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에서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현주소와 전망

        강윤재(Kang, Yun Jae),김지연(Kim, Ji Yeon),박진희(Park, Jin Hee),이영희(Lee, Young Hee),정인경(Chung, In Kyu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1

        이 글은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의식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한국사회에서 과학기술 시티즌십, 전문지식권력, 거버넌스의 전반적 경향성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그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설문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13개의 이슈 중 11개를 생식기술, 원자력, 기후변화와 에너지, 식품위험, 정보통신 등 5개 세부 분야로 묶고, 각 분야의 경향성과 특징을 분석한 후, 해석과 함께 그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그런 다음, 각 분야에서 이루어진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반적 경향성을 모두 여섯 가지로 종합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앞선 분석과 해석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search for the general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citizenship, expert knowledge power, and governance in Korea,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citizen’s perception survey on science and technology. Also, based on the analysis, we try to outline the state of scientific citizenship, and prospect its future. For this purpose, firstly, we choose 11 issues among 13 issues, categorize them into five sub-fields, such as reproduction technologies, nuclear power, climate change and energy, food risk,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analyze them. Consequently, we can pick out six general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citizenship, expert knowledge power, and governance in Korea. To sum up, we try to look ahead the future of scientific citizenship in Korea.

      • KCI등재

        위험 인식론과 STS적 관점

        강윤재(Kang Yun-Ja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8 과학기술학연구 Vol.8 No.2

        이 글은 과학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더 위험해졌다는 현대사회의 딜레마를 출발점으로 삼아 STS적 관점의 위험 인식론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근대적 이원론에 근거한 전통적 위험 인식론은 위험의 객관성과 위험의 맥락성 어느 한 쪽만을 주목한 채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의 관계는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있다. STS적 관점은 이와 같은 근대적 이원론을 넘어서서 통합적 위험 인식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기반한다. 이 관접은 객관적 위험(자연)과 맥락적 위험(사회)의 “다리 놓기”를 넘어서서 “공동생산”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새로운 하이브리드의 출현과 이질적 네트워크의 복잡화가 자리잡고 있다. 이런 특징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 기술권(technosphere)을 제시한 후, 개념의 잠재성을 평가한다. This essa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isk epistemology based on STS perspective. The starting point is the modern society's dilemma that the more technoscience has been developed, the more modem society has become riskier. The conventional risk epistemology, based on modernist dualism, has a tendency to be neglig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society and technoscience, since it has only paid attention to either side of objectivity of risk or context of risk. In contrast, STS perspective on risk makes a point of focusing on the need of constructing the comprehensive risk epistemology, instead of the traditional approach based on modernist dualism. Now, this perspective goes ahead through "bridging" between objective risk(nature) and contextual risk(society) toward co-production of risk, as a result that we can no more turn our head from the emergence of new hybrids and, in turn, increase of complex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As such I suggest the concept of technosphere so as to reflect and display these characteristics of this perspective, and assess the potentiality of the concept.

      • KCI등재

        식품위험정책과 전문성의 정치

        강윤재(Yun-Jae Ka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2

        이 글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 식품위험사건으로 알려져 있는 세 사건―우지 사건, 우유 사건, 만두 사건―을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 세 사건은 우리나라 식품위생정책의 후진성을 잘 보여주는 예로, 식품위생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언론에 반복해서 등장한다. 후진성 극복 담론은 전문성의 강화와 선진제도 도입을 해결책으로 제시한다. 시대적 환경 변화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음으로써 후진성 극복 담론은 전문성의 프레임에 갇힐 수 있다. 그 현실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전문성(선진화)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식품위험정책은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악용될 소지도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식품위생정책은 전문성과 함께 대표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런 현실을 직시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전문성의 강화를 통한 문제해결전략은 기술관료적 위험거버넌스를 낳을 수 있는데, 이는 결국 소비자운동을 비롯한 시민참여를 체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은 물론 대표성을 함께 고려한 참여적 위험거버넌스의 확립이 요구된다. This essay focuses on the lessons drawn from three food risk accidents―so called “tallow accident”(1989), “milk accident”(1995), and “dumpling accident”(2004), which have been known as the most famous food risk accidents in Korea. These risk accidents has been repeatedly appeared in the mass media as the symbol of the backwardness of Korean food hygiene policy. The catching-up discourse on food hygiene has a tendency to put out the adoption of advanced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enhancement of expertise as a solution. Without considering the real world’s change properly, the catching-up discourse is likely to be trapped in the frame of expertise, because the politics of expertise has been rapidly becoming a matter of concern in Korean food hygiene policy. We need to be aware of the side effect of expertise-dependent food hygiene policy. So, we should consider not only expertise but also representativeness in the food safety policy. This means that we also try to replace the traditionally technocratic risk governance as the participatory risk governance.

