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GB 최대 주파수 인덱싱과 BW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콘텐츠 기반 영상검색

        강지영 조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presents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CBIR) using RGB maximum frequency indexing and BW clustering in order to improve the precision error of image retrieval algorithm that is using histograms. In first stage, RGB color image is segmented into R, G, and B components and their respective histograms are extracted. Each of these histograms are divided into 32 bins. The maximum pixel occurrence values are recorded in each bin's histogram, subsequently which are analyzed and compared. Hence, image retrieval using the maximum pixel value occurrences could be performed, and top 100 output results gathered. In second stage, the extracted 100 images are stored in a database, and are filtered once again using the number and the distributional rate of the clusters. After converting the query image from RGB to grayscale, this histogram is equalized in order to level the biased distributional rate. This equalized histogram is divided into 8 bins, and converted to binary. Then, total number of clusters and percent area of clusters with respect to image is computed. This result is compared with the similar features of the Top 100 matches drawn through the first step. Therefore, the number of bins is changed by applying the existing grayscale histogram algorithm in this research. Similar bin divisions are also performed over color histogram, that involves each of R, G and B components. Finally, The proposed algorithm is analyzed through performance tests and compared against existing methods. The tests verify that proposed algorithm demonstrates better results, and improves precision in the rate of search and priority. Hence, the proposed algorithm is better than the existing grayscale methods.

      • 에센셜 오일이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강지영 숙명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비 무작위 실험 논문을 대상으로 에센셜 오일이 여드름 피부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는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그룹이 제시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보고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출간된 국내 연구를 대상으로 여드름 피부의 6가지 변인(모공, 홍반, 멜라닌 지수, KAGS, 유분량, 미생물수)을 선정하여 에센셜 오일이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효과크기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연구문제이다. 국내 DB인 NDSL, KISS, RISS, 학술교육원을 통해 관련 문헌을 검색하였고, 부적합한 문헌 제거과정을 거쳐 최종 6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6편은 모두 비 무작위 실험연구(Non-RCTs)로, 비 무작위 실험 연구 평가도구인 RoBANS를 이용하여 문헌의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6편의 문헌을 대상자, 연구 목적 및 통계량을 입력하는 코딩표를 작성하여 메타분석 전문 프로그램인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ver.2 software 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earch to test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on acne skin based on non-randomized experiment papers in the n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porting guidelines by the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roup. The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the effect size of essential oil on acne skin with six variables of acne skin(pores, red spots, melanin index, KAGS, sebum, and number of microorganisms) based on papers published in the nation between 2000 and 2017. Related literature was searched in domestic databases such as NDSL, KISS, RISS, and e-article. Total six pieces of literature were chosen after the exclusion of improper ones. All of the six papers were based on a non-randomized experimentation(Non-RCTs) and assessed for their quality with RoBANS, an evaluation tool for non-randomized experiment studies. They were also put to meta-analysis with the professional meta-analysis program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Ver.2 software based on the coding table of subjects, research objectives, and statistics.

