제적이고 체계적으로 밝혀놓고 있다. 따라서 천태대사에 의해 제시된 여러 가지 방편은 후세의 수행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In Buddhism, it is understood that the suffering that occurs during the practice is sickness, and the suffering that comes here is escaped through practice again. In other words, the body is produced by the unity of four great elements, and when those earth, water, fire, wind are out of balance, it causes illness. These four great elements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and become ill. Therefore, the cause of the disease is found, and the body, breathing, and mind are controlled three ways, so-called through the practice of healing is a methodology. Early on, Ambassador Tiandai identified the cause of the illness as a disability during the performance. And all the illnesses and troubles were brought out and developed into a methodology of performance which was to be chained to the branch, especially many different diseases can be treated using different breathing methods depending on the symptoms. In the text, first, I reviewed the causes and treatments of diseases in various articles of Tiantai Zhiyi’s writings. In particular, the disease as an object of Mohe zhiguan reveals very real and systematically the causes of diseases and their healing methods.

      • KCI등재

        소실지부(蘇悉地部) 호마법의 성립과 영향 - 『소실지갈라경(蘇悉地?羅經)』을 중심으로 -

        강향임 ( Kang Hyang-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7 禪文化硏究 Vol.23 No.-

        『소실지갈라경경』은 밀교 초기 및 중기 밀교로의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는 경전으로 ‘묘성취법(妙成就法)’, ‘묘성취작업법(妙成就作業法)’ 등이라고 하여 아사리로부터 관정을 받은 제자가 단을 설치하고 실지를 어떻게 성취하는가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경전에 나타나고 있는 소실지부는 태·금 양부에 덧붙인 삼부 중 하나로서의 의미이며, 양부의 형태에 준한 본존·인·진언·공양작법·관정·만다라 등을 포함한 총합적인 칭호라고 할 수 있다. 『소실지경』의 가장 큰 특징은 실지성취의 방법으로 불을 이용한 호마를 사용하고 있으며 제존을 불부·연화부·금강부의 삼부로 분류하고 상·중·하의 성취법으로 선지가법, 보슬치가법, 아비차로가법으로 분별하고 있다. 이 성취법은 외호마 작법으로 수법(修法)의 시기·장소·지물·동작 등의 모든 것을 세 형태로 보이는 것으로, 이 삼부의 분류는 중기밀교의 발판이 되는 『대일경』 형성에 소재를 제공하게 된다. 이후 식재, 증익, 항복의 외호마가 자신을 단으로 삼아 부처의 지혜의 불로서 내심의 번뇌나 업을 태우는 관법으로 전개되어 내적인 지혜의 획득을 위한 수행법으로의 전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실지경』은 체계화된 『대일경』의 선구적인 경전으로서, 특히 소실지부 제반의 체계화되지 않은 수법이 『대일경』 등의 밀교적 관법의 체계화를 통한 정립된 밀교적 수법으로 정착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The Susiddhi(- kara - maha) - tantra(- sadhanopayika - patala) is the Buddhism Stura that is containe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an early and mid-term Esoteric Buddhism and is called ‘the subtle method for accomplishment’ or ‘the subtle method for the practice for accomplishment.’ The Susiddhi - tantra shows in detail how to construct the altar and accomplish the siddhi by the disciple received abhiseka from an acarya and is well established the contents of the esoteric ritual way. Furthermore, A part of Susiddhi in Susiddhi - tantra is the meaning of one of three parts, that is added the two Realms of Womb and Adamantine, therefore the part of Susiddhi in Susiddhi - tantra can be called as a collective title which is containing main object of veneration, a seal[mudra], true word[mantra, dharani], rules of behavior to make offerings, lustration[abhiseka], and mandala and so forth based upon the two Realms of Womb and Adamantine.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Susiddhi - tantra is adopting Homa using by fire as accomplishing the siddhi. And it divides the Buddhas into the Buddha-groups, the parts of lotus flower, and the vajra groups for various deities, and into method of santika, paustika, abhicarakahing as the method of accomplishment of high degree, medium degree, low degree. This method of accomplishment is for the rules of behavior of external homa rituals, that is consisting of the times·location·a natural feature on the earth·motion of the esoteric ritual way for three kinds of esoteric rituals. This classifications of three parts provided the materials for formation of Mahavairocana - sutra as the bases of mid - term Esoteric Sutra. And then the external fire ritual of the prevention of disasters and calamities, increasing, and regulating makes oneself as the altar and consists of a development for esoteric performance to burn taint and karma by the fire of the Buddha's Wisdom and the practice method to obtain the internal wisdom.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usiddhi - tantra is the leading sutra of systematic Mahavairocana - sutra, played and especially, plays an important role of establishing unsystematic the esoteric ritual way in esoteric performance through systematizing esoteric performance like Mahavairocana-sutra