      • KCI등재

        황우석과 파스퇴르 그리고 ANT

        강윤재(Kang Yun-Ja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7 과학기술학연구 Vol.7 No.1

        STS는 황우석 사건의 이해에서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STS의 분석도구를 이용하면 황우석 사건을 다룬 전통적 사회과학에 입각한 분석들이 드러내지 못한 새로운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까?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STS의 대표적 분석도 구라 할 수 있는 행위자연결망이론의 일부 관점과 개념을 이용하여 황우석 사건을 분석하고 있다. 황우석 사건이 정상적 과학 활동과 거리가 먼 일탈적 현상이 아니라는 점을 성공한 대표적 과학자인 파스퇴르와의 유사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고, 파스퇴르의 성공의 길과 황우석의 실패의 길을 비교분석하는 개념으로 이동, 번역, 치환을 동원했으며, 그 둘의 갈림길에는 “실험실 정치력”의 차이가 놓여 있음을 밝혔다. 파스퇴르는 실험실을 지렛대로 삼아 “이중적 이동”에 성공함으로써 자신의 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반면, 황우석은 실험실을 상징적 존재로만 활용했을 뿐 ”진정한” 정치력의 원천으로 만들지 못함으로써 이동의 원동력을 상실하고 “과학 정치꾼”으로 전락하고 말았던 것이다. Could STS throw another-colored light on the Hwang's Affair, the scientific fraud committed by Hwang Woo-Suk and his research team in Korea? And could analytic tools of STS unfold another meanings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most of the traditionally social-sciences-oriented analyses? In this essay, I try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analyzing the Hwang's Affair in the view of STS, especially by using some concepts of actor-network theory(ANT): movement, translation and displacement. I want to say that the Hwang's Affair seems to be a part of normal scientific activity, not an abnormal phenomenon, and as an evidence, focus on the similarities of their life styles between "pure/real scientist" Louis Pasteur and "impure/political scientist" Hwang Woo-Suk. I try to mobilize some concepts of ANT, especially movement, and find out why scientists came to move toward the opposed direction on the pure/real-impure/political line. I suggest that there exists "laboratory politics" as the key factor in this bifurcation. My tentative conclusion is that Pasteur can take a position to make his great world, so-called the Pasteurian world, owing to the success of "double movement" in which he treated his laboratory as a fulcrum to lift up the world, but Hwang degrades himself to "ugly scientific politician" due to the loss of the momentum of his movement; Hwang treated his laboratory only as the symbolic resources and in tum failed to solidify material entities, his real political resources, even though he knew the importance of laborato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구성된 위험과 위험의 사회학의 새로운 모색: 불확실성과 시민과학을 중심으로

        강윤재(Kang, Yun-jae) 한국이론사회학회 2020 사회와 이론 Vol.37 No.-

        이 글은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위험문제를 새롭게 이해하려는 노력이다. 불확실성은 위험문제의 전통적 해결방식에 난관을 조성하고 있으며 동시에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성찰을 요구함으로써 대안적 모색을 위한 기회를 제공해준다. 위험의 사회학은 바로 이런 불확실성의 이중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곧 자연-사회의 이원론을 그대로 유지한 채 사회적 영역의 비중을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신[新]분업체계를 구축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위험문제의 대안적 해결방식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모색에 나서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위험정책 과정에서의 시민참여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과학지식의 생산 과정에서의 시민참여의 활성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지식생산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민과학은 흥미로운 연구대상인데, 시민과학 단체 세이프케스트(Safecast)의 사례는 그 유용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look at risk problems in modern society in a new perspective, centered on the concept of uncertainty. Uncertainty tends to have an opposite role in the risk debate or risk governance; it is likely to become obstacles hard to overcome, but it could be given as a new opportunity to seek an alternative ways to overcome crisis. The Sociology of risk needs to give much attention to the duplicity of uncertainty, however, it must not be understood that this means that the sociology of risk tries to increase social dividends under the neo-division-of-labor system, based on nature-society dualism. Rather it needs to go on an adventure to find out new way to “heart of risk problems”, which mainly related with risk knowledge product. For this, the reach of civic engagement needs to be extended to the process of risk knowledge production, not stayed within the process of risk policy. Citizen science could be regarded as one of best candidates to this extension of civic engagement, and the case study of Safecast, a grass-root citizen science organization, shows its potential.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자력을 둘러싼 과학기술 시티즌십과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강윤재(Kang, Yun Jae)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1

