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포렌식에서 디지털증거의 특성과 법적 쟁점

        강철하(Kang, Chul-Ha),강윤정(Kang, Yun-Jeo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叢 Vol.19 No.3

        고도의 정보통신 기술 혁신을 배경으로 경제와 사회의 중심이 물질이나 에너지에서 정보로 이동하였고, 정보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됨으로 디지털 정보의 활용과 유통은 증가하고 있다. 2011년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디지털 정보량은 1.8제타바이트나 되며 이는 2년마다 2배씩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의 진입은 정치·사회적으로는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불법·허위정보 유포 및 무분별한 개인의 인격권 침해, 지식재산권 침해, 불법 저작물 유통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DDoS 공격, 1.25 대란 등은 국가 재난 수준이 이르러 산업·경제적 피해 확산되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익명성에 따른 도덕 불감증, 범죄로 비화 등 다양한 범죄를 유발하는 역기능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범죄는 전통적인 물리적 공간이 아닌 컴퓨터나 인터넷 등으로 만들어진 가상공간을 활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증거는 증거인멸이 용이하여 범죄 사실을 밝히기 위해 증거를 수집함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증거방법인 물적 증거, 증거서류, 사람의 증언으로 첨단범죄사실을 입증하는데 한계가 있다. 정보기술과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범죄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증거의 수집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명확한 법적 근거가 존재해야 한다. 나아가 디지털증거는 디지털이라는 매체의 특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디지털 포렌식에서는 전통적인 증거수집방법과 다른 방법의 증거 취급이 요청되며 이에 따라 디지털증거 수집에 대한 새로운 입법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증거의 과학적인 처리절차인 디지털 포렌식에 관한 디지털증거의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디지털 증거의 특성과 법적 쟁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Background to innovation of high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ocus of economy and society has been moved from material and energy to information. Also, application and circulation of digital information have been widespread as it, equipped with communication technology, is vigorously adopted in many fields, including politics, society, economy, culture. It is reported that, in 2011, the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generated in across the world reached up to 1.8 Zettabyte, and its volume is expected to be doubled in every 2 years. However, the entry into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as been causing far-reaching detrimental influence. The circulation of illegal, misleading information that are not based on fact, and infringement on personality right, property right, including circulation of illegal writings have been generating numerous political and social problem. On top of that, the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1.25 chaos, which named as the national disaster, have spread industrial and economical damage. When it comes to culture, it produces adverse effect by causing teenager’s addiction to internet, social indifference to ethics due to anonymity and many unexpected crime. Especially, such crime, using information network system, has advantage to destruction of evidence since it uses cyber space built via computer or internet, rather than real space. In that sense, investigator of the crime often faces challenge to investigate crime because collecting information(material evidence, evidentiary document and testimony) to prove its conviction is extremely limited. In order to fight against several crime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network, clear legal ground for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is inevitable, rather than just related digital evidence. Furthermore, with respect to digital forensic, considering endemic character of digital medium, different (with existing) concept for handling of evidence is requir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new legislation for collecting digital evidence is being suggested. In this Paper, legal issue and the character of digital evidence, by which proper application of digital evidence in digital forensic can be determined, are considered.

      • KCI등재

        디지털 포렌식에서 디지털증거의 특성과 법적 쟁점

        강철하(Kang, Chul-Ha) , 강윤정(Kang, Yun-Jeo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叢 Vol.19 No.3