      • 더빙활동이 대학생의 듣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강지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actual language use and English language environment on learner's listen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domain, and applicability of an actual class through the dubbing activity.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implemented dubbing activity and investigated the leaner's listen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domain.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considered for this study: First. 'Is dubbing activity effective on college student's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Second, 'What influence has the dubbing activity on college student's affective domain?'; Thir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improvement of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and change of affective domain by dubbing activity?' In this study, 3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dubbing activity in three times a week for over 6 weeks. This study implemented after the college language training programme. To find out the student's basic information and the change of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domain, this study conducted: Pre- and Post-questionnaires; Pre- and Post listening proficiency tests;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 showed improvement in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It turned out the students recognize prosodic features and intonation patterns naturally in the process of dubbing activity and then such an activity contribute to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Second, dubbing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ffective domain. Dubbing activity which utilizes drama and movie that reflect authentic language use makes students feel interest, and the interest leads students to connect their active learning and to improve their self-confidence. Students could listen to the dialogue naturally through the process of listening to the dialogue repeatedly many times, which connects to self-fulfillment and motivate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hird, through the dubbing activity, as the student's listening proficiency is increased, it has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domain as well. Interesting dubbing activity promotes motivation on learning and which enables the student's to acquire the pronunciation features and helps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proficiency. As mentioned above, dubbing activity helped students to increase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and influenced interest,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on affective domai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because dubbing activity is utilized as effective materials in a situation that researches on dubbing activity are still unreleased in domestic researches. 본 연구는 실제적인 언어 사용과 영어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환경이 학습자의 듣기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더빙활동을 시행하여 학습자의 듣기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빙활동 수업이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더빙활동 수업이 대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더빙을 활용한 영어 듣기 능력의 향상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실험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A대학교 어학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총 18차시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해당학교 어학교육 프로그램 수업이 끝난 후 시간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기초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기초조사 설문을 실시하였고 영어 듣기능력에 대한 변화와 정의적 영역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및 사후 영어 듣기능력시험과 정의적 영역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충하기 위해 개별면담을 결과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본 실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빙활동 수업은 학생들의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더빙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운율사용과 억양에 대한 인지를 자연스럽게 하였고 더빙을 통한 이러한 학습이 학생들의 듣기능력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더빙활동 수업은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과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학생들은 생활의 실제언어 사용을 담은 드라마와 영화를 활용한 더빙활동을 통해 흥미를 느끼고, 그 흥미가 학생들의 능동적 학습 참여를 이끌어 자신감을 향상 시켰다. 더빙하는 과정에서 수차례 반복하여 대화를 듣는 과정은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집중하여 청취할 수 있게 하며, 이것이 곧 자아 성취감과 연결되어 향후 수업에 대한 동기를 자극시킨 것으로 분석되어 진다. 셋째, 더빙활동을 통해 듣기능력이 향상된 학생들은 정의적 영역도 함께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흥미로운 더빙활동이 학습동기를 고취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발음의 특성을 습득할 수 있게 하여 학습자의 듣기능력에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더빙활동은 학생들의 영어 듣기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정의적 영역의 흥미와 자신감, 동기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서 아직 더빙활동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발표되지 않은 상황에서 더빙활동이 영어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참고자료로써 제시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유방암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 지지, 회복력과 대처

