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통신 단말기를 위한 한글 모음 입력 시스템

        강승식,한광수,Kang Seung-Shik,Hahn Kwang-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2 No.4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식은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제한된 버튼만을 이용한다는 제약이 있다. 이 제약 조건 하에서 한글 모음을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8개의 기본 모음 집합으로부터 이중 모음을 조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최대 2타로 모든 모음들이 조합될 수 있어서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고, 이중 모음에 대해 사용자들이 익숙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도록 2가지 이상의 조합 방식을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양성-음성 모음 간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입력 오류를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이 추가 키 입력으로 전환되는 오류 수정 기능을 추가하였다. 기존의 모음 입력 방식들과 비교했을 때 제안한 방식이 입력의 신속성과 오류 수정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There is a limitation of using a small number of input buttons for writing Hangul words on hand-held devices. As a quick and convenient way of implementing Hangul vowels by small number of buttons, we propose a vowel input system in which vowels are fabricated from eight vowels. Our input system supports a fast input speed by making all the diphthong from one or two strokes. It also adopts a multiple input method for diphthong that users can make a diphthong in a user-friendly way of vowel writing formation or pronunciation similarity. Furthermore, we added an error correction functionality for the similar vowels that are caused by vowel harmony rules. When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s, our method outperformed in the input speed and error correction.

      • KCI등재

        Coreference Resolution을 위한 3인칭 대명사의 선행사 결정 규칙

        강승식,윤보현,우종우,Kang, Seung-Shik,Yun, Bo-Hyun,Woo, Chong-W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1 No.2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문서의 내용을 대표하는 용어를 추출하거나 정보 추출 및 텍스트 마이닝에서 특정 정보만을 추출하려면 고유명사에 대한 대용어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대용어 해소 문제는 인칭 명사에 대한 대명사의 선행사 결정 문제가 대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서 문서의 내용을 보다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3인칭 대명사 “그/그녀/그들/그녀들”의 선행사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3인칭 대명사의 선행사는 현재 문장 또는 이전 문장의 주어인 경우가 많고, 또한 3인칭 대명사가 2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현재 문장과 이전 문장에 출현한 인칭 명사들 중에서 선행사로 사용되는 경우를 조사하여 선행사 결정 규칙을 발견하였다. 이 경험 규칙은 3인칭 대명사의 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대명사의 격에 따라 주격, 목적격, 소유격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문 기사의 정치 관련 문서에서 대명사의 격에 따라 100개씩 총 300개의 실험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실험 결과로 3인칭 대명사의 선행사 결정 정확도는 재현율이 79.0%, 정확률이 86.8%로 나타났다. When we extract a representative term from text for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or a special information for information retrieval and text milling system, we often need to solve the anaphora resolution problem. The antecedent decision problem of a pronoun is one of the major issues for anaphora resolution. In this paper, we are suggesting a method of deciding an antecedent of the third personal pronouns, such as “he/she/they” to analyze the contents of documents precisely. Generally, the antecedent of the third personal Pronouns seem to be the subject of the current statement or previous statement, and also it occasionally happens more than twic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we have found rules for deciding an antecedent, by investigating a case of being an antecedent from the personal pronouns, which appears in the current statement and the previous statements. Since the heuristic rule differs on the case of the third personal pronouns, we described it as subjective case, objective case, and possessive case based on the case of the pronouns. We collected 300 sentences that include a pronoun from the newspaper articles on political issues. The result of our experiment shows that the recall and precision ratio on deciding the antecedent of the third personal pronouns are 79.0% and 86.8%, respectively.

