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의 행정선진적인 보안정책에 관한 연구 - 미국 서부지역의 산학연 기관의 연구보안 정책 분석 및 시사점을 중심으로 -

        강선준(Kang, Sun Joon),송우진(Song, Woo Jin),오정미(Oh, Jeong Mi),조무관(Cho, Moo Kwoa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미국은 과학이 국가적 임무 수행에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인식하에 연구보안 및 사이버 보안 부문에서는 세계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미국트럼프 정부에서는, 2003년 이후15년 만에 연방차원의 "국가 사이버보안전략"을 공해를 통해 보안 중심으로 연구보안체계를 선진화 하고 있으며 과거와 달리 글로벌 차원에서 사이버보안 관련 국제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 국무부가 핵심이 되어 외교적 노력과 산업 증진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K-Shied Program 등을 통하여 사이버 보안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연구보안 및 산업보안에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다양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미국 서부지역의 대학, 연구소, 기업 등의 연구소를 직접 방문하여 실제 보안업무를 총괄하는 CEO나 임원급 연구자들 Group에게 3시간 이상의 전문가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와 약 1회의 현지기관과 우리나라 제도비교 세미나, 3회의 디브리핑(2회 국내, 1회 해외)을 15명의 연구보안 전문가와 토론하며 우리나라 연구보안법제 및 과학기술출연연구기관의 연구보안 정책 고도화에 많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방문기관별 연구보안 전략을 정리한 후 미국의 연구보안체계와 관련 법령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후 미국 연구보안전략 정책에 대한 시사점 및 향후 대응전략 등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 The U.S. maintains the world"s highest level of invest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understanding that science can be a very important means of carrying out national missions. In particular, research security and cyber security have the world"s best technical skills.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recently advanced its research and security system with a focus on security through a federal cyber security strategy 15 years after 2003. Unlike in the past, the State Department has become the core to bring about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ybersecurity at the global level, leading diplomatic efforts and industry promotion programs. Korea is also training cyber security personnel through the K-Shied Program Dongdong, and it is preparing various things by paying great attention to research security and industrial security. In this paper, he visited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companies in the western U.S. and discussed with 15 researchers about three hours of interviews of expert groups (Focus Group Interview), about one local institution, and three seminars on system comparison (two domestic, one overseas) to draw up a number of research and security implications for Korea"s In this paper, we will take a look at the research security system in the U.S. and related statutes after organizing the research security strategy for each visiting institution. Later, I would like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U.S. R&D strategy and future strategies.

      • KCI등재

        중국의 과학기술보안규정과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보안제도 정책과의 비교 연구

        강선준(Kang, Sun Joon),원유형(Won, Yoo Hyung),김민지(Kim, Min Ji)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2

        최근 중국은 눈부신 과학기술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중국에서도 과학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게 되었고 이러한 과학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규정을 입법화 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중국의 과학기술보안규정(이하 ‘중국의 연구보안 규정’이라 한다)의 현황과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규정상 연구보안규정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중국 R&D 추진 상 주의해야할 점과 우리연구보안 법제로의 편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코자 한다. 특히, 과학기술보안규정을 별도로 입법화한 점에 대해서는 향후 우리나라 입법과정에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보안규정의 주요내용 중 과학기술 협력 혹은 보안과제 등에 지식재산권이 발생할 경우 연구보안 가이드라인 성격의 규정을 제시한 점, 각 지역별 보안전담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하는 점, 국가적 차원, 지방자치단체 차원, 연구기관 차원, 개인적 차원으로 잘 분류되어 연구보안 의무와 주요역할 분담을 하고 있는 점 등을 살펴보고, 우리법제로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편입을 검토하고자 한다. 아울러, 대중국 공동연구개발 수행 시 관련 법령과 비밀유지조항, 수출입 통제 관련 내용 등을 본 논문에 기재하여 공동연구개발 성과물이 활용되지 못하고 사장되거나 기술이전이 되지 못하는 경우 등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한다. Recently Chin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is accelerating, and some technologies have the world’s best technolog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hina has been deep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many efforts are being made to legislate security regulations to protect their technologies. Korea and other countries are also interested in research securit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China is also on the rise. In this paper, we derived some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China’s science and technology security regulation and Korea’s national R&D project management regulations. China is also enacting science and technology security regulations as a subordinate to the laws and regul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it should be reflected in future legislation that the difference from Korea is composed of separate independent regulation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science and technology security regulations have been enacted separately may be a hint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nation’s future legislation processes. In this paper, major content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security regulations, points to division of knowledge property into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operation or security tasks, designation of regul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ecurity guidelines, and operation of individual national security agencies In addition, in the event that the contents of the related statutes, confidentiality provisions, and import and import control are recorded in this paper, and the results of the joint R&D project are not utilized, or the technology transfer is not carried out.