        이 글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지형과 과학기술 시티즌십을 두 축으로 삼아 대안부재 담론이 여전히 사회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 공동출현 핵심어(co-occurrence keywords)의 빈도수 측정, (2) 과학기술 시민인식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먼저, 빈도수 측정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직후 드러난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지형을 살펴보고 있다. 그런 다음,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원자력발전에 대한 시민 인식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원자력을 둘러싼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다시 정리하면서 종합해주고 있다. 그로부터 원자력 거버넌스의 작동방식을 이해하고, 그 개선점을 찾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search for the reason of why, even after Fukushima nuclear disaster, Korean citizens did not try to seek out the possibility of another energy option. Firstly, we single two counter-concepts, the configuration of risk communication and scientific citizenship, out from the measure of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terms and the analysis of survey on the citizens’ scientific perception each. Secondly, we try to interpret the meaning of qualitative data, and finally, we draw out the result as follow. Korean government have driven out the pro-nuclear policy, and in this course have made full use of the discourse of there-is-no-alternative-option. We need to take an attention to the reason of why the discourse can circulate freely in society. From one data, we find out that the configuration of risk communication guarantee government’s success. But we also should look at the another side, the scientific citizenship. From another data, we find out that the upstream scientific citizenship, the momentum of preparing alternative, has not been mature, and it is reason of why the discourse have an strong influence.

      • KCI등재후보

        기술적 해결을 통한 위험관리의 가능성과 한계

        강윤재(Kang Yun Jae) 한국과학기술학회 2010 과학기술학연구 Vol.10 No.2

        이 글은 지하철 위험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스크린도어를 대상으로 “기술적 해결"(technological fix)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고 있다. 지하철 위험은 그 유형에 따라 모두 다섯 종류-“전철운행 사고”, “역사 내 사고”, “승강장 사고”, “지하의 공간적 위험”, “범죄 및 테러의 위험”-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궤도와 역사의 접촉면에 위치한 승강장에서 발생하는 승강장 사고이다. 스크린도어는 승강장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적 수단으로 여겨진다. 여기에는 사고를 기술적 수단을 통해 해결하려는 기술적 해결의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작용한다. 신설되는 역이 아니라 기존 역의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것이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힘든 경우라는 사실이 이를 잘 보여준다. 스크린도어는 현실적 수단으로서 가시적 효과를 낳았지만 예상치 못한 비가시적 위험을 가중시킨 측면도 없지 않다. 승강장 내부, 특히 출퇴근 환승역 승강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스크린도어는 승객의 탈출로를 차단하는 “통곡의 벽”으로 돌변할 수 있다. 기술적 해결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의존은 금물이며, 그 한계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는 이유이다. This essay aims to look into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a technological fix with the PSD (platform screen door), which was proposed as the solution of subway risk problems. Subway risk problems may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on-rail accidents, in-station accidents, platform accidents, spatial risks in underground, and risks due to a crime or terror-, and the platform accidents, which happen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rail and the station, is the most serious and prominent. The PSD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technical means to prevent platform accidents. However, there remains a possibility of aggravating unexpected and invisible risks. When a fire breaks out in platforms, especially at exchange stations during the rush hour, the PSD can become a "wall of outcrying", since it may act as the "safety shutter" which killed many people in the 2003 Daegu subway disaster. This is why we need to look into the limit of a technological fix with the PSD.

      • KCI등재

        원전사고와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문성의 정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강윤재(Yun-Jae Ka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12 공학교육연구 Vol.15 No.1

        This paper analyzes characteristics and discourses related with the risk communication of Fukushima nuclear disaster. I try to pick up and analyze the three strategies of Korean government s and expert system s risk communication, and the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role of expert system in the risk communication and the politics of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