        고도의 정보통신 기술 혁신을 배경으로 경제와 사회의 중심이 물질이나 에너지에서 정보로 이동하였고, 정보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됨으로 디지털 정보의 활용과 유통은 증가하고 있다. 2011년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디지털 정보량은 1.8제타바이트나 되며 이는 2년마다 2배씩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의 진입은 정치·사회적으로는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불법·허위정보 유포 및 무분별한 개인의 인격권 침해, 지식재산권 침해, 불법 저작물 유통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DDoS 공격, 1.25 대란 등은 국가 재난 수준이 이르러 산업·경제적 피해 확산되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익명성에 따른 도덕 불감증, 범죄로 비화 등 다양한 범죄를 유발하는 역기능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범죄는 전통적인 물리적 공간이 아닌 컴퓨터나 인터넷 등으로 만들어진 가상공간을 활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증거는 증거인멸이 용이하여 범죄 사실을 밝히기 위해 증거를 수집함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증거방법인 물적 증거, 증거서류, 사람의 증언으로 첨단범죄사실을 입증하는데 한계가 있다. 정보기술과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범죄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증거의 수집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명확한 법적 근거가 존재해야 한다. 나아가 디지털증거는 디지털이라는 매체의 특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디지털 포렌식에서는 전통적인 증거수집방법과 다른 방법의 증거 취급이 요청되며 이에 따라 디지털증거 수집에 대한 새로운 입법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증거의 과학적인 처리절차인 디지털 포렌식에 관한 디지털증거의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디지털 증거의 특성과 법적 쟁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Background to innovation of high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ocus of economy and society has been moved from material and energy to information. Also, application and circulation of digital information have been widespread as it, equipped with communication technology, is vigorously adopted in many fields, including politics, society, economy, culture. It is reported that, in 2011, the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generated in across the world reached up to 1.8 Zettabyte, and its volume is expected to be doubled in every 2 years. However, the entry into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as been causing far-reaching detrimental influence. The circulation of illegal, misleading information that are not based on fact, and infringement on personality right, property right, including circulation of illegal writings have been generating numerous political and social problem. On top of that, the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1.25 chaos, which named as the national disaster, have spread industrial and economical damage. When it comes to culture, it produces adverse effect by causing teenager’s addiction to internet, social indifference to ethics due to anonymity and many unexpected crime. Especially, such crime, using information network system, has advantage to destruction of evidence since it uses cyber space built via computer or internet, rather than real space. In that sense, investigator of the crime often faces challenge to investigate crime because collecting information(material evidence, evidentiary document and testimony) to prove its conviction is extremely limited. In order to fight against several crime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network, clear legal ground for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is inevitable, rather than just related digital evidence. Furthermore, with respect to digital forensic, considering endemic character of digital medium, different (with existing) concept for handling of evidence is requir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new legislation for collecting digital evidence is being suggested. In this Paper, legal issue and the character of digital evidence, by which proper application of digital evidence in digital forensic can be determined, are considered.

      • KCI등재

        결과적 가중범과 그 미수에 관한 형법해석

        강철하 ( Chul Ha Kang ) 한국경찰법학회 2009 경찰법연구 Vol.7 No.1

        Es gab einigermassen Erfolge, denn die Strafregel existierte gegen dem Versuch uber Uberschwemmungsverletzung und -mord (Alt Strafgesetz §177) auf menschenlebendigem Gebaude und Brandverletzung und -mord (Alt Strafgesetz §164) auf menschenlebendigem Gebaude vor der Reformierung des Strafgesetzes in 1995. Dennoch existierte die Strafregel gegen dem Versuch uber das erfolgsqualifizierte Delikt in meistenen Falle nicht. Bei Vergewaltigungsverletzung und -mord im alten Strafegesetz (§301) beinhaltet das umfangreiche Delikt der Vollendung der Vergewaltigungsverletzung und -mord schriftlich den Vergewaltigungsversuch. Insofern, wenn die Frauen trotz nur Vergewaltigungsversuches verletzt oder getotet sind, wird die Vollendung der Vergewaltigungsverletzung und -mord anerkannt und bei Raubverletzung und -mord (Alt Strafegesetz §337, §338) erkennen die meinstenen Studien und Urteilen die Vollendung von Raubverletzung und -mord an, obwohl es nur Versuch war, wenn er den schweren Erfolg nahmlich, Verletzung und Tod verursacht. Deshalb wird die Strafregel gegen vorherigen beiden Versuche statt dessen als Fehler bei Gesetzgebung gehandelt. Aber durch die Reformierung des Strafgesetzes wird die vorherige Strafregel gegen Versuch ubr Brandverletzung und -mord auf menschenlebendigem Gebaude geloscht. In anderer Seite werden die Strafregel gegen Versuch(§324,Abs.5) uber Geiselverletzung und-mord (§324. Abs.3, §324, Abs.4) und die Strafregel gegen Versuch (§342) uber Raubverletzung und -mord (§337, §338) und Seeraubverletzung und -mord (§340, Abs.2 und 3) geschafft. In dieser Hinsicht hat die Erneuerung der Strafregel im Sondergesetz und gegen Versuch uber das erfolgsqualifizierte Delikt im Strafgesetz schliesslich die theoritische Diskussion uber die Anerkennung der Versuch uber erflogsqualifiziertes Delikt verursacht und die Meinungen sind immer noch nicht geeinigt. Insofern, In dieser Arbeit wird zuerst i) die strafgesetzliche Bedeutung von erflogqualifiziertem Delikt als die Voraussetzung vor der Diskussion uber die Anerkennung des Versuches uber erfolgsqualifiziertes Delikt durchgesucht. Mit diesem Ergebnis als Grundstein werden ii) die wichtigen bisherigen Studien uber die Anerkennung des Versuches uber erfolgsqualifiziertes Delikt analysiert und untersucht. Danach wird iii) die Richtung der im koreanischen Strafgesetz passenden Gesetzinterpretation vorgeschlagen.