        강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방암은 매 해 만 명 이상의 여성이 새롭게 진단받는 질환으로 그 발생률은 증가하고 사망률은 줄어들어 유방암을 진단받고 치료받는 여성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폐경 이후에 유방암을 진단받는 경우가 대부분인 미국•유럽 등의 서구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발병 연령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50대 미만 여성에게 유방암 발생 빈도는 전체 유방암 여성의 54.0%에 달한다. 유방암 진단과 수술로 인해 신체적•심리적•사회적•영적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유방암 여성에게 Lazarus 와 Folkman (1984)의 “스트레스와 대처”이론은 신체적 질병으로 인한 스트레스 대처 과정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대처는 고통을 유발하는 환경의 문제를 다스리는 문제중심대처와 문제에 대한 정서 반응을 통제하는 정서중심대처가 있다. 개인의 대처 방식은 상황적 요인과 인적 요인 등에 의해 결정된다. 유방암 여성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고 가장 중요한 사람인 배우자의 지지는 상황적 요인이며,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적응 결과를 얻어내는 개인의 심리•사회적 속성인 회복력은 대처 방식을 결정하는 인적 요인이다. 유방암 여성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중재의 필요성에 따라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 수술 후 기타 보조 치료 중이거나 치료 종료 후의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수술 직후 대상자들의 스트레스와 대처 과정에서 인과 관계가 언제, 어떤 조건에서 어떤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암환자에게 스트레스는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회복과 관련되므로 스트레스가 높은 수술 직후 시점에서 스트레스와 대처 양상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유방암 여성을 돕는 것은 간호 실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의 연구윤리위원회 승인과 자료수집기관의 허가를 받아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유방암 수술을 받고, 배우자가 있는 여성 120명을 편의 추출하여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7월 2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자가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동의서에 서명하고 연구 참여를 희망한 여성에 한해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배우자 지지, 회복력, 대처의 측정 도구를 원저자의 허가를 득하고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스트레스와 배우자 지지, 스트레스와 회복력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대처는 스트레스•배우자 지지•회복력과 양의 상관관계, 문제중심대처는 배우자 지지•회복력과 양의 상관관계, 정서중심대처는 스트레스•회복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배우자 지지는 회복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스트레스와 정서중심대처의 양의 상관관계는 유의하나, 배우자 지지와 정서중심대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5.배우자 지지는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면 조절(moderation)효과를 나타내, 스트레스와 정서중심대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가 높으면 정서중심대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 진단과 유방절제술이라는 스트레스를 겪는 여성은 배우자 지지가 높으면 정서중심대처를 덜 사용하고 문제중심대처 위주로 대처함을 알 수 있었다. 대처 정도가 높을 사람은 스트레스도 높지만, 주로 문제중심대처를 통해 해결될 수 있는 종류의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또한 대처가 높은 사람은 배우자 지지와 회복력도 높아 문제중심대처와 정서중심대처를 고루 사용하여 효율적인 대처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배우자 지지가 높은 사람은 정서중심대처보다 문제중심대처를 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배우자의 지지 정도가 높기 때문에 자신에 대한 효능감도 높고 자신과 삶을 잘 수용하여 문제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즉, 배우자 지지와 회복력은 모두 대처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향후 간호학 연구에서 유방암 여성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를 치료 전•수술적 치료만 한 경우•수술 적 치료 후 보조 치료 기간•보조 치료 후 생존자 기간으로 세분화하여 측정하고, 스트레스와 대처 양상을 확인하여 대처 양상에 따른 유방암 여성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유방암 여성의 간호에 있어 배우자 지지를 높일 수 있도록 배우자를 포함시키거나, 회복력을 높일 수 있는 심리•사회적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neoplasm among women in South Korea. Stress related to mass removal surger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has long been known as a major negative impact of the disease. Even though many studies have addressed stress and cop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 influence of patients’ situational factor (spousal support), personal factor (resilience), and stressor (mass removal surgery) on patients’ coping style at the immediate post-operational period has not been studied yet.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a woman’s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on their coping is especially important in Korean culture, given its collectivistic and patriarch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n or under what conditions the predictor variables (stress,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influence a dependent variable (the type of coping) of women with breast cancer. Lazarus and Folkman’s (1984) model of stress and coping guided this correlation, cross-sectional study. Participants were contacted through a cancer center located in Seoul, Korea. Sample size was calculated using Cohen’s (1988) technique with continuous data, based on an alpha of .05, margins of error of .03, two-tailed test with t=1.96, population size of 10,000(12,584 women with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in 2008), a sample size of 119 was needed. The relevant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 approved the study and the participants signed informed consent. The convenience sample of the study was composed of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had any type of mass removal surgery, and were able to comprehend, read, and write Korean.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each participant while they were hospitalized in an oncology ward for the purpose of mass removal surgery or when they visited outpatient doctor’s office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surgery. The permission for the use of the listed instruments was obtained from the original developers. Data were managed and analyzed by SPSS 19.0 Win computer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examined coping in a sample of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in relationship to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f (a) stress, (b) spousal support, and (c) resilience. Data collection instruments assessed stress, spousal support, resilience, and ways of coping.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Then, one moderation model was tested to help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in women with breast cancer. 