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의 이용정도와 노인에 대한 사회적 규범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

        강한나 ( Hannah K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는 미디어 이용정도와 노인에 대한 사회적 규범이 노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비노인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노인에 대한 사회적 규범이 노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에 부적인 관계를 보였고, 미디어 이용정도와 노인에 대한 사회적 규범의 상호작용이 검증되었다. 즉, 노인에 대한 사회적 규범이 높은 경우는 미디어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반면에, 사회적 규범이 낮은 경우는 미디어의 이용이 높아질수록, 노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는 노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의 감소를 위한 학문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dia use and social norms toward older adults on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Results of an online survey with 252 adults aged 18 to 64 showed that social norms toward older adul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media use and social norms toward older ad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for those with low social norms toward older adults,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increased when their media use was high. On the other hand, for those with high social norms toward older adults, their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do not change much.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contribution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강한나(Hannah Kang)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태도 및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인지된 개인화가 인지된 신뢰성을 매개하여 네이티브 광고의 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인지된 침입성이 인지된 신뢰성을 통한 매개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인지된 신뢰성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는데, 인지된 개인화는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인지된 신뢰성을 매개하여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침입성은 인지된 신뢰성이 네이티브 광고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데 이론적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media advertising acceptance such as attitudes toward native advertising, and intention to use native advertising for individuals in their 20s. In particular, perceived credibility was examined as a mediator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native advertising acceptance. Perceived intrusiveness was examined as a moderator between perceived credibility and native advertising acceptance. Based on a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perceived credi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attitudes toward native advertising/intention to use native advertising. Moreover, perceived intrusiveness moderated a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redibility and intention to use native advertising.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대학생 음주와 관련된 미국 비영리단체 페이스북의 내용분석: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참여(engagement)를 중심으로A Content Analysis of U.S. Non-Profit Organizations’ College Drinking Awareness Facebook Pages: Interactivity and Engagement

        강한나(Hannah Kang)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8 No.1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대학생들의 음주 행위는 그들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절주 운동을 하는 미국 비영리기관들이 미국 대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페이스북을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조사하고자, 비영리기관들의 페이스북 페이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5개의 미국 비영리단체의 페이스북에 1년 동안 게재된 포스팅 중, 총 153개를 분석에 사용하여, 상호적 특성(interactive feature)과 메시지 타입 (message type)을 통한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상호적 특성은 사진 또는 이미지 공유(92.2%)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사용된 메시지 타입으로는 관여 유도(calls for involvement)가 50%로 가장 많았고, 소구 방식으로는 공포 소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적 특성과 메시지 타입은 대학생들의 참여(engagement)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대학생 음주와 관련된 미국 비영리단체들은 대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페이스북의 상호작용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s of Facebook for U.S. non-profit organizations related to college drinking, in order to understand how and to what extent the non-profit organizations related to U.S. college students’ drinking have used Facebook to target and communicate with people to increase their engagements in the social media. Based on the analysis of a total of 153 posts in the top five Facebook pages of U.S. non-profit organizations for a one year period in the area of college drinking, two types of interactivity were examined: interactive feature and message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interactive feature the posts used was photo or image sharing (92.2%). In terms of message type, about 50% of the posts contained a message regarding calls for involvement, and threat appeal was used most. Moreover, some relationships between interactive feature/ message type and engagement were found. Results indicate that non-profit organizations related to college drinking have not utilized Facebook’s interactive features and messages effectively to attract U.S. college students to engage in their Facebook pages.

      • KCI등재

        소셜미디어를 통한 노인에 대한 간접 접촉이 노인 차별에 미치는 영향

        안순태(Soontae An),강한나(Hannah Kang) 한국광고PR실학회 2018 광고PR실학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노인에 대한 간접 접촉이 노인 차별에 미치는 영향을 노인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소셜미디어상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 묘사가 노인 낙인과 노인차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단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만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노인 낙인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노인에 대한 간접접촉이 노인에 대한 낙인형성을 통해 노인차별을 야기한다는 구조적 관계를 나타낸다. 연구결과는 그동안 전통미디어의 노인 관련콘텐츠가 노인 낙인 및 노인차별을 야기한다는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노인 낙인 감소를 위한 소통 방안이 소셜미디어상에서도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vicarious contact of older adults via social media affects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In particular,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examined as a mediator between the vicarious contact of older adults via social media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Based on an online survey of adults aged 18 to 64,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verified. That is, negative vicarious contact increased perceived elderly stigma which, in turn, elevate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Results are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which verified the impact of traditional media contents on formation of elderly stigma and discrimination toward the elderly, and suggest that communication strategies to reduce elderly stigma is also needed on social med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