      • KCI우수등재

        실무연구(實務硏究) : 범죄수익박탈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강철하 ( Chul Ha Kang ) 법조협회 2011 法曹 Vol.60 No.10

        범죄수익박탈제도는 경제적 이익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조직범죄의 급증과 1980년대에 약물거래범죄에 대한 위험성 문제가 제기되면서 범죄를 통해 획득한 불법수익을 몰수?박탈하여 그 경제적 기반을 초토화함으로써 범죄를 억제하기 위해 도입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범죄수익박탈제도의 적용범위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범죄수익박탈제도는 범죄의 경제적 동기의 제거와 계속적인 범죄활동의 수행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범죄의 근원인 범죄수익을 박탈함으로써 범죄억제 기능을 수행하고 특히 범죄의 밑천이 되는 수익을 원천적으로 박탈해서 범죄자들에게 경제적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가한다는 점에서 "刑事制裁의 第3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의 수익박탈에 관한 특별입법들은 종래의 몰수와 추징에 관한 법이론만으로 해석하기 곤란한 형사제재 체계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을 뿐만아니라 범죄수익박탈의 지나친 확대에 따른 법치국가적 한계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우선 몰수제도의 역사적 전개과정 및 그 법적 성질을 규명해 보고, 이러한 몰수(추징)제도의 한계 극복을 위해 도입된 범죄수익박탈제도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향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As organized crime oriented to maximizing its economic profit is rapidly increased and the risk of drug trade crime was raised in the 1980`s, deprivation of the proceeds from crime was introduced to forfeit and deprive illegal proceeds acquired from crime and burn its financial foundation to the ground to control the crime. After that, the range of applying deprivation of the proceeds from crime tends to increase constantly. Like this, deprivation of the proceeds from crime deprives the proceeds from crime, the source of it, to control the crime so that it can eliminate the financial motivation of crime and make continual criminal activity impossible. In particular, it is appraised as "the third element of criminal sanctions" in that it deprives the proceeds, the seed money for crime, originally and gives a fatal blow to criminals financially. However, current special laws on deprivation of the proceeds have problems of the system itself to control the crime hard to be interpreted only with existing legal theory of forfeiture and additional collection and also exhibit limitations as a law-governed country according to the excessive expansion of deprivation of the proceeds from crime. Thus,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forfeiture system and its legal properties beforehand and also studies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deprivation of the proceeds from crime introduced to get rid of the limitations of the forfeiture (additional collection) system.