1.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spousal support, as well as between the stress and resilience. 2.Ways of cop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ousal support, resilience (factorⅠ, factorⅡ), and stress.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focused coping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stress, and resilience. 3.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4.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upport and emotion-focused coping. 5.The interaction between stress and spousal support was significant. Thus, spousal support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test the moderation model. The moderation model help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in women with breast cancer. When women perceived their diagnosis and surgery as more stressful event, they more like to use emotion-focused coping. Women with breast cancer who had more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use problem-focused coping.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pousal support and ways of coping (PFC, EFC).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e levels and relations between factors surrounding breast cancer patients at the time of immediate post-operational period. By revealing the situational and personal factors and their impacts on ways of coping, a comprehensive and tailored intervention can be developed in future research.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Ⅰ의 물리 분야와 기술·가정Ⅰ,Ⅱ의 기술 분야의 연계성 연구

        강지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융합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교육학자들 역시 향후‘STS’,‘MTS’,‘STEM’,‘STEAM’등의 융합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일선 교육 현장의 입장에서는 융합교육을 실행하기에는 여러 과목의 교사들이 같이 모여서 수업 연구를 하고, 수업 지도안, 수업 자료 등을 만들어야 하는 등 현실적으로 실현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융합교육에 앞서 일선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는 특정 과목이나 분야들 간의 연계교육을 생각할 수 있다. 일선 교육현장에서 연계성이 높은 과목들 간의 효율적인 연계교육이 이루어지면, 장기적으로 STEAM과 같은 융합교육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과학Ⅰ 물리 분야와 중학교 기술·가정Ⅰ, Ⅱ의 기술 분야의 연계성 및 현재 융합교육의 대표라 할 수 있는 ‘STEAM’ 요소를 조사하는 것을 주된 연구 목적으로 한다. 중학교 과학Ⅰ 물리 분야와 중학교 기술·가정Ⅰ, Ⅱ의 기술 분야의 연계성 조사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Ⅰ 물리 분야와 중학교 기술·가정Ⅰ, Ⅱ의 기술 분야의 교과서 단원분석을 하였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Ⅰ 물리 분야에 해당하는 내용 요소를 대단원과 중단원 별로 분석하여 핵심 단어를 정리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Ⅰ, Ⅱ의 내용 요소를 대단원과 중단원 별로 분석하여 물리 분야에서 나온 핵심 단어가 기술 분야에서 어떤 학습 내용이나 과제를 설명하는데 쓰였는지 조사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두 과목간의 겹치는 핵심 단어와 학습 내용, 과제 설명 등의 연계성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Ⅰ의 물리 분야와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Ⅰ, Ⅱ의 기술 분야의 연계성은 각 단원마다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연계교육 수업을 설계하는 과학 교사와 기술 교사들이 미리 인지하고 수업을 준비한다면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입체적이고 효율적인 수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Ⅰ 물리 분야를 중심으로 현재 융합교육의 대표라 할 수 있는 ‘STEAM’ 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Ⅰ 물리 분야,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Ⅰ, Ⅱ의 기술 분야,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Ⅰ,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Ⅰ, Ⅱ의 내용 요소를 정리하여 간단하게 표를 이용하여 ‘STEAM’ 요소를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Ⅰ의 물리 분야,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Ⅰ, Ⅱ의 기술 분야,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Ⅰ,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Ⅰ, Ⅱ 교과의 융합성도 상당히 빈번한 횟수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육과정에서 교과서를 구성할 때 연계성 및 융합성을 염두에 두고 과목 간의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내용 구성과 순서 배치를 한다면, 일선 교육현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영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소비자들은 여러 가지 사회 트렌드 변화에 맞춰 다양한 욕구를 가지며 차별화된 제품을 구매하길 원한다. 제품에 대한 기능적 편익과 품질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이미지 및 선호도가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가치를 제공하고 또 이것이 소비자의 구매로 이어진다. 이러한 마케팅 방법의 하나로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을 도입 할 수 있다(홍원표, 2005).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소비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콜라보레이션을 함으로써 기업과 브랜드는 서로 윈윈(Win-Win)하는 성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전현배, 2002). 또한 콜라보레이션 작업이 성공 하였더라도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기존 브랜드 특성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2008년도 이후로는 패션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콜라보레이션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이현주(2008)의 브랜드 편익과 보안성에 따른 태도 연구, 박재희(2009)의 콜라보레이션의 타입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김지선(2005)의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브랜드 협력전략의 소비자 태도 연구, 한상미(2010)의 패션브랜드와 이미지유사성 차이가 콜라보레이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콜라보레이션에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패션브랜드와 아티스트, 이종업계의 사례나 분석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로 패션브랜드간의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더욱이 SPA브랜드에서 매년 콜라보레이션이 빠짐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하여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마케팅적 연구 필요한 만큼 패션브랜드간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통해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눠 진행되었다. 