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부산광역시의 도시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방향

        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현대사회에서는 국가 간의 경쟁력보다 도시 간의 경쟁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확산됨에 따라 공공디자인은 자연스럽게 주요 트렌드로 등장하게 되었다. 공공디자인은 심미적 접근중심 보다는 도시 브랜드 활성화라는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 브랜드 활성화를 통해 부산광역시의 공공디자인 방향을 제언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해외 선진사례와 전략도구를 나열한 후, 부산광역시의 사례에 도입하여 다이어그램으로 구조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부산광역시의 브랜드 활성화를 위해 도시의 개발이나 확장하는 전략보다는, 자연친화적인 하드웨어 전략과 도시전반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부산광역시만의 정체성과 차별성을 바탕으로 브랜드 활성화 핵심요소들은 바다(Ocean), 강(River), 산(Mount), 레저(Leisure), 축제(Festival), 문화 예술(Culture&Art), 디자인(Design), 유비쿼터스(Ubiquitos)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핵심요소들은 부산광역시의 상징화, 자연화, 인간화, 문화특성화라는 공공디자인 방향으로 정리될 수 있다. As a new paradigm that is competitiveness between cities rather than the one between countries is spreaded, public design naturally came to emerge as a major trend. It is necessary to get an approach of revitalization of urban brand rather than focusing on an aesthetic approach for public design.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urban bran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study, it was developed with a method that formed a diagram by introducing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fter listing foreign advanced cases and strategic tools. Rather than a hardware strategy that develops or extends a cit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nature-friendly hardware strategy and a software strategy for overall communication of a city. The key factors of revitalization of brand based on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of Busan Metropolitan City on its own could be said to be Ocean, River, Mount, Leisure, Festival, Culture & Art, Design and Ubiquitous. These key factors can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which is symbolization, naturalization, humanization and culture specialization of Busan Metropolitan City.

      • KCI등재

        입체녹화 지속가능 디자인의 경제성 요소 간의 관계분석

        당악천(Tang, Le Tia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1

        This study analyzed economics on sustainable designs of the 3D greenery system in order to expect the ‘balloon effect’ such as creative design, resource efficiency, or economic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oint the way of future 3-dimensional sustainable designs. This study sampled the economic elements of the sustainable designs by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previous theoretical discussions regarding the economics of the 3D greenery system and analyzed the survey empirically. Also, this study validate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sustainable designs of the 3D greenery system with an expert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established the definition of the 3D greenery system as 3D and multi-dimensional greenery systems such as horizontal or vertical systems, which integrate vertical and wall greenery systems and vertical gardens, select plants with different location conditions, and rely on various structures and other spatial structures.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economic elements of the sustainable designs of the 3D greenery system were recognized in the order of ‘resource efficiency,’ ‘creative economics,’ and ‘economic value’ through the survey.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to confirm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resource efficiency,’ ‘creative economics,’ and ‘economic value.’ In this regard, the sustainable designs of the 3D greenery system can make value by considering the effective use of resources, creative designs, and economic value. Fourth, as a result of the expert interview, the sustainable designs of the 3D greenery system have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s and can create various economic effects in terms of creative economics, economic value, and resource efficiency.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design development in future business regarding the 3D greenery system. 본 연구는 입체녹화(立體綠化) 지속가능 디자인의 경제성을 분석하여 창조적 디자인, 자원 효율성, 경제 효과 등 ‘풍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향후 입체녹화 지속가능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입체녹화 지속디자인 경제성을 대상으로 정량적, 정성적 연구 및 선행연구 등 방법에 의해 지속가능 디자인의 경제성 요소를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입체녹화 지속가능 디자인의 경제성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녹화의 정의는 수직·벽면녹화 및 수직정원을 종합하여 서로 다른 입지 조건을 이용하여 식물 등을 선택하고 각종 구조물 및 기타 공간 구조물에 의존하게 하는 수평, 수직 등 3D 및 다차원 녹화방식으로 재정립하였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해 입체녹화 지속가능 디자인 경제성 요소는 ‘자원 경제성’, ‘창조적 경제성’, ‘경제 가치’ 순의 인식 수준이 나타났다. 셋째, 상관관계의 분석 결과, ‘자원 경제성’과 ‘창조적 경제성’ 및 ‘경제 가치’ 간 상호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입체녹화 지속가능 디자인은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창조적인 디자인, 경제 가치를 고려함으로 경제성을 창출할 수 있다. 넷째, 전문가 인터뷰 결과, 입체녹화 지속가능 디자인은 경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고 창조적 경제성, 경제 가치, 자원 경제성 면에서 다양한 경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향후 입체녹화 관련 사업에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대량 맞춤옷장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 모듈 및 구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샘(HANSSEM) 맞춤옷장을 중심으로