      • KCI등재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에서 전자정보 압수수색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이인곤(Lee, In-Gon),강철하(Kang, Chul-Ha) 대검찰청 2017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54

        클라우드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집적・공유된 정보통신기기, 정보통신설비, 소프트웨어 등 정보통신자원을 이용자의 요구나 수요 변화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신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처리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클라우드컴퓨팅 산업은 지난 몇 년간 꾸준한 성장을 이어 왔으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big data) 등의 미래 신산업에 있어서 그 정보기반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에도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의 확산이 예상된다. 하지만 ‘가상화 기술’ 및 ‘분산처리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에서 수사기관은 범죄수사상 필요한 전자정보의 압수・수색이 어려울 수 있다. 왜냐하면 데이터가 다양한 장소의 정보통신자원에서 분산되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 처리되기 때문에 종래에 예상하지 못했던 ① 원격 수색, ② 영장의 특정성, ③ 피압수자에 대한 협조요구, ④ 형사관할권, ⑤ 기존의 정보수집 법률(형사소송법, 통신비밀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 등)과 클라우드컴퓨팅법과의 해석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압수수색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외 유사 입법례를 검토・분석하여 전자정보 압수수색에 관한 법률의 개선방향과 법 해석방향을 제시하였다. Cloud computing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makes it possible to flexibly use integrated and shared resourc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uch as devic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s, and software,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users’ requirements or demands. Cloud computing has experienced steady growth over the last few years. Furthermore, the growth is expected to increase over the next few years as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like AI(artificial intelligence), IoT(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etc. However, law enforcement in these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featuring virtualization technology and distributed processing technology will have trouble searching and seizing electronic information. Because the problems of online search, particularity requirement in search and seizure, duty to assist search warrant execution, jurisdiction and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llectionrelated laws can arise in the search and seizure for the cloud computing system.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ed various issues on the search and seizure for the cloud computing system, including the legal analysis of foreign rules on the search and seizure for electronic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is paper provide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the direction of statutory interpretation on these various issues.

      • KCI등재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법이론 체계에 관한 일고

        이인곤(Lee, In-Gon),강철하(Kang, Chul-Ha)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71 No.-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결합체인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등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제4차 산업의 총아인 인공지능형 로봇은 인간만이 독점해 왔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논증 등의 기능을 갖춤으로써 상상 속에서나 가능했던 혁신 서비스나 제품의 생산을 가능케 하는 원천이 되고 있다. 특히 2016년 3월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인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세기의 대국(對局) 이후 인공지능의 무한한 가능성은 세간에 충격을 주기에 충분하였으며, 이에 따라 인간지능을 초월하는 인공지능의 기술력에 감탄하면서도 향후 그 파급력에 대한 우려도 나타나게 되었다. 이처럼 동 사건은 미래 인류의 청사진을 제시해 주고 있지만, 동시에 사람은 아니지만 ‘사람처럼 행동하는 인공지능 로봇(기계)’을 기존의 법제도로 통제가 가능한 것인지 난해한 과제를 던져 주고 있다. 왜냐하면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이 목전에 다가오면서 문화인류사에서 그 어떤 법률도 스스로 판단하고 운행하는 차량을 상정하거나 로봇의사가 환자의 병을 진단하고 집도하는 상황에 대해 규범적 문제로 고민해 본 전례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에는 종래의 법적 틀과 이론적 토대가 미흡한 상황임에 따라 향후 ‘인공지능에 의한 법익침해나 범죄행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및 로봇 기술이 이미 산업분야(자율주행자동차), 의료분야(수술용 로봇) 등에 적용되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 로봇 행위의 형법적 행위성, 범죄주체성, 형사책임능력 등 형법이론의 적용방안과 해석론을 시급히 모색해 보고, ‘인공지능 로봇에 의한 범죄행위’에 대한 형법적 대응방안을 규명한다. At present, the human society has enter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robots,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which is a combin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In particular, artificial intelligent robots, which are the generals of the 4th industry, have functions and systems such as learning ability, reasoning ability, perception ability, and argumentation, which have been monopolized only by human intelligence, It is becoming a power to make. The endless possibil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fter the confrontation of the anti-monarchy of the 9th century of Alpha Kogyo and Ise Se-dol, the artificial intelligence Go program in March 2016, were enough to shock the world. Therefore,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admires the technological power beyond human intelligence, people have experienced the contemplation of future power, expectation and concern. This case presents the blueprint of the future humanity, and it presents the difficult problem of being able to manage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machine) acting as a `person`, though it is not a person, with the existing legal system. As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es to the fore, there was no precedent in the human history to assume a vehicle that judges and operates any laws, or a robot physician was worried about the normative problem of the operation to diagnose and collect the patient`s disease. is not simple to solve problems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like this and it is difficult to compete with the conventional legal framework that lacks the theoretical basis for it, The current law system can not effectively cope with the future rob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technology have already entered the commercialization stage in autonomous vehicles and medical fields. Therefore, in this study, in the field of criminal law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we are urgently looking for the ways to cope with and respond to criminal theories such as subjectivity, crime ability, criminal responsibility, We will focus on the necessity to prepare for the future crime that will be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공소장일본주의에 관한 법적 쟁점과 해석방향