예비조사는 2015년 3월 10일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2015년 3월 17일부터 2015년 3월 20일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50부의 배부된 설문지 중 333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 분석, T-Test, 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 Tukey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PA브랜드 인지도, SPA브랜드 선호도, 명품브랜드 인지도, 명품브랜드 선호도, 콜라보레이션 인지도, 콜라보레이션 선호도, 구매의도 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항들에 대한 하위차원은 총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구성 요인들의 총 설명력은 80.751%로 나타났다. 둘째, SPA브랜드 인지도, SPA브랜드 선호도, 명품브랜드 인지도, 명품브랜드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24.7%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SPA브랜드 인지도, 선호도, 명품브랜드 인지도, 선호도가 높을수록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SPA브랜드 인지도, SPA브랜드 선호도, 명품브랜드 인지도, 명품브랜드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48.2%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 선호도가 높을수록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호도도 높았다. 넷째,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 콜라보레이션 제품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구매의도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58.2%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가 높을수록 콜라보레이션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콜라보레이션 제품 선호도도 콜라보레이션 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인지도 및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선호로 이어진다. 또한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선호가 높을수록 콜라보레이션 제품구매에 대해 더욱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된다. 이는 곧 기존 브랜드들의 인지도 및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작업 성공의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들의 매칭이 콜라보레이션 제품 이윤 창출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브랜드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한 콜라보레이션 작업 및 활동을 확대하고 활성화 시키고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적절한 콜라보레이션 방안을 연구,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설문예시가 특정 콜라보레이션 사례들로 한정되어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내외의 다양한 사례를 대상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Contemporary consumers want to purchase differentiated products with a variety of desires fit for change in several social trends. Brand collaborations can be introduced as one of marketing methods for such consumers. Collaborations must meet such desires required by consumers and must bring results of a ‘win-win’ effect to companies and brands. Accordingly, the study aims to find out influence of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SPA brands and luxury brands on awareness of, preference for, and purchase intention of collaboration products through examples of collaborations of the SPA brands and luxury brands which are now actively being conducted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e study, data collection had been carried out through a pre-test and a test. After the pre-test of 45 women aged in their 20s to 40s in Seoul or Gyeonggi Areas was conducted on March 10, 2015, questionnaires were amended and complemented. The main survey of women of aforementioned ages in the aforementioned areas was done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7, 2015 to March 20, 2015. Of a total of 350 copies of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 333 copies were used as data for the analysis. With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ith SPS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Tukey’s post-hoc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questions about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SPA brands, luxury brands, and collabora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totally six subordinate-level factors were drawn and the total cumulative on the factors appeared to reach 80.751%. Second, when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the SPA and luxury brands increased, the awareness of collaboration products increased. Third, the cumulative on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the SPA and luxury brands over the awareness of collaboration products appeared to be 48.2% and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ce. When the preferences for the SPA and luxury brands was getting higher, the preference for the collaboration product was getting higher. Lastly, when the awareness of the collaboration products became higher, the intention of purchasing the collaboration products became higher. Besides, even preferences for the collaboration products appeared to give positive influence on an intention of purchasing the collaboration products. In conclusion, awareness of and preferences for the SPA and luxury brands lead the collaboration products to be preferred. In addition, when consumers highly prefer the collaboration products, they happen to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regarding purchase of the collaboration products. This means that matching brands with high prefere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create profits from the collaboration products because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existing brands are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collaboration projects. Accordingly, brands should expand and activate collaboration projects and activities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and study and support proper collaboration plans fit for their imag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due to the survey examples limited to specific cases of collaborations. Follow-up studies on a diversity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are required to be carried out.