        곽란(Guo, La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1

        대량 맞춤(Mass Customization, 약칭 MC )가구는 표준화 유닛 캐비닛 + 비표준화 맞춤 캐비닛 으로 조합된 디자인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맞춤화한 상품과 서비스, 대량 생산방식, 공간과 완전 통일된 접합 형태는 신속히 정보시대 주된 가구제작 방식으로 되었다. 이를 기초로, 본 논문은 대량 맞춤옷장 중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모듈화 디자인방법을 이용하여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 모듈과 디자인의 조합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맞춤옷장 표준화 원칙의 계열화, 통용화와 조합화 원칙에 근거하여 모듈화 디자인방법과 결합하여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표준화, 기능 및 구조 간의 관계 구조도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가구브랜드인 한샘 의 맞춤옷장을 사례로 하여 기능과 연결구조의 측면에서 현존하는 두 개의 표준화 계열에 대해 모듈 분석하였으며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과 구조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량 맞춤옷장은 기능 모듈의 배치를 통해 디자인과 결합하여 상품의 내부적 다양화를 줄이고 외부적 다양화를 증가하는 표준화된 디자인 목적에 도달하는 동시에 맞춤옷장의 표준화 유닛 캐비닛 디자인에서 기능 모듈과 구조 디자인에 적응성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량 맞춤가구의 실천과 맞춤옷장 기능 모듈화의 개발에 일정한 참고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Mass Customization (MC) wardrobe is the design which through the combinatio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 non-standardized customized cabinet . It has rapidly developed as the manufacturing mainstream mode in the information age furniture for its customized products and services, mass production mode, complete and unified space joint form. This paper studies the design and combination of functional modules in the standardized unit cabinet with the modular design method, centering on the desig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in the mass customization close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rialization, generalization and combination of the standardization principle of customized wardrobe, the structural diagram of the function, structure and standardization of the cabinet of standardized unit is established by combining the modular design method. Finally, taking the customized wardrobe of Korean furniture brand Hanssem company as an example, this paper divided the modules of its two existing standardized series from the dimension of function and connection structure, and studied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desig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Conclusion: Hanssem can make use of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design of functional modules to achieve the standardized design purpose of reducing the internal diversification of products and increasing the external diversification of products. In addition, there is an adaptiv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modules and structural design in the standardized unit cabinet body design of customized wardrobe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an have certain reference value to the practice of mass customization furniture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wardrobe function module.

      • KCI등재

        잠재적 범죄(Potential Crime) 행위에 대한 환경 색채의 영향 분석

        조완임(Cao, Wan Li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2

        다양한 색채가 존재하는 일상 공간에서 우리는 심리적인 측면에서 무의식적으로 색채의 영향을 받는다. 매우 진한 빨강은 성인 남성의 호르몬을 증가시키고 정서적 흥분을 일으키며 빨간색 빛을 배경으로 한 선정적인 그림은 시각적 자극이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성적 및 정서적 충동을 일으켜 범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은 현대 과학에서 이미 증명된 바 있다. 즉, 환경 색채와 범죄 발생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환경 색채와 잠재적 범죄 행위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가 향후 도시 계획의 색채를 활용하여 도시 범죄를 줄이는 데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 본 논문은 먼저 기존의 관련 문헌 및 이론을 토대로 환경 색채가 잠재적 범죄 행위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분석 및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 색채를 적절히 활용하여 잠재적인 범죄 행위를 줄인 5가지 사례, 즉 ‘Baker-Miller Pink’, ‘COOL DOWN PINK’, 소금길 ‘노란 열쇠 프로젝트’, 중국의 한 교도소의 환경 색채, 일본의 파란빛 가로등 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공간과 색채의 3요소(채도, 명도, 순도)의 응용, 유일성, 성취 지향성 등 측면에서 환경 색채 활용을 통한 잠재적 범죄 행위 예방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잠재적 범죄 행위에 대한 환경 색채의 억제 작용을 강조하고자 한다. 환경 색채을 잘못 사용하면 잠재적 범죄 행위 발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적절한 환경 색채을 사용하는 것은 범죄를 예방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 daily space where various colors exist, we are unconsciously affected by colors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Very dark red increases the hormones in adult males, creates emotional excitement, and sensational pictures with a reddish light background have already been shown in modern science to show that the visual stimuli are much larger, which can lead to sexual and emotional impulses, which can increase the crime rate It has been done. In other words,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lor and the occurrence of crime, and it is necessary to in-depth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lor and potential criminal activity. We hope that the research in this paper will help reduce urban crime by utilizing the color of urban planning in the future. This paper first analyzes and explain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nvironmental color on potential criminal acts based on existing related literature and theories, and based on this, five examples of reducing potential criminal acts by appropriately using environmental colors Baker-Miller Pink , COOL DOWN PINK , Salt Road Yellow Key Project , environmental color of a prison in China,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 of blue street lights in Japan through three elements of space and color (saturation, brightness) , Purity), objectively evaluating the effect of preventing environmental crime through the use of environmental colors in terms of application, uniqueness, and achievement orientation. Misuse of environmental color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otential occurrence of criminal activity, and the use of appropriate environmental color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eventing crime.