        강철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5 法學論集 Vol.19 No.4

        The absence of stipulations in Criminal Procedure Act with regards to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legitimacy of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and the effects of violation, has raised issues in terms of interpret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e Supreme Court presented its position regarding relevant issues, including the basis and period for determining the legitimacy of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effects of violation and the curation of defects based on a grand bench decision on October 22, 2009. If, however, the judgment of whether or not to violate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is based on whether presupposition of a judge or jurors created by the truth stated in a written indictment obstructs a judge’ or jurors’understanding of the truth as presented by the Supreme Court,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is not violated “ven if there is no obstruction in understanding truth albeit the creation of presupposition” However, the “resence of presupposition should mean the occurrence of obstacle and thus a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faithful to the stipulation of the law.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takes a position that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can be restricted or that it is inevitable to restrict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upon request of specifying of count as factors relating to inquisitorial system are included in our l Procedure Act. However, an attempt to incapacitate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just because it may be helpful for substantial truth cannot be accepted, and since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does not allow the content other than the facts constituting the crime charged specified in it instead of obstruct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acts constituting the crime charge, restriction of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under the pretext of specifying of count should be rejected. Furthermore, it is hard to consent to the Supreme Court’ position that it cannot argue whether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is violated for no other reason than the philosophy of stability of progression and litigation efficiency of litigation procedures in the stage where a judge forms conviction upon completion of the evidentiary inspection process as it is hard to accept that the philosophy of stability of progression and litigation efficiency of litigation procedures is superior in value to the principle of fair trial and passing the buck of failure of judges and prosecutors, or legal experts, to make a thorough investigation to the accused is unfair. As such, despite the presence of various legal issues involving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the Supreme Court has consistently adhered to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since it ruled for it in October 2009grand bench decis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will examine the fundamental purpose and theoretical basis of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along with legal issues associated with it and present ways to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Written Indictment Only in our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direction of justified judicial interpretations. 종래 공소장일본주의 위반의 판단기준이 무엇이고, 그 위반의 효과는 무엇인지 형사소송법에 명확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해석상 문제가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2009년 10월 22일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공소장일본주의 위반의 판단기준, 판단시기, 위반의 효과와 그 하자의 치유 등 관련 쟁점에 대한 입장을 내 놓은 바 있다. 하지만 대법원이 제시한 바와 같이 공소장일본주의 위반여부를 “공소장에 기재된 사실이 법관 또는 배심원에게 예단을 생기게 하여”, “법관 또는 배심원이 범죄사실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게 되면 마치 “예단은 생겼지만 실체를 파악하는 데 장애가 되지 않는 경우”에도 공소장일본주의 위반이 아니라는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예단이 생겼다면 그것으로 이미 장애가 발생하여 공소장일본주의 위반”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법문에 충실한 해석이라고 보아야 한다. 또한 대법원은 우리 형사소송법에 직권주의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공소장일본주의를 제한할 수 있다거나 ‘공소사실의 특정성’의 요청에 따라 ‘필연적으로’ 공소장일본주의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공소장일본주의를 막연히 실체적 진실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이유만으로 무력화하려는 시도는 허용될 수 없다. 나아가 공소장일본주의는 공소사실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공소사실 이외의 내용’을 기재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공소사실의 특정을 이유로 공소장일본주의를 제한하는 것은 부정되어야 한다. 나아가 ‘소송절차의 동적 안정성’ 및 ‘소송경제의 이념’을 이유로 “증거조사절차가 마무리되어 법관의 심증형성이 이루어진 단계”에서는 공소장일본주의 위배를 다툴 수 없다는 대법원 입장과 관련해서도 소송절차의 동적 안정성이나 소송경제의 이념이 공정한 재판의 원칙보다 우월한 가치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고, 법률전문가인 법관과 검사가 세심하게 살피지 않은 책임을 결과적으로 피고인이 부담하도록 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점에서 대법원 입장에 찬성하기 어렵다. 이처럼 공소장일본주의를 둘러싼 다양한 법적 쟁점이 존재함에도 2009년 10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을 내놓은 이후로 대법원은 공소장일본주의에 대한 기존의 입장을 일관하여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소장일본주의의 근본취지와 이론적 근거를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법적 쟁점을 재검토하여 우리 형사소송법상 공소장일본주의에 대한 올바른 적용과 법해석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개정 형소법 제313조의 해석론 : 전자진술서의 증거능력을 중심으로