      •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비행행동이 남자 고등학생의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지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비행행동이 남자 고등학생의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변인들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경로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자 고등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및 숨은 비행행동 척도, 성비행 척도, 성적 위험 감수행위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 경쟁모형, 단순효과모형 이 세가지 모델을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가 자기통제력과 비행행동의 매개과정을 거쳐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이 낮고 비행행동을 보인 남자 고등학생들은 부모의 양육태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위험 성행동은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의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특정 변인에 국한지어 설명하지 않고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비행행동 등의 변인을 설정하여 위험 성행동에 이르는 순차적인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을 다룸에 있어서 가족과 개인적 특성 등 다양한 차원의 접근이 시도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tudy what relationship there was between cause and effect influenced on sexual risk behaviors of high-school boys by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elf-control and delinquency. For th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mong 307 high-school boys to figure out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self-control scale, latent delinquency questionnaire, sexual delinquency, and sexual risk-taking scale. The result was analyzed through channel analysis of model1, model2 and model3: the best fitted was model1, which parenting behavior influenced on sexual risk behavior through self-control and delinquency. It was found that high-school boys who had low self-control and delinquency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in the negative and they had significantly more sexual risk behaviors than average students. Without explaining specific causes that could influence on high-schoolboys' sexual risk behavior, this study inspected successively the mediation model setting up the diverse causes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elf-control, delinquency, and so on to reach sexual risk behavior. Then it was clear that in dealing with teenagers' sexual risk behavior a diversity of access such as family, personal trait and so forth would be tried. In conclusion the import and limit of this study was discussed.

      •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과에서 고학년을 중심으로

        강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의 필요적 가치에 대한 인식은 인간의 본능적 욕구이다. 또한 이것은 경제적 발전에 힘입어 자연 발생적으로 높아졌다. 미술은 개성을 표현하려는 인간의 개인적 욕구 충족으로 생활의 조형적 측면의 성취를 계속 이루어주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가 어떻게 초등학교에서 바람직한 입체 표현 학습을 지도하느냐하는 것이 목적이다. 평면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단순한 것에서부터 끄집어내는 체계적인 입체 표현 학습을 통한 공간 지각 향상과 미적 체험을 전개해야 한다. 입체 표현 학습은 사고의 깨달음에 의해서만 얻어질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입체 표현 감각 습득을 위한 보다 나은 학습 방법을 연구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미술의 여러 분야 중 입체 표현 부분을 초등학교에서 연구해 봄으로서 기초 입체 교육의 기틀을 계획해 보려 한다. 평면에 대한 도식적 이해보다는 공간과의 이미지적 관계를 느끼며 흥미를 유발하는 입체 표현 활동을 놀이처럼 친숙하게 펼쳐 나가는 것은 아동이 입체 표현 작품과 친숙하게 되고 아동으로 하여금 작품에 상상력을 불어 넣어 만들려는 욕구가 솟아나게 할 것이다. 아동은 감각적 가능성을 증대시켜 만들어낸 자신의 품과 다른 아동의 작품을 보며 자신의 기호를 구별하며 자신이 만든 작품에 애착을 갖고 더 나은 창작에의 의지를 키워 나간다. 초등학교 고학년 단계의 입체 표현은 객관적인 대상의 관찰 정도가 점차 높아지고 느낀 것, 상상한 것 등에 대한 입체 표현의 세부적인 묘사에도 관심을 보이며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에서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고 통일, 변화, 비례, 균형을 인식하고 연습해 보는 일을 즐기며 자연이나 주변에서 공간을 관찰하고 크기의 변화 등을 통하여 공간의 깊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조형 원리의 의의와 입체 표현의 이해 및 입체 표현에서 조형 원리의 이해를 Ⅲ장 초등미술의 입체 표현 지도의 조형 원리에 의한 문제점 및 지도 방안에서 교과서의 문제점, 지도 방향과 관점 및 초등학교에서 입체 표현의 조형 원리 지도 방안을 Ⅳ장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의 실제 및 분석에서 지도의 실제Ⅰ과 지도의 실제Ⅱ로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효율적인 입체 표현 수업 방안의 실제를 모색하고자 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이에 본 연구가 기존 입체 표현 지도보다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독자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며 연구의 결과는 아동 미술 교육 과정과 관령된 몇 가지 전망을 제언 한다. 첫째, 조형 원리라는 용어 자체를 어렵지 않게 다루어 수업에 적용하게 된다. 둘째,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입체 표현 지도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아동들의 표현 언어와도 같은 미술로서 시각적 입체 표현을 능숙하게 한다. 넷째, 조형 원리를 인식한 미적 체험으로 미적 안목을 높인다. 다섯째, 조형 원리에 의한 미술 활동이 생활 전반에 접목된다. 여섯째, 평면처럼 보이는 고 부조와 같은 작품도 입체 작품임을 알게 된다. 일곱째, 조형 요소의 미적 질서인 조형 원리에 대해 더욱 쉽게 이해하게 된다. 앞으로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심도 있는 연구로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 연구