      • KCI등재

        연구자 이직과 연구보안의 쟁점에 관한 연구: 연구보안 실무상 문제가 되는 사례분석과 해결점을 중심으로

        강선준(Sun-Joon Kang),오정미(Jeong-Mi Oh),박성욱(Sung-Uk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2

        최근 연구기관에서 연구자 이동성이 증가하여 연구자가 이직 또는 퇴직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연구자가 소속되었던 원 재직기관에서는 연구보안의 관점에서 기관의 핵심적인 기술이 유출될 가능성이 증가 하였다. 따라서, 명확하게 연구자의 이직 혹은 퇴직 시 권리관계를 규정하지 않는다면, 연구자를 새로 고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에서도 의도하지 않게 이직하기 이전의 연구기관과 불필요한 지식재산권 분쟁에 휘말릴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연구기관을 이직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 연구자는 물론, 원 소속기관과 이직한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간의 지식재산권리 관계 정리를 통한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기존 이론적인 연구와 달리 실증적인 사례분석을 통하여 연구자 재직 중 대형기술이전을 하고 이직하는 사례, 동일 유사한 분야 연구를 수행하던 연구자 그룹에서 다른 연구자가 일방적으로 연구 성과물 등을 독점하여 회사를 창업하고 다른 기관으로 이직하는 사례 등을 통하여 연구자 이직과 보안쟁점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기관과 연구보안 실무자 등이 연구자 이직 및 퇴직 시 주의할 점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 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as the turn over rate of researchers in research institutes has increase, retirement has frequently occur, so the possibility of technology leakage in terms of research security for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the currently employed institution has the risk escalated. Researchers can select research institutes for convergence or cooperative research. Therefore, the security issue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rade secrets, which occurred in the institution where the researcher is currently employed, should be cleared up of these rights relations when moving to a new institution. While the previous studies have dealt with contracts and compensation of job transfer, this paper analyzes the practical issues of the infringement and research secur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en a researcher relocates to an institution and conducts research, the researcher, wants to find a solution by reorganization of rights and customs of the researcher"s organization before and after the move. The cases raise the alarms to the security issues in the research institutions.

      • KCI등재

        物質移轉契約時 所有權 條項에 關한 檢討

        姜善俊(Sun-Joon Kang) 한국기업법학회 2008 企業法硏究 Vol.22 No.4

        In recent years, it is necessary for us aspect of scientific research to transfer of materials.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in all areas of scientific research including biology, physics, computer science and chemistry. Although this paper will focus on transfers of biological specially Knock-out Mouse. MTA is need under the circumstances, firstly the material has value property, secondly, the material keep as a trade secret, finally the provider wants to get a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the material make use of inventions. A Material Transfer Agreement(MTA) is the stipulation for the exchange of materials. A transfer between provider and recipient may supply materials which is unique to follow up research and investigation. A Material Transfer Agreement needs to decide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provider and the recipient i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the materials are used. There are some desirable definitions of terms in biological MTA such as Material, Progeny, Modifications and Unmodified Derivatives. This Study considered the matter from various angles and designed to improve compare experiences and review case method which focused on the negotiation between KIST & M Co., Inc.'s Material Transfer Agreement that related to Knock-out Mouse. Their Negotiations are eventually broken down. but in this case served as a good lesson to us. In this paper proposes to enact the reasonable and applicable research institute's ownership and license of A Material Transfer Agreement. Also, this Study considered the matter from various angles and designed to improve compare experiences and review issues in Material Transfer Agreement. Ownership of combinations material should be determined by contributions of each research institute. Governmental Institution will, at a minimum, reserve the right to use and distribute material for non-commercial research purposes. Governmental Institution may provide non-profit company by negotiation in good faith the opportunity to obtain an license to Modified Derivatives directly resulting from use of the Materials. It is necessary for us to keep Material Transfer Agreement in order to protect efficient of rewards from R&D.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위한 안정적 법적 기반을 위한 법정책적 연구