        강철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8 法學論集 Vol.22 No.4

        종래 형사소송법 제313조 적용에 있어 ‘디지털정보에 대한 과학적 분석결과’보다 ‘진술자의 인정 진술’에 의존하면서 만일 작성자 또는 진술자가 성립의 진정을 부정하게 되면 디지털자료의 증거 사용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에 따라 2016년 5월에 ‘진술서’ 및 그에 준하는 ‘디지털 증거’의 진정성립은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 방법’으로도 인정할 수 있도록 형소법이 개정되었다. 하지만 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디지털자료에 대한 진정성립 인정기준의 미비, ‘객관적 방법’ 개념의 모호성 등 개정 조항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실제 법적용상의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ⅰ) 개정 제313조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법 적용상의 혼란이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보다 명확한 해석론을 제시하였다. 예컨대, 전자정보가 진술증거로 사용되는 경우 형식적 진정성립 및 실질적 진정성립의 의미를 밝히고, ‘객관적 방법’의 의미와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ⅱ) 일정부분 형사절차상의 합리성이 인정되더라도 피고인에게 불리한 증거채택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in dubio pro reo)’라는 형사소송법상의 원칙에 따라 과도한 해석론을 자제하고 법률의 문언과 법체계를 고려하여 해석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다만 개선 필요성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입법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제2항 본문에서 작성자가 부인하는 경우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등 객관적 방법’으로 성립의 진정함을 증명할 수 있는 대상을 우선 법률의 문언에 따라 ‘진술서’에 한정하고 ‘진술기재서류’는 배제하되, 향후 ‘진술기재서류’를 포함한 개선 입법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달리 (ⅲ) 형사절차상의 합리성이 인정되고 그러한 해석론이 피고인의 이익에도 부합하는 경우에는 현행법의 형식적 문구에도 불구하고 합리적 범위 내에서 확장된 해석론을 제시하였는데, 예컨대 반대신문권 보장과 관련하여 제2항 단서에서 ‘진술서’만을 규정하고 있더라도 ‘진술서’에는 ‘진술기재서류’가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 피고인의 반대신문권 보장범위를 확대하는 해석론을 제시하였다. In the past, in applying Article 31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t was difficult to use the evidence of digital data if the person who prepared the statement or document or stater denied the authenticity of its formation by relying on the statement rather than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digital information”. Due to these problems,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amended in May 2016 to recognize the authenticity of formation of digital evidence as an 'objective method such as digital forensics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results'. However, despite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application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law. In this paper, therefore, (i) a clearer interpretation of the unambiguous parts of Article 313 is presented. For example, when electronic information is used as statement evidence, it reveals the meaning of the authenticity of formation and embodies meaning of 'objective method'. In the meantime, in this paper, (ⅱ) even if the rationality in the criminal procedure is recognized, the interpretation theory is derived in the direction of restraining excessive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in dubio pro reo' principle when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unfavorable evidence to the defendant. In addition, the legal improvement direction is also suggested for areas where legislative improvement is needed. On the contrary, (iii) In case the rationality of the criminal procedure is recognized and the defendant 's interests can be protected, such as the extension of cross-examination coverage, the extended interpretation is presented within a reasonable lim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