      • KCI등재

        학생 답안 분석과 정답 템플릿 생성에 의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의 자동채점 시스템

        강승식(SeungShik Kang),장은서(EunSeo Jang) 한국정보과학회 201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2 No.5

        본 논문은 컴퓨터 기반의 자동 채점 시스템을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채점 기준표 작성 과정을 쉽게 하고 수작업 채점 비용의 절감 및 채점 기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자동 채점의 기준이 되는 정답 템플릿은 학생들이 작성한 답안들로부터 쉽고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채점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채점 오류를 최소화하여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수작업 채점 대신에 자동채점 시스템을 도입하였을 때 그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4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목 답안에 대해 자동 채점을 수행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computer-based practical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Korean short answers through student answer analysis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The proposed system reduces the overall scoring time and budget, while improving the ease-of-use to write answer templates from student answers as well a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automatic scoring system.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and compare to the human scoring process, we performed an experiment using the student answers of social science subject in 2014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KCI등재

        미국헌법상 대통령의 법률집행의 의미

        姜勝植(Kang Seung-Sik) 미국헌법학회 2007 美國憲法硏究 Vol.18 No.2

        대통령제에서 대통령은 법률을 집행할 권한을 보유한다. 그렇다면 대통령은 위헌으로 판단되는 법률의 집행을 거부할 수 있는가? 이 글에서는 미국헌법을 모델로 하여 이 문제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행정부수반이 위헌으로 판단되는 법률의 집행을 거부하는 것은 원래 영국국왕의 대권이었다. 그러나 1689년 권리장전 이후 이러한 영국국왕의 대권은 영국헌정사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미국헌법제정자들은 위와 같은 영국헌정사를 의식하여 앞으로 미국대통령은 법률집행을 거부해서는 안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미국헌법상 대통령의 법률집행거부를 명시적으로 금지한 조항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미국헌법상 여러 가지 조항을 분석해보면 미국헌법제정자들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헌법 제2조 제3항은 대통령에게 법의 성실한 집행에 유의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또한 제1조 제7항은 입법과정에서 대통령에게 법률안의 절대적 거부권이 아닌 조건부 거부권을 부여하고 있다. 다만 대통령의 법률집행거부는 다음과 같은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정당화될 수 있다. 첫째, 대통령은 법률의 위헌성이 명백하다는 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대통령은 정상적인 입법과정을 통해 법률안 또는 법률의 위헌성을 치유하기 위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야 한다. 셋째, 대통령의 법률집행거부는 사법심사를 유도하는 유일한 수단이어야 한다. In a presidential system, is it possible for the President to insist that he can ignore the statute that he think to be unconstitutional? This paper will explore whether the President has the power to refuse a statue that is unconstitutional in the U.S. Constitution. Allowing the Chief Executive to not enforce unconstitutional laws was the prerogative of the kings of England. But it was disappeared in England after the Bill of Rights of 1689. The Framers of the U.S. Constitution were familiar with English constitutional history. Accordingly they thought that the President of United States should not exercise such a power. While there is no clear prohibition of a presidential nonenforcement of the unconstitutional laws in the U.S. Constitution, there is influential proof in the various articles in the U.S. Constitution. For example, Article Ⅱ, section 3 provides the President's duty to insure that the laws are faithfully executed. Moreover, Article 1 section 7 gives the President a qualified rather than an absolute veto power in the lawmaking process. If the President's defiance to enforce law is justified, several requirements should be met. First, a law's constitutionality ought to be clear. Second, the President should use all means of the lawmaking process in order to removing a law's unconstitutionality. Third, the President's defiance to enforce law must be the only method leading to judicial review.

      • KCI등재

        평등심사에서의 엄격심사의 대상

        강승식(Kang, Seung-Sik)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성균관법학 Vol.24 No.3

        In multi-tiered reviews for determining whether challenged policies violated the Equal Protection Clause, the Court employs strict scrutiny in judging discriminations that are deemed to be inherently suspected. The U.S. Supreme Court has hold that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would provide to discrete and insular minorities. In this light, part of people in the academy argue that the Equal Protection Clause in the U.S. Constitution should protect certain social groups that have been disadvantaged in the past. But requiring judges to determine which groups have experienced the most historical disadvantage may be in trouble for courts with limited policy expertise. Also it is hard to control other forms of ongoing discrimination and novel forms of inequality. I think that discriminations are suspect when they are based upon inherited traits. These are characteristics which are in some degree out of a person’s control and which cannot be altered by their efforts. Therefore, discriminations based upon inherited traits should be rigorously controlled. However, if a certain inherited trait is relate to a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ability to achieve some public interests for the whole of society,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discrimination based on it is intrinsically suspect and deserving of court’s most strict judicial scrutiny.