        강선준(Sun Joon Kang),원유형(Yoo Hyung Won),김민지(Min Ji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클라우드 슈밥이 언급한 ʻ제4차 산업혁명ʼ은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그 정점에 자율주행자동차가 이 시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자율주행자동차가 성공적으로 도입 및 정착되기까지는 아직 극복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다. 특히 ʻ인간ʼ 중심의 법제도를 ʻ인공지능ʼ이 포함된 법제도로 패러다임을 변화해야 할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 시대의 안정적 운용을 위해서는 사람중심의 입법체계에 대한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즉, 자율주행자동차를 운행하는 운행주체가 누구인지(무엇인지)와 일반도로에서 일반 자동차와 운행이 가능한지 여부, 교통사고 발생 시 민형사상 책임 문제,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보험 문제, 개인정보수집과 이용에 관한 문제, 제3자에 의한 오남용 문제 등을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 관련 국내 법률, 해외 법제현황,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적 쟁점 등을 검토하여 입법론적 관점에서 자율주행자동차 운행 시 발생하는 제반 법적 문제 해결을 위한 별도의 법안 신설을 제안하며 그 법안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At the Davos Forum in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reference to cloud Schwab, is dramatically changing our lives, and at its height, self-driving cars are emerging as the talk of the day. But there are still many hurdles to overcome before the nation can successfully introduce and establish self-driving car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the legal system centered on human beings to one that include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able operation of the self-driving car era requires drastic changes to the people-centric legislation system. That is, it is necessary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drivers of self-driving cars (what is available), general vehicles on general roads,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issues in the event of traffic accidents, and collection of insurance problems concern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n this study, a separate bill was proposed to address the various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operation of self-driving cars from a legislative perspective by considering the domestic laws related to road transport, the current state of legislation on foreign soil and legal issues related to self-driving cars.

      • KCI등재후보

        전자선하증권의 도입을 위한 입법론

        강선준(Sun-Joon Kang)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사회과학논총 Vol.8 No.-

        우리나라는 무역으로 국민경제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나가고 있기 때문에 전자무역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무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와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거래인 전자무역에서는 무역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선박의 고속화, 해상운송에서의 컨테이너의 도입 등으로 인하여 운송물이 선하증권보다 빨리 도착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선하증권이 고유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었다. 선하증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화물선취보증장, 해상화물운송장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지만 결국 위기상황을 극복하는데 충분하지 못하게 되었다. 선하증권의 전자화가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그 결과로써 전자선하증권이 탄생하게 되었다. 법적인 환경의 정비는 시대의 흐름을 겨우 뒤쫓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 현행법은 종이선하증권을 물리적으로 이전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만 유통성을 인정하고 있어서, 전자적인 방법으로 이동ㆍ전달되는 전자선하증권에 대해서는 그 유통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電子船荷證券의 확산과 법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電子船荷證券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정비가 필수적이다. 단기간의 해결책으로 해상화물운송장의 적극 활용 및 이에 대한 조문의 신설로 문제를 해결하자는 논의와 해상법에서의 電子船荷證券에 대한 조문을 신설하고, 해상화물운송장을 병행하여 신설하자는 입법론이 학자들 사이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다. 해상화물운송장은 법적으로 권원증권이 아니다. 따라서 운송 중에 전매가 필요한 원유 등의 운송물에 대해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거래관행상 확실한 지위를 확립하고 못하고 있기 때문에, 실무거래에 그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해상화물운송장은 수하인을 수입지의 은행으로 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화환결제가 없는 무역관계에만 적용될 수 있기에 그 사용이 한정되어 있으며 운송인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한다. 선하증권의 전자화에 대해서는 국내의 학자들은 해상법에서 전자선하증권의 발행에 대한 조문을 신설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전자선하증권은 종이선하증권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기본법으로서 상법의 개정은 많은 논의가 필요하며 각종 전자화와 전자무역에서 발생ㆍ파생하는 문제들을 모두 규율하기 어렵다. 전자선하증권을 우리법제에 편입시키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電子船荷證券에 대해서 별도의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어음의발행및유통에관한법률(이하 ‘전자어음법’이라 한다.)을 근간으로 하여 電子船荷證券法에 대한 입법배경과 구체적인 電子船荷證券法私案을 제시하였다. 동 법안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과 電子船荷證券의 운영상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상황에 알맞게 수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초고속 통신 인프라, 무역자동화 시스템 등을 바탕으로 電子船荷證券法私案의 도입 등 기술적 법적 환경을 정비한다면, 세계 초일류 전자무역 선진국으로 한발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round the world, millions of business people are using the internet without regards to the legal issues involved in electronic commerce. The shipping industry is currently using computer and electronic documentation of the carriage of goods by sea. This paper studies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about legal aspect and make a law in specialization with electronic bill of lading. A bill of lading that was made from paper has been the target of criticism, what is called 'the crisis of bill of lading' these years for several reasons. It is time-consuming, costly and open to fraud. There are many ways to break a 'the crisis of bill of lading.' This Study will examine overview electronic bill of lading's law for application in the world. There are two ways to legalize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The one way is to create the provisions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in connection with electronic bill of lading and sea waybill. The sea waybill cannot be substitute for electronic bill of lading, because sea waybill is non-negotiable instrument. It is impossible to make good use of resale international trade like oil and to take charge of the whole international trade. Even worse, Stipulation the provision regarding the issuance of electronic bill of lading may not settle the crisis of bill of lading incompletely. It takes a long time and complexity for us the revision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than enacting a special act. The other is to, it is desirable for us to enact the special act relating to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Furthermore, it is best way to bring a solution to get rid of the crisis of bill of lading and rule for electronic bill of lading. It is possible to rule for including all situations relevant electronic bill of lading in detail. No other ways more effective than make independent act or code in specialization on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nd introduces a steady stream of constructive individual law for electronic bill of lading and e-trade. It is necessary for us to get a 'Electronic Bill of Lading Law' to develop electronic commerce and international trade.