        강지영 서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찰된 개별적인 사실들이 예상하지 못한, 혹은 자신의 인식 범주 내에서 설명할 수 없는 놀라운 것일 때 본능적으로 설명이 요구된다. 목격한 놀라운 것을 다른 증거들과 관련시킴으로써 연속성을 도입하는 설명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이때 작동하는 추측이 귀추(abduction)이다. 기존 국어사 교육은 시기별 특성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 왔는데, 이처럼 관련성을 모색할 수 없는 방식의 교육 내용 구성은 학습자의 인지 구조와도 맞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학습자의 이해뿐 아니라 흥미와 필요성마저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에 본고는 일상적 및 본능적으로 작동하는 사고이면서도, 개별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현대 국어와 과거 국어를 관련지을 수 있는 논리로도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추’를 국어사 탐구 교육에 도입하여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기존 국어사 교육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국어사 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국어사 교육에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포착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교사 32명, 학습자 479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사 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하였다. 또한, 국어사 탐구 교육의 관점에서 귀추의 정의와 유형에 대하여 검토한 후,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을 ‘학습자에게 낯설고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이를 관련시키는 추측을 모색하여 지식을 구성해 가는 탐구를 통하여 당사자적 지식의 성격을 지닌 국어사적 지식을 획득하게 하며, 현대 국어와 과거의 국어를 연결하여 그럴듯한 설명을 추론하는 귀추적인 특성을 지닌 국어사적 사고를 배양하게 하는 교육’으로 정의하고,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의 범위를 ‘현대 국어와 과거 국어에 대한 지식이 상호연관성을 지닐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자료를 통하여 인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지식’으로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국어사 귀추 탐구에서 나타나는 귀추적 추론의 양상을 살펴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에 참조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31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귀추적 추론을 유도하는 구조화된 탐구 과제를 제시하였고, Ⅱ장에서 검토한 귀추의 유형을 기준으로 학습자의 추론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찰을 수행하지 못한 ‘추론 양상 (가)’, 관찰만 수행한 ‘추론 양상 (나)’, 관찰 내용과 문법 지식을 관련지었으나 창조적 귀추로 나아가지는 못한 ‘추론 양상 (다)’, 창조적 귀추로 나아간 ‘추론 양상 (라)’가 도출되었다. 학습자의 양상은 ‘추론 양상 (나)’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추론 양상 (가)’의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대부분 유형 1의 귀추를 잘 수행하는 양상을 보여 많이 발견되지 않았고, ‘추론 양상 (다)’의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유형 2의 귀추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유형 3의 귀추가 동원되는 경향을 보였기에 그 수가 적게 발견되었으며, ‘추론 양상 (라)’의 경우에는 질문지 조사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며 소집단 토의를 통하여 포착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어사 귀추 탐구의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대부분 유형 2의 귀추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교육적 비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만의 절차가 필요하다는 점도 양상 분석 결과 발견되었다. Ⅳ장에서는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 및 교수-학습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의 설계 원리로 ‘탐구 주제 선정의 원리’, ‘탐구 절차 구조화의 원리’를 설정하였으며, 적합한 탐구 주제를 선정하고 탐구 절차를 구조화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고려할 수 있는 ‘방법’ 및 ‘전략’의 차원을 교육 내용 구성에 반영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의 구성틀을 마련하고 탐구 주제별 내용 구성의 실제를 보였다. 본고는 교육적 당위성 제시 및 교육 내용 마련에 중점을 두던 기존 국어사 교육의 한계를 반성하고 거시적인 시각에서 국어사 교육의 방향성을 조망하였으며, ‘귀추’라는 관점을 도입하여 국어사 탐구 교육의 가능태를 논하였다는 점, 실제 학습자의 귀추적 추론 양상을 관찰하였다는 점,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상황에서 참고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의 구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stinctual explanations are required when the individual facts observed were surprising things that had been unexpected or unexplainable within their perception. The act of abduction occurs to explain the continuity of the observed surprise by making a connection with other evidence.