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교육비 경감정책의 패러독스 분석 -Stone의 ‘자유와 평등’ 패러독스와 시스템 사고를 중심으로-

        신현석(Shin, Hyun Seok),강재혁(Kang, Jae Hyeok),양성훈(Yang, Seong H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4

        본 연구는 Stone의 정책 패러독스 개념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추진되어온 사교육비 경감정책에 존재하는 정책 패러독스를 규명하여 사교육비 경감정책이 충분한 효과를 달성하지 못한 원인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서는 사교육비 경감정책을 사교육 대응정책, 공교육 경쟁력 강화정책, 입시정책으로 구분하여 정책 패러독스를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정책 패러독스가 갖는 역동성과 계속성을 패러독스의 이상한 고리와 시스템다이내믹스의 인과지도를 활용하여 도식화하였다. 분석결과 사교육비 경감정책에서는 사교육허용과 억제 정책, 공교육의 개별화와 보편화 정책, 입시제도의 다양화와 간소화 정책 사이에서 자유와 평등의 정책 패러독스가 발생하였다. 정책 패러독스의 발생 원인으로는 사교육문제를 둘러싼 교육구성원 간의 다양한 권리의 충돌과 정부의 사교육 및 공교육의 특성과 정책패러독스에 대한 이해의 부재, 체계적인 정책철학의 부재 등이 도출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패러독스 상황에서 정책대응은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에 목표를 두어야 하며,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확보가 필수적임을 제안하였다. Based on Stone’s policy paradox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ravel the policy paradox existing in the private education cost reduction policy that has been promoted so far, to analyze the cause of the lack of the policy effects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policy paradox was analyzed in ways of dividing private education cost reduction policy into private education response policies,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competitiveness policy an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policy. The dynamics and continuity of each policy paradox were schematized using paradox’s strange loops and system dynamics’s causal loops. As a result, There were policy paradoxes of freedom and equality ① between the policy of allowing and suppressing private education, ② between the policy of individualizing and generalizing public education, and ③ between the policy of diversifying and simplifying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e causes of the policy paradox appeared to be conflicts of various rights among members of education on private education issues, the lack of government’s understa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private school education and policy paradox, and the absence of policy philosophy on systematic thinking of education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olicy responses under the policy paradox situation should be directed to continuous management rather than to consider a reversal alternative for solving the problem, and recommended that securing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y is essential.

      • 시스템 사고의 적용을 통한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 분석

        신현석(Hyun Seok Shin),강재혁(Jae Hyeok Kang),윤혜원(Hye Won Yu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

        본 연구는 시스템 사고에 기반하여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저출산과 교육의 관계와 저출산 교육정책의 복잡한 인과 관계를 인과지도로 분석한 후, 이들을 종합하여 저출산 교육정책의 개입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저출산은 사교육비 부담, 고등교육의 수요 증가, 교육환경의 질 저하 등과 같은 교육 관련 변수들과 상호 인과관계를 맺으며 더욱 강화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 저출산 교육정책으로 대학 구조개혁, 교사 수 감축, 학교 통폐합 및 학교시설 복합화 등 저출산 사회에 적응해나가는 데 초점을 둔 소극적 성격의 정책과 돌봄 공급 확대와 교육비 지원 등 출산율 제고를 목표로 한 적극적 성격의 정책이 실시되고 있었다. 그러나 사교육비 부담과 같은 저출산의 핵심 요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거나 정책 집행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인 결과가 발견되는 등의 문제가 저출산 교육정책의 개입 효과를 제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저출산 교육정책의 설계와 집행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phenomenon of low fertility and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systems thinking. To achieve thi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fertility and education, as well as the intricate causal links between low fertility education policies, using a causal map.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intervention effect of low fertility education policies by integrating these finding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ow fertility is reinforced by establishing mutual causal relationships with education-related variables such as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costs, increased demand for higher educ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low fertility education policies that emerged in this context were passive policies, focusing on adapting to a low fertility society(e.g.,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reduction of the number of teachers, consolidation of schools, and complexation of school facilities), and active policies, aimed at raising fertility rates(e.g., expanding care supply and supporting education expenses). However, issues were identified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such as a lack of consideration of key factors of low fertility, including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unintended negative consequences, which limited the intervention effect of low fertility education polic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low fertility education policies, highlighting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 분석