      • KCI등재

        이른바 “헌법의 보편화” 주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강승식(Kang, Seung-Sik)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圓光法學 Vol.28 No.4

        근래에 들어 여러 법학자들은 특정한 국가의 헌법학이 다른 국가의 헌법학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해왔다. 이들 중 일부는 특정한 국가의 헌법학은 지구촌에서 고립된 국가를 제외한 다른 국가의 헌법학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헌법제도나 헌법학은 폐쇄적이고 상호배타적인 존재가 아니며, 따라서 법관이나 다른 정책결정권자는 외국 헌법학으로부터 시사점을 찾거나 아니면 최소한 외국의 헌법규범이나 헌법현실로부터 일정한 영향을 받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본다. 이런 관점에서 세계 각국의 헌법학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점점 유사해지고, 이런 과정을 거쳐 결국에는 헌법의 보편화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헌법의 보편화를 주장하는 견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경험적인 측면에서 헌법의 보편화가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것인지, 다른 말로 헌법의 보편화를 주장하는 논거가 단순한 추정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것인지가 불분명하다. 예컨대 불과 몇 십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러시아와 중국을 비롯한 여러 공산주의국가들은 권위주의적 통치를 자행했다. 또한 특정한 부분에서는 헌법의 보편화가 발생했지만 다른 부분에서는 오히려 헌법의 다양화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는 헌법의 다양화로 귀결되었다고 볼 여지도 있다. 이렇게 보면 헌법의 보편화에 대한 일관된 패턴이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헌법의 보편화를 주장하는 입장에서 제시하는 여러 가지 헌법의 보편화 경로를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These days constitutional scholars around the world have referred to the ways in which constitutional law in one country affects the advancement of constitutional law in another country. Supporters of the constitutional similarity argue that the constitutional law of one state unavoidably influences constitutional law in other states except nations that are already isolated from the world community. The society for constitutional law should be open to new ways of working. Judges, politicians and constitutional scholars can seek implication in the constitutional experiences of foreign countries. Constitutionalists who take this position are apt to think that constitutions not only influence each other but also become more similar and end up generalizing. But the argument for the constitutional similarity poses a number of questions. The major question is that it is unknown exactly whether similarity is really taking place. For example, after World War II communism gained currency in Europe and Asia. Also certain types of similarity throughout micro level have been cancelled by other types of new or continuous difference. In this sense, there is no systematic pattern of constitutional similarity. In this paper, I give an explanation to some routes to constitutional similarity and rightly criticize their normative importance.

      • KCI등재

        사법자제의 헌법적 조명

        강승식(Kang, Seung-Sik)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2 世界憲法硏究 Vol.18 No.1