      • KCI등재

        신 에너지 자동차 체험관 제3의 공간 특징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상하이 웨이라이 신에너지 자동차 체험관의 관람객을 중심으로

        증리가(Zeng, Li Jia),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3

        체험 소비가 생기면서 체험 상업공간도 대세로 자리잡게 되었다. 많은 기업에서 상업공간을 소비자가 쉽게 방문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으로 만들었다. 카페·도서실·어린이 놀이방 등 제3의 공간 을 상업 체험공간에 융합하여 제3의 공간 의 특징을 살려 판촉과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의 급성장에 따라 많은 브랜드에서 신에너지 자동차 체험관을 만들었지만, 체험관에 제3의 공간 을 설치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 신에너지 자동차 체험관 제3의 공간 의 특징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즉 신에너지 자동차 체험관에서 제3의 공간 을 설치하는 것은 관람객의 체험의 쾌적한 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구매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장 조사를 통해 중국 상하이에서의 신에너지 자동차 체험관의 제3의 공간 의 현황을 고찰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중국 웨이라이 자동차 체험관을 설문 조사 장소로 선정하여 체험관을 방문한 관람객을 설문 조사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262부의 유효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동차 체험관 제3의 공간 특징이 쾌적한 정서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쾌적한 정서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신에너지 자동차 체험관의 공간 디자인에 데이터와 이론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고 관람객 체험의 쾌적한 정서를 높이고, 나아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와 보급률을 높이게 될 수 있다. With the emergence of experience consumption, experience commercial spaces are gradually becoming mainstream. Many companies are turning commercial spaces into diverse space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consumers. For example, the third space such as cafes, libraries and children s playrooms are integrated into the commercial experience spaces, making the commercial space equipped with the third space character to achieve promotional and publicity purpos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new energy vehicles in China, various brands of New Energy Vehicles Experience Halls have been set up, but not many of them have the third spac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a NEV Experience Hall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Setting up the third space in a NEV Experience Hall can increase the pleasure of the visitor s experience and can increase their purchase intention. Ta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starting point,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hird space of the NEV Experience Hall in Shanghai, China, and presents a statistical summar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elects China Weilai(蔚来)NEV Experience Hall as the research object, and conducts a questionnaire survey on 262 visitors who have visited the Experience Hall, and makes an empirical analysis with SPSS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the Vehicles Experience Hall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visitors pleasure mood, and pleasure mood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vehicle purchase intention. The research conclusion of this paper can provide data and theoretical support for the space design of NEV Experience Hall in China, so as to enhance visitors experience pleasure, improv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finally improve the sales volume and penetration rate of new energy vehicles.