      • KCI등재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의 원주율 개념에 대한 이해

        강향임 ( Hyang Im Kang ),최은아 ( Eun Ah Choi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논문집 Vol.29 No.1

        본 연구는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들이 원주율 개념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주율 계산 방법의 역사 발달 단계를 토대로 세 가지 과제를 개발한 후 6학년 영재교육 대상자 1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원주율 = ’라는 사고의 고착화로 인하여 원주율의 개념, 근사성, 무한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원주율과 원주율의 근삿값을 혼동하는 오류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원주율을 ‘(원주) ÷ (지름)’의 대수적인 식으로 이해하려는 성향이 강하였으며, 원주율의 상수성과 무한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는 학생은 극히 적었다. 반면에 과제에 대한 토론 활동은 학생들이 원주율의 근사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원주율 지도와 관련하여 원주율을 원의 지름을 단위길이로 원의 둘레를 측정하여 얻을 수 있는 값으로 도입할 것과 공학적 도구 등을 이용하여 직관적인 방법을 통해 이해하도록 할 것, 원주율 개념이 가지는 본질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을 통해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pi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explore improvement direction of teaching p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understood insufficiently the property of approximation, constancy and infinity of pi from the fixation on ``pi = 3.14``. They mixed pi up with the approximation of pi as well. Second, they had a inclination to understand pi as algebraic formula, circumference by diameter. Third, few students understood the property of constancy and infinity of pi deeply. Lastly, the discussion activity provided the chance of finding the idea of the property of approximation of pi. In conclusion, we proposed several methods which improve the teaching of pi at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불교경전에 나타난 지옥의 양상 고찰

        강향임 ( Kang Hyang-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불교의 사후세계관은 어떤 종교보다도 깊고 심오하다. 그중에서 가장 오래된 관념적 세계가 지옥이라고 할 수 있다. 지옥은 불교 이전부터 고대인도의 윤회관과 함께 전개되어온 관념이다. 본고에서는 불교적 사후세계의 지옥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적 검토를 주로 하였다. 초기불교의 지옥 양상은 『기세경』, 『정법염처경』, 『아비달마구사론』 등에서 거론되고 있는 지옥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고, 대승불교의 지옥 양상은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과 『대지도론』을 비롯한 정토계 경전인 『지장보살본원경』 등에서 언급되는 지옥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초기불교적 관점에서 지옥은 인과응보적 논리성이 내재되어 있는 개개인의 업과 관련이 많다. 즉 개개인의 행위에 대한 지옥행을 결정한다는 가정으로써, 어떤 곳보다도 지옥을 가장 고통스럽게 표현함으로써 이유를 불문하고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곳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비해 대승불교적 관점에서 본 지옥은 초기불교적 규준에 치우치기보다는 마음에서 일어나는 지옥과 같은 번뇌를 제반의 수행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음으로 점차 변해갔다고 할 수 있다. 곧 지옥은 소감지옥 등의 관념적 대상으로서 누구나 적절한 방식으로 그곳을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ost-world view of Buddhism is deeper than any other religion. Among them, the oldest conceptual world is hell. Hell is a concept that has been developed with the eternal cycle of birth in ancient India since before Buddhism. In this paper, literature was mainly reviewed to examine the hell of the Buddhist afterlife. In order to see the aspects of early Buddhist hells, we looked at the hell-related details that have been mentioned in such places as Ch'i shih ching, (Saddharma) smṛtyupasthānasūtra, Abhidharmakośaśastra. To see the aspects of mahahyana Buddhist hells, we looked at the hell-related details mentioned in the Buddhist Elysium Sutra, including the Mahāprajñāpāramitāsūtra,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Buddha) avataṃsakasūtra,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and Kṣitigarbha Bodhisattva Pūrvapraṇidhāna Sūtra. From an early Buddhist point of view, hell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work of an individual whose causal logic is inherent. In other words, it was perceived as a place not to be close to, regardless of the reason, by expressing hell the most painfully than any other place, as an assumption that one decides to go to hell as a result of an individual's conduct. In comparison, hell has gradually changed from a grand Buddhist point of view to being able to overcome the hell-like anguish that occurs in the heart rather than being biased toward the early Buddhist standards. In other words, hell is an ideological object, such as “self-built hell” or “a hell built only from the heart” that anyone can get out of there in a proper way.