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had been structured in a way that lis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nd such approaches which could not uncover the relevance do not comport with the cognitive structure of learners. Hence, it is problematic since it can inhibit the interest and necessity of learners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based on the fact that abduction, which is thought to be an instinctive on a daily basis, can operate as a logic to associate the modern Korean language and past Korean language which were considered as individual factors originally. In chapter Ⅱ, the study examined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reestablished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o identify what was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e curriculum was reviewed, and the cognitive survey on 32 teachers and 479 learners was conducted. In addition, after reviewing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abduction from Korean language history inquiry educational perspective, the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defined ‘the education which could raise think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having abductive feature by deducing plausible explanations connecting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with past Korean language’ and ‘the education which can make students acquir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history having feature of ‘personal knowledge’ through seeking speculation to make relation between unfamiliar and irrelevant materials’. Also, the range of the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delineated as ‘knowledge could correlate modern Korean language and past Korean language and widen of recognition through additional data’. In chapter Ⅲ,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of abductive inference in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o draw implications which could be applied in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 structured inquiry task which was created to induce abductive inference was presented to 131 learners, and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type of abductive examined in chapter Ⅱ. As a result, four aspects -‘reasoning aspect (ga)’ which was referred as who could not conduct observationd, ‘reasoning aspect (na)’ which was referred as who can conduct only observation, ‘reasoning aspect (da)’which was referred as who could not conduct creative abduction, but connect observation to knowledge of grammar, and ‘reasoning aspect (ra)’which was reffered as who can conduct creative conduction - were derived. Since most of the learners to conduct typ3 1 of abduction well, ‘reasoning aspect (ga)’was uncommon. The number of‘reasoning aspect (da)’was small, because learners tend to conduct type 3 of abduction together when they solve the problem about type 2 of abduction. ‘reasoning aspect (da)’was rarely foun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so it was captured through a small group discussion. Thus, ‘reasong aspect (na)’ was the most dominant factor among four aspects. Therefore, most cases of difficulties in performing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were mostly based on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ype 2 of abudction,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scaffolding.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process of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is required as a result of aspect analysis. In chapter Ⅳ, the paper set the goals of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of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is allows us to compose the content of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s a design principle of education, 'principles of inquiry topic selection', 'principles of inquiry procedure structuring' were established, and appropriate inquiry topics were selected and inquiry procedures were structured. Also, this study prepared constructive frame which can include the dimensions of ‘method’ and ‘strategy’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showed the actual contents composition by inquiry topic. This paper has an edcational significance in review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hich emphasized pedagogical justice and education contents. Also, it is meaningful since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history inquiry education by introducing ‘ab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pedagogical meaning because it observes the learners’ abductive thinking, and prepares the actual education contents com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