        신현석(Hyun-Seok Shin),강재혁(Jae Hyeok Kang),윤혜원(Hye Won Yu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4 敎育政治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이 교육과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시스템 사고에 기반해 저출산과 교육의 인과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저출산과 교육의 관계 및 저출산 대응 교육정책의 논리를 각각 인과순환지도로 분석한 후, 이들을 종합하여 저출산 대응 교육정책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저출산은 사교육비 부담, 고등교육의 수요 증가, 교육환경의 질 저하 등과 같은 교육 관련 변수들과 상호 인과관계를 맺으며 더욱 강화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 저출산 대응 교육정책으로 대학 구조개혁, 교사 수 감축, 학교 통폐합 및 학교시설 복합화 등 저출산 사회에 적응해나가는 데 초점을 둔 소극적 성격의 정책과 돌봄 공급 확대와 교육비 지원 등 출산율 제고를 목표로 한 적극적 성격의 정책이 혼재했다. 그러나 사교육비 부담과 같은 저출산의 핵심 요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거나 정책 집행과정에서 교육환경의 질 저하와 같은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저출산 대응 교육정책의 개입 효과가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저출산 대응 교육정책의 설계와 집행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Considering that the low fertility phenomenon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ausal phenomenon of low fertility and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systems thinking.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fertility and education and the logic of the education policy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were analyzed with a causal loop diagram, and then the problem of the education policy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was analyzed by synthesizing them.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ow fertility is reinforced by establishing mutual causal relationships with education-related variables such as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costs, increased demand for higher educ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education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that emerged in this context were passive policies, focusing on adapting to a low fertility society(e.g.,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reduction of the number of teachers, consolidation of schools, and complexation of school facilities), and active policies, aimed at raising fertility rates(e.g., expanding care supply and supporting education expens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ntervention effect of the education policy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was limited due to problems such as lack of consideration of key factors of low fertility, such as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or unintended negative results such as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found in the policy execution proces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w fertility education policies were presented as implications.

      • KCI등재

        정부주도 대학평가의 쟁점과 과제: 박근혜정부를 중심으로

        이인수(Lee In Su),서경화(Seo Kyung Wha),강재혁(Kang Jae Hyeok),장아름(Jang Ah reum),윤기현(Yoon Ki hyun),이예슬(Lee Ye seul),김미란(Kim Mi r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to draw out the issues and the implications of systematic improvement based on the CK, ACE, LINC, BK, PRIME and university restructuring. In terms of evaluation objective, contents, method and utilization, The issues analysis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give the implication to systematic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s follow. First, the objective of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lead the whole university community to work out change and innovation. Second, the minimal standard of evaluation method and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to decrease the evaluation burden and a new evaluation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o consider each university characteristics. Third, the evaluation process should be organized with long term point of view to support enough for the university itself to prepare the evaluation. Finally, an in-depth research on the evaluation utilization are needed to manage the achie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identity and the autonomy of university.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의 대학 특성화사업(CK),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LINC), 두뇌한국 21 플러스 사업(BK21 PLUS), 산학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PRIME) 및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중심으로 정부주도 대학 평가의 쟁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평가의 목표, 내용, 방법, 결과활용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목표의 수월성 의 관점 편중, 평가지표의 유사성으로 인한 수혜의 중복과 정성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에 관한 문제, 대학 구성원 간의 합의의 부재와 자금 위주의 정책수단의 한계점, 정부 대학평가의 효과성과 지속성 쟁점이 도출되었다. 쟁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사회 전체의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는 방향으로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각 사업의 특성과 대학의 유형을 반영한 차별화된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선택지표를 개발해야한다. 셋째, 대학구성원들에게 적합한 합리적인 정책수단을 활용하여 정책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정체성과 자생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결과가 활용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