      • KCI등재

        한국 밀교의 사교이상(事敎二相) 고찰 - 조선시대 불교의식 문헌을 중심으로 -

        강향임 ( Kang Hyang-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8

        밀교는 교상(敎相)과 사상(事相)을 함께 갖추고 있다. 근본적인 원리와 방편적인 수행이 함께함으로써, 교상과 사상의 균형적 추구를 도모한 것이다. 밀교에서 교상이라고 하면 청정법신 비로자나여래와 삼밀가지되는 이치이며, 사상이라고 하면 그 이치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여러 가지 수행상을 나타낸다. 한국은 고대 신라로부터 고려에 이르기까지 꾸준하게 전승되었던 밀교의 전승이 조선시대 불교적 상황에서는 거의 단절되다시피 하였다. 하지만 조선시대 간행되었던 불교의식 문헌에는 밀교의 교상과 사상이 곳곳에서 등장하여 불교의식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 모든 의식(儀式)은 교상을 기반으로 한 사상(事相)의 현현이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불교의식 문헌에 등장하고 있는 교상은 태장만다라의 오여래와 삼부, 금강계만다라의 오불, 오지, 오부, 삼십칠존 등이고 사상은 자륜관, 호마, 관상법, 수인, 관정, 삼종실지, 그밖의 수많은 진언염송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당해 요소가 나타나고 있는 문헌과 그 대표적인 편린의 예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밀교 사교이상의 정리를 통하여 본 조선시대의 불교는 비록 국가적 배불(排佛)의 상황이었지만, 불교의식 만큼은 현교의 사상적(思想的) 기반 위에 밀교의 교상 및 사상이 미약하나마 전승되고 있었고, 이들 중에서 각종 진언염송이 두드려져 신앙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삼밀가지라는 밀교의 완전한 수행상에서 신밀과 의밀의 요소는 거의 소멸되다시피 하였으나 현교에서 수용하기 용이한 구밀의 요소만이 전승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re are two elements of Noumena and Phenomena in Esoteric Buddhism. By combining fundamental principles and expedient practice, it is intended to pursue a balanced pursuit of Noumena and Phenomena. In esoteric Buddhism, it is a reason to be attained of three mysteries with Vairocana of Noumena, and in the case of Phenomena, it can be said that it is a variety of practice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ason. The esoteric tradition, which had been steadily handed down from ancient Silla to Goryeo, was almost cut off in Buddhist situa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in the literature of Buddhist rituals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the Noumena and Pnoumena of Buddhism appear everywhere, adding to the depth of Buddhist rituals. This is because all Buddhist rituals are the Noumena of ideas based on Pnoumena. The Noumena that appear in the Buddhist ritual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are five tathāgatas and three divisions of Garbha-Maṇḍala, five buddhas of Vajradhatu-Maṇḍala, five kinds of cognition, five groups, and thirty-seven honored ones. In addition, the Pnoumena include meditative insight for wheel of words, Homa, visualization protocol, mudrā, consecration, three kinds for siddhi, and numerous other chanting of true word. Accordingly, the text summarizes the literature in which the relevant element appears and examples of its representative parts. Although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was subject to national exclusion, From what we have seen through the summary of these Noumena and Phenomena, as for Buddhist rituals, the Noumena and Phenomena of Esoteric Buddhism were handed down on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present religion, even if they were weak, and among them, it can be seen that various kinds of chanting of true word were particularly believed. This can be said that in the aspect of the complete practice of esoteric Buddhism called attainment of three mysteries, the elements of bodily mystery and mystery of mentation were almost cut off, but only the elements of mystery of speech, which are easy to accommodate in the prefecture, were handed d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