        헌법재판에서 사법부는 권력분립원칙, 정책결정권의 범위, 정책적 전문성, 민주적 정당성, 그 밖의 이해타산적 관점, 개별 사건의 상황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입법부나 행정부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 사법부의 존중은 정도에 따라 일반적 존중과 실질적 존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반적 존중에 따르면 사법부가 단순히 입법부나 행정부의 판단에 동의하지 않거나 자신이라면 다른 해법을 제시했었을 것이라는 이유로 이들의 효력을 상실시켜서는 안된다. 이에 반해 실질적 존중은 사법부가 특정한 사건을 심판함에 있어서 제도적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이례적인 현상이다. 이런 사건들의 대표적인 예로는 국가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사건, 고도의 정책적 판단이나 강한 민주적 정당성을 요구하는 사건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사법부는 이해타산적 이유에 따라 입법부나 행정부의 판단을 존중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이해타산적 이유에 따른 사법자제를 반드시 전략적이고 계산적인 측면으로만 이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사법부가 이해타산적 이유에서 입법부나 행정부의 판단을 존중하는 데에는 전략적인 측면과 합리적인 측면이 얼마든지 공존할 수 있다. 한편 법률에 대한 위헌결정을 사법부가 입법부의 판단을 존중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고, 합헌 결정을 입법부의 판단을 존중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특정한 사건에서 사법부의 존중의 정도는 위헌결정, 합헌결정 등 결정유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양자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예컨대 사법부는 입법부의 판단을 실질적으로 존중하되 법률을 위헌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존중을 하되 합헌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입법부나 행정부의 판단에 대한 사법부의 존중은 사법부의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사법부에게 주어진 책임의 일부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Judges owe a degree of deference to the legislative branch or executive branch as a matter of constitutional principles, but also for prudential reasons. The duty of minimal deference accounts for the fact that judges ought not invalidate an executive decision, or declare legislation to be incompatible with a bill of rights, merely on the basis that they disagree with it or because they might have come up with a different solution if they had had the power to make the primary decision. When the courts judge themselves suffer from particular institutional shortcomings with regard to the issue at hand, substantial deference by the judiciary is warranted. These are cases in which the legislature or the executive have more institutional competence, more expertise, and more democratic legitimacy to assess the particular issue. Moreover, judges can defer for prudential reasons. This deference is ultimately rooted in a judgment of political morality about appropriate institutional roles. Deference requires judges to be aware of their institutional limits and to ensure that they make the decisions to which they are best suited. Meanwhile, it is sometimes assumed that when the judiciary strikes down legislation, it is being activist; when it refrains from striking down, it is being deferential. Surely, the degree of deference deemed appropriate in any particular case will impact on the decision about whether or not to strike down legislation. But it does not determine that issue. In conclusion, I think that deference, when it is a matter of being appropriately respectful, is part of the judiciary's responsibility, rather than an avoiding of it.

      • 한국어 복합명사 분해 알고리즘

        강승식(Seung-Shik Kang)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5 No.1

        형태소 분석 결과로 추정된 복합명사를 단위명사들로 분해하는 방법으로 네 개의 분해규칙과 두 가지 예외규칙을 사용하여 가능한 분해 후보들을 생성하고, 분해 후보들에 대해 가증치를 부여함으로써 최적 후보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미등록 단위명사가 포함되어 있는 복합명사를 분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합명사의 길이가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특징이 있다.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두 가지 유형의 데이타 집합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데이타 중복을 허용했을 때 복합명사 분해 정확도는 97.95%였고, 미등록어들을 모두 사전에 수록했을 때는 정확도가 99.48%로 높아졌다. 또한, 복합명사의 음절 길이에 따라 각각 정확도를 측정하였을 때 평균 정확도는 약 91%였으며, 10 음절 이상의 긴 복합명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decomposition algorithm of compound nouns, that generates possible candidates using 4 decomposition rules and 2 exception rules, and then selects the best candidate using a weighting method. This algorithm can separate an unregistered noun from compound nouns, and moreover it can be effective regardless of the length of compound noun. We Implemented and tested the algorithm for two types of data sets that are extracted from a real text. The success ratio of the algorithm was about 97.95% and could increase to 99.48% under the condition that unregistered nouns should be entered into the dictionary. We also tested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in which the average success ratio was about 91%, and the algorithm turned out to be effective even on long-sized compound nouns of more than 10 syllables.

      • KCI등재
      •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한글 모음 입력 시스템

        강승식(Seung-Shik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정보화 시대가 진전됨에 따라 휴대폰과 리모콘 등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식은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제한된 버튼만을 이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제약 조건 하에서 한글 모음을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으로 ‘ㅏ/ㅓ/ㅗ/ㅜ/ㅡ/ㅣ/ㅐ/ㅔ’를 기본 요소로 하여 조합되는 모음의 입력 방식을 다양화하였으며, 기존의 천지인, 나랏글 방식과 비교했을 때 사용자 편의성과 입력의 신속성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