      • KCI등재

        청년층을 위한 소형 주택 공간 디자인 연구조사 : 청년층 거주 행위 특징 중심으로

        진원(Chen, Yua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3

        청년층의 대부분은 사회 초년생이기에, 일반적으로 저소득층에 속한다. 하지만, 도시의 집값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어, 주택난이 청년층 저소득층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있다는 것은 현재의 시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로 인하여, 청년층은 주거 장소로 소형 주택 공간을 선택해야 했고, “개미족”, “판자촌”, “하우스푸어” 등은 사회 초년생들의 대명사가 되었다. 소형 주택은 주로 보금자리주택사업 중인 저렴한 임대주택과 일부 면적이 작은 일반분양주택이 해당된다. 이것은 시대의 발전에 순응하여 생겨난 일종의 신형 주택 형식으로, 주로 마주하는 대부분의 세대는 80, 90년대의 청년층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의 소형 주택은 공간의 제한, 단일화된 형식, 공간의 레이어드(층위감) 부족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고, 제한적인 공간은 문화의 파생적인 교류를 저해한다. 동시에, 청년층의 주거용 주택 기능에 대한 만족에 있어, 소형 주택에는 일정한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청년층의 개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그래서 청년층의 주거 행위 습관과 심리적 특징을 조사 · 분석하고, 소형 주택에 대한 기능적인 수요를 이해하고, 소형 주택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위주로 주거 습관과 주거 환경에 대한 기능적 수요를 결합하여, 소형 주택의 디자인을 최적화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현재와 같은 소형 주택 디자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소형 주택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의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우선 소형 주택의 개념, 이론 연구와 주거 행위에 대한 문헌 자료를 통해 진행되었다. 다음 단계로 19~3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 설문지 271건을 발췌하였다.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청년층의 소형 주택에 대한 주거 행위 특징, 공간 수요, 취미 선호도를 살펴보았고, 나아가 청년층의 주거 공간 기능에 대한 수요와 생활 방식을 명확히 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국가별 소형 주택 공간 디자인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소형 주택의 특징과 공간 구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능 복합, 회로 공간, 수직 공간, 모듈 공간의 네 가지 측면에서 소형 아파트의 디자인을 제안하는 과정에서 제한된 공간의 효율적 이용과 디자인 기능의 다양화에 유의하였다. 또한, 세부 설계를 중시하여, 주택 공간을 최적화하여, 주택 공간의 쾌적함을 제공하고, 청년층의 소형 주택의 디자인 요구의 목적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후에 시작될 연구에 참고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Most of the young people are newcomers to society, so they generally belong to the low-income class. However, it cannot be overlooked at this point that housing shortages are putting a serious burden on young people and low-income families as housing prices in cities are on a high march. For this reason, young people had to choose a small housing space as their residential area, and ant , shantytown , and house poor became synonymous with newcomers to society. Small houses mainly include cheap rental housing in the Bogeumjari housing business and general pre-sale housing with a small area. This is a kind of new type of housing created by adap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and most of the households encountered are young people in the 80s and 90s. However, through previous studies, problems such as space limitation, unified form, and lack of layered (level sense) of space were found in existing small houses, and limited spaces hinder cultural derivative exchanges. At the same time, since there are certain problems in small houses i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housing function of young people, the desire for individuality of young people cannot be satisfied. Therefore,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housing behavior habit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understands the functional demand for small houses, and suggests ways to optimize and improve the design of small houses by combining residential habits and functional demands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small house design as it is today, it is important to study small house desig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goals, this study was first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data on the concept of small housing, theoretical research, and residential behavior. As the next ste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young people in their 19s and 30s, and 271 valid questionnaires were extracted. Through the survey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behavior, space demand, and hobby preferences of young people for small houses were examined, and furthermore, the demand and lifestyle for residential space functions of young people were clarified.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the current small housing space design by country,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mposition of small housing were sought. Finally, in the process of proposing the design of small apartments in four aspects: functional complex, circuit space, vertical space, and module space, attention was paid to the efficient use of limited spaces and diversification of design functions. In addition, detailed design was emphasized, housing space was optimized to provide comfort for housing space, and to focus on the purpose of the design needs of small houses for young people.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기초한 골판지 가구의 설계 및 전략 연구

        이준진(Jun chen Li),강재철(Jae Cheol K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4

        골판지는 종이 소재의 일종으로 가볍고 가공성이 좋으며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가공 시 인쇄기술을 사용하기 용이하며 비교적 환경에 무해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골판지 가구의 시장보급은 상당한 실현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은 골판지 가구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골판지 가구의 지속 가능한 디자인 설계 전략을 제시한다. 골판지 가구의 디자인 설계 과정을 ‘설계 단계-사용 단계-사용 후 단계’로 나누고, 디자인 설계 단계의 감량화 제어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방안을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디자인 설계 단계에서 컴퓨터로 골판지 가구 모델에 대한 역학분석을 실시하면, 가구구조의역학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가구 제작에 있어 불필요한 재료의 사용과 폐기물 발생을 줄여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단계에서의 재활용 유도 및 사용 후 단계의 재활용 가능한 기술 지원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의 구체적인 요소들의 실시책을 제시한다. 골판지 가구의 지속 가능한 디자인 전략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시장, 자원, 환경 등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해당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골판지 가구의 디자인 및 생산에 대한 귀중한 참고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As a kind of paper material, corrugated paper has light weight, good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recycled, has good printability, and is not harmful to th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feasible to promote corrugated cardboard furniture. Through the analysis of corrugated paper furniture cases, this thesis proposes sustainable design strategies for cardboard furniture and divides the design process of paper furniture into design stage - use stage - post-use stage, proposes reduction control in the design stage, and provides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such as in the design stage, using a computer to conduct a corrugated paper furniture model For example, in the design stage,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corrugated furniture model by computer, which enables a more reasonable structural design that meets the mechanical requirements of the furniture structure while maximizing material savings. In the processing stage, a cutting machine with automatic laser positioning is introduced to accommodate the processing of corrugated paper shaped structures and achieve sustainabl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waste reduction. Reuse guidance in the use phase and recyclable technology support in the post-use phase are also proposed, as well as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specific elements of each link.It is hoped that this will bring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market,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and will provide certain valuable references and insights for industry players in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corrugated furni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