      • KCI등재후보

        국가연구개발사업 정산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강선준(Sun-Joon Kang)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사회과학논총 Vol.9 No.-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국민의 세금을 재원으로 조성된 기금 등에서 지원되기 때문에 투명한 연구비 집행과 연구자의 고도의 윤리적 책임이 수반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념과는 달리 최근 대학교수 및 산업체 등에서 부적정한 연구비 집행이 적발되었으며, 연구비를 본래의 목적과 달리 횡령하는 등의 행태로 까지 왜곡되고 있다. 과거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전담기관의 관리 하에 운용되었지만 2005년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을 필두로 연구비 정산 업무를 회계법인에 위탁하는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공인회계사들의 전문화된 능력으로 연구비의 부적정 집행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연구비 집행을 계도하겠다는 당초 취지와는 달리 충분한 준비 없는 시행, 연구현장에 대한 기본 적인 이해부족, 연구비 정산 업무 담당기관 들의 사업관리 규정 등에 대하여 일관적이기 보다는 자의적인 해석, 정부출연연 내부 회계 시스템 불인정 등으로 많은 혼란과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향후 국가연구개발사업비 전체가 회계법인에 위탁정산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처음 위탁정산제도를 시행하였던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의 위탁정산제도를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 연구현장에서의 혼란을 최소화 하고 연구성과물 창출을 진흥하기 위해서는 연구비 집행 관련 규정을 명확하게 규정을 하고 연구비 정산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여야 한다. 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연구비 관리 인증제와 전자정산 등을 통하여 연구비 정산에 따른 복잡한 행정절차를 개선하여 연구자들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한다. Owing to taxpayer give us to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R&D) expense, it is necessary for us to using R&D funds clean and reasonable. However, it is not easy to realize our ideal. The Industrial Technology Evaluation Planning(ITEP) presents not a perfect solution, but effective solution. Since 2005, They have put everything relating to spend money on R&D and start the Auditing procedures system by certified public accountant (CPA). Auditing procedures system by CPA cause a lot of problems on the spot. Also It is totally disapproved 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and Just In Time System in a public research institute like Korea Institute of Science of Technology. This Paper studies the industrial technology evaluation R&D programs's auditing system and it's problem. It proposes an alternative plan for R&D system. Firstly, we revise regulation and establish clear-cut lines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Secondly, we cultivate men of ability and make specialist in field of Auditing procedures system. Finally, we introduce and institutionalize the certification Auditing procedures system by Minister of Science and Technology (MOST) and electronic Auditing procedures system. The more we improve R&D auditing system, The more R&D Scientist reduce give trouble work and focus on obtaining excellence R&D results.

      •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의 행정선진화의 의미와 방향 -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법무자문 집중화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

        강선준(Kang, Sun Joon),김진수(Kim, Jin S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최근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법무자문 집중화 지원치계 구축사업을 진행하였다. 당해 사업에 대해 검토하기에 앞서 상위 과제인 행정선진화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또한 공공부문 사업에 있어 이를 바탕으로 사업의 필요성과 의미를 파악하고 실행방법에 있어 법률로 대표되는 공공성의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공공관리적인 측면과 공공가치론적인 측면을 비교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패러다임 시프트의 상황에서 당해 사업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와 의미를 도출하였다. 평가 제도를 보완에 관한 제언을 끝으로 타사업의 추진에 있어 당해사업이 참고사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Recently,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ducted a project to build centralized legal consulting support system. Before reviewing the project, let"s take a look at the advanced task of administrative advancement. In addition, based on this, the public sector projects were identified with the publicity represented by law in identifying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the project and implementing it. Lastly, by comparing the aspects of new public management with those of public value, we derived the position and meaning of the project in the current paradigm shift. Finall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project can be a reference case in the promotion of other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